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211Y1 - 플러그 소켓 - Google Patents

플러그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211Y1
KR200346211Y1 KR20-2003-0039548U KR20030039548U KR200346211Y1 KR 200346211 Y1 KR200346211 Y1 KR 200346211Y1 KR 20030039548 U KR20030039548 U KR 20030039548U KR 200346211 Y1 KR200346211 Y1 KR 200346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ocking
socket
termin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동
Original Assignee
김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동 filed Critical 김희동
Priority to KR20-2003-0039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2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삽입된 플러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플러그 소켓이 개시된다. 플러그 소켓은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수용홈이 형성된 소켓 하우징, 소켓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플러그 단자와 기능적으로 접속되는 소켓 단자부, 플러그 수용홈에서 플러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부재 및 소켓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탄성 지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한다. 걸림부재는 소켓 하우징의 걸림홈에 일시적으로 고정되어 플러그 단자 및 상기 소켓 단자부 간의 접속을 유지하고, 플러그가 추가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재가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되고 탄성 지지부재에 의해 플러그를 자동으로 밀어낸다.

Description

플러그 소켓{PLUG SOCKET FOR EASILY SEPARATING A PLUG}
본 고안은 전기적 접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원 플러그 또는 기타 접속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플러그 소켓에 관한 것이다.
전원선, 이어폰선, 영상 케이블 등의 단부에는 플러그가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들은 플러그를 통해 다른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가전제품의 전원선의 단부에는 110V용 또는 220V용 전원 플러그가 장착되며, 상기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 멀티 탭 등에 삽입함으로써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또는 비디오 영상 케이블의 단부에는 금속의 플러그 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플러그 단자가 어어폰 잭, 출력단자 등에 삽입되어 장치 간에 전기적 신호를 상호 전달할 수 있다.
전원 플러그는 일반적으로 교류의 전원을 공급하며, 110V용 또는 220V용 전용의 형상을 갖고 있다. 110V 전용 단자는 I-자형으로 형성되며, I-자형의 단자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전원을 전달한다. 반면에 220V 전용 단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원통형의 단자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전원을 전달한다. 각각의 플러그의 단자 형상에 대응하여 콘센트 장치에는 단자 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단자 홀을 통해 플러그 단자는 소켓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러그 단자와 소켓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플러그 단자를 단자 홀에 맞게 삽입한 후, 플러그를 콘센트에 더 깊이 삽입하여 전기를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플러그 단자 및 소켓 단자를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 삽입 고정된 플러그를 단자 홀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플러그를 콘센트 장치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힘을 주어 빼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플러그를 단순히 손으로 잡고 빼는 것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갖는다. 일 예로 손으로 잡고 삽입 및 분리하는 것이 불편하고 위험할 때가 있다. 손에 물기가 있는 경우, 감전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손으로 직접 플러그를 잡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하지만,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손 이외의 다른 신체를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다른 예로, 플러그가 콘센트 장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웬만한 힘으로 잘 빠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과도한 힘을 주어야 하며, 큰 텐션을 유지하다가 플러그가 갑자기 빠져서 손이나 팔을 다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플러그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종래 콘센트의 단면도이며,도 2는 플러그를 장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종래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콘센트 장치(1)는 콘센트 하우징(10) 및 콘센트 단자(30)를 포함한다. 콘센트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12) 및 하부 하우징(14)로 구성되며, 상부 하우징(10)에는 플러그(P)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20)이 형성된다. 수용홈(120)은 하나 또는 2 이상으로 형성되며, 수용홈(120)의 저면에는 플러그(P)의 금속 단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단자 홀(22)이 형성된다. 단자 홀(22)의 형상은 삽입되는 금속 단자의 형상에 따라 I-자형의 슬릿형 또는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콘센트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단자 홀(22)의 하부에 인접하게 콘센트 단자(30)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콘센트 단자(30)에는 전원라인(34)을 통해 외부의 교류 전원이 인가되며, 콘센트 단자(30)는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외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10)에 플러그(P)가 삽입되어 전지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플러그 단자가 콘센트 단자(30) 사이로 삽입되어 양측의 플러그 단자에 밀착한다. 금속의 탄성에 의해서 플러그 단자가 콘센트(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플러그(P)가 콘센트(1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노약자의 힘으로는 잘 빠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0262203호인 "플러그 인출장치가 있는 콘센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콘센트"는 콘센트에 꽂힌 플러그를 자동으로 빼기 위한 것으로서, 콘센트 내부에 스위치를 누르면 지레를 이용하여 밀대가 올라오는 장치이다. 