KR20050120316A -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 Google Patents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316A
KR20050120316A KR1020040045626A KR20040045626A KR20050120316A KR 20050120316 A KR20050120316 A KR 20050120316A KR 1020040045626 A KR1020040045626 A KR 1020040045626A KR 20040045626 A KR20040045626 A KR 20040045626A KR 20050120316 A KR20050120316 A KR 20050120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rge protector
earth leakage
circuit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0156B1 (ko
Inventor
최성열
강영길
조욱희
문상목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아남르그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아남르그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5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156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02J9/06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for ligh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상자 형상의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차단기 장착 패널(20)을 갖되, 상기 차단기 장착 패널(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게 입력선(31, 32)이 결합된 주 누전차단기(30)와; 상기 차단기 장착 패널(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주 누전차단기(30)로부터 전원을 분전 받도록 병렬 회로적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와; 상기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와 유사 또는 동일한 레이아웃을 갖고 있고, 서지 차단 기능과 전자파 흡수 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작동 회로를 위해 상기 주 누전차단기(30)로부터 먼저 전원을 분전 받도록 병렬 회로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서지 보호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기적 분기 회로를 안정화시킬 수 있고, 서지 보호기가 보조 누전차단기와 동일한 레이아웃을 가져서 차단기 장착 패널에 일체형으로 부설됨에 따라 전선 연결 회로 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Household distribution switchboard with surge protector}
본 발명은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로에 대한 서지 전압의 파고값이나 파의 준도를 경감시킬 목적으로 설치되는 장치로써 외부 또는 내부의 각종 가전 제품의 서지 전압을 흡수함으로써 전기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제품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가정내 분전함(6 : distribution cabinet)의 배선 시공 구조를 살펴보면, 전력선 등과 같은 전선(1)이 포설 될 곳에, 관부재(2)를 묻고, 콘크리트 타설을 한 후 벽체(3)를 형성하고, 그러한 벽체(3)에 전원 콘센트(4), 스위치(5), 분전함(6), 전선 접속함 등과 같은 배선 자재를 설치하며, 관부재(2)는 배선 자재를 위한 공간이 상호 관통되도록 배치되고, 전선(1)은 관부재(2)의 내부 공간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배선 자재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된다.
이런 분전함(6)의 내부에는 통칭하여 도면 부호 '7'로 표시한 바와 같은 복수개의 주 과전류차단기(이하, '주 누전차단기'라 칭함) 또는 보조 과전류차단기(이하, '보조 누전차단기'라 칭함)가 차단기 장착 패널에 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주 누전차단기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간선(幹線)과 전기적 분기 회로의 분기점에서 부하 쪽에 장착되며, 전원쪽에서 보면 최초의 개폐기이며 과전류의 차단 능력이 있고, 보조 누전차단기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기적 분기 회로의 지선 쪽에 각각 장착되며, 전원쪽에서 보면 최초의 개폐기 다음의 개폐기이다.
분전함(6)은 주/보조 누전차단기(7)를 상자 형식의 캐비닛에 내장하여, 넓은 의미에서 분전반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분전함(6)은 서지 보호기를 구비하지 않고 있어서 전기적 분기 회로에서 외부적 요인에 의한 전류, 전압 및 전력 등의 변동에 따라 전기적 분기 회로의 오작동,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특히, 보조 과전류차단기의 불완전 스위칭 작동을 유발시킴에 따라 잦은 전력 차단 사고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지 프로텍터는 세대 분전반 전용으로 제작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서지 차단기와 같은 역할 또는 전자파 흡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세대내 분전반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적 분기 회로를 안정화시킬 수 있고, 서지 보호기가 보조 누전차단기와 동일한 레이아웃을 가져서 차단기 장착 패널에 일체형으로 부설됨에 따라 전선 연결 회로 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자 형상의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장착되는 차단기 장착 패널을 갖는 세대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장착 패널의 일측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게 입력선이 결합된 주 누전차단기와; 상기 차단기 장착 패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주 누전차단기로부터 전원을 분전 받도록 병렬 회로적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보조 누전차단기와; 상기 보조 누전차단기와 유사 또는 동일한 레이아웃을 갖고 있고, 서지 차단 기능과 전자파 흡수 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작동 회로를 위해 상기 주 누전차단기로부터 먼저 전원을 분전 받도록 병렬 회로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서지 보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과 그의 서지 보호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전반은 상자 형상의 캐비닛(10)과, 이런 캐비닛(10)의 내부 평면적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차단기 장착 패널(20)을 갖는다.
