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892B1 -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 - Google Patents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892B1
KR101132892B1 KR1020110000817A KR20110000817A KR101132892B1 KR 101132892 B1 KR101132892 B1 KR 101132892B1 KR 1020110000817 A KR1020110000817 A KR 1020110000817A KR 20110000817 A KR20110000817 A KR 20110000817A KR 101132892 B1 KR101132892 B1 KR 101132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case
eas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운학
Original Assignee
박운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운학 filed Critical 박운학
Priority to KR102011000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접속단자가 구비된 하부케이스; 접속구가 형성된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에서 상부로 돌출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요입부가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위치한 복수의 탈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요입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판 형상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구비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탈거부재에 접촉되어 상하이동되는 누름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에 따르면, 콘센트 및 콘센트에 결합되는 어댑터를 이루는 상부케이스에 복수의 탈거부재를 회전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탈거부재의 상부로 상하 이동되는 누름케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누름케이스를 눌러줌으로써 이와 접촉된 탈거부재의 가압에 의해 플러그가 콘센트 및 어댑터로부터 쉽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Consent to be capable of separating easily a plug from it and adapter thereof}
본 발명은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 및 콘센트에 결합되는 어탭터를 이루는 케이스에 복수의 탈거부재를 회전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탈거부재의 가압에 의해 플러그가 콘센트 및 어댑터로부터 쉽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20)는 각종 전기기구를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의 일종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요입부(25)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3)와 상기 상부케이스(23)의 하부로 체결되는 하부케이스(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입부(25)에는 각종 전기기구에 연결된 플러그(30)의 접속봉(31)이 삽입되는 접속구(2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1)의 내측에는 상기 플러그(30)의 접속봉(31)과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플러그(30)의 손잡이(35)를 잡고 접속봉(31)을 콘센트(20)의 접속구멍(21)으로 삽입하면, 상기 접속봉(31)은 접속구멍(21) 하부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면서 전원을 연결하게 되는바, 이와 같은 접속상태는 감전예방 또는 플러그(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당한 긴밀성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기기구의 사용 후 플러그(30)를 콘센트(2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고 있다.
통상 플러그(30)를 콘센트(2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한 손으로 콘센트(2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러그(30)를 잡아 힘껏 잡아당겨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접속봉(31)과 접속단자가 긴밀성을 유지하므로 분리하기가 쉽지 않으며, 특히 주부들의 경우 자칫 물에 젖은 손으로 콘센트(20)로부터 플러그(30)를 분리하다가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센트 및 콘센트에 결합되는 어댑터를 이루는 상부케이스에 복수의 탈거부재를 회전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탈거부재의 상부로 상하 이동되는 누름케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누름케이스를 눌러줌으로써 이와 접촉된 탈거부재의 가압에 의해 플러그가 콘센트 및 어댑터로부터 쉽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는, 접속단자가 구비된 하부케이스; 접속구가 형성된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에서 상부로 돌출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요입부가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위치한 복수의 탈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요입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판 형상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구비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탈거부재에 접촉되어 상하이동되는 누름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걸림탭부가 연장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제1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는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탭부가 연장구비되어 상기 상판부와 상기 가압탭부 사이에 제2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탭부는 상기 제1오목부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탭부는 상기 제2오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폭 방향으로 장공홈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탈거부재는 상기 장공홈 사이에 회전 중심축이 수평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탭부는 상기 탈거부재의 타측단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탈거부재의 일측단에는 탈거탭부가 절곡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에는 내측에 하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에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는, 복수의 접속봉이 결합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제1자성체가 구비된 회전부로 이루어진 플러그 및 상부에 상기 접속봉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접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자성체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콘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내측면에는 