하지만, 지레를 이용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힘을가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되어야 하며, 2개 이상의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스위치를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지레와 연결된 밀대를 사용하지만,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 간의 상호 간섭에 의해 오작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특허공보 제1996-0001573호에는 "플러그 및 콘센트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조체"는 단자의 면 접촉을 통해 확실한 통전을 가능케 하고, 부주의한 이탈을 방지하며, 플러그와 콘센트를 원터치로 이탈시킬 수가 있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감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조체는 서로 대향하는 절곡된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콘센트 케이스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해 상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지지구, 지지구의 양측에 위치하며 외측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2개의 콘센트 단자 및 스프링의 탄성에 대향하여 콘센트 단자를 밀기 위한 2개의 누름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플러그 단자는 콘센트 단자와 효과적으로 밀착하기 위해서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플러그를 이용해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양 손 또는 양 손가락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플러그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는 플러그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누름부 및 스위치 없이도 간단하게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고, 최대한 밀집 구조를 형성하기에 유리한 플러그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플러그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종래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플러그를 장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종래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에서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벽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플러그 소켓 110,210:소켓 하우징
112,212:상부 하우징 114,214:하부 하우징
120,220:플러그 수용홈 122,222:제1 홀
130,230:소켓 단자 140,240:탄성 지지부재
142,242:플러그 지지판 144,244:제2 홀
146,246:스프링 150,250:걸림부재
152,252:걸림구 154,254:걸림돌기
256:슬라이딩 홈 160,260:가이드 벽
162,262:걸림홈 164,264:제1 가이드 홈
166,266:제2 가이드 홈 270:단자 삽입편
272:경사편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스 소켓은 소켓 하우징, 소켓 단자부, 탄성 지지부재,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소켓 하우징은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 수용홈을 포함하며, 플러그 수용홈의 바닥에는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제1 홀이 형성된다. 플러그 수용홈의 하부에는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소켓 단자부가 배치된다. 소켓 단자부는 각각의 플러그 단자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며, 금속편들이 플러그 단자와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한다.
플러그 수용홈에는 플러그 지지판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지지부재가 배치된다. 소켓 하우징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걸림부재가 탄성 지지부재와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결속된다. 플러그가 소켓 하우징으로 삽입되면서, 걸림부재가 걸림홈에 걸릴 때까지 탄성 지지부재 및 걸림부재가 연동하여 함께 아래로 이동한다. 걸림부재가 걸림홈에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지지부재의 탄성력이 작용하여도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플러그 단자와 소켓 단자 간의 전기적 접속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사용자가 플러그를 더 누르면 탄성 지지부재 및 걸림부재도 눌려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걸림부재 및 걸림홈 간의 결속은 해제된다. 이때 탄성 지지부재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탄성 지지부재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그 결과 플러그 단자 및 소켓 단자부 간의 전기적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플러그를플러그 소켓으로부터 분리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가 있다.
별다른 스위치나 누름부 없이 플러그 자체를 눌러 플러그를 자동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오작동의 염려가 적다. 또한, 탄성 지지부재는 플러그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걸림부재 역시 소켓 하우징에 내장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고, 스위치 등의 자리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플러그 소켓을 컴팩트하게 형성하거나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러그 소켓 및 플러그는 각각 암수로 기능하여 양 케이블 또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기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교류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콘센트 및 전원 플러그는 물론, 음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이어폰 잭 및 이어폰 플러그,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비디오 케이블의 잭과 플러그, 광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옵티컬 단자 잭 및 플러그 등에 적용될 수가 있다. 또한, 플러그 소켓은 멀티 탭과 같이 독립적인 장치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어폰 잭과 같이 다른 장치에 설치되어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용도로도 제작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100)은 소켓 하우징(110), 소켓 단자(130), 탄성 지지부재(140) 및 걸림부재(150)를 포함한다.
