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087B1 - 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087B1
KR102487087B1 KR1020210007326A KR20210007326A KR102487087B1 KR 102487087 B1 KR102487087 B1 KR 102487087B1 KR 1020210007326 A KR1020210007326 A KR 1020210007326A KR 20210007326 A KR20210007326 A KR 20210007326A KR 102487087 B1 KR102487087 B1 KR 10248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unit
contact terminal
termi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915A (ko
Inventor
최부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트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트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트로직
Priority to KR1020210007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08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수용홈을 갖는 본체부와, 수용홈에 배치되고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와, 수용홈에 배치되고 전원 공급 단자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원 접점 단자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과, 플러그의 핀과 결합되어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젠더부, 그리고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가 분리되도록 전원 공급부와 연결 유닛을 이격시키는 이격 유닛을 포함하고, 플러그 핀은 전원 접점 단자를 통해 전원 공급 단자와 접속한다. 이에 의해 어린아이가 전원 공급 단자와 접속하여 발생하는 감전사고와 전원 공급 단자로의 물기 유입에 의한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외부에 노출되는 전원 접점 단자를 통한 감전사고 및 누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 콘센트{Safety concentric plug}
본 발명은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 단자가 배치되는 수용홈의 공간을 전원 접점 단자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이 차단하도록 배치하여 전원 공급 단자의 외부 노출과 전원 공급 단자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하고, 플러그가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만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가 접속하도록 하여 플러그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외부에 노출되는 전원 접점 단자에는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함으로써 감전사고 또는 누전사고의 위험을 차단하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로서, 플러그의 핀을 콘센트의 핀 삽입홀에 삽입하면 콘센트의 핀이 핀 삽입홀 내에 배치되는 전원 공급 단자와 접속되어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런데 이러한 핀 삽입홀 상시로 전기가 흐름에도 불구하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어린 아이의 호기심에 의한 감전사고(예를 들면 젓가락 삽입 등)가 발생하거나 또는 핀 삽입홀의 물기 유입으로 인한 누전사고 등이 발생하곤 한다.
이와 같은 콘센트에 의한 감전사고 또는 누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0487호(이하, '종래 기술'이라 한다) 에서는 플러그 삽입홀을 덮는 커버가 구비되고 플러그가 결합하지 않은 플러그 삽입홀을 커버로 덮음으로써 핀 삽입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를 갖는 콘센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 기술과 같이 플러그 삽입홀을 덮는 커버가 구비된다 하여도 어린아이도 쉽게 커버를 개방 가능하고 또한 사용자가 깜박하고 커버를 덮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커버는 핀 삽입홀으로 유입되는 물기에 대한 차단 효과 역시 높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감전사고 또는 누전사고의 위험이 크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04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1689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전원 접점 단자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이 전원 공급 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전원 접점 단자를 통해 플러그 핀과 전원 공급 단자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플러그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전원 접점 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가 분리되도록 하여, 플러그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단자에서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연결 유닛이 전원 접점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으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여, 물기 유입에 의한 누전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자기력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 간의 접속 또는 접속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플러그의 수용홈 삽입 수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플러그의 콘센트 결속력을 상대적으로 완화하도록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시 플러그의 핀이 연결 유닛의 전원 접점 단자와 접속하도록 플러그의 원주방향 배치를 회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플러그를 수용홈에 삽입시 삽입되는 플러그의 원주방향 각도를 유의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플러그 핀과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플러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수용홈을 갖는 본체부와, 수용홈에 배치되고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와, 수용홈에 배치되고 전원 공급 단자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원 접점 단자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과, 플러그의 핀과 결합되어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젠더부, 그리고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가 분리되도록 전원 공급부와 연결 유닛을 이격시키는 이격 유닛을 포함하고, 플러그 핀은 전원 접점 단자를 통해 전원 공급 단자와 접속한다.
