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950B1 - 콘센트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950B1
KR101886950B1 KR1020170009729A KR20170009729A KR101886950B1 KR 101886950 B1 KR101886950 B1 KR 101886950B1 KR 1020170009729 A KR1020170009729 A KR 1020170009729A KR 20170009729 A KR20170009729 A KR 20170009729A KR 101886950 B1 KR101886950 B1 KR 10188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ug
front plate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972A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김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훈 filed Critical 김재훈
Priority to KR102017000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9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058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s, e.g. on a dishwasher, a washing machine or a refriger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콘센트 커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콘센트 커버장치는: 플러그가 결합되는 결합구에 수용되고, 플러그의 결합 유무에 따라 압축, 복원되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플레이트 및 본체를 결합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센트 커버장치{COVER DEVICE FOR RECEPTACLE}
본 발명은 콘센트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가 수용되도록 콘센터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커버할 수 있어 수용공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콘센트의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센트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건물의 벽면에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가 설치된다. 또한, 전기기구의 전선이 콘센트의 설치 위치까지 충분히 연장되지 못하는 경우나, 복수개의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종래 콘센트는 플러그의 단자부가 전원단자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홀이 단방향으로 형성되어 야간에나 콘센트의 위치가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그 접속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자홀이 항상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일자형 단자홀에 젓가락 등과 같은 것을 삽입함에 따른 감전사고는 물론 상기 단자홀이 메워지거나 그 내부의 콘센트 단자가 파손되어 사용이 곤란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개방된 단자홀을 통해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쇼트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13-0029295호(공개일:2013.03.22)에는 "콘센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가 결합되는 결합구를 커버할 수 있어 결합구의 오염을 방지하여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콘센트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콘센트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콘센트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센트의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센트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는: 플러그가 결합되는 결합구에 수용되고, 상기 플러그의 결합 유무에 따라 압축, 복원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본체를 상기 결합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구의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식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에는 광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를 상기 결합구의 내면에 부착시키는 접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는 플러그가 결합되는 결합구를 커버할 수 있어 결합구의 오염을 방지하여 콘센트의 청결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결합구에 접착되는 구조에 의해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콘센트에 적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플레이트에 야광띠로 이루어지는 식별부가 구비되어 후미진 곳 또는 야간에도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가 분리된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의 전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가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가 분리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가 분리된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의 전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100)는 본체(110), 전면플레이트(120) 및 고정부재(130)를 포함한다.
우선, 콘센트(10)는 케이스, 전원단자(16), 접지단자(18)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플러그(20)가 결합되는 결합구(12)가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케이스의 내부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단자(16) 및 접지단자(18)가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구(12)의 내부에는 플러그(20)의 접속핀이 삽입되는 접속홀(14)이 형성되며, 접속홀(14)을 통해 삽입된 접속핀은 전원단자(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체(110)는 플러그(20)가 결합되는 결합구(12)에 수용된다. 이러한 본체(110)는 플러그(20)의 결합 유무에 따라 압축, 복원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체(110)는 스펀지로 이루어진다.
즉,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본체(110)는 결합구(12)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합구(12) 전체 공간을 커버한다. 그리고, 본체(110)는 플러그(20)의 접속핀의 삽입되도록 관통홀(115)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가 콘센트(10)의 결합구(12)에 결합되면, 본체(110)의 자체 성질에 의해 압축되어 접속핀의 접속홀(14)로 삽입되고, 플러그(20)가 결합구(12)에서 분리되면, 본체(110)는 자체 성질에 의해 복원되어 결합구(12)를 커버한다.
전면플레이트(120)는 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전면플레이트(120)는 강성을 지닌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전면플레이트(120)에는 결합구(12)의 가이드홈(13)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127)가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27)는 전면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플러그(20)의 결합시 전면플레이트(120)를 직선으로 안내한다.
전면플레이트(120)에는 본체(110)의 관통홀(115)과 대응되는 개구홀(125)이 형성된다.
전면플레이트(120)의 전면에는 식별부(140)가 구비된다. 식별부(140)는 야광띠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와, 개구홀(125)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즉, 플러그(2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12)의 위치와 접속핀이 결합될 수 있는 개구홀(125)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야간이나 후미진 곳에서도 콘센트(10)의 위치 확인이 용이하다.
그리고, 전면플레이트(120)에는 광고부(150)가 구비된다. 광고부(150)는 제품명, 문구, 캐릭터 등이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30)는 본체(110)를 결합구(12)에 고정시킨다. 고정부재(130)는 본체(110)를 결합구(12)의 내면에 부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고정부재(130)인 접착부재는 본체(110)의 후면에 구비되며, 이형지에 의해 보호된다. 따라서, 이형지를 제거하고,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구(12)의 내면에 본체(110)를 고정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100)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콘센트(10)의 구조적 변경 없이 장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 효과를 지닌다.
이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후면에 구비되는 이형지를 제거하고, 본체(110)의 후면을 결합구(12)의 내면에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부착시킨다. 이때, 결합구(12)의 접속홀(14)과 본체(110)의 관통홀(115), 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플레이트(120)의 개구홀(125)은 일치된 상태이다.
이후,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콘센트(10)의 결합구(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커버장치(100)가 구비되어 커버되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콘센트(10)의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면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와 개구홀(125)의 가장자리에는 야광띠로 형성되는 식별부(140)가 구비되어 후미진 곳이나,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콘센트(10)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전면플레이트(120)의 전면에는 광고문구, 상품명, 캐릭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광고부(150)가 형성된다. 이러한 광고부(150)에 의해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적인 활용도 가능하다.
상기한 상태에서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플러그(20)를 결합구(12)에 결합시킨다. 즉, 플러그(20)의 접속핀이 개구홀(125)에 일치된 상태에서 플러그(20)를 콘센트(10) 측으로 가압하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는 결합구(12)로 삽입되고, 플러그(20)의 가압력에 의해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본체(110)는 압축되며, 플러그(20)의 접속핀을 접속홀(14)에 삽입되어 전원단자(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기기기의 사용이 끝나면, 전원연결을 차단하기 위해 플러그(20)를 결합구(12)로부터 분리하게 되는데, 플러그(20)가 제거되면,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본체(110)는 최초위치로 복원되어 전면플레이트(120)가 결합구(12)로부터 상승하게 되어 결합구(12)를 커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커버장치에 의하면, 플러그가 결합되는 결합구를 커버할 수 있어 결합구의 오염을 방지하여 콘센트의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고, 본체가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결합구에 접착되는 구조에 의해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콘센트에 적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플레이트에 야광띠로 이루어지는 식별부가 구비되어 후미진 곳 또는 야간에도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콘센터 커버장치 110 : 본체
115 : 관통홀 120 : 전면플레이트
125 : 개구홀 127 : 가이드돌기
130 : 고정부재 140 : 식별부
150 : 광고부

