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539Y1 - 110v/220v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110v/220v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539Y1
KR860000539Y1 KR2019840000556U KR840000556U KR860000539Y1 KR 860000539 Y1 KR860000539 Y1 KR 860000539Y1 KR 2019840000556 U KR2019840000556 U KR 2019840000556U KR 840000556 U KR840000556 U KR 840000556U KR 860000539 Y1 KR860000539 Y1 KR 860000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voltage
powe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196U (ko
Inventor
김여근
Original Assignee
유니온전자주식회사
노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전자주식회사, 노상국 filed Critical 유니온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0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539Y1/ko
Publication of KR850006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1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5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10V/220V 절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AC 220V 때의 사용상태도.
제3도는 AC 110V 때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판 2 : 몸체
3 : 단자 4 : 콘센트
5 : AC 220V용 플러그 6 : AC 110V용 플러그
7 : 전원선 8 : 콘넥터
A : AC 110V의 짹 B : AC 220V의 짹
D : AC 110V/220V의 변압기
E : 주전원의 콘센트 F : 가전제품
본 고안은 가전제품이나 기타 전기기기에 AC전원을 연결시키는데 쓰여지는 110V/220V 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쪽에는 AC 110V용 플러그가 설치되고 다른쪽에는 AC 220V용 플러그가 각각 설치된 콘넥타를 사용하여 전압사정이 달라진 경우에도 상기 플러그를 콘센정에 간편하게 바꿔 끼움으로서 전기기기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한 전압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이나 전기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콘넥터의 플러그는 각기 AC 110V과 220V용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인가전압이 AC 110V인 가전제품에서는 AC 110V용 플러그를 설치하는 한편 인가전압이 AC 220V인 가전제품에서는 AC 220V용 플러그를 설치해 놓고 있다. 그런데 근래에 이르러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이 지역에 따라 AC 110V와 AC 220V의 2가지 전압으로 공급되고 있음에 따라, 가전제품이나 기타 전기기기도 그 자체에 변환스위치를 부착시켜 AC 110V/220V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함과 더불어 각해당 지역의 전압상태에 맞추어 변환스위치를 변환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가전제품에 내장시켜 놓은 변환스위치를 조작함에는 전기분야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하므로, 일반 가정에서 이를 정확하게 조작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한편, 변환스위치를 바르게 조작해 놓지않고서 가전 제품전원에다 연결시킬 경우, 예컨데 AC 110V로 조종해 놓은 상태로 전기기기를 AC 220V 전원에 플러그를 연결하게되면(이 경우에는 AC 110V용 플러그를 AC 220V용 콘센트에 끼울 수 있도록 연결단자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음)가전제품이나 기타 전기기기가 과열되어 타서 못쓰게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반면, AC 220V로 조정되어진 상태에서 AC 110V 전원에다 플러그를 연결하게되면 인가전압의 부족에 따라 가전제품의 작동이 안되거나 제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전제품이나 전기기기의 전원단자에다 AC 110V/220V겸용 콘센트를 설치하고, 여기에다 한쪽에는 AC 110V용 플러그가 설치되고 다른 쪽에는 AC 220V용 플러그가 설치된 콘넥터를 끼워 연결시킴으로서, 전압차이가 있는 지역에서도 간단하게 전압을 절환시킬 수 있는(AC 110V 지역 : 가전제품 콘센트는 AC 220V용 플러그와 주전원 콘센트에는 AC 110V용 플러그를 연결, AC 220V지역 : AC 110V지역의 사용과 반대로 연결) 110V/220V 절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AC 110V와 AC 220V의 짹(A)(B)으로 형성되는 전면판(1)과 몸체(2) 및 4개의 단자(3)가 설치된3콘센트(4)에다 AC 220V용 플러그(5)와 AC 110V용 플러그(6) 및 전원선(7)이 일체로 형성되는 콘넥터(8)를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있다.
미설명부호 D는 AC 110V/220V의 변압기, E는 주전원의 콘센트, F는 가전제품, a, b, c는 단자(3)의 부호등을 나타낸다.
제1도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로서, 가전제품이나 기타전기기기에 설치되는 전원 콘센트(4)는 AC 110V와 AC 220V의 짹(A)(B)으로 형성되는 전면판(1)과, 몸체(2), 그리고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변압기(D)의 1차권선에 연결되는 4개의 단자(3)로 형성된다.
상기 콘센트(4)에 있는 전면판(1)의 AC 110V와 AC 220V 짹(A)(B)에 결합시키는 콘넥터(8)는 한쪽의 AC 220V용 플러그(5)와, 다른쪽의 AC 110V용 플러그(6) 및 상기 플러그(5)(6)를 연결하는 전원선(7)으로 형성된다.