소켓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12) 및 하부 하우징(114)으로 구성된다. 상부 하우징(112)에는 원형의 플러그 수용홈(120)이 형성되며, 플러그 수용홈(120)의 바닥에는 플러그(P)의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제1 홀(124)이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112)의 하부에는 하부 하우징(114)이 배치되며, 하부 하우징(114) 상에는 소켓 단자(130)가 장착되고, 소켓 단자(130)의 주변으로 원통형의 가이드 벽(160)이 하부 하우징(11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벽(160)의 양단에는 도체편 또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벽(160)의 내면에는 제1 가이드 홈(164) 및 제2 가이드 홈(166)으로 구성된 홈이 약 9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가이드 홈(164)은 가이드 벽(160)의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며, 제2 가이드 홈(166)은 거의 제1 가이드 홈(164)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양단이 제1 가이드 홈(164)의 양단과 이어지기 위해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 가이드 홈(164) 및 제2 가이드 홈(166)에 의해서 가이드 벽(160) 내면에 D-자형의 홈이 형성되면, 상기 D-자형의 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가이드 홈(164)의 일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걸림홈(162)을 제공한다.
소켓 단자(130)는 외부의 전원 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하나의 플러그(P)에 대응하는 2개의 소켓 단자(130)가 가이드 벽(160)에 각각 장착되고, 소켓 단자(130)는 만곡된 금속편에 의해서 구성된다. 금속편의 상단에는 상방을 향해 벌어진 단자 안내편(132)이 형성되고, 단자 안내편(132)은 플러그 단자가 원형 또는 I-자형이건 무관하게 플러그 단자의 단부를 안내하여 소켓 단자(130) 안으로 용이하게 진입하게 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소켓 단자(130)는 분리되어 장착되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금속편 또는 전선(134)도 각각 분리된다.
탄성 지지부재(140)는 플러그 지지판(142) 및 스프링(146)을 포함한다. 플러그 지지판(142)은 플러그 수용홈(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러그 수용홈(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플러그 지지판(142)에는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제2 홀(144)이 형성되어 플러그 단자는 제2 홀(144)을 통해 소켓 단자(130)로 진입할 수 있으며, 플러그 지지판(142)및 플러그 수용홈(120) 사이에는 스프링(146)이 개재되어 플러그 지지판(142)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플러그(P)가 플러그 수용홈(120)에 삽입될 때, 플러그 지지판(142)은 플러그(P)의 저면을 지지하여 플러그 지지판(142)을 분리하고자 하는 힘을 제공한다. 따라서 걸림부재(150)가 걸림홈(162)에 결속되어 정지된 경우를 제외하면, 탄성 지지부재(140)는 플러그(P)를 소켓 단자(1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충분한 힘을 제공한다.
탄성 지지부재(14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걸림부재(150)가 탄성 지지부재(140)와 연동하도록 형성되며, 걸림부재(150)는 걸림홈(162)에 일부가 일시적으로 결속됨으로써 탄성 지지부재(140)가 플러그(P)를 밀어내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부재(150)는 플러그 지지판(142)과 일체로 형성된 4개의걸림구(152)를 포함하며, 각 걸림구(152)의 단부에는 걸림돌기(154)가 외측을 향해 형성된다. 걸림구(152)는 플러그 지지판(142)의 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어 하방을 향하며, 걸림구(152)는 플러그 수용홈(120)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소켓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걸림구(152)는 가이드 벽(160)의 내면에 근접하면서, 걸림돌기(154)가 제1 가이드 홈(164) 또는 제2 가이드 홈(166)을 따라 이동한다. 걸림돌기(154)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아래를 향하는 경사면을 갖는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에서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벽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도 5를 기준으로 하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플러그 소켓(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 스프링(146)의 탄성에 의해서 탄성 지지부재(140) 및 걸림부재(150)는 최고 위치에 위치하며, 이때 걸림돌기(154)도 제1 가이드 홈(164)의 최고 위치에 머물러 있다(①).
사용자가 플러그(P)를 제2 홀(144)에 맞게 조정한 후, 플러그(P)를 삽입함으로써 플러그 지지판(142) 및 걸림구(152)가 아래로 이동하고, 스프링(146)은 더욱 압축된다. 걸림돌기(154)도 걸림구(152)와 함께 제1 가이드 홈(164)을 따라 아래로 이동한다(②).