돌기부가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의 하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부보다 상부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는 동일한 극성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에 접촉된 거치봉이 하부로 연장 구비된 하부케이스; 접속구가 형성된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에서 상부로 돌출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요입부가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위치한 복수의 탈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요입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판 형상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구비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탈거부재에 접촉되어 상하이동되는 누름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걸림탭부가 연장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제1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는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탭부가 연장구비되어 상기 상판부와 상기 가압탭부 사이에 제2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탭부는 상기 제1오목부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탭부는 상기 제2오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폭 방향으로 장공홈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탈거부재는 상기 장공홈 사이에 회전 중심축이 수평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탭부는 상기 탈거부재의 타측단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탈거부재의 일측단에는 탈거탭부가 절곡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에는 내측에 하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에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에 따르면, 콘센트 및 콘센트에 결합되는 어댑터를 이루는 상부케이스에 복수의 탈거부재를 회전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탈거부재의 상부로 상하 이동되는 누름케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누름케이스를 눌러줌으로써 이와 접촉된 탈거부재의 가압에 의해 플러그가 콘센트 및 어댑터로부터 쉽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센트 및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에서 하나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의 A-A'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에 플러그를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의 B-B'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의 사용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에 플러그를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로부터 플러그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예에 사용되는 플러그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예에서 콘센트에 플러그를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예에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에서 하나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의 A-A'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에서 가로방향을 '폭 방향'이라 하고, 폭 방향으로 요입부(135)를 향하는 방향을 '폭 방향 내측'이라 하고, 요입부(1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폭 방향 외측'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115)가 구비된 하부케이스(110)와, 접속구(137)가 형성되고 탈거부재(139)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케이스(130)와, 상기 상부케이스(1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30)에 이탈되지 않게 결합되어 상기 탈거부재(139)에 접촉되면서 상하 이동되는 누름케이스(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케이스(130)는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상면에 결합된 베이스판부(131)와, 상기 베이스판부(131)에서 상부로 돌출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요입부(135)가 형성된 가이드부(132)와, 상기 가이드부(132)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탈거부재(1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132)는 상기 베이스판부(131)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 구비되며, 중앙부에 원통 형상의 요입부(13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32)의 단부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걸림탭부(134)가 연장구비되며, 상기 걸림탭부(134)의 하부로 상기 가이드부(132)의 외측에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제1오목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탭부(134)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제1오목부(133)에 상기 가이드부(132)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홈(1311)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홈(1311)은 상기 가이드부(132)의 외측인 제1오목부(133)와 내측인 요입부(135) 사이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32)에는 상기 장공홈(1311)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장공홈(1311)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거부재(139)는 힌지부(1391)에 의해 상기 장공홈(1311)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힌지부(1391)는 회전 중심축이 되며 수평이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탈거부재(139)는 복수의 장공홈(1311) 중에 서로 마주보는 장공홈(1311)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복수의 장공홈(1311)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탈거부재(139)의 일측단에는 탈거탭부(1395)가 절곡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케이스(170)는 상기 요입부(135)와 연통되는 관통공(171)이 대략의 중앙부에 형성된 상판부(172)와, 상기 상판부(172)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구비된 