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036B1 - 전원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036B1
KR101437036B1 KR1020120133139A KR20120133139A KR101437036B1 KR 101437036 B1 KR101437036 B1 KR 101437036B1 KR 1020120133139 A KR1020120133139 A KR 1020120133139A KR 20120133139 A KR20120133139 A KR 20120133139A KR 101437036 B1 KR101437036 B1 KR 101437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ug
disposed
partition plate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985A (ko
Inventor
이예림
Original Assignee
이예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림 filed Critical 이예림
Priority to KR102012013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0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는, 콘센트에 구비되는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고,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전기기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플러그 및 콘센트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전원연결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제시한다.

Description

전원연결장치 {POWER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전원과 전기기기를 연결하는 전원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연결장치는, 전기기기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며 2개 또는 3개의 막대형상의 단자가 돌출되는 플러그와, 플러그의 일부가 수용되며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전원과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콘센트로 구성되며, 플러그의 단자가 콘센트의 수용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전원이 콘센트 및 플러그를 통하여 전기기기로 인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원연결장치는, 삽입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원연결장치는, 전기기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플러그의 단자가 콘센트의 삽입공으로부터 빠지도록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당겨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비교적 큰 힘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원연결장치는, 플러그의 단자가 막대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플러그의 두께가 비교적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센트에 구비되는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전원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전기기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는 전원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및 콘센트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전원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반경방향으로 내입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부를 가지며 하측면에 제1단자가 마련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가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바닥면에 제2단자가 마련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횡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수용부로 삽입되는 입구가 되는 삽입구와, 상기 제2단자가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플러그의 요홈부와 서로 끼워지는 안내슬롯을 가지는 구획판을 가지는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요홈부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제1부와, 상기 요홈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하측면에 상기 제1단자가 마련되는 제2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의 수용부는, 상기 구획판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제1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구획판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제2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용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센트의 삽입구는, 상기 구획판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제1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구획판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제2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플러그의 제1부는 폭에 비하여 길이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의 폭은 상기 제1부의 길이에 비하여 작고 제1부의 폭에 비하여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의 제2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부의 폭은 상기 플러그의 제2부의 직경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단자는 상기 플러그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콘센트의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제2단자의 일측 및 상기 제2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제1단자의 일측은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용부의 주변에는,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서로 접촉될 때의 상기 플러그의 회전위치 및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서로 이격될 때의 상기 플러그의 회전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상기 제1단자 또는 상기 제2단자 중 하나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돌출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제1단자 또는 상기 제2단자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돌출단자 사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돌출단자 사이에는 상기 제1단자 또는 상기 제2단자 중 다른 하나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상기 플러그에는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상기 플러그에는 전기기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접속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제1단자를 가지는 플러그가 수용되며 제2단자가 마련되는 콘센트의 수용부의 내부에 제2단자가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는 구획판이 배치됨으로써, 구획판에 의하여 제2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플러그가 콘센트의 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플러그를 회전시키면서, 제1단자가 제2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제1단자와 제2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의 막대형상의 단자를 콘센트의 삽입공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전원을 연결하고 막대형상의 단자를 삽입공으로부터 뽑아내는 방식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종래의 전원연결장치와 비교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전원을 연결하거나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제1단자의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2단자의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제1단자와 제2단자가 면접촉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의 막대형상의 단자가 콘센트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종래의 전원연결장치와 비교하여, 플러그의 두께 및 콘센트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플러그의 측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콘센트와, 콘센트에 플러그가 연결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콘센트와,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플러그에 구비되는 제1단자와 콘센트에 구비되는 제2단자가 접촉되는 동작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플러그에 구비되는 제1단자와 콘센트에 구비되는 제2단자가 접촉되는 동작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플러그에 구비되는 제1단자와 콘센트에 구비되는 제2단자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플러그에 구비되는 제1단자와 콘센트에 구비되는 제2단자가 접촉되는 동작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1은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플러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전자기기(미도시)와 제1케이블(1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30)와, 전원(미도시)과 제2케이블(2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30)의 하측면(321)에는 제1단자(T1)가 마련된다. 제1단자(T1)는 제1케이블(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단자(T1)는 플러그(30)의 하측면(321)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자(T1)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종류가, 2상교류인 경우에 2개의 제1단자(T1)가 마련될 수 있으며, 3상교류인 경우에는 3개의 제1단자(T1)가 마련될 수 있다.
