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950Y1 - 안전플러그 - Google Patents

안전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950Y1
KR860000950Y1 KR2019840005116U KR840005116U KR860000950Y1 KR 860000950 Y1 KR860000950 Y1 KR 860000950Y1 KR 2019840005116 U KR2019840005116 U KR 2019840005116U KR 840005116 U KR840005116 U KR 840005116U KR 860000950 Y1 KR860000950 Y1 KR 860000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knife
terminal
terminals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5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10488U (ko
Inventor
김영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5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950Y1/ko
Publication of KR850010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104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전플러그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몸체 2, 2' : 가이드면
3, 4, 5 : 단자 6 : 차단판
7 : 탄지편 8 : 슬라이드몸체
9, 9' : 원통형접속단자 10, 10' : 나이프형접속단자
11 : 압압돌기 12 : 덮개
16 : 절연부위
본 고안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플러그자체가 110V용과 220V용으로 선택되도록하되 110V/220V겸용 안전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전제품이나 전기기기에 사용되는 플러그에는 대부분 110V용과 220V용으로 구분이 되어 인가전압이 110V인 가전제품에는 110V용 플러그를 설치하고 인가전압이 220V인 가전제품에는 220V용 플러그를 설치하여 사용하였으나, 근래 수용가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이 지역에 따라 110V와 220V로 분리됨에 따라 가전제품도 자체에 변환스위치를 부착하여 110V와 220V를 겸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그 지역의 인가전압에 맞추어 변환스위치를 변환시켜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가전제품속에 설치된 변환스위치의 조작은 전기분야에 어느정도 지식을 갖고 있어야하며, 별도의 기구가 필요해 가장많이 사용하는 일반가정의 주부들이 하기에는 여러가지 단점이 있었다.
특히, 변환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가전제품을 전원에 연결할 경우, 즉 110V로 조종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220V전원에 플러그를 연결할 경우 (이 경우에도 110V용 플러그를 220V용 콘센트에 끼울 수 있도록 연결단자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음) 가전제품이 타서 못쓰게 되거나 화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220V로 조정된 상태에서 110V전원에 플러그를 연결할 경우, 인가전압의 부족에 따라 가전제품이 작동되지 않거나 제성능을 다 발휘할 수 없는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전제품자체의 변환스위치를 조작했다하더라도 110V와 220V용 콘센트의 형태 (110V용은 납작한 반면 220V는 원통형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음)의 차이로 인해 220V용 플러그를 110V용 콘센트에 끼울 경우나 110V용 플러그를 220V용 콘센트에 끼울 경우 연결단자를 사용해야하는 불편이 뒤따랐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고 한번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의 조작 및 연결단자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하기 위해 가전제품의 전압변환장치와 연결된 3개의 단자를 플러그내에 설치하되 슬라이드 몸체 양측에 각각 단자를 설치하고 플러그 몸체에 가이드편 및 탄발편을 설치하여 한번의 스위치작동으로 110V와 220V의 플러그가 자동선택되도록 된 안전플러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플러그 몸체(1) 내측에 가이드면(2)(2')이 형성되고, 가이드면(2)에는 단자(3)와 단자(4)가 가이드면(2')에는 단자(5)가 각각 설치되며, 가이드면(2)(2')양측에는 차단판(6)을 가진 탄지편(7)(7')이 각각 형성되고, 가이드면(2)(2')사이에 슬라이드 몸체(8)를 끼워서 설치하되 슬라이드 몸체(8) 양측에는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접속단자(9)(9')와 나이프형 접속단자(10)(10')가 각각 설치되고 중앙에 압압돌기(11)가 형성되며, 슬라이드 몸체(8)위에 덮개(12)가 나사(13)로 고정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4는 원통형 접속단자 구멍, 15는 나이프형 접속단자 구멍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로서 플러그 몸체(1)내측에는 가이드면(2)(2')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몸체(8)를 슬라이드할 수 있게 하되 가이드면(2)상에는 110V단자(3)와 220V용 단자(4)가 설치되어 슬라이드 몸체(8) 일측에 형성된 원통형접속단자(9)와 나이프형접속단자(10)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게 되며, 가이드면(2')상에는 공통단자(5)가 설치되어 슬라이드 몸체(8) 타측에 형성된 원통형접속단자(9')와 나이프형접속단자(10')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면(2)(2')의 양측에는 차단판(6)이 형성된 탄지편(7)이 형성되는데 탄지편(7)은 내측으로 라운드져 있어 원통형접속단자(9)(9')나 나이프형접속단자(10)(10')가 돌출될 경우 탄지편(7)의 라운드면을 밀면서 돌출되기 때문에 원통형접속구멍(14)이나 나이프형 접속단자구멍(15)으로 용이하게 돌출될수 있다.
이때 원통형접속단자(9)(9')가 돌출될경우 원통형접속단자구멍(14)쪽에 있는 탄지편(7)을 벌어지게되고 나이프형접속단자구멍(15)쪽에 있는 탄지편(7)은 원위치상태로되어 탄지편(7)의 차단판(6)이 나이프형접속단자구멍(15)을 막게 된다.
이는 원통형접속단자(9)(9')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부주위로 나이프형접속단자구멍(15)에 도체를 넣어 나이프형접속단자(10)(10')와 접촉하게 되어 감전되거나 쇼트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탄지편(7)은 슬라이드 몸체(8)를 탄지해 주므로 슬라이드 몸체(8)의 보호지지작용을 해주게 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사시도로서 제2도에서 본 고안은 110V용 플러그를 사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220V용 플러그를 사용해야 할 경우 슬라이드 몸체(8) 중앙에 설치된 압압돌기(11)를 오른쪽으로 압압하면 원통형 접속단자(9)(9')는 원통형접속단자구멍(14)을 통해 돌출되고 원통형접속단자(9)(9')와 일체로 형성된 나이프형접속단자(10)(10')는 플러그 몸체(1)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 때 나이프형 접속단자구멍(15)쪽에 있는 탄자편(7)은 원 위치되어 차단판(6)이 나이프형 접속단자구멍(15)을 차단하게 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단면도로서 플러그 110V용으로 사용하도록 되어있는데, 제3도에서 나이프형 접속단자(10)(10')는 돌출되어 110V용 콘센트에 끼워지며, 원통형 접속단자(9)는 110V용 단자(3)에 연결되고 원통형 접속단자(9')는 공통단자(5)에 접속되어 콘센트의 (110V)전압이 플러그를 통해 전자제품으로 인가되게 된다. 이 때 220V용 단자(4)는 슬라이드 몸체(8)의 절연부위(16)에 의해 절연된다.
본 고안의 플러그를 220V용 콘센트에 사용할 경우에는 압압돌기(11)를 오른쪽으로 압압하여 제3도의 점선 상태에 놓이게 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한개의 스위치 조작으로 110V나 220V전압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국제규격화되어 있는 콘센트의 구멍과 접속단자의 사용을 이용하여 전기에 대한 일반상식이 없는 가정주부나 어린이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형콘센트(220V용)에는 원통형 플러그(220V용)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원통형 접속단자(9)(9')를 인출하고, 나이프형 콘센트(110V용)에는 나이프형 플러그(110V용)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나이프형 접속단자(10)(10')를 인출해야 하는 필연성 때문에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어떠한 접속구도 필요없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플러그 몸체(1) 내측에 가이드면(2)(2')이 형성되고, 가이드면(2)에는 단자(3)와 단자(4)가, 가이드면(2')에는 단자(5)가 각각 설치되며, 가이드면(2)(2') 양측에는 차단판(6)을 가진 탄지편(7)(7')이 각각 형성되고, 가이드면(2)(2')사이에 슬라이드 몸체(8)를 끼워서 설치하되 슬라이드 몸체(8) 양측에는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접속단자(9)(9')와 나이프형 접속단자(10)(10')가 각각 설치되고 중앙에 압압돌기(11)가 형성되며, 슬라이드 몸체(8) 위에 덮개(12)가 나사(13)로 고정 부착된 안전 플러그.
KR2019840005116U 1984-05-31 1984-05-31 안전플러그 KR860000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116U KR860000950Y1 (ko) 1984-05-31 1984-05-31 안전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116U KR860000950Y1 (ko) 1984-05-31 1984-05-31 안전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488U KR850010488U (ko) 1985-12-30
KR860000950Y1 true KR860000950Y1 (ko) 1986-05-21