연장부(176)와, 상기 연장부(176)의 단부에서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 구비된 가압탭부(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부(172)는 판 형상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30)의 상부에 구비되며 특히, 상기 가이드부(132)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176)는 상기 상판부(172)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구비되며, 상기 연장부(176)의 단부에서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탭부(173)가 연장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가 복수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멀티콘센트인 경우, 상기 상판부(172)를 사각형상으로 구비하였다면, 상기 연장부(176)는 상기 상판부(172)의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및 우측에서 하부로 각각 연장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각각의 상판부(172)에서 인접하는 측면에서의 연장부(176)는 생략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176)는 적어도 상판부(172)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서 하부로 연장 구비되면 된다. 즉, 상기 연장부(172)는 상판부(172)에서의 전방 측과 후방 측 또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서 복수의 누름케이스(170)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가 하나의 플러그만을 삽입할 수 있는 단일콘센트인 경우, 상기 상판부(172)를 사각형상으로 구비하였다면, 상기 연장부(176)는 상기 상판부(172)의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및 우측에서 하부로 각각 연장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상판부(172)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인 전방 측과 후방 측 또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서 상기 상판부(172)는 상기 가이드부(132)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가능하면 상기 가이드부(132)의 상면을 전부 덮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00)가 보이지 않는 장소에 위치된 경우라도 상기 상판부(172)의 어느 부분을 가압하던지 상관없이 상기 누름케이스(170)를 하부로 이동시킬 수가 있고, 상기 상판부(172)를 가압할 시 가압력이 분산되어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누름케이스(170)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172)와 상기 가압탭부(173) 사이에는 축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제2오목부(175)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케이스(170)가 상기 상부케이스(130)에 결합될 시 가압탭부(173)는 상기 제1오목부(133)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탭부(134)는 상기 제2오목부(175)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압탭부(173)의 단부 및 상기 걸림탭부(134)의 단부와 각각 상기 제1오목부(133) 및 제2오목부(175) 사이의 틈새는 각각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누름케이스(170)가 상기 상부케이스(130)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될 시 일측으로 기울여지지 않고 거의 수직에 가깝게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특히, 누름케이스(170)를 하부로 이동시킬 시 상판부(172)의 상면 어느 부분을 가압하더라도, 상기 누름케이스(170)는 일측으로 기울여지지 않고 거의 수직에 가깝게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누름케이스(170)가 상기 상부케이스(130)에 결합될 시 상기 가압탭부(173)는 상기 탈거부재(139)의 타측에 접촉된다.
그래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케이스(170)를 상기 상부케이스(130)에 결합하여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가압탭부(173)가 상기 탈거부재(139)를 가압하게 되며, 상기 탈거부재(139)는 힌지축(139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탈거부재(139)는 복수로 구비되므로, 복수의 탈거부재(139)는 상기 가압탭부(173)에 동시에 접촉된 상태가 되며, 상기 가압탭부(173)의 가압력에 의해 복수의 탈거부재(139)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누름케이스(170)가 상기 상부케이스(130)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더라도, 가압탭부(173)가 제1오목부(133)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탭부(134)가 상기 제2오목무(175)에 위치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누름케이스(170)는 상기 상부케이스(13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판부(172)에는 내측에 하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부(1711)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711)에는 자성체(210)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체(210)는 자석 또는 자력을 받아 자석의 성질을 띠는 물체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에 플러그를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100)가 이루어지면, 먼저,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플러그(300)를 상기 콘센트(100)에 삽입시킨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300)의 손잡이(330) 단부에 자성체(350)를 구비하면, 상기 상판부(172)에 구비된 자성체(210)와 상기 손잡이(330)에 구비된 자성체(350)가 서로 끌어당기려는 힘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300)를 상기 콘센트(100)에 삽입시킬 시 주변이 어둡더라도 자력에 의해 상기 콘센트(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관통공(171)을 거쳐 상기 요입부(135)로 삽입시킬 수가 있다.
아울러, 상기 상판부(172)에 형성된 경사부(1711)에 의해서도 상기 플러그(300)가 상기 요입부(135)로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300)의 접속봉(310)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접속단자(115)에 접속되도록 하여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탈거부재(139)의 탈거탭부(1395)는 상기 플러그(300) 손잡이(330)에 접촉된 상태가 되고, 탈거부재(139)의 타측단은 상기 탈거탭부(1395)보다 높게 위치하면서 상기 가압탭부(173)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상기 누름케이스(170)는 상부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전기기기의 사용을 마친 후 상기 콘센트(100)로부터 상기 플러그(300)를 분리하고자 할 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케이스(170)의 상판부(172)를 가압한다.
