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104B1 -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 Google Patents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104B1
KR101407104B1 KR1020140003281A KR20140003281A KR101407104B1 KR 101407104 B1 KR101407104 B1 KR 101407104B1 KR 1020140003281 A KR1020140003281 A KR 1020140003281A KR 20140003281 A KR20140003281 A KR 20140003281A KR 101407104 B1 KR101407104 B1 KR 101407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plug
contact portion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건희
이병석
Original Assignee
이병석
최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석, 최건희 filed Critical 이병석
Priority to KR102014000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구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에 각 단자삽입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단자삽입구에 삽입된 플러그가 인접한 단자삽입구에 삽입된 플러그와 서로 간섭되는 경우에 단자삽입구를 회전시켜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콘센트의 내부에는 접속단자가 회전하기 용이하면서도 접속단자가 특정의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콘센트의 단자삽입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콘센트로 구비되는 멀티탭에 있어서, 플러그의 단자부가 삽입되면서 결합되고, 회전구조를 가지는 단자삽입구; 상기 콘센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플러그의 단자부가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절연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는 각각 두 가닥의 접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촉면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Multi-tap}
본 발명은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구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에 각 단자삽입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단자삽입구에 삽입된 플러그가 인접한 단자삽입구에 삽입된 플러그와 서로 간섭되는 경우에 단자삽입구를 회전시켜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콘센트의 내부에는 접속단자가 회전하기 용이하면서도 접속단자가 특정의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멀티탭은 다수개의 콘센트를 병렬로 연결시켜서 여러 개의 플러그를 동시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장치가 많아짐에 따라 필요한 콘센트의 개수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사무실이나 가정에 많은 수의 콘센트를 설치하는 것은 비용상으로도 효율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실내규모를 감안하여 적절한 수 또는 최소한의 개수의 매립형 콘센트를 구비하고 필요한 경우에 멀티탭 등을 콘센트에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여러 개의 콘센트를 병렬로 연경하여 사용하는 멀티탭에 복수의 플러그를 꽂아서 사용하다 보면 인접한 콘센트에 꽂혀있는 다른 플러그와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멀티탭을 구성하는 복수의 콘센트 사이의 간격이 좁은데다가 플러그의 크기가 서로 다르며, 상당수의 경우에는 플러그단자의 폭이 가장 넓은 부분이 콘센트의 단자삽입구의 크기보다 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멀티탭의 가장 바깥쪽에 구비되는 콘센트의 경우에는 플러그를 삽입하는 방향을 조절하여 어느 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복수의 콘센트 중에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콘센트는 플러그를 어느 방향으로 꽂던지 상관 없이 인접한 콘센트와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러가의 단자삽입구 방향을 길이방향에 대하여 약 45°가량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멀티탭이 있다. 하지만 단자삽입구의 방향을 경사지게 기울여서 만드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플로그의 크기와 모양이 매우 다양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자삽입구가 회전하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의 멀티탭이 일부 개발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5381호(선행기술 1)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8808호(선행기술 2)가 회전형 멀티탭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선행기술 1은 단자삽입부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전원 입력단자(50)에 플러그의 접속 단자봉(31)이 안정적으로 접속되지 못할 수 있으며, 특정의 방향으로 회전된 플러그가 그 자리에 고정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전원 입력단자(50)에 단자봉(31)이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서는 전원 입력단자(50)가 단자봉(31)보다 크게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단자봉(31)이 전원 입력단자(50)의 내측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멀티탭을 오랜 시간 사용할수록 전원 입력단자(50)가 헐거워져서 접촉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접촉과 분리가 반복되다 보면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 1은 전원 입력단자(50)가 단자봉(31)의 회전반경에 맞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를 회전시킨 후에 그 자리에 고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선행기술 2는 단자삽입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감전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에 불과하다. 상당수의 회전형 멀티탭이 이처럼 스위치 역할을 하기 위하여 회전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나 이는 인접한 콘센트에 장착되는 플러그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며, 더구나 스위치는 어느 한곳에는 단락이 되고 다른 한 곳에서는 접촉이 된다는 점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멀티탭과는 그 구성 및 효과도 상이하다.