여기서, 캐비닛(10)은 반투명 커버(도시 안됨)를 개폐하여 사용이 간편하며, 배선 자재를 위한 공간에 장착된다. 이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간선으로부터 연장된 220V 입력선(31, 32) 및 전기적 분기 회로로 연장될 출력선(49, 50)이 각각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게, 캐비닛(10)의 일측 내지 타측면에 패킹을 개재한 관통 통로가 부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간선, 출력선, 입력선, 연장선, 인입선 등은 모두 전기적으로 통전이 가능한 해당 규격 전선을 의미한다.
또한, 분전반에서 차단기 장착 패널(20)의 표면에는 통상적인 주 누전차단기(30)(ELCB)와 복수개의 보조 누전차단기(40 ∼ 48)(MCB)가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분기개폐기(도시 안됨), 주개폐기(도시 안됨),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전류제한기(도시 안됨)가 더 부설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차단기 장착 패널(20)의 일측에는 주 누전차단기(30)가 고정나사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설치되며, 그러한 주 누전차단기(30)의 입력단자(33, 34)에는 상기 입력선(31, 32)이 접속된다. 이때, 주 누전차단기(30)의 출력단자(35, 36)에는 와이어 타입으로 한 쌍을 이루는 연장선(37, 38)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차단기 장착 패널(20)의 타측 상, 하에는 복수열을 이루는 보조 누전차단기(40 ∼ 48)가 고정나사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한 장착 방식으로 장착 플레이트(21, 22)의 축방향을 따라 밀접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 장착 플레이트(21, 22)에 설치되며, 그러한 보조 누전차단기(40 ∼ 48) 각각의 출력단자에는 전기적 분기 회로로 연장될 각각의 출력선(49, 50)이 접속된다.
장착 플레이트(21, 22)의 상변과 하변에는 약간 돌기되어 올라온 고정 부위가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고정 부위에 복수개의 고정 수단 결합용 장착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장착구멍들의 간격은 보조 누전차단기(40 ∼ 48) 또는 서지 보호기(60) 중 어느 하나의 폭에 밀접한 간극 유지를 위한 간극 거리를 더한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장착 플레이트(21, 22)는 차단기 장착 패널(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됨에 따라서, 서지 보호기(60) 또는 보조 누전차단기(40 ∼ 48)로 하여금 상호 평행을 유지하면서 심플하게 가로 배열되게 해준다.
특히, 보조 누전차단기(40 ∼ 48) 각각의 입력단자들이 상호 쳐다보게 배열되며, 이에 따라서 전선 연결이 매우 간편하게 된다.
즉, 보조 누전차단기(40 ∼ 48) 각각의 입력단자들은 전자적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X'자 배열을 갖는 병렬 인입선(51, 52)의 일측이 연결되며, 이러한 병렬 인입선(51, 52)의 타측이, 상호 이격되고 평행을 유지하게 각각 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전력 버스 라인(57, 58)의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방식은 볼트 조임식이 바람직하다. 전력 버스 라인(57, 58)의 일측 끝단은 상기 연장선(37, 38)의 타측 끝단에 각각 볼트 조임식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결국, 주 누전차단기(30)의 출력 전원이 연장선(37, 38)과 전력 버스 라인(57, 58)을 통해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에 각각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서지 보호기(60)는 전력 버스 라인(57, 58)의 최전방에서 배치되어서, 이후 전력 버스 라인(57, 58)을 통해 각각 주 누전차단기(30)의 출력 전원을 인가 받아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에서 발생될 수 있는 서지를 방지하여 전기적 분기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서지 보호기(60)는 앞서 언급한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에 비교하여, 유사 또는 동일한 평면적을 갖고, 또한 고정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동일 장착 방식으로 장착 플레이트(21, 22)에 설치되며, 동일한 방식으로 한 쌍의 입력단자를 갖는다. 즉, 서지 보호기(60)는 외형적 형상, 설치 방식, 입력단자의 규격 등과 같은 레이아웃이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의 레이아웃과 유사 또는 동일하다.