상기 상판부(172)가 판 형상이고, 상기 가압탭부(173)의 단부 및 상기 걸림탭부(134)의 단부와 각각 상기 제1오목부(133) 및 제2오목부(175) 사이의 틈새는 각각 최소가 되도록 구비되므로, 상판부(172)의 상면 어느 부분을 가압하더라도 상기 누름케이스(170)는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에 가깝게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누름케이스(170)의 가압탭부(173)가 상기 탈거부재(139)의 타단부에 동시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판부(172)를 가압할 때 복수의 탈거부재(139)로 동시에 가압력이 작용하여 상기 플러그(300)를 들어올리는 힘이 분산되므로, 상기 누름케이스(170)를 가압하는 힘이 적게 든다.
이어서,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탭부(173)에 접촉된 탈거부재(139)는 상기 힌지부(1391)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탈거부재(139)의 일단부에 구비된 상기 탈거탭부(1395)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탈거탭부(1395)는 상기 플러그(300)의 손잡이(330)에 접촉되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플러그(300)의 하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어 상기 플러그(300)의 접속봉(310)은 접속단자(115)로부터 빠지게 된다.
상기 탈거부재(139)는 가이드부(132)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30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려질 때 플러그(300)가 한쪽으로 치우쳐지지 않으면서 빠질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콘센트(100)에 꽂혀 있는 플러그(300)를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의 B-B'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의 사용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5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515)와, 상기 접속단자(515)에 접촉된 거치봉(590)이 하부로 연장 구비된 하부케이스(510)와, 접속구(537)가 형성되고 탈거부재(539)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51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케이스(530)와, 상기 상부케이스(5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530)에 이탈되지 않게 결합되어 상기 탈거부재(539)에 접촉되면서 상하 이동되는 누름케이스(5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봉(590)은 상기 하부케이스(510)를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상부케이스(530)는 상기 하부케이스(510)의 상면에 결합된 베이스판부(531)와, 상기 베이스판부(531)에서 상부로 돌출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요입부(535)가 형성된 가이드부(532)와, 상기 가이드부(532)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탈거부재(5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532)는 상기 베이스판부(531)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 구비되며, 중앙부에 원통 형상의 요입부(53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532)의 단부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걸림탭부(534)가 연장구비되며, 상기 걸림탭부(534)의 하부로 상기 가이드부(532)의 외측에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제1오목부(53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탭부(534)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제1오목부(533)에 상기 가이드부(532)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홈(5311)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홈(5311)은 상기 가이드부(532)의 외측인 제1오목부(533)와 내측인 요입부(535) 사이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532)에는 상기 장공홈(5311)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장공홈(5311)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거부재(539)는 힌지부(5391)에 의해 상기 장공홈(5311)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힌지부(5391)는 회전 중심축이 되며 수평이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탈거부재(539)는 복수의 장공홈(5311) 중에 서로 마주보는 장공홈(5311)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복수의 장공홈(5311)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탈거부재(539)의 일측단에는 탈거탭부(5395)가 절곡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케이스(570)는 상기 요입부(535)와 연통되는 관통공(571)이 대략의 중앙부에 형성된 상판부(572)와, 상기 상판부(572)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구비된 연장부(576)와, 상기 연장부(576)의 단부에서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 구비된 가압탭부(5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부(572)는 판 형상으로 상기 상부케이스(530)의 상부에 구비되며 특히, 상기 가이드부(532)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576)는 상기 상판부(572)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구비되며, 상기 연장부(576)의 단부에서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탭부(573)가 연장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가 하나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단일어댑터인 경우, 상기 상판부(572)를 사각형상으로 구비하였다면, 상기 연장부(576)는 상기 상판부(572)의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및 우측에서 하부로 각각 연장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상판부(572)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인 전방 측과 후방 측 또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572)와 상기 가압탭부(573) 사이에는 축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제2오목부(575)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케이스(570)가 상기 상부케이스(530)에 결합될 시 가압탭부(573)는 상기 제1오목부(533)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탭부(534)는 상기 제2오목부(575)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압탭부(573)의 단부 및 상기 걸림탭부(534)의 단부와 각각 상기 제1오목부(533) 및 제2오목부(575) 사이의 틈새는 각각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누름케이스(570)가 상기 상부케이스(530)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될 시 일측으로 기울여지지 않고 거의 수직에 가깝게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특히, 누름케이스(570)를 하부로 이동시킬 시 상판부(572)의 상면 어느 부분을 가압하더라도, 상기 누름케이스(570)는 일측으로 기울여지지 않고 거의 수직에 가깝게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누름케이스(570)가 상기 상부케이스(530)에 결합될 시 상기 가압탭부(573)는 상기 탈거부재(539)의 타측에 접촉된다.