이처럼 종래에도 회전형 멀티탭이 몇몇 존재하였으나 회전형에서 오는 접촉의 불안정과 특정의 위치에는 고정을 하기가 어렵거나 이를 위하여 별도의 구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에 제조의 어려움 또는 사용상의 불편 등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로부터 외면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KR 10-2013-0108808 A1 KR 20-0185381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센트의 단지삽입부가 회전 가능하게 하고, 플러그의 단자접촉부에 탄성력을 가지는 구조를 구비하여 플러그의 단자부와 콘센트의 단자접촉부가 항상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동시에 특정의 위치로 회전된 플러그가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그 자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콘센트의 단자삽입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콘센트로 구비되는 멀티탭에 있어서, 플러그의 단자부가 삽입되면서 결합되고, 회전구조를 가지는 단자삽입구; 상기 콘센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플러그의 단자부가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절연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는 각각 두 가닥의 접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촉면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는 두 가닥의 접촉면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가닥의 접촉면 사이에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가 삽입되며 상기 접촉면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단자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 사이의 간격보다 좁거나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은 콘센트의 단자삽입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콘센트로 구비되는 멀티탭에 있어서, 플러그의 단자부가 삽입되면서 결합되고, 회전구조를 가지는 단자삽입구; 상기 콘센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플러그의 단자부가 접촉하는 두 개의 제2 단자접촉부 및 상기 제2 단자접촉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단자접촉부는 일측의 폭이 넓고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타측방향이 상기 절연벽에 가까워 질수록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2 단자접촉부의 접촉판은 수평방향이 상기 단자부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2 단자접촉부는 타측이 절연벽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일측은 자유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절연벽은 하단부에 일측면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고정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는 제2 단자접촉부의 일측을 구성하는 접촉판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의 절곡부 내측에는 제2 단자접촉부의 타측을 구성하는 접촉판의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2 단자접촉부의 타측을 구성하는 접촉판은 상기 제2 단자접촉부의 일측을구성하는 접촉판에 비하여 상기 절연벽에 더 가깝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2 단자접촉부의 내측 상부에는 제1 단자접촉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단자삽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위치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표시부는 플러그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에 의하면 콘센트에 장착되는 플러그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하여 멀티탭에 형성된 복수의 콘센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의 단자부와 접촉하는 콘센트의 단자접촉부가 탄성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자부와 단자접촉부가 항상 밀착되면서 고정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특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 플러그는 일정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 자리에 고정되어 있으려는 역학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플러그가 임의로 회전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접속불량 또는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단자부와 접촉하게 되는 단자접촉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자접촉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자접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자접촉부에 플러그가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의 단자삽입구의 가장자리에 위치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단자부와 접촉하게 되는 단자접촉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자접촉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100)은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단자삽입구(110)와 콘센트(101)의 내부에 구비되어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접촉하는 두 가닥의 제1 단자접촉부(130) 및 제1 단자접촉부(130)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절연벽(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멀티탭(100)은 복수의 콘센트(101)가 병렬로 연결되어 복수의 플러그(10)를 동시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기기로, 멀티탭(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에는 각 콘센트(101)를 on/off하는 개별스위치 등과 같이 멀티탭(100)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가적인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공지의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에서 콘센트(101)는 하나의 플러그(10)를 삽입할 수 있는 단위를 말하며, 멀티탭(100)은 최소한 2개 이상의 복수의 콘센트(101)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거나 혼합하여 연결된 전체를 말한다. 도면에서는 복수의 콘센트(101)가 직렬로 연결된 실시예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콘센트(101)가 직렬로 연결된 멀티탭(100)의 측면에 복수의 콘센트(101)가 직렬로 연결된 또 다른 콘센트(101)가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자삽입구(110)는 각 콘센트(101)에서 플러그(10)를 삽입하는 부분을 말한다. 단자삽입구(110)는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삽입되면서 결합되도록 멀티탭(100)의 표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단자부(15)가 삽입되는 2개의 단자구멍(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단자삽입구(110) 또는 플러그(10)는 공지의 구성요소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자삽입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자삽입구(1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상기 단자삽입구(110)의 중심에 회전축(미도시)을 구비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단자삽입구(110)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단자삽입구(1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5381호에 게시된 구성 및 이와 유사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단자접촉부(130)는 콘센트(101)의 내부에 구비되어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접촉하는 것으로, 멀티탭(100)이 외부전원에 연결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흐르는 부분이다. 제1 단자접촉부(130)는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으로 구성되는 두 가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자접촉부(130)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곡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재질 및 절곡부(135)의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제1 단자접촉부(130)는 두 가닥의 접촉면(133)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가닥의 접촉면(133) 사이에는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삽입되는 단자지지부(12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단자지지부(120)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촉면(133)은 필요에 따라 하나로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접촉면(133)이 한 쌍(2개)으로 구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접촉면이 1개로 구성되는 경우에에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 보충설명을 하기로 한다.