Claims (7)

  1. 플러그가 결합되는 결합구에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개구홀이 형성되는 전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를 상기 결합구의 내면에 부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상기 플러그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의 가압력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가 상기 결합구에서 하강하게 되어 상기 플러그의 접속핀이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의 제거시 복원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가 상기 결합구로부터 상승하게 되어 상기 결합구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커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커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커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구의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커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식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커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에는 광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커버장치.
  7. 삭제
KR1020170009729A 2017-01-20 2017-01-20 콘센트 커버장치 KR10188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729A KR101886950B1 (ko) 2017-01-20 2017-01-20 콘센트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729A KR101886950B1 (ko) 2017-01-20 2017-01-20 콘센트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972A KR20180085972A (ko) 2018-07-30
KR101886950B1 true KR101886950B1 (ko) 2018-08-08

Family

ID=6304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729A KR101886950B1 (ko) 2017-01-20 2017-01-20 콘센트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6921A (zh) * 2020-02-28 2020-06-23 广东职业技术学院 一种可拆装插座
KR102487087B1 (ko) * 2021-01-19 2023-01-10 주식회사 와트로직 안전 콘센트
KR102653964B1 (ko) * 2022-02-21 2024-04-01 곽병관 콘센트 안전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972A (ko) 201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950B1 (ko) 콘센트 커버장치
US7547219B2 (en) Electrical safety adaptor with replaceable head unit
US7008246B2 (en) Electric plug with replaceable head unit
US6172301B1 (en) Receptacle faceplate
US5540596A (en) Electric plug for supplying current to electric appliances
TW557609B (en) Power cord connecting set
WO2006013553A3 (en) Reversible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and connector
JP2011040219A (ja) 直流コンセント
KR101265584B1 (ko) 플러그형 콘센트 커버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KR200486875Y1 (ko) 콘센트 안전 덮개
KR101912897B1 (ko) 플러그 단자핀 용 안전 모듈이 구비된 매립형 콘센트
KR101773798B1 (ko)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US20160276815A1 (en) Faux electrical socket-outlet
KR101984876B1 (ko)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ES2720139T3 (es) Dispositivo de instalación eléctrico
KR101819319B1 (ko) 콘센트
KR100389806B1 (ko) 콘센트 안전장치
JP4906570B2 (ja) 電源プラグ、電源プラグを有する電気機器及び電源プラグの製造方法
KR100814734B1 (ko) 콘센트보호 커버
CN220324825U (zh) 一种国标电源线品字插尾的防水固定装置
JP3222881U (ja) 取り外し容易な電源アダプタ
CN214755644U (zh) 一种桌面电源模块
CN215777413U (zh) 烹饪器具
KR100483933B1 (ko) 전원플러그및그제조방법과전기장치
KR200409086Y1 (ko) 전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