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636Y1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636Y1
KR200192636Y1 KR2020000007972U KR20000007972U KR200192636Y1 KR 200192636 Y1 KR200192636 Y1 KR 200192636Y1 KR 2020000007972 U KR2020000007972 U KR 2020000007972U KR 20000007972 U KR20000007972 U KR 20000007972U KR 200192636 Y1 KR200192636 Y1 KR 200192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ush button
mounting groove
socke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균석
Original Assignee
서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균석 filed Critical 서균석
Priority to KR2020000007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6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6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3Separation or disconnection ai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전원스위치(12)가 설치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배치되고 내부에 단자홈(22)과 장착홈(24)이 구비된 소켓부(20) 및,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장착된 누름버튼(26)과 이 누름버튼(26)의 선단에 맞닿아 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장착홈(24)에서 돌출되는 작동로드(28) 및 이 작동로드(28)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0)으로 구성된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누름버튼(26)을 누르면 작동로드(28)가 밀려서 소켓부(20)의 장착홈(24)에서 돌출되어 플러그(40)를 밀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소켓부에서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센트 { A plug receptacle }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센트의 몸체에 설치된 누름버튼을 누름에 따라 소켓부의 내부에서 작동로드가 돌출하여 플러그의 바닥면을 밀어서 플러그를 편리하게 뽑을 수 있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센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상부에 다수개의 소켓부(102)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 소켓부(102)에 1쌍의 단자홈(10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00)의 상부일측에는 상기 소켓부(102)에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10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전제품에 연결된 플러그(110)에는 단자(112)가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102)의 단자홈(102a)에 끼워져 가전제품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콘센트는 소켓부(102)의 단자홈(102a)으로부터 플러그(110)의 단자(112)를 뽑을 때 불편한 점이 있었다. 즉 소켓부(102)의 단자홈(102a)에 플러그(110)의 단자(112)가 압착되게 끼워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한손으로 몸체(100)를 잡고 다른 손으로 플러그(110)를 당겨서 뽑아야 하므로 사용하는데 불편하였다. 한편, 사용자는 플러그(110)를 잡는 것을 꺼려하여 전선케이블을 잡고 플러그
(110)을 뽑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전원선이 단선되거나 가전제품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기존의 콘센트가 지닌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소켓부에서 플러그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뽑을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에 전원스위치가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배치되고 내부에 단자홈과 장착홈이 구비된 소켓부 및, 상기 몸체의 측면에 장착된 누름버튼과 이 누름버튼의 선단에 맞닿아 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장착홈에서 돌출되는 작동로드 및 이 작동로드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작동로드는 후단 각각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버튼을 누르면 상기 경사부가 상호접촉하여 작동로드가 밀려서 올라가는 구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에 의하면, 누름버튼을 누르면 작동로드가 밀려서 소켓부의 장착홈에서 돌출되어 플러그를 밀게 되어 사용자가 쉽게 소켓부에서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콘센트와 플러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밀려서 올라가는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2 : 전원스위치
14 : 케이블 20 : 소켓부
22 : 단자홈 24 : 장착홈
24a : 단턱 26 : 누름버튼
26a : 경사부 26b : 걸림턱
28 : 작동로드 28a : 경사부
28b : 헤드부 28c : 걸림턱
30 : 스프링 40 : 플러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소켓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소켓부(20)에는 단자홈(22)과 장착홈(24)이 구비되어 있는 한편, 상기 몸체(10)와 소켓부(20)에는 플러그를 밀어내는 작동수단이 내장설치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40)에는 단자(42)가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20)의 단자홈(22)에 끼워져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몸체(10)는 상부일측에 상기 소켓부(2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스위치(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켓부(20)가 형성된 어느 한쪽 측벽에 누름버튼(26)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20)에는 1쌍의 단자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단자홈(22) 사이에 장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소켓부(20)의 장착홈(24)에는 단턱(24a)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작동수단을 설명하면, 작동수단은 크게 누름버튼(26)과 작동로드(28) 및 