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553Y1 - 전원 절환용 콘센트 - Google Patents

전원 절환용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553Y1
KR890005553Y1 KR2019860020304U KR860020304U KR890005553Y1 KR 890005553 Y1 KR890005553 Y1 KR 890005553Y1 KR 2019860020304 U KR2019860020304 U KR 2019860020304U KR 860020304 U KR860020304 U KR 860020304U KR 890005553 Y1 KR890005553 Y1 KR 890005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ing
plug
power suppl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0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728U (ko
Inventor
강동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20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553Y1/ko
Publication of KR8800137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7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5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 절환용 콘센트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전원 절환용 콘센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전원 절환용 콘센트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 전원 절환용 콘센트에 적용되는 플럭의 예시도로써, 제3(a)도는 110V용 플럭의 정면도, 제3(b)도는 220V용 플럭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전원 절환용 콘센트에 적용되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센트 본체 11 : 끼움요구
4 : 교류전원절환용 개폐부재 41 : 가동단자
42 : 탄성부재 43 : 고정단자
5 : 직류 및 교류 전원절환용 개폐부재 51 : 탄성부재
52 : 가동단자 53 : 고정 단자
2 : 플럭 20 : 110V 전원 절환용 플럭
21, 220V 전원 절환용 플럭 21A, 21B : 요구
본 고안은 음향기기나 가전 제품등의 휴대가 가능한 각종 전기, 전자제품의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특 110V 교류전원과 220V 교류전원을 절환하거나 교류전원을 베터리의 직류전원으로 자동적이고도 자유로히 절환하여 공급시키기 위한 전원 절환용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카세트나 텔레비젼 수상기 또는 기타 가전제품등의 교류와 직류 전원을 함께 사용하며 휴대 가능하게한 각종 전기, 전자 제품에 전원을 절환하며, 공급시키는 전원 공급장치로써는 현재가지 여러가지 방법으로 개발 사용되고 있다.
그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110V 교류전원과 220V 교류전원을 절환 공급시키는 것을 보면, 일반적으로 제품내에 별도의 110V/220V절환용 스위치를 부설하여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공급전원에 따라 별도로 조작 사용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교류전원과 직류전원을 절환 공급시키는 것을 보면, 전원 공급을 위해 제품에 설치되는 콘센트의 내부 다시 설명하면 플럭이 삽탈되는 콘센트의 끼움 요구내에 직류 및 교류 전원의 절환을 위한 절환 회로를 동작시키는 개폐부재를 출몰되게 구비하고 이 개폐부재를 프럭의 삽탈에 따라 접동시키어 전원이 자동적으로 절환되게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교류전원의 110V/220V절환 또는 이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절환시키는 장치가 별도로 분리구성되어 조작자되는 제품의 이동시 공급전원에 따라 교류전원의 절환 작업을 별도로 조작시키어 주어야 하는 사용에 번거러움을 주고 또한 조작자의 부주위로 오조작 또는 조작시키지 않은 상태로 전원을 공급하여 제품의 부하측에 과전류가 공급되어 전장부품이 파손되거나 소손되는 등의 사용에 불편함과 안전성이 저조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원 공급을 위해 설치되는 콘센트의 내에 교류전원의 절혼과 직류 및 교류전원의 절환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절환 장치를 갖추어 편리성, 안정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전원 절환용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즉 본 고안은 플럭이 삽탈되는 콘센트의 끼움 요구 내저면에, 저면상으로 출몰되게 설치되는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로 이루어지는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끼움 요구내 후벽에는 후벽면상으로 출몰되는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를 구성되는 직류 및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를 갖추고 이의 각 개폐부재가 110V전원 플럭 또는 220V전원 플럭의 삽탈동작에 따라 접동되어 개로, 폐되게 설치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콘센트의 내에,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와 직류 및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를 출몰되게 설치하고, 이의 각 개폐부재가 플럭의 삽탈 동작에 따라 개로, 페로되게 설치하므로써 전원 절환이 자동적이고 동시적으로 이루어져 절환 작업에 번거러움을 배제하고 제품 사용에 편리성 및 안전성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은 휴대가 가능한 각종 전기,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콘센트를 표시한 것으로 제1도 및 제2도중 1은 콘센트 본체이다.
이 본체(1)은 몸체가 가로 방향으로 넓은 장방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전면 중앙에 전향으로 개구되어 플럭(2)에 소정깊이로 끼움되는 장타원형상의 끼움요구(11)를 내향으로 구비하고 이의 끼움요구(11)내부 양측에 플럭(2)이 끼움되는 접속단자관((3A) , (3B)이 병설되어 있다.
또 상기 끼움요구(11)의 내 저면에는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4)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4)는 끼움요구(11)내와 서로 통하게 상단부를 개구하여 구비시킨 설치요구(1A)내 상단부에, 끼움요구(11) 저면상으로 약간 돌출되고 그 후단을 축핀(41A)으로 자유로히 회동되게 축착시킨 가동단자(4)를 원상복귀력을 갖는 탄성부재(42)로 상향탄지 설치하고 이의 가동단자(41) 선단의 직하부에는 고정단자(43)가 설치되어 평상시 즉 끼움요구(11)내에 플럭(2)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개폐부재(4)가 폐로되어 교류220V전원으로 사용되는 상태이다.
그리고 교류 110V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3(a)도에서와 같은 110V전원용 플럭(20)을 사용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플럭(20)은 그 외주면에 수평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럭(20)를 끼움요구(11)내에 끼워 넣으면 이때 플럭(20)의 외주가 끼움요구(11)내에 긴밀히 끼움되고 이와 동시 끼움요구(11) 저면상으로 돌출되어 있던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4)의 가동단자(41)가 플럭(20)의 외주면에 눌리어 가동단자(41)의 선단이 내려가 고정단자(43)와 접촉되어 제4도의 교류 전환회로부를 동작시키어 교루 110V전원을 공급시키게 된다.
그리고 교류 220V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3(b)도에서와 같은 교류220V 전원용 플럭(21)을 사용한다.
이 교류 220V 전원용 플럭(21)은 그 외주면의 중앙 즉 끼움요구(11)내에 삽입시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4)의 가동단자(41)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그 주면에 내향으롤 소정깊이를 갖는 요구(21A) , (21B)를 구비하여 교류 220V전원용 플럭(21)을 끼움시 제2도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잉 교류전원 절환 회로부를 그대로 사용하여 교류 220V전원을 공급시키게 된다.
한편 끼움요구(11)의 내 후벽에는 직류 및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5)가 끼움요구(11)내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끼움되는 플력(2)에 접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직류 및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5)는, 끼움요구(11) 후벽을 관통하여 끼움요구(11)의 내, 외로 출몰되고 원상복귀력을 갖는 봉형상의 탄성부재(51)로 하여 끼움요구(11)의 내향으로 탄지시킨 가동단자(52)와, 이 가동단자(52)와, 이 가동단자(52)가 끼움요구(11)내로 출몰됨에 따랑 접탈되는 고정단자(53)로 구성되어 끼움요구(11)내에 플럭(2)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는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고정단자(52), (53)가 접촉되어 제4도의 회로도에서와 같이 배터리(BA)의 직류전원이 직률 및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5)를 통하여 부하측으로 공급되고 끼움요구(11)내에 교류 전원 공급을 위해 플럭(2)을 끼움시에는 끼움되는 플럭(2)의 선단면에 가동 단자(52)가 밀리어 외향으로 밀려나감과 동시에 직류 및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5)는 개방되어 배터리(BA)전원은 차폐되고 교류전원 절환용 개폐부재(4)를 통하여 교류 전원이 부하측으로 공급되게 하므로써 플럭(2)을 끼움요구(11)내에 끼움과 빼냄에 따라 교류전원과 직류전원공급이 자동적으로 절환된다.
그러므로 종래 110V 교류전원과 220V 교류전원의 절환 작업을 별도를 조작시키어야 하는 조작에 번거러움과 장치들의 부성을 배제하여 기기 사용에 편리성과 안전성을 얻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각종 전기, 전자 제품의 부하측에 공급되는 전원을 절환하는 전원 절환용 콘센트에 있어서, 콘센트 본체의 끼움요구 저면상으로 출몰되고 탄성부재로 상향 탄지된 가동 단자가 교류 110V 전원용 플럭과 끼움시 가동단자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주벽 상하에 요구를 갖춘 교류 220V전원용 플럭을 선택적으로 끼움에 따라 접동되면서 고정단자와 개방, 접촉되어 교류와 직류전원을 절환하는 직류 및 교류전원 절환용 부재를 갖추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환용 콘센트.
KR2019860020304U 1986-12-17 1986-12-17 전원 절환용 콘센트 KR890005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0304U KR890005553Y1 (ko) 1986-12-17 1986-12-17 전원 절환용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0304U KR890005553Y1 (ko) 1986-12-17 1986-12-17 전원 절환용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728U KR880013728U (ko) 1988-08-30
KR890005553Y1 true KR890005553Y1 (ko) 1989-08-22