플러그(30)의 상하방향으로의 대략 중간이 부위에는 플러그(30)의 반경방향으로 내입되며 플러그(3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부(33)가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30)는, 요홈부(33)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제1부(31)와, 요홈부(33)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2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부(31)에는 제1케이블(10)이 연결되며, 제2부(32)의 하측면(321)에는 제1단자(T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부(31)는 사용자가 플러그(30)를 조작할 때, 손잡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콘센트(40)는, 플러그(30)가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바닥면(415)에 제2단자(T2)가 마련되는 수용부(41)와, 수용부(41)와 연통되고 콘센트(40)의 횡방향으로 개방되며 플러그(30)가 수용부(41)로 삽입되는 입구가 되는 삽입구(42)와, 제2단자(T2)가 배치되는 영역(T)을 커버하도록 수용부(41)의 내부를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삽입구(42)와 연통되는 안내슬롯(431)을 가지는 구획판(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41), 삽입구(42) 및 구획판(43)는 콘센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단자(T2)는 제2케이블(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단자(T1)는 제1단자(T1)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단자(T1) 및 제2단자(T2)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제2단자(T2)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제1단자(T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고, 복수의 제2단자(T2) 사이의 각도는 복수의 제1단자(T1) 사이의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제2단자(T2)는 제1단자(T1)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단자(T2)는 수용부(41)의 바닥면(415)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단자(T1)와 제2단자(T2)는 면접촉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러그의 막대형상의 단자가 콘센트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종래의 전원연결장치와 비교하여, 플러그(30)의 두께 및 콘센트(4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41)는 플러그(30)가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41)는 구획판(43)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된다. 따라서, 수용부(41)는, 구획판(43)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플러그(30)의 제1부(31)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411)와, 구획판(43)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며 플러그(30)의 제2부(32)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부(411) 및 제2수용부(412)는 내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부(411)는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제2수용부(412)의 바닥면(415)에는 제2단자(T2)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42)는 콘센트(40)의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개방된다. 즉, 삽입구(42)는 수용부(41)가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개방된다. 삽입구(42)는, 구획판(43)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제1삽입부(421)와, 구획판(43)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2삽입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삽입부(421)로는 플러그(30)의 제1부(31)가 삽입되며, 제2삽입부(422)로는 플러그(30)의 제2부(32)가 삽입될 수 있다.