따라서, 서지 보호기(60)의 입력단자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X'자 배열을 갖는 병렬 인입선(53, 54)을 통해 전력 버스 라인(57, 58)과 접속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충전식 배터리에 상기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변환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전원 변환부(70)는 상기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와 유사 또는 동일한 외형적 레이아웃을 갖고 있고, 상기 주 누전차단기(30)에 연결된 전력 버스 라인(57, 58)으로부터 전원을 분전 받도록 병렬 회로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충전 온/오프 스위치(7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원 변환부(70)의 직류 전원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전선(72)의 끝단에 플러그(73)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원 변환부(70)는 충전 온/오프 스위치(71)가 온(ON) 되었을 때 입력된 교류 전원 AC 220V를 직류 전원 3V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장치로서, 오프(OFF)일 때 작동 정지되는 일종의 교류 직류 어댑터 장치이다.
즉, 전원 변환부(70)는 충전 온/오프 스위치(71)의 스위칭 작동에 대응하게 휴대 전등(80)의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런 전원 변환부(70)는 휴대 전등(80)의 충전식 배터리를 평상시 충전해 놓고 있다가, 정전 사고 등과 같은 유사시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 전등(8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내부를 조명시키는 목적으로 캐비닛(10)에 일체로 내장되는 것이다.
휴대 전등(80)은 상기 플러그(73)를 삽입시켜 통전되는 소켓부(81)와, 상기 소켓부(81)에 접속되어 상기 직류 전원을 유한한 시간동안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식 배터리와, 상기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발광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점멸(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충전식 배터리와 상기 램프 사이에서 스위칭 작동하게 결합된 스위치를 케이싱에 결합시켜 사용이 간편하게 되어 있고, 캐비닛(1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물론, 휴대 전등(80)은 고정식으로 항상 캐비닛(10)의 내부만 조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전원 변환부(70)에 정전 사고 발생시 비상 전원을 사용하는 UPS 회로 모듈을 구비시킬 경우, 정전과 함께 휴대 전등(80)이 자동으로 충전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됨에 따라 램프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휴대 전등(80)이 상자 형상의 캐비닛(10)에 장착되도록, 상기 휴대 전등(80)의 케이싱에 대응한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탄성 거치대 수단(82, 83)을 포함하여,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서지 보호기(60)는 서지 프로텍터(surge protector), 서지 흡수기(surge absorber), 서지 방지기(surge suppressor) 중 어느 하나로서, 소정 변동 대역의 서지를 차단하는 서지 차단 기능과, 소정 전자파 대역의 전원선 방해파를 감쇄시킬 수 있는 전자파 흡수 기능 또는 통상의 서치 보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통상적인 서지 보호 작동 회로(도시 안됨)를 갖는다.
또한, 서지 보호기(60)의 서지 보호 작동 회로의 그라운드 단자는 상부쪽 고정 볼트를 통해서 그라운드(64)와 접속된다. 이런 서지 보호 작동 회로의 입력단자는 'X'자 병렬 인입선(53, 54)을 통해서 간결하고 심플하게 전력 버스 라인(57, 58)에 접속된다.
또한, 서지 보호기(60)는 앞서 설명한 보조 누전차단기(40 ∼ 48)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사이즈 내지 동일한 레이아웃을 갖고 있어서,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와 함께 조화를 이루면서 차단기 장착 패널(20)에 배열 및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외부 전원은 간선으로부터 연장된 220V 입력선(31, 32)을 통해서 주 누전차단기(30)에 입력된다. 여기서, 단락, 단선, 전기적 충격 등과 같은 외부 영향이 없는 경우, 주 누전차단기(30)는 통전되어서 연장선(37, 38)과 전력 버스 라인(57, 58)에 통해서 외부 전원을 분기시킨다.
이때, 전력 버스 라인(57, 58)에 병렬로 각각 접속된 보조 누전차단기(40 ∼ 48)는 출력단자를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해당 소정의 로드(load) 측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서지 보호기(60)는 서지 차단 기능과 전자파 흡수 기능에 대응한 회로적 작동을 수행하여, 서지, 노이즈, 전원선 방해파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서 보조 누전차단기(40 ∼ 48) 등과 같은 전기적 분기 회로를 보호한다.