접촉면(133)이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접촉면(133)이 단자지지부(120) 또는 단자부(15)의 내측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면(133)의 크기가 단자부(15)의 회전반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접촉면(133)이 단자지지부(120) 또는 단자부(15)의 외측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면(133)의 크기가 단자부(15)의 회전반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단자부(15) 또는 단자지지부(120)가 회전하면 접촉면(133)이 휘어지면서 변형되는 동시에 탄성력에 의하여 단자부(15)에 밀착되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접촉면(133)이 두 가닥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두 개의 접촉면(133)이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단자접촉부(130)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각각의 제1 단자접촉부(130)는 두 가닥의 접촉면(133)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접촉면(133) 사이에는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삽입되어 접촉면(133)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두 가닥의 제1 단자접촉부(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단자접촉부(130)에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삽입되어 접촉하는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단자에 대응되는 제1 단자접촉부(130) 사이의 간격은 단자부(15)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거나 넓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두 가닥의 제1 단자접촉부(130) 사이의 간격은 플러그(10)의 단자부(15)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하여 후술하여 설명할 단자지지부(120)가 제1 단자접촉부(130)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제1 단자접촉부(1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면서 탄성재질로 구성된 제1 단자접촉부(130)가 단자지지부(120)를 압착하거나 제1 단자접촉부(130)가 단자지지부(120)에 눌리면서 강하게 밀착하게 된다.
단자지지부(120)는 단자삽입구(110)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단자구멍(115)(단자부가 삽입되는 단자구멍)에 일체로 구성되며, 단자부(15)가 삽입되는 단자구멍(115)으로부터 제1 단자접촉부(130)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하여 단자삽입구(110)가 회전하면 단자지지부(120)도 함께 회전하면서 제1 단자접촉부(130)의 접촉면(133) 사이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단자지지부(120)는 최소한 제1 단자접촉부(130)와 접촉하는 부위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며, 단자부(15)가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 판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110V용에 사용되는 콘센트에 사용되는 멀티탭(100)인 경우에는 단자지지부(120)의 내부에 플러그(10)의 단자부(15)에 대응되는 판상의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외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플러그(10)의 단자부(15)를 콘센트(101)의 단자삽입구(110)에 꽂으면 단자부(15)가 상기 단자삽입구(110)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단자구멍(115)으로부터 연장된 단자지지부(120)에 삽입되고, 단자지지부(120)는 제1 단자접촉부(130)를 구성하는 두 가닥의 접촉면(133) 사이에 접촉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단자접촉부(130)에 전기가 흐르고 있을 경우에 상기 단자지지부(120)를 통하여 플러그(10)로 통전이 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플러그(10)를 회전시키면 단자삽입구(110)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단자삽입구(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단자지지부(120)도 제1 단자접촉부(130)의 접촉면(133) 사이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단자지지부(120)는 접촉면(133) 사이를 이동하면서 항상 접촉면(133)과 밀착되면서 접촉되게 되어 항상 통전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제1 절연벽(150)은 두 가닥으로 구성되는 제1 단자접촉부(130)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하여 제1 단자접촉부(130)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제1 단자접촉부(130) 사이에 합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절연벽(150)은 절연성이 우수한 재질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플러그(10)를 단자삽입구(110)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구멍(115)에 삽입하면 상기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제1 단자접촉부(130)에 연장되어 있는 단자지지부(120)의 끝단까지 삽입되게 된다. 그리하여 플러그(10)를 회전시키면 단자지지부(120)가 제1 단자접촉부(130)의 접촉면(133)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단자접촉부(130)의 서로 마주보는 두 위치로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접촉하는 부분은 플러그(10)의 단자부(15) 사이의 간격보다 크거나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10)를 회전시키면 제1 단자접촉부(130)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면서 단자지지부(120)와 밀착되게 된다. 예를 들어, 단자부(15)가 삽입되어 있는 단자지지부(120)와 접촉하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가 단자부(15) 사이의 거리보다 넓은 경우에는 두 가닥의 제1 단자접촉부(130)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눌리게 된다. 