그래서, 상기 누름케이스(570)를 상기 상부케이스(530)에 결합하여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가압탭부(573)가 상기 탈거부재(539)를 가압하게 되며, 상기 탈거부재(539)는 힌지축(539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탈거부재(539)는 복수로 구비되므로, 복수의 탈거부재(539)는 상기 가압탭부(573)에 동시에 접촉된 상태가 되며, 상기 가압탭부(573)의 가압력에 의해 복수의 탈거부재(539)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누름케이스(570)가 상기 상부케이스(530)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더라도, 가압탭부(573)가 제1오목부(533)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탭부(534)가 상기 제2오목무(575)에 위치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누름케이스(570)는 상기 상부케이스(53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판부(572)에는 내측에 하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부(5711)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5711)에는 자성체(210)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체(210)는 자석 또는 자력을 받아 자석의 성질을 띠는 물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500)가 이루어지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510)로 돌출 구비된 거치봉(590)을 종래의 콘센트(700)의 접속구멍으로 삽입하여 상기 거치봉(590)이 접속구멍 하부의 접속단자(715)와 접속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500)와 종래의 콘센트(70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에 플러그를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로부터 플러그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500)가 종래의 콘센트(700)에 결합되면, 먼저,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플러그(300)를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500)에 삽입시킨다.
이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300)의 손잡이(330) 단부에 자성체(350)를 구비하면, 상기 상판부(572)에 구비된 자성체(210)와 상기 손잡이(330)에 구비된 자성체(350)가 서로 끌어당기려는 힘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300)를 상기 어댑터(500)에 삽입시킬 시 주변이 어둡더라도 자력에 의해 상기 어댑터(5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관통공(571)을 거쳐 상기 요입부(535)로 삽입시킬 수가 있다.
아울러, 상기 상판부(572)에 형성된 경사부(5711)에 의해서도 상기 플러그(300)가 상기 요입부(535)로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300)의 접속봉(310)이 상기 하부케이스(510)의 접속단자(515)에 접속되도록 하여 상기 종래의 콘센트(700)의 접속단자(715)로부터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탈거부재(539)의 탈거탭부(5395)는 상기 플러그(300) 손잡이(330)에 접촉된 상태가 되고, 탈거부재(539)의 타측단은 상기 탈거탭부(5395)보다 높게 위치하면서 상기 가압탭부(573)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상기 누름케이스(570)는 상부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전기기기의 사용을 마친 후 상기 어댑터(500)로부터 상기 플러그(300)를 분리하고자 할 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케이스(570)의 상판부(572)를 가압한다.
상기 상판부(572)가 판 형상이고, 상기 가압탭부(573)의 단부 및 상기 걸림탭부(534)의 단부와 각각 상기 제1오목부(533) 및 제2오목부(575) 사이의 틈새는 각각 최소가 되도록 구비되므로, 상판부(572)의 상면 어느 부분을 가압하더라도 상기 누름케이스(570)는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에 가깝게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누름케이스(570)의 가압탭부(573)가 상기 탈거부재(539)의 타단부에 동시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판부(572)를 가압할 때 복수의 탈거부재(539)로 동시에 가압력이 작용하여 상기 플러그(300)를 들어올리는 힘이 분산되므로, 상기 누름케이스(570)를 가압하는 힘이 적게 든다.