이와 함께, 전원 변환부(70)는 충전 온/오프 스위치(71)의 온(ON) 이고, 플러그(73)와 소켓부(8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정전 사고 발생시 상기와 같이 충전된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한 휴대 전등(80)을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은 서지 보호기를 일체형으로 캐비닛 내부에 내장함에 따라 유지 보수가 용이하면서도, 전기적 분기 회로에서 외부적 요인에 의한 전류, 전압 및 전력 등의 변동에 따라 전기적 분기 회로의 오작동,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은 휴대 전등용 전원 변환부를 보조 누전차단기의 레이아웃에 대응하게 형성하여 캐비닛 내부에 장착하고 있음에 따라, 정전 사고시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휴대 전등을 사용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의 서지 보호기는 소형이면서도 서지 차단기능과 전원선 방해파와 같은 전자파를 흡수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서 세대내 분전반으로서 매우 적합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의 서지 보호기는 세대 분전반 전용으로 제작되어 있어서, 보조 누전차단기와 동일한 레이아웃을 갖기 때문에 용이하고 심플하게 차단기 장착 패널에 일체형으로 부설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 연결이 용이하여 설치 시공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지 보호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20 : 차단기 장착 패널
30 : 주 누전차단기 31, 32 : 입력선
40 ∼ 48 : 보조 누전차단기 51, 52 : 병렬 인입선
57, 58 : 전력 버스 라인 60 : 서지 보호기
70 : 전원 변환부 80 : 휴대 전등

Claims (5)

  1. 상자 형상의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차단기 장착 패널(20)을 갖는 세대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장착 패널(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게 입력선(31, 32)이 결합된 주 누전차단기(30)와;
    상기 차단기 장착 패널(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주 누전차단기(30)로부터 전원을 분전 받도록 병렬 회로적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와;
    상기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와 유사 또는 동일한 외형적 레이아웃을 갖고 있고, 상기 주 누전차단기(30)로부터 먼저 전원을 분전 받도록 병렬 회로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서지 보호기(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와 유사 또는 동일한 외형적 레이아웃을 갖고 있고, 상기 주 누전차단기(30)에 연결된 전력 버스 라인(57, 58)으로부터 전원을 분전 받도록 병렬 회로적으로 결합되어,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 변환부(70)와;
    상기 전원 변환부(7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유한한 시간동안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식 배터리와, 상기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발광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충전식 배터리와 상기 램프 사이에서 스위칭 작동하게 결합된 스위치를 케이싱에 결합시킨 휴대 전등(80)과;
    상기 휴대 전등(80)이 상자 형상의 캐비닛(10)에 장착되도록, 상기 휴대 전등(80)의 케이싱에 대응한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탄성 거치대 수단(82, 8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70)는 충전 온/오프 스위치(71)와, 직류 전원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전선(72)의 끝단에 형성된 플러그(73)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 전등(80)은 상기 전원 변환부(70)의 플러그(73)를 삽입시켜 통전되는 소켓부(81)에 상기 충전식 배터리가 접속되어, 상기 전원 변환부(70)의 충전 온/오프 스위치(71)의 스위칭 작동에 따라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누전차단기(30)의 출력단자(35, 36)에는 와이어 타입으로 한 쌍을 이루는 연장선(37, 38)의 일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장선(37, 38)의 타측 끝단이 상기 전력 버스 라인(57, 58)과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전력 버스 라인(57, 58)은 'X'자 배열을 갖는 병렬 인입선(51, 52, 53, 54)을 통해 상기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의 입력단자와 상기 서지 보호기(60)의 입력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누전차단기(40 ∼ 48)와 상기 서지 보호기(60)는 고정 수단을 이용한 장착 방식으로 장착 플레이트(21, 22)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21, 22)의 상변과 하변에는 약간 돌기되어 올라온 고정 부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부위에 상기 고정 수단 결합용 장착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KR1020040045626A 2004-06-18 2004-06-18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KR100610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626A KR100610156B1 (ko) 2004-06-18 2004-06-18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626A KR100610156B1 (ko) 2004-06-18 2004-06-18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316A true KR20050120316A (ko) 2005-12-22
KR100610156B1 KR100610156B1 (ko) 2006-08-10

Family