그리고 단자지지부(120)와 접촉하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가 단자부(15) 사이의 거리보다 좁은 경우에는 두 가닥의 제1 단자접촉부(130)는 서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제1 단자접촉부(130)는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는 힘이 발생하고, 그로 인하여 단자지지부(120)를 압착하면서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10)를 어느 위치에 위치 시키는 지와는 무관하게 제1 단자접촉부(130)는 항상 단자지지부(120)를 압착하면서 항상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단자접촉부(130)에는 복수의 절곡부(13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지지부(120)는 항상 절곡부(135)의 어느 한 부분에 안착되면서 가볍게 고정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단자접촉부(130) 사이의 간격이 단자부(15) 사이의 간격보다 좁은 경우에는 제1 단자접촉부(130)는 단자지지부(120)에 의하여 강제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단자지지부(120)는 바깥쪽으로 절곡된 위치에 안착되면서 고정되게 된다. 반대로 제1 단자접촉부(130) 사이의 간격이 단자부(15)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경우에는 제1 단자접촉부(130)는 단자지지부(120)에 의하여 눌리면서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단자지지부(120)는 안쪽으로 절곡된 위치에 안착되면서 고정되게 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플러그(10)를 특정의 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그대로 두면 플러그(10)는 전술하여 설명한 구조에 의하여 그 자리에 고정되며, 다시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을 가하는 경우(사용자가 플러그(10)를 잡고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회전하게 된다. 제1 단자접촉부(130)의 절곡부(135) 형상은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접촉면(133)이 단자지지부(120)의 회형에 대응되도록 S형상이 반복적으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은 단자부(15)가 제1 절연벽(150)의 일측에서 타측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이 가능하므로, 거의 180도에 가깝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자접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자접촉부에 플러그가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100)은 콘센트(101)의 단자삽입구(11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콘센트(101)로 구비되는 멀티탭(100)에 있어서,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삽입되면서 결합되고 회전구조를 가지는 단자삽입구(110), 콘센트(101)의 내부에 구비되어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접촉하는 두 개의 제2 단자접촉부(230) 및 상기 제2 단자접촉부(230)들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절연벽(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단자접촉부(230)는 일측의 폭이 넓고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타측방향이 상기 제2 절연벽(250)에 가까워 질수록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100)의 단자삽입구(11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100)의 단자삽입구(110)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100)의 경우에 필요에 따라 단자지지부(12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단자부(15)가 곡면으로 형성된 제2 단자접촉부(230)의 내측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두 가닥의 제1 단자접촉부(130) 사이의 폭이 달라질 수 있는 제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단자접촉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단자지지부(120)가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만,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 단자접촉부(230)의 내측면에 제1 단자접촉부(13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단자지지부(120)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제2 단자접촉부(230)의 내측면에 제1 단자접촉부(130)가 구비되는 실시예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제2 단자접촉부(230)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일측의 폭이 넓고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두 개의 접촉판(233)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개의 접촉판(233)은 타측방향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접촉판(233)은 역삼각형 또는 부채꼴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역삼각형 또는 부채꼴형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단자부(15)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접촉판(233)의 내측이 라운드지게 구성된다면 제2 단자접촉부(230)의 양측의 형상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자접촉부(230)는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삽입되면서 가압하는 경우에 하부(도 4 및 도 6을 기준으로 한 방향표시임, 이하 동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는 제2 단자접촉부(230)가 부채꼴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제2 단자접촉부(230)의 타단은 제2 절연벽(250)의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고, 일측은 자유단으로 구성된다. 제2 단자접촉부(230)와 제2 절연벽(250)의 결합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한편, 제2 단자접촉부(23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접촉판(233)은 수평방향이 단자부(15)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2 단자접촉부(230)의 전체적인 형상이 내부가 비어 있는 역삼각뿔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2 절연벽(250)은 하단부에 일측면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고정부(255)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255)의 상부에는 제2 단자접촉부(230)의 일측을 구성하는 접촉판(233)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255)의 절곡부(135) 내측에는 제2 단자접촉부(230)의 타측을 구성하는 접촉판(233)의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2 단자접촉부(230)의 타측을 구성하는 접촉판(233)은 상기 제2 단자접촉부(230)의 일측을 구성하는 접촉판(233)에 비하여 상기 제2 절연벽(250)에 더 가깝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 일측에 구비되는 접촉판(233)이 타측에 구비되는 접촉판(233)에 비하여 더 