이어서,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탭부(573)에 접촉된 탈거부재(539)는 상기 힌지부(5391)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탈거부재(539)의 일단부에 구비된 상기 탈거탭부(5395)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탈거탭부(5395)는 상기 플러그(300)의 손잡이(330)에 접촉되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플러그(300)의 하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어 상기 플러그(300)의 접속봉(310)은 접속단자(515)로부터 빠지게 된다.
상기 탈거부재(539)는 가이드부(532)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30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려질 때 플러그(300)가 한쪽으로 치우쳐지지 않으면서 빠질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어댑터(500)에 꽂혀 있는 플러그(300)를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500)에서 플러그(3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500)를 종래의 콘센트(700)에 항시 연결하여 사용한다면, 이는 상기 종래의 콘센트(700)로부터 플러그(3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효과가 나타날 수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예에 사용되는 플러그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예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속봉(830)이 결합된 손잡이부(810)와, 상기 손잡이부(81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제1자성체(870)가 구비된 회전부(850)로 이루어진 플러그(800)와, 상부에 상기 접속봉(8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접속구(9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자성체(87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자성체(9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콘센트(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800)의 손잡이부(810)에는 외측면에 가이드홈부(81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부(815)는 내측으로 오목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손잡이부(810)의 평면상에서 0°내지 180°범위 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850)의 내측면에는 돌기부(855)가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850)를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부(855)는 상기 가이드홈부(815)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부(815)를 따라 왕복 이동된다.
상기 회전부(850)의 하단부는 상기 손잡이부(810)의 하단부보다 상부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자성체(870)는 상기 회전부(850)의 하단부에서 하부로 돌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자성체(870)의 단부는 상기 손잡이부(810)의 하단부보다 상부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자성체(870)는 자석일 수 있으며, 하나로 구비되거나 또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자성체(870)는 하나로 구비될 경우, 'N'극 또는 'S'극 중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개가 이격되어 구비될 경우 하나의 제1자성체(870)가 'N'극 이라면 다른 하나는 'S'극이 되는 것이다.
상기 콘센트(900)의 상면에는 하부로 오목한 요입부(910)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910)가 형성된 상기 콘센트(900)의 상면으로 접속구(930)와 제2자성체(95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자성체(950)는 자석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자성체(870)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로 구비되거나 또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자성체(950)는 하나로 구비될 경우, 'N'극 또는 'S'극 중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개가 이격되어 구비될 경우 하나의 제2자성체(950)가 'N'극 이라면 다른 하나는 'S'극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자성체(870)와 제2자성체(950)는 각각 하나로 구비될 경우 동일한 극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850)를 회전시켜 상기 제1자성체(870)를 상기 제2자성체(950)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제1자성체(870)와 제2자성체(950)는 서로 동일한 극성이므로 서로 밀어내는 힘이 발생한다. 이어서, 상기 회전부(850)를 다시 회전시켜 상기 제2자성체(950)로부터 상기 제1자성체(870)가 멀어지도록 하면 서로 밀어내는 힘이 사라지게 된다.