플러그(P)를 계속 삽입함으로써 걸림돌기(154)가 제1 가이드 홈(164)에 형성된 걸림홈(162)에 걸리게 된다(③). 걸림돌기(154)가 걸림홈(162)에 걸림으로써, 걸림부재(150) 및 탄성 지지부재(140)는 정지할 수 있으며, 탄성 지지부재(140)의탄성력이 더 이상 플러그(P)에 전달되지 않는다. 물론, 이 경우에 플러그 단자 및 소켓 단자(130)는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 상태이다.
플러그(P)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플러그(P)의 상면을 누르면서 아래로 약간 이동시킨다. 이때 걸림돌기(154)는 걸림홈(162)으로부터 이탈하여 제1 가이드 홈(164)의 최저점에 도달하게 된다(④). 걸림돌기(154)가 최저점에 도달한 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된 스프링(146)이 플러그 지지판(142)을 밀어 올리고, 플러그(P)는 소켓 단자(130)로부터 분리된다. 걸림구(152)도 플러그 지지판(142)과 함께 이동하며, 걸림돌기(154)는 제2 가이드 홈(166)을 따라 위로 이동하며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홈(164)의 하단부가 제2 가이드 홈(166)을 향해 약간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가이드 홈(164)의 최저점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154)를 제2 가이드 홈(166)에 가깝게 접근시킴으로써, 걸림돌기(154)가 다시 제1 가이드 홈(164)을 타고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200)은 단자 삽입편(270)을 포함하며, 단자 삽입편을 장착하기 위하여 홈(256)을 포함하는 걸림구(250)을 갖는다. 그 이외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소켓(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관련된 내용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200)은 소켓 하우징(210), 소켓 단자(230), 탄성 지지부재(240), 걸림부재(250) 및 단자 삽입편(270)을 포함한다.
소켓 하우징(210)은 상부 하우징(212) 및 하부 하우징(214)으로 구성된다. 상부 하우징(212)에는 원형의 플러그 수용홈(220)이 형성되고, 플러그 수용홈(220)의 바닥에는 제1 홀(224)이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214) 상에는 소켓 단자(230)가 장착되고, 소켓 단자(230)의 주변으로 원통형의 가이드 벽(2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벽(260)의 내면에는 제1 가이드 홈(264) 및 제2 가이드 홈(266)으로 구성된 홈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 홈(264)은 가이드 벽(260)의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가이드 홈(266)은 제1 가이드 홈(264)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양단이 제1 가이드 홈(264)의 양단과 이어지도록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가이드 홈(264)의 일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걸림홈(262)을 제공한다. 소켓 단자(230)는 외부의 전원 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켓 단자(230)를 구성하는 금속편의 상단에는 상방을 향해 벌어진 단자 안내편(232)이 형성된다.
탄성 지지부재(240)는 플러그 지지판(242) 및 스프링(246)을 포함한다. 플러그 지지판(242)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러그 수용홈(2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플러그 지지판(242)에는 제2 홀(244)이 형성되어 플러그 단자는 제2 홀(244)을 통해 소켓 단자(230)로 진입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재(24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걸림부재(250)가 탄성 지지부재(240)와 연동하도록 형성되며, 걸림부재(250)는 걸림홈(262)에 일부가 일시적으로 결속됨으로써 탄성 지지부재(240)가 플러그(P)를 밀어내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부재(250)는 플러그 지지판(242)과 일체로 형성된 4개의 걸림구(252)를 포함하며, 각 걸림구(252)의 단부에는 걸림돌기(254)가 외측을 향해 형성된다. 걸림구(252)는 플러그 지지판(242)의 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어 하방을 향하며, 걸림구(252)는 플러그 수용홈(220)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소켓 하우징(2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제1 실시예의 플러그 소켓(100)에서는 걸림돌기(152)가 걸림홈(162)으로부터 해제되면서 스프링(146)의 복원력이 작용하고, 그 결과 플러그 단자 및 소켓 단자(130) 간의 결속이 해제된다. 하지만, 상기 결속을 해제하기 위해서 스프링(146)의 복원력이 충분히 커야 하며, 복원력이 클수록 최초 스프링(146)을 압축하기 위해서 큰 힘을 가해야 하며, 탄성계수가 큰 스프링(146)은 외부의 재질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200)은 소켓 단자(230) 및 상부 하우징(212) 사이에 배치되는 단자 삽입편(270)을 포함한다. 