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하여 단자부(15)가 단자삽입구(110)에 삽입되어 제2 단자접촉부(230)까지 내려오는 경우에 양측 단자부(15)의 끝단이 도달하는 위치에 제2 단자접촉부(230)의 내측면이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단자부(15)의 끝단이 항상 제2 단자접촉부(230)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역삼각형 모양으로 구성된 접촉판(233)의 회전영역을 최대로 하기 위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의 접촉판(233) 밑으로 들어가면서 일부 영역이 겹쳐지도록 할 경우에 접촉판(233)이 없는 부분이 최소화되면, 그로 인하여 플러그(10)가 회전할 수 있는 구간(각도)이 더 커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접촉판(233)의 내측(제2 절연벽에 인접한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비율을 크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1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플러그(10)의 단자부(15)를 단자삽입구(110)에 삽입하면 상기 단자부(15)의 끝단은 제2 단자접촉부(230)까지 내려와서 접촉하게 된다. 이때, 단자부(15)의 끝단은 제2 단자접촉부(230)의 내측면보다 조금 더 많이 내려오도록 하여 상기 단자부(15)가 제2 단자접촉부(230)를 가볍게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단자접촉부(230)는 일측이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부(15)의 끝단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눌리면서 일측방향이 아래로 휘어지게 된다. 이때, 제2 단자접촉부(230)는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도록 오려고 하며, 그리하여 제2 단자접촉부(230)가 단자부(15)의 끝단을 가볍게 누르면서 밀착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플러그(1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단자부(15)가 제2 단자접촉부(230)를 구성하는 접촉판(233)의 내측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단자접촉부(230)를 구성하는 접촉판(233)의 내측면은 라운드지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부(15)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100)은 전술하여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의 구성에서 제2 단자접촉부(230)를 구성하는 접촉판(233)의 내측 상부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100)의 제1 단자접촉부(130)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하여 단자부(15)의 끝단이 제2 단자접촉부(230)에 밀착되는 동시에, 단자부(15)의 측면이 제1 단자접촉부(130)에 밀착되는 구조가 되어 단자접촉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제1 단자접촉부(130)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절곡부(13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특정의 위치로 회전시킨 플러그(10)를 그대로 둘 경우에 그 자리에서 어느 정도 지지되면서 고정되고, 일정한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때 비로소 다시 회전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은 제2 단자접촉부(23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된 제1 단자접촉부(130)가 가급적 단자부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의 단자삽입구의 가장자리에 위치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의 단자삽입구(110)의 가장자리에는 위치표시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치표시부(300)는 플러그(10)를 회전시킴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단자삽입구(110)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구성되어 단자삽입구(110)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위치표시부(300)는 플러그(10)의 단자부(15)가 삽입되는 단자구멍(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구멍(115)의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의 플러그(10)는 단자부(15)가 삽입되는 단자구멍(115)이 일정한 방향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플러그(10)를 콘센트(101)에 꽂는데 특별한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단자부(15)가 삽입되는 단자구멍(115)의 위치가 항상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부(15)를 콘센트(101)에 꽂을 때마다 단자구멍(115)의 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삽입구(110)의 가장자리에 단자부(15)가 꽂히는 단자구멍(115)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단자구멍(115)과 함께 회전하는 위치표시부(300)를 구비하면 사용자가 단자구멍(115)의 위치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 단자삽입구(110)에 구비된 위치표시부(300)만 보고도 단자부(15)의 삽입방향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때, 위치표시부(300)는 필요에 따라 형광물질이 구비되어 야간에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멀티탭
101: 콘센트
110: 단자삽입구
120: 단자지지부
130: 제1 단자접촉부
133: 접촉면
135: 절곡부
150: 제1 절연벽
230: 제2 단자접촉부
233: 접촉판
250: 제2 절연벽
300: 위치표시부

Claims (11)

  1. 콘센트의 단자삽입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콘센트로 구비되는 멀티탭에 있어서,
    플러그의 단자부가 삽입되면서 결합되고, 회전구조를 가지는 단자삽입구;
    상기 콘센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플러그의 단자부가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절연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는 각각 두 가닥의 접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촉면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는 두 가닥의 접촉면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가닥의 접촉면 사이에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가 삽입되며 상기 접촉면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단자지지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 사이의 간격보다 좁거나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접촉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5. 콘센트의 단자삽입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콘센트로 구비되는 멀티탭에 있어서,