구획판(43)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부(41)의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획판(43)은 수용부(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43)은 제2단자(T2)가 배치되는 영역(T)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제2단자(T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제2단자(T2)가 구획판(43)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감전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안내슬롯(431)은 플러그(30)가 삽입구(42)를 통하여 수용부(41)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플러그(30)를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안내슬롯(431)은 플러그(30)의 요홈부(33)의 내경(D1)과 대응되는 내경(D2)을 가진다. 즉, 안내슬롯(30)의 내경(D2)은 요홈부(33)의 내경(D1)에 비하여 약간 크게 설정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로 삽입될 때, 요홈부(33)와 안내슬롯(30)이 서로 끼워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0)는, 요홈부(33)와 안내슬롯(431)이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수용부(41)의 중심수직축(Z)과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된 때에는, 구획판(43)의 안내슬롯(30)에 요홈부(33)가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플러그(30)가 수용부(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0)의 제1부(31)는 폭(W1)에 비하여 길이(L)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부(31)가 제1삽입부(421)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삽입부(421)의 폭(W2)은 제1부(31)의 길이(L)에 비하여 작고 제1부(31)의 폭(W1)에 비하여 약간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부(31)는 제1부(31)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제1삽입부(421)로 삽입될 수 있다. 제1부(31)는 폭(W1)에 비하여 길이(L)가 크게 형성되므로, 제1부(31)가 제1수용부(411)의 내부에 수용된 후,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제1부(31)가 제1삽입부(421)로부터 임의대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제1부(31)가 폭(W1)에 비하여 길이(L)가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부(31)의 폭방향으로의 양단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플러그(30)를 파지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부(31)의 길이(L)는 제1수용부(411)의 내경(D3)에 비하여 약간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된 경우, 제1부(31)가 제1수용부(411)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제1부(31)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단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수용부(41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서 회전될 때, 제1부(31)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단이 원통형상의 제1수용부(411)의 내면에 안내되면서, 플러그(3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콘센트(40)에는, 수용부(41)의 주변에, 제1단자(T1)와 제2단자(T2)가 서로 접촉될 때의 플러그(30)의 회전위치 및 제1단자(T1)와 제2단자(T2)가 서로 이격될 때의 플러그(30)의 회전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위치표시부(50)는, 예를 들면, 수용부(41)의 주변에 소정의 각도의 간격을 두고 표시되는 ON표지 및 OFF표지가 될 수 있다. 위치표시부(50)는 마크, 돌기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부(31)에는 위치표시부(50)와 대응되는 별도의 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부(31)가 폭(W1)에 비하여 길이(L)가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부(31)의 길이방향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통하여 사용자가 플러그(30)의 회전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1부(31)에 위치표시부(50)와 대응되는 표시부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41)에는 플러그(3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41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회전제한부(413)는 제1수용부(41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부(31)의 측면이 회전제한부(413)에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플러그(3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회전제한부(413)에 의하여 플러그(30)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서 임의대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연결상태에서, 제1단자(T1)가 제2단자(T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회전제한부(413)가 삽입구(42)의 주변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플러그(30)가 삽입구(42)로 삽입될 때 플러그(30)의 측면이 회전제한부(413)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회전제한부(413)가 플러그(30)의 삽입구(42)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부(32)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삽입부(422)의 폭은 제2부(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부(32)의 직경에 비하여 약간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수용부(412)는 제2부(32)는 원판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될 때, 제2부(32)의 외면이 원통형상의 제2수용부(412)의 내면에 안내되면서, 플러그(3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와 접촉되는 방향(도 7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플러그(30)가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에 접촉된 후 제2단자(T1)의 상면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제1단자(T1)와 마주보는 제2단자(T2)의 일측(T21) 및 제2단자(T2)와 마주보는 제1단자(T1)의 일측(T11)은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플러그(30)가 회전될 때,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의 경사면(T21)을 따라 상승하면서 제2단자(T2)의 상면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43)의 하측면(432)과 제2수용부(412)의 바닥면(415) 사이의 높이(H1)는, 제2부(32)의 하측면(321)과 상측면(322) 사이의 높이(H2), 제1단자(T1)의 높이(H3) 및 제2단자(T2)의 높이(H4)를 합한 것과 일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의 