Family

ID=1925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0304U KR890005553Y1 (ko) 1986-12-17 1986-12-17 전원 절환용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5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728U (ko) 198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25486A (en) Three way electric plug
US6086395A (en) Power transformer
CA2266561A1 (en) Thermal-fuse plug-through, plug-in diffuser
US3710224A (en) Display stand for rechargeable battery operated appliance
EP0210538A3 (en) Device for the current supply to an electric apparatus for personal use
US3382355A (en) Illuminated electrical connector
DK0861509T3 (da) Adapter til opladelige elektriske apparater
US20080261420A1 (en) Safety electric plug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US4013330A (en) Dual-standard electric plug
US5701244A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U587347B2 (en) Bathroom electrical appliance caddy
KR890005553Y1 (ko) 전원 절환용 콘센트
US3054080A (en) Appliance plug and receptacle
DE69838661D1 (de) Elektrische anschlussbuchse mit berührungsschutz
AUPP068097A0 (en) Electrical power outlet
KR910007978Y1 (ko) 110v/220v 겸용 자동전압 절환플럭
ES8603122A1 (es) Una disposicion de carga mejorada para recargar de manera regeneradora baterias de pilas secas
ES2107582T3 (es) Conexion electrica de enchufe.
KR860000950Y1 (ko) 안전플러그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20000010029A (ko) 전원 스위치가 장착된 파워코드
KR100477529B1 (ko) 110/220v 겸용 콘센트 장치
DE29801735U1 (de) Einsatz zur Verwendung in einer Steckdose
KR950004629B1 (ko) 110/220볼트 겸용 플럭
KR870003601Y1 (ko) 어댑터를 이용한 정류기의 110v/220v 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