    플러그의 단자부가 삽입되면서 결합되고, 회전구조를 가지는 단자삽입구;
    상기 콘센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플러그의 단자부가 접촉하는 두 개의 제2 단자접촉부; 및
    상기 제2 단자접촉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절연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단자접촉부는 일측의 폭이 넓고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타측방향이 상기 제2 절연벽에 가까워 질수록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접촉부의 접촉판은 수평방향이 상기 단자부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접촉부는 타측이 제2 절연벽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일측은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벽은 하단부에 일측면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고정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는 제2 단자접촉부의 일측을 구성하는 접촉판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의 절곡부 내측에는 제2 단자접촉부의 타측을 구성하는 접촉판의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2 단자접촉부의 타측을 구성하는 접촉판은 상기 제2 단자접촉부의 일측을구성하는 접촉판에 비하여 상기 제2 절연벽에 더 가깝도록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9.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접촉부의 내측 상부에는 제1 단자접촉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10.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삽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위치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표시부는 플러그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자삽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위치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표시부는 플러그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KR1020140003281A 2014-01-10 2014-01-10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KR101407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81A KR101407104B1 (ko) 2014-01-10 2014-01-10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81A KR101407104B1 (ko) 2014-01-10 2014-01-10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104B1 true KR101407104B1 (ko) 2014-06-13

Family

ID=5113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281A KR101407104B1 (ko) 2014-01-10 2014-01-10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1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69U (ko) 2015-07-21 2017-02-03 강동철 전류 표시기능이 있는 버튼을 구비한 멀티탭.
KR101717237B1 (ko) 2015-11-30 2017-03-16 (주)지아이건설기술그룹 회전형 멀티탭
KR102209348B1 (ko) * 2019-11-12 2021-01-29 김민재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WO2022092387A1 (ko) * 2020-10-30 2022-05-05 이지환 사용성이 향상된 멀티 플러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510Y1 (ko) * 1987-11-27 1992-08-13 주식회사 금성사 콘센트 회전 접속 장치
KR20110030922A (ko) * 2009-09-18 2011-03-24 전성일 콘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510Y1 (ko) * 1987-11-27 1992-08-13 주식회사 금성사 콘센트 회전 접속 장치
KR20110030922A (ko) * 2009-09-18 2011-03-24 전성일 콘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69U (ko) 2015-07-21 2017-02-03 강동철 전류 표시기능이 있는 버튼을 구비한 멀티탭.
KR101717237B1 (ko) 2015-11-30 2017-03-16 (주)지아이건설기술그룹 회전형 멀티탭
KR102209348B1 (ko) * 2019-11-12 2021-01-29 김민재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WO2022092387A1 (ko) * 2020-10-30 2022-05-05 이지환 사용성이 향상된 멀티 플러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9877B1 (en) Power adapter connecting in a surface to surface contact
US9537276B1 (en) Power adapter with replaceable plug structure
KR101407104B1 (ko)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EP2797174A1 (en) Safe electrical outlet
TWI606647B (zh) Safety socket
EP3208895B1 (en) Adjustable rotary socket assembly
US8622758B2 (en) Rotatable plug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rotatable plug
KR200185381Y1 (ko)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160046422A (ko)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KR20150100224A (ko) 안전 콘센트
CN101814683B (zh) 旋转插座
KR101917756B1 (ko) 전원 분배 유닛, 전기 출력 유닛 및 상기 전원 분배 유닛과 상기 전기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전원 연결 모듈
JP2005056758A (ja) 電源接続装置
KR200419477Y1 (ko) 플러그 분리수단을 구비한 멀티탭
KR101725859B1 (ko)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1938498B1 (ko) 안전형 콘센트
KR100322278B1 (ko) 콘센트
KR200460350Y1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101803796B1 (ko)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RU2010142262A (ru) Розеточный блок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CN105006688A (zh) 一种防脱落单孔插头插座
KR101658781B1 (ko) 조립식 멀티 탭
KR100340447B1 (ko) 안전 콘센트
KR101473379B1 (ko) 전기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