제1자성체(870)과 제2자성체(950)는 각각 두 개로 구비될 경우 'N'극과 'S'극으로 두 개가 각각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850)를 회전시켜 상기 제1자성체(870)를 상기 제2자성체(950)와 서로 동일한 극성으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제1자성체(870)와 제2자성체(950)는 서로 동일한 극성이므로 서로 밀어내는 힘이 발생한다. 이어서, 상기 회전부(850)를 다시 회전시켜 상기 제1자성체(870)를 상기 제2자성체(950)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제1자성체(870)와 제2자성체(950)는 서로 붙으려는 힘이 생기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예에서 콘센트에 플러그를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예에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예가 이루어지면, 먼저,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플러그(800)를 상기 콘센트(900)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제1자성체(870)와 제2자성체(950)는 각각 하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자성체(870)와 제2자성체(950)는 서로 동일한 극성이므로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1자성체(870)과 제2자성체(950)는 각각 두 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자성체(870)를 상기 제2자성체(950)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제1자성체(870)와 상기 제2자성체(950)는 각각 극성이 다르게 되어 서로 붙으려는 힘이 생기게 되며, 상기 플러그(800)는 자력에 의해 상기 콘센트(900)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어서, 전기기기의 사용을 마친 후 상기 콘센트(900)로부터 상기 플러그(800)를 분리하고자 할 때,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85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1자성체(870)와 제2자성체(950)가 각각 하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자성체(870)와 제2자성체(950)는 서로 동일한 극성이므로, 상기 회전부(850)를 회전시켜 상기 제1자성체(870)가 상기 제2자성체(950)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제1자성체(870)와 제2자성체(950)는 서로 밀어내는 힘이 발생한다.
상기 제1자성체(870)과 제2자성체(950)가 각각 두 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회전부(850)를 회전시켜 상기 제1자성체(870)를 상기 제2자성체(950)와 서로 동일한 극성으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제1자성체(870)와 제2자성체(950)는 서로 밀어내는 힘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제1자성체(870)와 제2자성체(950)가 서로 밀어내는 힘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콘센트(900)로부터 상기 플러그(800)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플러그(800)에 가압하는 힘이 적게들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콘센트(900)에 꽂혀 있는 플러그(800)를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하부케이스 115: 접속단자
130: 상부케이스 131: 베이스판부
132: 가이드부 135: 요입부
137: 접속구 139: 탈거부재
170: 누름케이스 171: 관통공
172: 상판부

Claims (13)

  1. 접속단자(115)가 구비된 하부케이스(110);
    접속구(137)가 형성된 베이스판부(131)와, 상기 베이스판부(131)에서 상부로 돌출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요입부(135)가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32)와, 상기 가이드부(132)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단은 상기 가이드부(132)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단은 상기 가이드부(132)의 외측에 위치한 복수의 탈거부재(13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케이스(130); 및
    상기 상부케이스(13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요입부(135)와 연통되는 관통공(171)이 내측에 형성된 판 형상의 상판부(172)와, 상기 상판부(172)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구비된 연장부(17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탈거부재(139)에 접촉되어 상하이동되는 누름케이스(17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32)의 단부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걸림탭부(134)가 연장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132)의 외측에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제1오목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76)의 단부에는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탭부(173)가 연장구비되어 상기 상판부(172)와 상기 가압탭부(173) 사이에 제2오목부(175)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탭부(173)는 상기 제1오목부(133)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탭부(134)는 상기 제2오목부(175)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탭부(173)는 상기 탈거부재(139)의 타측단에 접촉되며, 상기 탈거부재(139)의 일측단에는 탈거탭부(1395)가 절곡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32)에는 폭 방향으로 장공홈(131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탈거부재(139)는 상기 장공홈(1311) 사이에 회전 중심축이 수평이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72)에는 내측에 하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부(1711)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711)에는 자성체(2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6. 복수의 접속봉(830)이 결합된 손잡이부(810)와, 상기 손잡이부(81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제1자성체(870)가 구비된 회전부(850)로 이루어진 플러그(800); 및
    상부에 상기 접속봉(8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접속구(9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자성체(87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자성체(9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콘센트(9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810)의 외측면에는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부(81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850)의 내측면에는 돌기부(855)가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855)가 상기 가이드홈부(815)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850)의 하단부는 상기 손잡이부(810)의 하단부보다 상부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자성체(870)와 제2자성체(950)는 동일한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9. 접속단자(515)와, 상기 접속단자(515)에 접촉된 거치봉(590)이 하부로 연장 구비된 하부케이스(510);