Family

ID=1923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5116U KR860000950Y1 (ko) 1984-05-31 1984-05-31 안전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9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488U (ko) 198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25486A (en) Three way electric plug
NO173479C (no) Tilslutnings- hhv. forbindelsesklemme for elektriske apparater
US5116232A (en) Double plug assembly
KR860000950Y1 (ko) 안전플러그
US3054080A (en) Appliance plug and receptacle
GB2153163A (en) Fused electrical connector
AUPP068097A0 (en) Electrical power outlet
KR890005553Y1 (ko) 전원 절환용 콘센트
CN220544338U (zh) 插座
TW362229B (en) An electric device for evaporating substances
KR860000539Y1 (ko) 110v/220v 절환장치
KR20000010029A (ko) 전원 스위치가 장착된 파워코드
KR920000800Y1 (ko) 110, 220v자동 전압 결선 플러그
KR860001927Y1 (ko) 콘센트 겸용 플럭
KR850001269Y1 (ko) 플러그
JPH055666Y2 (ko)
KR830002102Y1 (ko) 콘플럭
KR910007978Y1 (ko) 110v/220v 겸용 자동전압 절환플럭
KR200153241Y1 (ko) 어댑터와 플러그의 접속구조
RU1801238C (ru) Розетка-регул тор напр жени
KR890009413Y1 (ko) 삽입식 전압 전환 플러그의 홀더 구조
KR860002162Y1 (ko) 110v/220v 절환콘넥터
KR950001464Y1 (ko) 플러그
KR920005454B1 (ko) 전기콘센트
KR200161774Y1 (ko) 전기플러그의 중간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