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086Y1 -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086Y1
KR200409086Y1 KR2020050033517U KR20050033517U KR200409086Y1 KR 200409086 Y1 KR200409086 Y1 KR 200409086Y1 KR 2020050033517 U KR2020050033517 U KR 2020050033517U KR 20050033517 U KR20050033517 U KR 20050033517U KR 200409086 Y1 KR200409086 Y1 KR 200409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lug
outlet
power supply
connectio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태
Original Assignee
김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태 filed Critical 김완태
Priority to KR2020050033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0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속플러그와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에서는 접속플러그에 누름버튼을 형성하고 콘센트에서 접속플러그를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이 누름버튼을 눌러야만 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리드선을 잡아당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장치{A power supply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의 접속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플러그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에서 접속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속플러그
11 : 몸체 12 : 접속단자 13 : 리드선
14 : 가이드홈 15 : 통공 16 : 누름버튼
17 : 걸림돌기
20 : 콘센트
21 : 단자홈 22 : 걸림홈
본 고안은 접속플러그와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를 사용한 후 콘센트에 결합된 접속플러그를 빼고자 할 때 반드시 접속플러그의 몸체를 잡고 빼내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전제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플러그를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센트에 결합시킴으로서 외부의 전원이 가전제품으로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속플러그와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장치는 가전제품의 사용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구이다.
이러한 전원공급장치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절연체로 몸체가 제작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리드선이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상기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개의 접속단자가 구비된 접속플러그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며, 내측에는 상기 접속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두개의 단자홈이 구비된 콘센트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조의 전원공급장치는 콘센트의 단자홈에 접속플러그의 접속단자를 꽂게되면 서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접속플러그와 연결된 가전제품으로 공급되게 된다. 전원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속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뽑으면 된다.
그러나, 상기한 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한 후 전원을 차단함에 있어 사용자는 콘센트의 위치까지 가서 한 손으로는 콘센트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접속플러그의 몸체를 잡고 당겨야 하는데, 일부 사용자는 이러한 일련의 동작이 불편하므로 리드선을 잡아당겨 전원을 차단하고자 하는 일이 종종 있다. 이 경우 접속플러그와 리드선의 연결부위에서 리드선 내부의 구리선이 외부로 표출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접속플러그를 사용하게 되면 감전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속플러그의 몸체를 잡아야만 콘센트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리드선을 잡고 당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플라스틱 절연체로 몸체가 제작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리드선이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상기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개의 접속단자가 구비된 접속플러그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며, 내측에는 상기 접속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두개의 단자홈이 구비된 콘센 트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플러그의 몸체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부에는 외측과 연결된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상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됨과 아울러 하단부는 상기 통공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누름버튼 구비되며, 상기 콘센트의 일측면에는 접속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콘센트의 단자홈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플러그의 걸림돌기가 걸려지는 걸림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의 접속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플러그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에서 접속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는 접속플러그(10)와 돌기(17)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접속플러그(10)에는 누름버튼(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누름버튼(16)을 누른 상태에서만 돌기(17)로부터 접속플러그(10)를 빼낼 수 있게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접속플러그(10)는 공지된 받와 같이 플라스틱 절연체로 몸체(11)가 제작되고, 상기 몸체(11)의 일측에는 리드선(13)이 고정되며, 상기 몸체(11)의 전방에는 상기 리드선(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개의 접속단자(12)가 구 비되는데,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몸체(11)에는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4)의 하단부에는 외측과 연결된 통공(15)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4)에 상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됨과 아울러 하단부는 상기 통공(15)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7)가 형성된 누름버튼(16)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누름버튼(16)을 가압하면, 즉 가이드홈(14)으리 상단부로 돌출된 부분을 누르게 되면 누름버튼(16)이 가이드홈(14)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통공(15)에 돌출된 걸림돌기(17)가 몸체(11)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누름버튼(16)의 가압을 해지하게 되면 걸림돌기(17)는 다시 통공(15)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누름버튼(16)의 상단부는 다시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돌기(17)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며, 내측에는 상기 접속플러그(10)의 접속단자(12)가 삽입되어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두개의 단자홈(21)과, 내부 측면에는 접속플러그(10)의 접속단자(12)가 돌기(17)의 단자홈(21)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플러그(10)의 걸림돌기(17)가 걸려지는 걸림홈(22)이 구비된다.