스프링(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버튼(26)은 하부에 경사부(26a)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걸림턱(26b)이 형성되어 몸체(10)의 내부에서 출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드(28)는 하부에 상기 누름버튼(26)의 경사면(26a)에 맞닿는 경사부(28a)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플러그(40)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헤드부(28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30)을 걸어서 지지하는 걸림턱(28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30)은 작동로드(28)의 헤드부(28b)와 걸림턱(28c) 사이에 장착되어 작동로드(28)에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버튼(26)을 누르면 경사부(26a)가 맞닿은 경사부(28a)를 밀게 되어 작동로드(28)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헤드부(28b)가 도 4에서와 같이 장착홈(24)에서 돌출되면서 플러그(40)의 바닥면을 밀게 된다. 한편, 누름버튼(26)을 놓게 되면,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로드(28)가 장착홈(24)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경사부(28a)에 맞닿은 경사부(26)가 밀려서 누름버튼(26)이 원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 구성에 의하면, 누름버튼(26)을 누르면 작동로드(28)가 밀려서 소켓부(20)의 장착홈(24)에서 돌출되어 플러그(40)를 밀게 되어 플러그(40)가 쉽게 소켓부(20)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에 의하면,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소켓부에서 플러그를 편리하게 뽑을 수 있으며, 콘센트의 소켓부에서 플러그가 정상적으로 뽑혀지므로 콘센트를 분리할 때 전원선의 단선으로 일어나는 가전제품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상부에 전원스위치(12)가 설치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배치되고 내부에 단자홈(22)과 장착홈(24)이 구비된 소켓부(20); 및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장착된 누름버튼(26)과, 이 누름버튼(26)의 선단에 맞닿아 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장착홈(24)에서 돌출되는 작동로드(28) 및 이 작동로드(28)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0)으로 구성된 작동수단; 을 포함한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26)과 상기 작동로드(28)는 후단에 경사부(26a,28a)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누름버튼(26)을 누르면 상기 경사부(26a,28a)들이 상호접촉하여 작동로드(28)가 밀려서 올라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20)의 장착홈(24)에는 단턱(24a)이 형성되어 작동로드(28)의 선단면이 완전히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KR2020000007972U 2000-03-21 2000-03-21 콘센트 KR200192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972U KR200192636Y1 (ko) 2000-03-21 2000-03-21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972U KR200192636Y1 (ko) 2000-03-21 2000-03-21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636Y1 true KR200192636Y1 (ko) 2000-08-16

Family

ID=1964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972U KR200192636Y1 (ko) 2000-03-21 2000-03-21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6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443B1 (ko) * 2021-03-11 2021-07-12 상지이앤씨(주) 통신장비 보호기능을 갖는 멀티탭
CN117394105A (zh) * 2023-11-15 2024-01-12 宁波意缆可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收线结构的插线板
CN117394105B (zh) * 2023-11-15 2024-05-31 宁波意缆可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收线结构的插线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443B1 (ko) * 2021-03-11 2021-07-12 상지이앤씨(주) 통신장비 보호기능을 갖는 멀티탭
CN117394105A (zh) * 2023-11-15 2024-01-12 宁波意缆可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收线结构的插线板
CN117394105B (zh) * 2023-11-15 2024-05-31 宁波意缆可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收线结构的插线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1921A (en) Easily operable universal adapter
US6935874B1 (en) Cooking assembly with a safety device
US20060030188A1 (en) Safety plug allowing unplugging with one hand
JP2001307789A (ja) 電気コネクタ
KR101179290B1 (ko) 탈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US6310306B1 (en) Safety wall socket assembly
KR200192636Y1 (ko) 콘센트
JPH10284185A (ja) カーバッテリープラグ
KR20050021644A (ko) 벽면 삽입형 콘센트
JPH11233203A (ja) コンセント装置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200175161Y1 (ko) 전원 플러그 이탈수단을 가지는 콘센트
KR200239704Y1 (ko)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200278225Y1 (ko) 플러그탈착기능에 전원개폐기능이 부가된 콘센트
KR200425692Y1 (ko) 슬라이드형 전원어댑터 플러그
KR200409086Y1 (ko) 전원 공급장치
KR200172065Y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200343258Y1 (ko) 벽면 삽입형 콘센트
KR200214743Y1 (ko) 플러그 탈거 장치를 가진 콘센트
KR200165498Y1 (ko) 플러그 분리구조
KR200285200Y1 (ko) 단자 가동식 플러그
KR20000010029A (ko) 전원 스위치가 장착된 파워코드
KR20080000774U (ko) 멀티탭
KR200354269Y1 (ko)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200214738Y1 (ko) 멀티 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