단자 삽입편(270)은 수평하게 배치되며,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제3 홀(274)을 포함한다. 제3 홀(274)의 저면부에 경사편(274)이 형성되고, 경사편(274)이 형성된 단자삽입편(270)은 걸림구(252)의 슬라이딩 홈(256)에 의해서 제한되는 상하 범위 내로 이동하면서 플러그 지지판(242)과 함께 이동한다. 즉, 경사편(272)은 플러그(P)가 추가로 눌러질 때, 소켓 단자(230)의 상부 입구에 삽입되어 소켓 단자(230)를 벌리게 되고, 소켓 단자(230)이 벌어짐으로써 삽입된 플러그 단자가 용이하게 소켓 단자(230)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가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구(252)의 내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256)이 형성된다. 걸림구(252)의 위치에 대응하여 단자 삽입판(270)에도 홈이 형성되며, 단자 삽입판(270)의 홈 및 슬라이딩 홈(256)이 상호 결속되어, 단자 삽입판(270)은 슬라이딩 홈(256)에 의해서 제한되는 상하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가 있다. 즉, 단자 삽입판(270)은 슬라이딩 홈(256)의 양단에 의해 지지되어 걸림구(252)와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 스프링(246)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탄성 지지부재(240) 및 걸림부재(250)는 최고 위치에 위치하며, 이때 걸림돌기(254)도 제1 가이드 홈(264)의 최고 위치에 머물러 있다.
사용자는 플러그(P)를 제2 홀(244)에 맞게 조정한 후, 플러그(P)를 삽입함으로써 플러그 지지판(242) 및 걸림구(252)가 아래로 이동하고, 스프링(246)은 더욱 압축된다. 걸림돌기(254)도 걸림구(252)와 함께 제1 가이드 홈(264)을 따라 아래로 이동한다. 또한, 단자 삽입판(270)은 소켓 단자(230)의 상부에 놓여진 상태로 유지되며, 걸림구(252)만 아래로 이동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러그(P)를 계속 삽입함으로써 걸림돌기(254)가 제1 가이드 홈(264)에 형성된 걸림홈(262)에 걸리게 된다. 이때 단자 삽입판(270)의 상면이 슬라이딩 홈(256) 상단에 의해서 지지되기 시작함으로써 단자 삽입판(270)도 걸림구(252) 및 걸림돌기(254)와 함께 아래로 이동할 수가 있다.
걸림돌기(254)가 걸림홈(262)에 걸림으로써, 걸림부재(250) 및 탄성 지지부재(240)는 정지할 수 있으며, 탄성 지지부재(240)의 탄성력이 더 이상 플러그(P)에 전달되지 않는다. 물론, 이 경우에 플러그 단자 및 소켓 단자(230)는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 상태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러그(P)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플러그(P)의 상면을 누르면서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때 걸림돌기(254)는 걸림홈(262)으로부터 이탈하여 제1 가이드 홈(264)의 최저점에 도달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단자 삽입판(270)도 걸림구(252)와 함께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단자 삽입판(270)의 경사편(272)이 소켓 단자(230)의 상부 입구로 밀려 들어감으로써, 소켓 단자(230)의 금속편 간 거리를 넓히게 되고, 그로 인해 플러그 단자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적은 힘으로도 플러그 단자를 소켓 단자(2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탄성 지지부재(240)에서도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스프링을 사용할 수가 있다.
걸림돌기(254)가 최저점에 도달한 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된 스프링(246)이 플러그 지지판(242)을 밀어 올리고, 플러그(P)는 소켓 단자(230)로부터 분리된다. 걸림구(252)도 플러그 지지판(242)과 함께 이동하며, 걸림돌기(254)는 제2 가이드 홈(266)을 따라 위로 이동하며 위를 향해 이동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지지판(242)이 플러그(P)를 밀어 올림으로써, 플러그 단자가 소켓 단자(230)로부터 이탈되고, 걸림구(252)도 같이 상승한다. 단, 슬라이딩 홈(256)의 하단이 단자 삽입판(270)에 닿을 때까지 단자 삽입판(270)은 정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그 짧은 시간 동안 단자 삽입판(270)은 소켓 단자(230)를 벌리고 있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짧은 간격이긴 하지만, 플러그 단자가 소켓 단자(230)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P)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단자 삽입판(270)의 저면이 슬라이딩 홈(256)에 하단에 닿은 후부터, 단자 삽입판(270)은 걸림구(252)와 함께 이동하며, 탄성 지지부재(240) 및 걸림부재(250)는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은 종래의 플러그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플러그를 쉽게 분리할 수가 있다.