따라서 접속플러그(10)를 돌기(17)에 삽입하게 되면 걸림돌기(17)가 삽입되는 힘에 의해 일시적으로 접속플러그(10)의 몸체(11)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접속플러그(10)의 접속단자(12)가 돌기(17)의 단자홈(21)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플러그(10)의 걸림돌기(17)가 통공(1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되면서 상기 돌기(17)의 걸림홈(22)에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접속플러그(10)의 리드선(13)을 잡고 당겨서는 돌기(17)로부터 접속플러그(10)를 뺄 수 없게 된다.
전기의 사용이 끝나고 돌기(17)로부터 접속플러그(10)를 빼내고자 할 경우에 는 접속플러그(10)의 몸체(11) 외부에 돌출된 누름버튼(16)을 누루면 누름버튼(16)이 가이드홈(14)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통공(15)에 돌출된 걸림돌기(17)가 몸체(11)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접속플러그(10)를 상부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돌기(17)로부터 접속플러그(10)를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사용자가 돌기(17)에서 접속플러그(10)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접속플러그(10)의 버튼을 눌러야 하므로 사용자가 리드선(13)을 잡고 당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전원 공급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접속플러그에 누름버튼을 형성하고 콘센트에서 접속플러그를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이 누름버튼을 눌러야만 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리드선을 잡아 당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자명하게 도출 가능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플라스틱 절연체로 몸체가 제작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리드선이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상기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개의 접속단자가 구비된 접속플러그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며, 내측에는 상기 접속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두개의 단자홈이 구비된 콘센트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플러그의 몸체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부에는 외측과 연결된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상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됨과 아울러 하단부는 상기 통공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누름버튼 구비되며,
    상기 콘센트의 일측면에는 접속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콘센트의 단자홈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플러그의 걸림돌기가 걸려지는 걸림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KR2020050033517U 2005-11-28 2005-11-28 전원 공급장치 KR200409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517U KR200409086Y1 (ko) 2005-11-28 2005-11-28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517U KR200409086Y1 (ko) 2005-11-28 2005-11-28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086Y1 true KR200409086Y1 (ko) 2006-02-20

Family

ID=4175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517U KR200409086Y1 (ko) 2005-11-28 2005-11-28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0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69B1 (ko) 2008-03-05 2008-09-09 (주)신화에프이씨 공동주택의 전기구 전원공급라인 수용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69B1 (ko) 2008-03-05 2008-09-09 (주)신화에프이씨 공동주택의 전기구 전원공급라인 수용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690B1 (ko) 자동취출식 플러그
JP2003523600A (ja) 改良された電気ソケット及びプラグ
CN106785557A (zh) 插入式安全便捷插座插头
KR200425684Y1 (ko) 안전 콘센트
KR200409086Y1 (ko) 전원 공급장치
KR102530388B1 (ko)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200340351Y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CN107196164B (zh) 转接器、光源装置和照明设备
KR200414962Y1 (ko) 플러그 연결구
KR200285200Y1 (ko) 단자 가동식 플러그
KR200172065Y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1773798B1 (ko)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KR200165498Y1 (ko) 플러그 분리구조
KR200278225Y1 (ko) 플러그탈착기능에 전원개폐기능이 부가된 콘센트
KR20100003516U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200214738Y1 (ko) 멀티 탭
KR200354269Y1 (ko)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JPH0621190Y2 (ja) 電源キャップ
KR20120104710A (ko) 플러그 착탈 제어형 안전용 콘센트
KR200275795Y1 (ko) 커넥터의 터미널단자 조립구조
KR20180001782U (ko) 천장 조명 시스템용 전선 연결장치
KR20100100102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파워소켓
CN107477535B (zh) 转接器、光源装置和照明设备
KR20080000774U (ko) 멀티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