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798B1 -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798B1
KR101773798B1 KR1020160016310A KR20160016310A KR101773798B1 KR 101773798 B1 KR101773798 B1 KR 101773798B1 KR 1020160016310 A KR1020160016310 A KR 1020160016310A KR 20160016310 A KR20160016310 A KR 20160016310A KR 101773798 B1 KR101773798 B1 KR 10177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air
plug terminal
safety co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4954A (ko
Inventor
박준혁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7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로서, 선단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플러그 본체;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플러그 본체의 선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 및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을 수용하는 형태로 상기 플러그 본체의 선단부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에 따르면, 플러그 본체에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노출되도록 설치 고정되고,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을 수용하는 형태로 플러그 본체의 선단부에 삽입 체결되는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플러그의 미사용 시에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물기 또는 이물질이 묻지 않는 상태로 안전한 보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의 미사용 시에는 플러그 단자 봉에 이물질 또는 물기가 묻지 않음에 따라 기존의 노출형태의 플러그에서 발생되는 화재나 감전 사고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며, 플러그의 터치방식을 이용한 콘센트의 탈부착을 통해 플러그를 뽑는데 있어 발생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어린아이들의 안전사고 예방과 함께 노약자들도 플러그를 쉽게 뽑을 수 있도록 하는 터치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손쉽게 플러그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A PLUG HAVING DETACHABLE EASY AND SAFETY FUNCTION}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를 터치 방식으로 콘센트에 탈부착 사용이 가능하고, 탈착되었을 때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러그는 전기 배선 기구의 한 종류로, 전기 기구에 연결된 코드 끝에 접속하여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는 접속 기구이다. 이러한 전원 플러그는 몸체에 한 쌍의 단자 봉이 결합되어 있어, 플러그의 접속단자 봉을 콘센트의 단자 홈에 삽입하여 결합하면 접속단자 봉이 전원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플러그의 양쪽 면에 노출되게 구비된 접지단자가 콘센트의 접지단자에 접촉됨으로써 전원 연결과 접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종래의 플러그는 설치장소에 따라 매입 형과 노출 형태로 분류되는 콘센트에 꽂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사용하고 있다. 즉, 종래의 플러그는 콘센트에 꽂을 수 있도록 접속되는 접속단자 봉이 항시 노출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물기 혹은 이물질이 쉽게 묻어 있을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이물질 또는 물기가 묻은 상태에서 콘센트에 꽂을 경우 화재나 감전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아이들의 감전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플러그는 콘센트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플러그를 뽑는데 있어 많은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으며, 특히 노약자들의 경우에는 플러그를 잡고 뽑는데 있어 불편함이 더 가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플러그 본체에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노출되도록 설치 고정되고,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을 수용하는 형태로 플러그 본체의 선단부에 삽입 체결되는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플러그의 미사용 시에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물기 또는 이물질이 묻지 않는 상태로 안전한 보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의 미사용 시에는 플러그 단자 봉에 이물질 또는 물기가 묻지 않음에 따라 기존의 노출형태의 플러그에서 발생되는 화재나 감전 사고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며, 플러그의 터치방식을 이용한 콘센트의 탈부착을 통해 플러그를 뽑는데 있어 발생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어린아이들의 안전사고 예방과 함께 노약자들도 플러그를 쉽게 뽑을 수 있도록 하는 터치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손쉽게 플러그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로서,
선단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플러그 본체;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플러그 본체의 선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 및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을 수용하는 형태로 상기 플러그 본체의 선단부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본체는,
개방된 선단의 반대방향 일단으로 전원 코드의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가 삽입 체결된 후단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가 탄성 적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 부재가 배치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에 탄성력을 주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본체는,
개방된 내부공간의 측벽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탄성 편이 배치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탄성 편은,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의 측벽과 탄성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은,
상기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 내에 수용된 상태로 노출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은,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의 선단 밀폐 슬릿에 의해 단자 봉 끝단까지도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은,
상기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는 경우에만 노출되는 구조로, 미사용 시에는 외부 이물질이나 물기가 원천적으로 묻지 않고, 보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는,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한 쌍의 홀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한 쌍의 탄성 편에 형성된 돌기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되는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는,
상기 한 쌍의 홀의 선단에 형성된 선단 밀폐 슬릿의 개폐를 통해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의 밀폐와 인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 밀폐 슬릿은,
상기 플러그의 사용 시에 개방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 밀폐 슬릿은,
상기 플러그의 미사용 시에 밀폐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에 터치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고, 탈착 시에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노출되지 않도록 작동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에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를 위치시킨 후 밀어 줌에 따라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의 선단 밀폐 슬릿이 개방되어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노출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가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탄성 부재를 압축하면서 밀려들어가 한 쌍의 탄성 편에 형성된 돌기와 걸림 홈이 체결되며,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할 수 있다.