이때, 전원 공급부는 제1 자성체를 구비하고 젠더부는 제2 자성체를 구비하여, 젠더부가 연결 유닛에 접근하면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 간의 자기력에 의해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서로 접속하거나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는 연결 유닛과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젠더부가 연결 유닛에 접근하면 자기력에 의해 연결 유닛을 향해 이동하여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접속이 이루어지며, 자기력이 해제되면 이격 유닛에 의해 본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연결 유닛은 전원 공급부와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젠더부에 의해 전원 공급부를 향해 가압되면 자기력에 의해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접속한 상태가 유지되며, 자기력이 해제되면 이격 유닛에 의해 본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플러그는 젠더부에 억지끼움결합하고, 젠더부는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 간의 자기력에 의해 수용홈에 삽입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는 수용홈의 입구 둘레부가 모따기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젠더부는 삽입된 플러그의 핀과 접속하는 핀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젠더부를 수용홈에 삽입시 핀 접점 단자가 전원 접점 단자에 접속하도록 젠더부의 원주방향 배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유닛은 자기력을 통해 제2 자성체를 밀어내 젠더부의 원주방향 배치를 가이드 하는 제3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자성체는 전원 공급부에서 제1 자성체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격 유닛은 전원 공급부와 연결 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연결 유닛은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는 공간으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접점 단자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이 전원 공급 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전원 접점 단자를 통해 플러그 핀과 전원 공급 단자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플러그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전원 접점 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가 분리되도록 하여, 플러그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단자에서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된 단자에 의해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 유닛이 전원 접점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으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물기 유입에 의한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력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 간의 접속 또는 접속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플러그의 수용홈 삽입 수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플러그의 콘센트 결속력을 상대적으로 완화함으로써 지나가던 사람이 플러그 전원선에 걸리면 플러그의 수용홈 삽입 수용 상태가 쉽게 해제되므로 전원선에 걸린 사람이 넘어지거나 또는 전기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시 플러그의 핀이 연결 유닛의 전원 접점 단자와 접속하도록 플러그의 원주방향 배치를 회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플러그를 수용홈에 삽입시 삽입되는 플러그의 원주방향 각도를 유의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플러그 핀과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접속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의 콘센트 연결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일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시 젠더부가 회전 가이드 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 핀과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옥내배선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가 흐르는 전원 공급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전원 공급 단자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하여 물기에 의한 누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전원 공급 단자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수용홈(11)을 갖는 본체부(10)와, 전원 접점 단자(21)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 단자(31)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30)와, 플러그와 결합한 상태로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되는 젠더부(40), 그리고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부(30)을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본체부(10)는 수용홈(11)을 갖는다. 수용홈(11)에는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부(30)가 배치되고 젠더부(40)와 결합한 플러그가 삽입 수용될 수 있다. 연결 유닛(20)은 수용홈(11) 내측에 방수 공간(s)을 형성하도록 수용홈(11)에 배치되며 전원 공급부(30)는 방수 공간(s)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30)는 연결 유닛(20)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되며 또한 외부에서의 물기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0)는 플러그 핀(pi)과 접속하여 전원을 인가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자(31)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자(31)가 연결 유닛(20)이 형성하는 방수 공간(s)에 배치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되고 외부로부터의 물기 유입이 차단되므로 어린아이가 호기심에 의해 전원 공급 단자(31)에 전도성 물체를 접속시켜 발생하는 등의 감전사고를 방지하며 전원 공급 단자(31)로의 물기 유입에 의한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젠더부(40)는 플러그(pl)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플러그(pl)와 결합한 상태로 함께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될 수 있다. 