상면에 위치될 때, 제2부(32)의 상측면(322)이 구획판(43)의 하측면(432)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제1단자(T1)와 제2단자(T2) 사이의 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플러그(30)가 임의대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요홈부(33)가 구획판(43)의 안내슬롯(431)에 끼워지고, 제1부(31)가 제1삽입부(421)에 삽입되고, 제2부(32)가 제2삽입부(42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플러그(30)가 콘센트(40)의 측면에서 횡방향으로 삽입구(42)로 삽입되어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요홈부(33)는 안내슬롯(431)에 끼워지고, 제1부(31)가 제1수용부(411) 내에 수용되고, 제2부(32)가 제2수용부(412) 내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플러그(30)가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와 접촉되는 방향(도 3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상에 위치되면서, 제1단자(T1)가 제2단자(T2)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자(T1)가 제2단자(T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3에서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플러그(30)가 회전되면 제1단자(T1)가 제2단자(T2)로부터 이격되면서 제1단자(T1)와 제2단자(T2)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제1단자(T1)를 가지는 플러그(30)가 수용되며 제2단자(T2)가 마련되는 콘센트(40)의 수용부(41)의 내부에 제2단자(T2)가 배치되는 영역(T)을 커버하는 구획판(43)이 배치되며, 이에 따라, 구획판(43)에 의하여 제2단자(T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플러그(30)가 콘센트(40)의 수용부(41)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플러그(30)를 회전시키면서, 제1단자(T1)가 제2단자(T2)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제1단자(T1)와 제2단자(T2)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의 막대형상의 단자를 콘센트의 삽입공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전원을 연결하고 막대형상의 단자를 삽입공으로부터 뽑아내는 방식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종래의 전원연결장치와 비교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전원을 연결하거나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제1단자(T1)의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2단자(T2)의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제1단자(T1)와 제2단자(T2)가 면접촉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의 막대형상의 단자가 콘센트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종래의 전원연결장치와 비교하여, 플러그(30)의 두께 및 콘센트(4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제2단자(T2)는 수용부(41)의 바닥면(415)으로부터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돌출단자(T3)로 구성되고, 제1단자(T1)는 한 쌍의 돌출단자(T3) 사이에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플러그(30)의 하측면(321)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서 회전될 때, 제1단자(T1)는 한 쌍의 돌출단자(T3) 사이에 밀착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돌출단자(T3)의 사이에는 제1단자(T1)의 한 쌍의 돌출단자(T3) 사이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T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돌출단자(T3) 사이의 경사면(T4)은 제1단자(T1)가 한 쌍의 돌출단자(T)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사면(T4)는 제1실시예에서 제시한 경사면(T11, T21)의 기능(도 8 참조)과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2단자(T2)가 한 쌍의 돌출단자로 이루어지므로, 제1단자(T1)와 제2단자(T2)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는 제2단자(T2)가 한 쌍의 돌출단자(T3)로 구성되고, 제1단자(T1)가 한 쌍의 돌출단자(T3)에 삽입되는 구성에 대하여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단자(T1)이 한 쌍의 돌출단자(T3)으로 구성되고 제2단자(T2)가 한 쌍의 돌출단자(T3) 사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플러그(30)는 전기기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전기기기와 제1케이블(10)을 통하여 연결되는 종래의 접속플러그(70)과 연결되는 어댑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플러그(30)에는 접속플러그(70)에 구비되는 막대형상의 접속단자(71)가 삽입되는 삽입공(39)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접속플러그(70)의 접속단자(71)는 삽입공(39)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1단자(T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30)를 종래의 접속플러그(70)의 접속단자(71)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전자기기의 접속플러그(70)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30)로 교체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와 동일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30: 플러그 33: 요홈부
40: 콘센트 41: 수용부
42: 삽입구 43: 구획판
T1: 제1단자 T2: 제2단자

Claims (13)

  1. 삭제
  2. 반경방향으로 내입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부를 가지며 하측면에 제1단자가 마련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가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바닥면에 제2단자가 마련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횡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수용부로 삽입되는 입구가 되는 삽입구와, 상기 제2단자가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플러그의 요홈부와 서로 끼워지는 안내슬롯을 가지는 구획판을 가지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요홈부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제1부와, 상기 요홈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하측면에 상기 제1단자가 마련되는 제2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의 수용부는, 상기 구획판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제1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구획판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제2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삽입구는, 상기 구획판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제1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구획판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제2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제1부는 폭에 비하여 길이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의 폭은 상기 제1부의 길이에 비하여 작고 제1부의 폭에 비하여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제2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부의 폭은 상기 플러그의 제2부의 직경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7. 