더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에 접속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를 콘센트 방향으로 밀었다가 놓는 동작만으로 상기 한 쌍의 탄성 편에 형성된 돌기와 걸림 홈의 체결이 분리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콘센트에 꽂힌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의 접속이 분리되어 해제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는,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전기 또는 전자제품의 전원 코드 말단에 연결 사용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는,
복수의 전기 또는 전자제품들이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해 연결 사용되는 2구 이상의 콘센트에 연결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로서,
선단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개방된 선단의 반대방향 일단으로 클램프가 설치되며, 클램프의 전방으로 압축 스프링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고, 내부공간의 양 측벽으로 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탄성 편이 고정 설치되는 플러그 본체;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선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한 쌍의 홀을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 본체의 선단부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및 인출 시에 상기 한 쌍의 탄성 편에 형성된 돌기와 체결되는 걸림 홈이 형성되는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 및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의 한 쌍의 홀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홀을 밀폐하는 슬릿과, 상기 슬릿에 체결되어 슬릿을 미는 힘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홀이 개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슬릿 개방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에 따르면, 플러그 본체에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노출되도록 설치 고정되고,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을 수용하는 형태로 플러그 본체의 선단부에 삽입 체결되는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플러그의 미사용 시에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물기 또는 이물질이 묻지 않는 상태로 안전한 보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의 미사용 시에는 플러그 단자 봉에 이물질 또는 물기가 묻지 않음에 따라 기존의 노출형태의 플러그에서 발생되는 화재나 감전 사고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며, 플러그의 터치방식을 이용한 콘센트의 탈부착을 통해 플러그를 뽑는데 있어 발생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어린아이들의 안전사고 예방과 함께 노약자들도 플러그를 쉽게 뽑을 수 있도록 하는 터치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손쉽게 플러그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분해 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가 플러그 본체로 들어간 상태의 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탈부착 사용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분해 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가 플러그 본체로 들어간 상태의 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100)는, 플러그 본체(110),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슬릿 개방 작동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 본체(110)는, 선단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플러그 본체(110)는 개방된 선단의 반대방향 일단으로 전원 코드의 케이블(10)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11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본체(110)는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가 삽입 체결된 후단의 내부공간으로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가 탄성 적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 부재(112)가 배치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탄성 부재(112)는 후술하게 될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에 탄성력을 주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본체(110)는 개방된 내부공간의 측벽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탄성 편(113)이 배치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탄성 편(113) 각각에는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의 측벽과 탄성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돌기(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은, 플러그 본체(110)의 내부공간에 설치 고정되며, 플러그 본체(110)의 선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은 플러그(100)를 콘센트(20)에 꽂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 내에 수용된 상태로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은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의 선단 밀폐 슬릿(131)에 의해 단자 봉 끝단까지도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은 플러그(100)를 콘센트(20)에 꽂아 사용하는 경우에만 노출되는 구조로, 미사용 시에는 외부 이물질이나 물기가 원천적으로 묻지 않고, 보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을 수용하는 형태로 플러그 본체(110)의 선단부에 삽입 체결되며, 플러그 본체(11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이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한 쌍의 홀(132)을 구비하고, 플러그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는 플러그 본체(110)의 한 쌍의 탄성 편(113)에 형성된 돌기(114)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되는 걸림 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는 한 쌍의 홀(132)의 선단에 형성된 선단 밀폐 슬릿(131)의 개폐를 통해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의 밀폐와 인출이 가능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선단 밀폐 슬릿(131)은 플러그(100)의 사용 시에 개방되고, 플러그(100)의 미사용 시에 밀폐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슬릿 개방 작동부(1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의 한 쌍의 홀(132)의 선단에 배치되어, 한 쌍의 홀(132)을 밀폐하는 슬릿(141)과, 슬릿(141)에 체결되어 슬릿을 미는 힘에 의해 한 쌍의 홀(132)이 개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42)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플러그(100)는 콘센트(20)에 터치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고, 탈착 시에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이 노출되지 않도록 작동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플러그(100)는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전기 또는 전자제품의 전원 코드 말단에 연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100)는 복수의 전기 또는 전자제품들이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해 연결 사용되는 2구 이상의 콘센트에 연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탈부착 사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100)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러그(100)를 콘센트(20)에 체결하는 과정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20)에 플러그(100)의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를 위치시킨 후 밀어 줌에 따라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의 선단 밀폐 슬릿(131)이 개방된다. 