젠더부(40)는 플러그 핀(pi)이 억지끼움결합하는 핀 접점 단자(4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유닛(20)에는 전원 공급 단자(31)와 접촉하여 전기가 흐르는 상태가 되는 전원 접점 단자(21)가 구비되며, 핀 접점 단자(41)는 젠더부(40)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전원 접점 단자(21)에 접촉하여 전기가 흐르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플러그 핀(pi)은 핀 접점 단자(41)에 접속하고 핀 접점 단자(41)는 전원 접점 단자(21)에 접속하며 전원 접점 단자(21)는 전원 공급 단자(31)에 접속하여, 최종적으로는 플러그 핀(pi)와 전원 공급 단자(31) 간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단자(3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대신 전원 공급 단자(31)와 접촉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구비되는 연결 유닛(20)의 전원 접점 단자(21)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전기가 흐르는 전원 접점 단자(21)에 의한 감전사고 또는 누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접점 단자(21)에 의한 감전사고 또는 누전사고 방생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젠더부(40)와 결합한 플러그(pl)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전원 접점 단자(21)에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젠더부(40)와 결합한 플러그(pl)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는 플러그 핀(pi)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 접점 단자(21)에 전기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젠더부(40)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전원 접점 단자(21)와 전원 공급 단자(31)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부(30)가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되고, 젠더부(40)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된 상태(즉, 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전원 접점 단자(21)와 전원 공급 단자(31)가 서로 접촉하도록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부(30)가 서로 간이 밀착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a)와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초기 상태에서는 이격 유닛(50)이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부(30)를 서로 이격시키는데 이러한 이격 유닛(50)으로는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부(30) 사이에 개재 배치되는 탄성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0)는 제1 자성체(32)를 구비하고 젠더부(40)는 제2 자성체(42)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부(30)는 연결 유닛(20)과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유닛(20)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30)는 초기 상태에서 탄성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결 유닛과 이격 배치된다. 이때,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젠더부(40)가 연결 유닛(20)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간에 인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인력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30)를 연결 유닛(20)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전원 공급 단자(31)와 전원 접점 단자(21)가 서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젠더부(40)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되어 핀 접점 단자(41)와 전원 접점 단자(21)가 서로 접속 상태가 되면 전원 공급 단자(31) 역시 전원 접점 단자(21)와 접속 상태가 되므로 핀 접점 단자(41)에 결합한 플러그 핀(pi)과 전원 공급 단자(31)가 서로 간에 접속 상태가 되고 플러그 핀(pi)은 전원 공급 단자(3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l)와 함께 젠더부(40)가 수용홈(11)으로부터 이탈하면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인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사라져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원 공급부(30)가 연결 유닛(20)으로부터 최대한 멀게 이동하며 전원 공급 단자(31)와 전원 접점 단자(21) 간에 접속이 해제된 초기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pl)가 제거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전원 접점 단자(21)에 전기가 흐르지 않으며, 따라서 전원 접점 단자(21)를 통한 감전사고 및 누전사고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에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젠더부(40)가 연결 유닛(20)에 접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30)가 연결 유닛(20)을 향해 이동하도록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인력은 이격 유닛(50)의 탄성 복원력보다 강하게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된 플러그(pl)를 잡아당기면 플러그(pl)와 함께 젠더부(40)도 함께 수용홈(11)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플러그(pl)와 젠더부(40) 간의 억지끼움결합력은 젠더부(40)와 연결 유닛(20)이 접한 상태에서의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인력보다 강하게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인력은 통상적인 플러그와 콘센트 간의 결속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완화된 결속력을 갖는다. 따라서, 지나가던 사람이 플러그(pl)의 전원선에 걸리면 플러그(pl)와 젠더부(40)는 수용홈(11)으로부터 비교적 쉽게 이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전원선에 걸린 사람이 넘어지거나 또는 전기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체부(10)는 수용홈(11)의 입구 둘레부가 모따기 가공됨으로써 젠더부(40)와 결합한 플러그(pl)의 수용홈(11) 삽입을 가이드 하거나 또는 젠더부(40)와 결합한 플러그(pl)가 수용홈(11)으로부터 더욱 쉽게 이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일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시 젠더부가 회전 가이드 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젠더부의 핀 접점 단자(41)와 연결 유닛의 전원 접점 단자(21)가 서로 간에 접해야만 플러그가 전원 공급 단자(3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젠더부(40)를 수용홈(11)에 삽입시 핀 접점 단자(41)와 전원 접점 단자(21)가 상호 접할 수 있도록 젠더부(40)의 원주방향 배치를 정 방향으로 조절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젠더부(40)의 수용홈(11) 