한편, 전원콘센트(4)를 가전제품(F)에다 설치하여 변압기(D)의 1차권선에 연결시킴에 있어서는 제4도와 같이 220V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콘센트(4)에 있는 AC 110V의 짹(A)를 거쳐서 4개의 단자(3)중 a단자와 b단자에 변압기(D)의 AC 220V용 1차권선을 연결하면 되고, 이와달리 110V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AC 220V의 짹(B)을 거쳐서 4개의 단자(3)중 c단자와 d단자에 변압기(D)의 AC 110V용 1차권선을 연결하게 된다.
이렇게 콘넥터(8)의 AC 110V용 플러그(6)와 AC 220V용 플러그(5)를 가전제품(F)의 콘센트(4)와 주전원 콘센트(E)에 분리 및 결합하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바, 즉 인가전압이 AC 220V 지역인 경우에는 제2도와 같이 주전원(AC 220V)의 콘센트(E)에서 콘센트(8)의 AC 220V용 플러그(5)를 끼우면, 그 반대짹에 있는 AC 110V용 플러그(6)는 가전제품(F)에 설치된 콘센트(4)의 AC 110V 짹(A)에 자연히 끼워지게되는 것이다.
한편 인가전압이 AC 110V 지역인 경우에는 제3도와 같이 주전원(AC 110V)의 콘센트(E)에다 콘넥터(8)의 AC 110V용 플러그(6)를 끼우면, 그 반대쪽에 있는 AC 220V용 플러그(5)는 가전제품(F)에 설치된 콘센트(E)의 AC 220V 짹(B)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가 인가전압(AC 110V~AC 220V)에 따라 AC 110V용 플러그(6)에다 AC 220V용 플러그(5)를, AC 220V용 플러그(5)에 AC 110V용 플러그(6)를 연결하려면 전원콘센트(4)나 주전원콘센트(E)의 짹구멍이 다르기 때문에 끼워지지않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주전원콘센트(E)에 맞는 플러그를 끼우기만 하면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가 가전제품(F)의 콘센트(4)에 끼워질 수 밖에 없어 사용자의 착오로 말미암은 위험이 제거되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에 대한 상식을 갖추지 못한 일반인으로 하여금 인가전압에 따라 변경되는 AC 110V/220V용 플러그(5)(6)를 간단하게 주전원의 콘센트(E)에 끼우기만하면,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가 자연히 가전제품(F)의 콘센트(4)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종래와 같이 전압조정장치의 별도에 기구조작 해야만하는 번거로움을 없이 할수 있고, 또 한번의 콘센터(8) 조작으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전원선(7) 한쪽에 AC 110V용 플러그(6)가 부착되고 다른쪽에는 AC 220V용 플러그(5)가 부착된 콘센터(8)를 1개의 몸체(2)에 AC 110V와 AC 220V의 짹(A)(B)과 4개의 단자(3)가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4)에 끼워 AC 110V/220V 전압을 상호절환시킬 수 있도록된 110V/220V 절환장치.
KR2019840000556U 1984-01-24 1984-01-24 110v/220v 절환장치 KR860000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556U KR860000539Y1 (ko) 1984-01-24 1984-01-24 110v/220v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556U KR860000539Y1 (ko) 1984-01-24 1984-01-24 110v/220v 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196U KR850006196U (ko) 1985-08-31
KR860000539Y1 true KR860000539Y1 (ko) 1986-04-07

Family

ID=7016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0556U KR860000539Y1 (ko) 1984-01-24 1984-01-24 110v/220v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5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196U (ko) 198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6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ower from a power supply
KR100762045B1 (ko) 모듈 전압어댑터와 그 이용방법
JPH08195252A (ja) 電源タップ
US5116232A (en) Double plug assembly
KR860000539Y1 (ko) 110v/220v 절환장치
KR102621038B1 (ko) 극성 전환기능을 겸비한 다기능 플러그용 어댑터
US5803754A (en) Modified receptacle and plug for low voltage DC distribution
KR860002162Y1 (ko) 110v/220v 절환콘넥터
JP2002504743A (ja) 幹線電圧を低電圧に変換する変換装置
CN209993830U (zh) 电源插座
KR200285381Y1 (ko) 멀티탭이 구비된 어댑터
CA2289821C (en) Split circuit 120/240 volt adapter
KR200183103Y1 (ko)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KR860000950Y1 (ko) 안전플러그
KR20090006491U (ko)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멀티콘센트
KR800001666Y1 (ko) 핀플럭 절환식 전압변환기
CA2087135C (en) Electrical male plug
KR0138021Y1 (ko) 콘센트
CN2190829Y (zh) 插头插座一体式调功线路连接器
JP2680551B2 (ja) 住宅分電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リレー
KR200153241Y1 (ko) 어댑터와 플러그의 접속구조
KR860001927Y1 (ko) 콘센트 겸용 플럭
KR910002750Y1 (ko) 전원공급 스위칭 장치
KR850001269Y1 (ko) 플러그
KR200151942Y1 (ko) 110v/220v겸용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