ID=3729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626A KR100610156B1 (ko) 2004-06-18 2004-06-18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15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712B1 (ko) * 2005-12-31 2006-04-03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KR100594905B1 (ko) * 2004-08-23 2006-06-30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 제조방법
KR100893012B1 (ko) * 2008-10-16 2009-05-12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공동주택의 인입선 배전체
KR100893013B1 (ko) * 2008-10-16 2009-05-12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공동주택의 인입배전선 연결형 분전반
KR101534800B1 (ko) * 2015-01-09 2015-07-08 주식회사 서비전자 기능성 전등 스위치의 정전압 누설전류 유기장치
US10468871B2 (en) 2016-05-20 2019-11-05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Distribution block with integrated surge protective device
KR102279369B1 (ko) * 2020-09-24 2021-07-19 이성만 내진장치가 구비된 분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032Y1 (ko) 2015-01-20 2017-03-28 주식회사 이지트로닉스 분전반
KR102113073B1 (ko) * 2019-02-15 2020-05-20 (주)창조에스티 개량된 전주 장착용 소형 분배중계기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616A (ja) 1997-03-10 199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ージ吸収分電盤
JPH10326702A (ja) 1997-03-26 1998-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ージ吸収器
KR200190028Y1 (ko) 2000-02-15 2000-07-15 배홍기 서지차단장치 내장형 분전반
KR100353268B1 (ko) * 2000-05-29 2002-09-18 배홍기 전자파 대응 단위세대 분전반
US6380862B1 (en) 2000-10-13 2002-04-30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employing a surge protecto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905B1 (ko) * 2004-08-23 2006-06-30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 제조방법
KR100566712B1 (ko) * 2005-12-31 2006-04-03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KR100893012B1 (ko) * 2008-10-16 2009-05-12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공동주택의 인입선 배전체
KR100893013B1 (ko) * 2008-10-16 2009-05-12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공동주택의 인입배전선 연결형 분전반
KR101534800B1 (ko) * 2015-01-09 2015-07-08 주식회사 서비전자 기능성 전등 스위치의 정전압 누설전류 유기장치
WO2016111475A1 (ko) * 2015-01-09 2016-07-14 주식회사 서비전자 기능성 전등 스위치의 정전압 누설전류 유기장치
US10468871B2 (en) 2016-05-20 2019-11-05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Distribution block with integrated surge protective device
KR102279369B1 (ko) * 2020-09-24 2021-07-19 이성만 내진장치가 구비된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156B1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5075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módulos de subestaciones de transformación
KR100610156B1 (ko)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MY150266A (en) A mv or hv power distribution cubicle with integrated digital communication, and a multi-functional module for such a cubicle
CN105375376A (zh) 组合式变电站用电开关柜
CN101982913A (zh) 岸电箱
RU52276U1 (ru) Пункт секционирования для коммутации и защиты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100893184B1 (ko) 잔류 전압과 전력 기기 연동에 의한 수배전반의 전원 차단 장치
CN203135226U (zh) 三级配电箱
CN101281837B (zh) 模数化剩余电流动作保护器
US20080084645A1 (en) Emergency solar power supply
KR101040179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용 배선패널
JP2020028200A (ja) 分電盤及び分電盤の機能拡張方法
KR20100035152A (ko)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장치
CN213717674U (zh) 一种可快速灵活组网的ups箱
CN204947420U (zh) 组合式变电站用电开关柜
CN208580978U (zh) 一种双电源配电箱
KR100207006B1 (ko) 몰드 변압기의 보호장치
KR200486438Y1 (ko) 착탈식 서지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안전 보호장치
KR102526805B1 (ko) 무감전 이동식 다목적 전원공급박스
KR20210043857A (ko) 지하 매립형 이중전원 저압 분전함 및 이의 운영방법
EP1347554B1 (en) An improved electrical switchboard provided with transitory power supply means operating in case of blackout
CN216436455U (zh) 一种具有防雷结构的均压交流配电柜
KR200238278Y1 (ko) 지중선 변압기의 무정전연결판넬
RU198719U1 (ru) Коробка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дл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го кабеля
KR100940230B1 (ko) 접지가 형성된 가스 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