이어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이 노출되고,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가 플러그 본체(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탄성 부재(112)를 압축하면서 밀려들어가 한 쌍의 탄성 편(113)에 형성된 돌기(114)와 걸림 홈(133)이 체결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이 콘센트(20)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도 7 및 도 8의 과정을 통해 플러그(100)가 콘센트(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러그(100)를 콘센트(2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콘센트(20)에 접속 고정된 상태의 플러그 본체(110)를 콘센트(20) 방향으로 밀었다가 놓는 동작만으로 한 쌍의 탄성 편(113)에 형성된 돌기(114)와 걸림 홈(133)의 체결이 분리되고, 탄성 부재(112)의 탄성력으로 콘센트(20)에 꽂힌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의 접속이 분리되어 해제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의 탈부착 사용 과정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7은 플러그(100)를 콘센트(20)를 향해 진입시키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고, 도 8은 콘센트(20)에 플러그(100)가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9는 플러그(100)의 분리를 위해 플러그 본체(110)를 콘센트(20) 방향으로 밀어주는 상태의 도면을 나타내고, 도 10은 도 9에 따라 한 쌍의 탄성 편(113)의 돌기(114)와 걸림 홈(133)이 분리되고, 압축 부재(112)의 압축 스프링이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에 따르면, 플러그 본체에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이 노출되도록 설치 고정되고,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을 수용하는 형태로 플러그 본체의 선단부에 삽입 체결되는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플러그의 미사용 시에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의 외부로의 돌출이 방지되고, 이를 통해 물기 또는 이물질이 묻지 않는 상태로 안전한 보관 관리가 가능하게 되며, 기존의 노출형태의 플러그에서 발생되는 화재나 감전 사고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고, 플러그의 터치방식을 이용한 콘센트의 탈부착을 통해 플러그를 뽑는데 있어 발생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린아이들의 안전사고 예방과 함께 노약자들도 플러그를 쉽게 뽑을 수 있도록 하는 터치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손쉽게 플러그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110: 플러그 본체 111: 클램프
112: 탄성 부재 113: 한 쌍의 탄성 편
114: 돌기 120: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
130: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 131: 선단 밀폐 슬릿
132: 한 쌍의 홀 133: 걸림 홈
140: 슬릿 개방 작동부 141: 슬릿
142: 스프링

Claims (20)

  1.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100)로서,
    선단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플러그 본체(110);
    상기 플러그 본체(110)의 내부공간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플러그 본체(110)의 선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 및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을 수용하는 형태로 상기 플러그 본체(110)의 선단부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 플러그 본체(11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 본체(110)는,
    개방된 선단의 반대방향 일단으로 전원 코드의 케이블(10)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111)와,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가 삽입 체결된 후단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가 탄성 적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 구성되는 탄성 부재(112)와, 개방된 내부공간의 측벽으로 마주하여 배치 구성되는 한 쌍의 탄성 편(113)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 편(113)은,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의 측벽과 탄성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돌기(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은,
    상기 플러그(100)를 콘센트(20)에 꽂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 내에 수용된 상태로 노출이 방지되되,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의 선단 밀폐 슬릿(131)에 의해 단자 봉 끝단까지도 노출이 방지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는,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이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한 쌍의 홀(132)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는,
    상기 플러그 본체(110)의 한 쌍의 탄성 편(113)에 형성된 돌기(114)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되는 걸림 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는,
    상기 한 쌍의 홀(132)의 선단에 형성된 선단 밀폐 슬릿(131)의 개폐를 통해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의 밀폐와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선단 밀폐 슬릿(131)은 상기 플러그(100)의 사용 시에 개방되고, 상기 플러그(100)의 미사용 시에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112)는,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에 탄성력을 주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은,
    상기 플러그(100)를 콘센트(20)에 꽂아 사용하는 경우에만 노출되는 구조로, 미사용 시에는 외부 이물질이나 물기가 원천적으로 묻지 않고, 보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0)는,