삽입시 이러한 젠더부(40)의 원주방향 배치를 사용자가 특별히 신경 쓰지 않아도 정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에는 젠더부(40)를 수용홈(11)에 삽입시 핀 접점 단자(41)가 전원 접점 단자(21)에 접속하도록 젠더부(40)의 원주방향 배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6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유닛(60)은 자기력을 통해 제2 자성체(42)를 밀어내 젠더부(40)의 원주방향 배치를 가이드 하는 제3 자성체(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자성체(61)는 젠더부(40)의 원주방향 배치가 잘못되었을 때 제2 자성체(42)를 밀어내도록 본체부(10) 또는 연결 유닛(20) 또는 전원 공급부(3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자성체(61)는 제1 자성체(32)와 달리 제2 자성체(42)를 밀어내는 자기력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젠더부(40)의 수용홈(11) 삽입시 삽입 각도가 잘못되어 핀 접점 단자(41)와 전원 접점 단자(21)가 서로 접하지 못할 때 제2 자성체(42)를 밀어냄으로써 젠더부(40)가 소정 각도 회전하며 올바른 각도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 자성체(61)가 제1 자성체(32)에 영향을 끼쳐 전원 공급부(30)가 회전 또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 자성체(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32)와 함께 전원 공급부(3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자성체(61)는 전원 공급부(30)에서 제1 자성체(32)와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만약, 도 5와 같이 제1 자성체(32)가 둘 이상 배치되는 경우 제3 자성체(61)는 제1 자성체(32)와 원주방향으로 교번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자성체(6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접점 단자(41)가 전원 접점 단자(21)에 접하지 못하는 잘못된 각도로 젠더부(40)를 수용홈(11)에 삽입시, 제2 자성체(42)와 근접하게 되어 자기력에 의한 척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2 자성체(42)와 제3 자성체(61) 간에 발생한 척력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42)와 제3 자성체(61)간의 거리가 최대한 멀어지도록 젠더부(4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며, 소정 각도 회전한 젠더부(40)는 핀 접점 단자(41)가 전원 접점 단자(21)에 접할 수 있는 정 방향 각도로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젠더부(40)가 정 방향 각도로 배치되면 제2 자성체(42)와 제1 자성체(32)가 가장 근접하게 배치되는 위치가 되어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인력이 최대로 작용할 수 있는 각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시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핀 접점 단자(41)가 연결 유닛의 전원 접점 단자(21)와 접속하도록 플러그의 원주방향 배치를 회전 가이드 함으로써, 플러그의 콘센트 연결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전원 공급부(30)가 연결 유닛(20)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런데 전원 공급부(30)에는 전원 공급 단자(31)가 구비되며 전원 공급 단자(31)는 전원 공급을 위해 옥내배선 등에 전기적으로 유선 연결되며, 따라서 전원 공급부(3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원 공급 단자(31)와 연결되는 전선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전원 공급부(30)는 고정 설치되고 연결 유닛(20')이 전원 공급부(30')를 향해 원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 연결 유닛(20'), 전원 공급부(30'), 젠더부(40), 이격 유닛(50) 및 가이드 유닛(6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연결 유닛(20')이 본체부의 수용홈(11)에서 깊이 방향(전원 공급부와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전원 공급부(30')가 수용홈(11)에 고정 배치된다는 점이 다를 뿐,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구성의 특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다른 연결 유닛(20') 및 전원 공급부(30') 역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연결 유닛(20) 및 전원 공급부(30)의 특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 또한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와 달리 연결 유닛(20')이 이동하고 전원 공급부(30')가 고정되므로 콘센트가 결합된 젠더부(40)가 수용홈(11)에 삽입 결합하거나 또는 젠더부(40)를 수용홈(11)에서 제거시의 작동이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에서의 작동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와 결합한 젠더부(40)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되는 과정에서 연결 유닛(20)을 가압하면 연결 유닛(20)은 전원 공급부(30)를 향해 이동하여 전원 접점 단자(21)와 전원 공급 단자(31)가 상호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거리가 가까워져 인력이 이격 유닛(60)의 탄성 복원력보다 크게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인력에 의해 전원 접점 단자(21)와 전원 공급 단자(31) 간의 상호 접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핀 접점 단자(41)와 전원 공급 단자(31)가 서로 간에 접속 상태가 유지되고 핀 접점 단자(41)에 결합한 플러그 핀(pi)은 전원 공급 단자(31)로부터 전원을 지속하여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l)와 함께 젠더부(40)가 수용홈(11)으로부터 이탈하면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인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사라져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유닛(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결 유닛(20')이 전원 공급부(30')로부터 최대한 멀게 이동하며 전원 공급 단자(31)와 전원 접점 단자(21) 간에 접속이 해제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부
20: 연결 유닛
21: 전원 접점 단자
30: 전원 공급부
31: 전원 공급 단자
32: 제1 자성체
40: 젠더부
41: 핀 접점 단자
42: 제2 자성체
50: 이격 유닛
60: 가이드 유닛
61: 제3 자성체

Claims (11)

  1. 플러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수용홈을 갖는 본체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고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접속 또는 접속 해제되는 전원 접점 단자를 구비하고 수용홈에서 상기 전원 공급 단자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연결 유닛;