    접속구(537)가 형성된 베이스판부(531)와, 상기 베이스판부(531)에서 상부로 돌출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요입부(535)가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532)와, 상기 가이드부(532)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단은 상기 가이드부(532)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단은 상기 가이드부(532)의 외측에 위치한 복수의 탈거부재(53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부케이스(51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케이스(530); 및
    상기 상부케이스(53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요입부(535)와 연통되는 관통공(571)이 내측에 형성된 판 형상의 상판부(572)와, 상기 상판부(572)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구비된 연장부(57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탈거부재(539)에 접촉되어 상하이동되는 누름케이스(57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32)의 단부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걸림탭부(534)가 연장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532)의 외측에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제1오목부(533)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576)의 단부에는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탭부(573)가 연장구비되어 상기 상판부(572)와 상기 가압탭부(573) 사이에 제2오목부(575)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탭부(573)는 상기 제1오목부(533)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탭부(534)는 상기 제2오목부(575)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탭부(573)는 상기 탈거부재(539)의 타측단에 접촉되며, 상기 탈거부재(539)의 일측단에는 탈거탭부(5395)가 절곡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32)에는 폭 방향으로 장공홈(531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탈거부재(539)는 상기 장공홈(5311) 사이에 회전 중심축이 수평이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572)에는 내측에 하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부(5711)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5711)에는 자성체(2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
KR1020110000817A 2011-01-05 2011-01-05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 KR101132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817A KR101132892B1 (ko) 2011-01-05 2011-01-05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817A KR101132892B1 (ko) 2011-01-05 2011-01-05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892B1 true KR101132892B1 (ko) 2012-04-03

Family

ID=4614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817A KR101132892B1 (ko) 2011-01-05 2011-01-05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88B1 (ko) * 2013-02-06 2013-08-09 주수헌 사용성이 개선된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
KR20240029297A (ko) 2022-08-26 2024-03-05 김병국 멀티 콘센트와 플러그 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8550A (ja) 1998-02-20 1999-08-31 Yoshihiro Miyagaki プラグ抜きコンセント
KR200258989Y1 (ko) 1999-05-07 2002-01-09 주용섭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매립형 콘센트
KR100950600B1 (ko) 2009-07-13 2010-05-03 주식회사 그린나라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8550A (ja) 1998-02-20 1999-08-31 Yoshihiro Miyagaki プラグ抜きコンセント
KR200258989Y1 (ko) 1999-05-07 2002-01-09 주용섭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매립형 콘센트
KR100950600B1 (ko) 2009-07-13 2010-05-03 주식회사 그린나라 콘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88B1 (ko) * 2013-02-06 2013-08-09 주수헌 사용성이 개선된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
KR20240029297A (ko) 2022-08-26 2024-03-05 김병국 멀티 콘센트와 플러그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5588B1 (en) Safe electrical outlet
EP2797174A1 (en) Safe electrical outlet
EP1722446A2 (en) Electrical socket with slidable and removable receptacle
KR101372538B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US8460016B2 (en) Socket and power adapter employing same
KR101132892B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
US8011940B1 (en) Power socket device having switches
KR101407104B1 (ko)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US20040132328A1 (en) Replaceable plug module
KR102412866B1 (ko)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KR101366844B1 (ko) 일체형 접지 부재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20140127498A (ko) 플러그 단자 고정구조를 갖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CN204230471U (zh) 一种组合插座结构
JP2014059995A (ja) コンセント
KR101391112B1 (ko) 플러그용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1389002B1 (ko) 플러그, 소켓 및 소켓과 플러그의 연결구조체
KR20110087686A (ko) 뒤집어진 멀티탭
KR20160104928A (ko) 멀티 콘센트
KR101437036B1 (ko) 전원연결장치
US20050032405A1 (en) Power cable plug assembly having replaceable plug
KR20090005741U (ko)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EP1071169A1 (en) Electrical plug device
KR100734888B1 (ko) 콘센트
KR101258032B1 (ko) 전원 플러그
KR101402352B1 (ko) 일체형 전극을 갖는 멀티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