반경방향으로 내입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부를 가지며 하측면에 제1단자가 마련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가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바닥면에 제2단자가 마련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횡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수용부로 삽입되는 입구가 되는 삽입구와, 상기 제2단자가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플러그의 요홈부와 서로 끼워지는 안내슬롯을 가지는 구획판을 가지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자는 상기 플러그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콘센트의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제2단자의 일측 및 상기 제2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제1단자의 일측은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9. 반경방향으로 내입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부를 가지며 하측면에 제1단자가 마련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가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바닥면에 제2단자가 마련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횡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수용부로 삽입되는 입구가 되는 삽입구와, 상기 제2단자가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플러그의 요홈부와 서로 끼워지는 안내슬롯을 가지는 구획판을 가지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에는,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서로 접촉될 때의 상기 플러그의 회전위치 및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서로 이격될 때의 상기 플러그의 회전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10. 반경방향으로 내입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부를 가지며 하측면에 제1단자가 마련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가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바닥면에 제2단자가 마련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횡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수용부로 삽입되는 입구가 되는 삽입구와, 상기 제2단자가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플러그의 요홈부와 서로 끼워지는 안내슬롯을 가지는 구획판을 가지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자 또는 상기 제2단자 중 하나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돌출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제1단자 또는 상기 제2단자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돌출단자 사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단자 사이에는 상기 제1단자 또는 상기 제2단자 중 다른 하나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20133139A 2012-11-22 2012-11-22 전원연결장치 KR101437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39A KR101437036B1 (ko) 2012-11-22 2012-11-22 전원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39A KR101437036B1 (ko) 2012-11-22 2012-11-22 전원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85A KR20140065985A (ko) 2014-05-30
KR101437036B1 true KR101437036B1 (ko) 2014-09-01

Family

ID=5089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139A KR101437036B1 (ko) 2012-11-22 2012-11-22 전원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87B1 (ko) * 2021-01-19 2023-01-10 주식회사 와트로직 안전 콘센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207A (ko) * 1998-08-27 2000-03-15 문상우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KR200214710Y1 (ko) 2000-09-05 2001-02-15 최상국 감전을 방지하는 콘센트와 플러그
KR20100000723U (ko) * 2009-11-17 2010-01-22 이원모 회전식 온오프플러그
KR20110080111A (ko) * 2010-01-04 2011-07-12 탁도윤 회전식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207A (ko) * 1998-08-27 2000-03-15 문상우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KR200214710Y1 (ko) 2000-09-05 2001-02-15 최상국 감전을 방지하는 콘센트와 플러그
KR20100000723U (ko) * 2009-11-17 2010-01-22 이원모 회전식 온오프플러그
KR20110080111A (ko) * 2010-01-04 2011-07-12 탁도윤 회전식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85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7282B2 (ja) 電力コネクタシステム
US9493083B1 (en) Electrical plug adapter
US20150318639A1 (en) Lever-type connector
EP3166187B1 (en) Adaptable electrical plug assembly
EP2520457A2 (en) Power feeding control device
CN102437485B (zh) 安全防护插座
KR101403889B1 (ko) 전원어댑터플러그
US8460016B2 (en) Socket and power adapter employing same
CN104584336A (zh) 容易分离插头的插座单元以及利用该插座单元的多功能插座装置
KR101437036B1 (ko) 전원연결장치
CN107069351B (zh) 适配器
KR101435154B1 (ko) 전원연결장치
CN102832649A (zh) 具电池快拆功能的电源供应器
TWM519836U (zh) 電連接器裝置及電連接器系統
KR101478044B1 (ko) 전원연결장치
US10790607B2 (en) Tamper resistant plug-able socket adapter
KR101132892B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
JP5888507B2 (ja) コンセント
JP2010055896A (ja) コンセント、プラグ及び配線装置
KR101435142B1 (ko) 전원연결장치
KR200483856Y1 (ko) 콘센트장치
KR20180092343A (ko) 더미 플러그를 갖는 콘센트 직접 고정형 멀티탭
KR20140126595A (ko) 어댑터식 전원연결장치
TWI438978B (zh) 插座
WO2024051745A1 (zh) 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