    상기 콘센트(20)에 터치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고, 탈착 시에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이 노출되지 않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0)는,
    상기 콘센트(20)에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를 위치시킨 후 밀어 줌에 따라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의 선단 밀폐 슬릿(131)이 개방되어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이 노출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가 상기 플러그 본체(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탄성 부재(112)를 압축하면서 밀려들어가 한 쌍의 탄성 편(113)에 형성된 돌기(114)와 걸림 홈(133)이 체결되며,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이 콘센트(20)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0)는,
    상기 콘센트(20)에 접속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110)를 콘센트(20) 방향으로 밀었다가 놓는 동작만으로 상기 한 쌍의 탄성 편(113)에 형성된 돌기(114)와 걸림 홈(133)의 체결이 분리되고, 상기 탄성 부재(112)의 탄성력으로 상기 콘센트(20)에 꽂힌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의 접속이 분리되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0)는,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전기 또는 전자제품의 전원 코드 말단에 연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0)는,
    복수의 전기 또는 전자제품들이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해 연결 사용되는 2구 이상의 콘센트에 연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20.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100)로서,
    선단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개방된 선단의 반대방향 일단으로 클램프(111)가 설치되며, 클램프(111)의 전방으로 압축 스프링의 탄성 부재(112)가 배치되고, 내부공간의 양 측벽으로 돌기(114)가 형성된 한 쌍의 탄성 편(113)이 고정 설치되는 플러그 본체(110);
    상기 플러그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110)의 선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한 쌍의 홀(132)을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 본체(110)의 선단부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11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및 인출 시에 상기 한 쌍의 탄성 편(113)에 형성된 돌기(114)와 체결되는 걸림 홈(133)이 형성되는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 및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의 한 쌍의 홀(132)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홀(132)을 밀폐하는 슬릿(141)과, 상기 슬릿(141)에 체결되어 슬릿을 미는 힘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홀(132)이 개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42)을 구비하는 슬릿 개방 작동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 봉(120)은,
    상기 플러그(100)를 콘센트(20)에 꽂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 내에 수용된 상태로 노출이 방지되되, 상기 플러그 단자 봉 안전 커버(130)의 한 쌍의 홀(132)을 밀폐하는 슬릿 개방 작동부(140)의 슬릿(141)에 의해 단자 봉 끝단까지도 노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KR1020160016310A 2016-02-12 2016-02-12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KR10177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310A KR101773798B1 (ko) 2016-02-12 2016-02-12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310A KR101773798B1 (ko) 2016-02-12 2016-02-12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954A KR20170094954A (ko) 2017-08-22
KR101773798B1 true KR101773798B1 (ko) 2017-09-01

Family

ID=5975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310A KR101773798B1 (ko) 2016-02-12 2016-02-12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656A (ko) 2020-10-19 2022-04-2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형 다기능 플러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433B2 (ja) * 1991-07-17 2000-10-16 三菱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3086285A (ja) * 2001-09-12 2003-03-20 Sanyo Electric Co Ltd 電源プラ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433B2 (ja) * 1991-07-17 2000-10-16 三菱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3086285A (ja) * 2001-09-12 2003-03-20 Sanyo Electric Co Ltd 電源プラ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99433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656A (ko) 2020-10-19 2022-04-2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형 다기능 플러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954A (ko)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838B1 (en) Universal-conversion power cable
KR101103028B1 (ko)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의 개량구조
US3025486A (en) Three way electric plug
US6231358B1 (en) Electrical plug and receptacle having safety features
TWI385871B (zh) 多電纜用電連接器
EP0033031A2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616389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20030426A (ko) 연결가능한 전기 장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JP6363781B1 (ja) プラグ及びプラグ付きケーブル
FR3051079A1 (fr) Dispositif de verrouillage pour connecteurs electriques et connecteurs electriques equipes du dispositif.
KR101164181B1 (ko) 안전 플러그
US4013330A (en) Dual-standard electric plug
KR100882612B1 (ko) 지중매설형 특고압 배전선 커넥터
KR101773798B1 (ko)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KR101886950B1 (ko) 콘센트 커버장치
US4863401A (en) Electrical contact plug with a metal housing
US8961202B2 (en) Electrical safety device
KR101796200B1 (ko) 콘센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JP2017068918A (ja) 分岐コネクタ
KR200316940Y1 (ko) 콘센트
JP3200118U (ja) イヤホンオスメスコネクタ固定連接構造
CN212626207U (zh) 一种儿童安全插座
KR20120104710A (ko) 플러그 착탈 제어형 안전용 콘센트
KR200409086Y1 (ko) 전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