    상기 플러그의 핀이 삽입 결합되어 접속하는 핀 접점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핀 접점 단자가 상기 전원 접점 단자와 접속하도록 상기 수용홈에 삽입 가능한 젠더부;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전원 접점 단자가 접속 해제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연결 유닛을 이격시키는 이격 유닛; 및
    상기 젠더부를 상기 수용홈에 삽입시 상기 핀 접점 단자가 상기 전원 접점 단자에 접속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1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젠더부는 제2 자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젠더부를 상기 수용홈에 삽입하여 상기 젠더부가 상기 연결 유닛에 접근하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간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전원 접점 단자가 서로 간에 접속하고,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간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전원 접점 단자 간의 접속과, 상기 전원 접점 단자와 상기 핀 접점 단자 간의 접속이 유지되며,
    상기 젠더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핀 접점 단자와 상기 전원 접점 단자간의 접속 상태와 상관없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젠더부가 상기 연결 유닛에 접근시, 상기 젠더부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핀 접점 단자가 상기 전원 접점 단자와 접속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연결 유닛과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젠더부가 상기 연결 유닛에 접근하면 상기 자기력에 의해 상기 연결 유닛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접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자기력이 해제되면 상기 이격 유닛에 의해 본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전원 공급부와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젠더부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를 향해 가압되면 상기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접속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자기력이 해제되면 상기 이격 유닛에 의해 본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젠더부에 억지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홈의 입구 둘레부가 모따기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자기력을 통해 상기 제2 자성체를 밀어내 상기 젠더부의 원주방향 배치를 가이드 하는 제3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체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제1 자성체와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유닛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연결 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는 공간으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KR1020210007326A 2021-01-19 2021-01-19 안전 콘센트 KR10248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326A KR102487087B1 (ko) 2021-01-19 2021-01-19 안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326A KR102487087B1 (ko) 2021-01-19 2021-01-19 안전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915A KR20220104915A (ko) 2022-07-26
KR102487087B1 true KR102487087B1 (ko) 2023-01-10

Family

ID=8260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326A KR102487087B1 (ko) 2021-01-19 2021-01-19 안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0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346Y1 (ko) * 1999-12-16 2000-06-15 정욱철 전원 플러그용 소켓
KR200419127Y1 (ko) * 2006-03-23 2006-06-19 박세범 플러그 및 콘센트
KR100636410B1 (ko) * 2006-08-25 2006-10-20 (주)건창기술단 건축물 내부 벽체에 매설된 콘센트용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487B1 (ko) 2001-02-05 2004-03-02 황석훈 커버를 갖는 콘센트
KR101437036B1 (ko) * 2012-11-22 2014-09-01 이예림 전원연결장치
KR101886950B1 (ko) * 2017-01-20 2018-08-08 김재훈 콘센트 커버장치
KR102111689B1 (ko) 2020-02-13 2020-05-15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안전성을 향상시킨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346Y1 (ko) * 1999-12-16 2000-06-15 정욱철 전원 플러그용 소켓
KR200419127Y1 (ko) * 2006-03-23 2006-06-19 박세범 플러그 및 콘센트
KR100636410B1 (ko) * 2006-08-25 2006-10-20 (주)건창기술단 건축물 내부 벽체에 매설된 콘센트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915A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468B1 (en) Electric socket
KR101103028B1 (ko)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의 개량구조
KR101336335B1 (ko)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CN103762472B (zh) 一种多功能插座
US20060094272A1 (en) Plastic gate for electrical outlets
US7070432B1 (en) Safety socket device
KR20020080766A (ko) 자석을 이용한 전원접속기구
CN109565131A (zh) 用于电配线装置的防误触机构
KR20170140125A (ko) 플러그 삽입이 쉬운 콘센트
WO2015072849A1 (en)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components of said connector and a device with such a connector component
KR102487087B1 (ko) 안전 콘센트
CA2840510C (en) Charger with replaceable plug
ES2307853T3 (es) Conectores de una instalacion.
KR101217322B1 (ko) 전원 접속기구
TWI691124B (zh) 磁性電連接器及其接頭
KR20110065800A (ko) 멀티탭 콘센트
GB1445055A (en) Electric socket connectors
JP2009199989A (ja) コンセントの安全回路装置
KR102075242B1 (ko) 돌려서 켜는 전기 콘센트
GB2288287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171822Y1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US10790607B2 (en) Tamper resistant plug-able socket adapter
CN208226212U (zh) 一种连接器
KR100669914B1 (ko) 건축물용 안전콘센트
KR102077542B1 (ko) 콘센트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