또한, 별도의 누름부 및 스위치 없이도 간단하게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깔끔한 외관을 갖게 되며, 외부로 불필요하게 드러나는 구성이 없어 최대한의 밀집 구조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플러그를 단순히 누르는 동작으로 플러그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손에 물기 등이 있어 사용하기가 곤란한 경우에 다른 신체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플러그를 분리할 수가 있다. 따라서 플러그 소켓은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오작동의 염려가 적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플러그와 기능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 소켓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플러그 단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1 홀이 형성된 소켓 하우징;
    상기 소켓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와 기능적으로 접속되는 소켓 단자부;
    상기 플러그 수용홈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 수용홈으로 수용되는 상기 플러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부재;
    상기 탄성 지지부와 연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켓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상기 탄성 지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기 걸림홈에 일시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 및 상기 소켓 단자부 간의 접속을 유지하고,
    상기 플러그가 추가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탄성 지지부재가 상기 플러그를 밀어내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재는 상기 플러그 단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2 홀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수용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플러그 지지판 및 상기 플러그 지지판 및 상기 플러그 수용홈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플러그 지지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플러그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구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 지지판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플러그 지지판의 추가적 이동과 함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에는 상기 걸림홈을 통과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양단과 이어져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의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에 고정되고, 상기 플러그가 추가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걸림돌기는 제2 가이드 홈을 따라 최초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소켓.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단자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구 사이에 배치되는 단자삽입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 삽입판은 상기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홀의 저면부에 인접하게 경사편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편이 상기 플러그 지지판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소켓 단자부 입구를 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소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의 내측에 슬라이딩 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 삽입판은 상기 슬라이딩 홈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의 상하 길이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딩 홈의 양단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걸림구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소켓.
KR20-2003-0039548U 2003-12-19 2003-12-19 플러그 소켓 KR200346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548U KR200346211Y1 (ko) 2003-12-19 2003-12-19 플러그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548U KR200346211Y1 (ko) 2003-12-19 2003-12-19 플러그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211Y1 true KR200346211Y1 (ko) 2004-03-30

Family

ID=4942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548U KR200346211Y1 (ko) 2003-12-19 2003-12-19 플러그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2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088B1 (ko) 2012-08-21 2014-01-03 최인혜 전기 콘센트
KR101861984B1 (ko) 2016-08-31 2018-05-28 유선진 플러그를 눌러서 뽑는 콘센트
KR102111689B1 (ko) * 2020-02-13 2020-05-15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안전성을 향상시킨 콘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088B1 (ko) 2012-08-21 2014-01-03 최인혜 전기 콘센트
KR101861984B1 (ko) 2016-08-31 2018-05-28 유선진 플러그를 눌러서 뽑는 콘센트
KR102111689B1 (ko) * 2020-02-13 2020-05-15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안전성을 향상시킨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5588B1 (en) Safe electrical outlet
KR100940510B1 (ko) 분리형 플러그를 가지는 헤어드라이기의 아크방지장치
KR20140002391U (ko)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KR200425684Y1 (ko) 안전 콘센트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SK121993A3 (en) Electric socket with improved disconnection characteristics
KR20000002218U (ko) 플러그인출기능을가지는매립형콘센트
KR102530388B1 (ko)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CN211829394U (zh) 防松脱件、防松脱线缆组件及电子设备
KR200172065Y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20050106723A (ko) 콘센트
KR101773798B1 (ko)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KR200409086Y1 (ko) 전원 공급장치
KR200340351Y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KR200258988Y1 (ko)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
CN213071574U (zh) 适配器
KR20050106726A (ko) 콘센트
KR100993480B1 (ko) 전원 접속 기구
KR200192636Y1 (ko) 콘센트
KR20100003516U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200165498Y1 (ko) 플러그 분리구조
KR200316940Y1 (ko) 콘센트
KR100966788B1 (ko)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리어 홀더
KR950001913B1 (ko) 플러그 및 콘센트 구조체
KR960002441Y1 (ko) 안전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