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422A -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422A
KR20160046422A KR1020140142114A KR20140142114A KR20160046422A KR 20160046422 A KR20160046422 A KR 20160046422A KR 1020140142114 A KR1020140142114 A KR 1020140142114A KR 20140142114 A KR20140142114 A KR 20140142114A KR 20160046422 A KR20160046422 A KR 20160046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standby power
shaped housing
hou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명
Priority to KR1020140142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6422A/ko
Publication of KR2016004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상으로 둘 이상의 플러그 삽입구를 갖는 방사형(T형) 멀티콘센트에 다수의 전기장치의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도 간단히 회전 구동만으로 사용하지 않는 전기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소모를 방지하여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 접속구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플러그 접속구와 직교하는 방향의 일면이 개방된 T형 하우징 부재; 일단부에 접속 플러그가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접속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띠형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개방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 및 상기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에 대한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플러그 접속구의 단자 부재를 상기 띠형 단자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통전 및 비통전시키는 대기전력 차단 수단;을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RADIAL-TYPE ELECTRIC MULTI OUTLET APPARATUS FOR INTERCEPTING STANDBY POWER}
본 발명은 벽면콘센트에 접속되는 방사형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상으로 둘 이상의 플러그 삽입구를 갖는 방사형(T형) 멀티콘센트에 다수의 전기장치의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도 간단히 회전 구동만으로 사용하지 않는 전기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소모를 방지하여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기·전자산업의 급속한 발달과 더불어 각 가정, 직장 등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기기기의 보유 대수는 이전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건물 내에 자체적으로 설치된 몇 개의 벽면콘센트 만으로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각 전자장치들을 한꺼번에 작동시키기가 매우 힘들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벽면콘센트로 공급되는 전원을 중간에서 인출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전자장치들로 한꺼번에 전기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멀티 콘센트가 개발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콘센트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각 전자장치들, 예컨대, 컴퓨터, 오디오, 복사기, 팩시밀리, 오락기 등으로부터 인출된 플러그들을 일정 방향으로 고정 배열된 플러그 핀 결합구(이하, 간략히 '플러그 결합구'라 함)에 분할 삽입시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각 전자장치들로 한꺼번에 공급되도록 유도함으로써, 각 전자장치들이 전원에 의해 동시에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콘센트 중에서 T형 콘센트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면과 전면에 콘센트가 형성됨으로써 3개의 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T형 콘센트를 사용할 때, 통상 사용자는 전자장치의 작동이 완료되면, 해당 전자장치의 플러그를 T형 콘센트의 플러그 결합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해당 전자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이 완전히 오프되도록 한다.
이는 작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자장치의 플러그를 T형 콘센트에 그대로 꽂아 두면, T형 콘센트를 흐르던 전류가 작동이 중지된 전자장치로 흘러들어 전자장치의 안정성을 파손시키거나, 전기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T형 콘센트에 다수의 전자장치 플러그를 꽂은 후 사용하지 않는 전자장치인 경우, 이를 뽑아야하지만 하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기기의 동작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소모되는 대기전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0384호 "플러그 일체형 다중콘센트"에서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멀티 콘센트는 본체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으로 전체의 대기전력 차단을 도모하였지만, 이와 같은 경우 멀티 콘센트에 꽂혀 있는 여러 개의 플러그가 전부 절전 되어버리게 되어 상시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자장치의 경우에도 전력이 차단되어 버리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존 구조물의 벽면콘센트의 제한적 배치 구조로 인해 사용되는 전자장치의 접속, 즉 상시적 전력 공급을 위한 전자장치(예를 들면, 냉장고, 김치냉장고 등)나 선택적 전력 공급을 위한 전자장치에 대한 선택적 온/오프에 있어서 일일이 전자장치의 플러그를 빼야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방치로 인한 대기전력의 발생으로 전기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0384호(2002.03.19)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6369호(2004.10.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방사상으로 둘 이상의 플러그 삽입구를 갖는 방사형(T형) 멀티콘센트에 다수의 전기장치의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도 간단히 회전 구동만으로 사용하지 않는 전기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소모를 방지하여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방사형 멀티콘센트에 삽입되는 다수 전자장치의 플러그를 회전 선택 방식을 통해 상시 전자장치 및/또는 선택적 전자장치의 개별적 온/오프를 제어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 접속구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플러그 접속구와 직교하는 방향의 일면이 개방된 T형 하우징 부재; 일단부에 접속 플러그가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접속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띠형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개방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 및 상기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에 대한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플러그 접속구의 단자 부재를 상기 띠형 단자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통전 및 비통전시키는 대기전력 차단 수단;을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T형 하우징 부재는 원통형 바디에 상기 플러그 접속구가 90도 간격을 갖고 방사상 삼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자 부재는 전자장치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 단자, 및 상기 띠형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 단자와, 상기 플러그 단자와 접촉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는 중앙부가 라운드진 호(arc) 형태의 판형 스프링 단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 수단은 상기 접촉 단자가 대향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방향 반대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되어 각각 상기 띠형 단자 중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90도 간격을 갖고 형성되되,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절연부재의 폭이 회전 피치만큼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에 대한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와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 간의 상대적 회전시, 회전 위치를 임시 구속하기 위한 회전위치 임시구속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위치 임시구속 수단은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와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가 접하는 접촉면 중 하나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와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의 다른 하나에 각각 형성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도록 상기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가 대향하는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외면에 회전각 조절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는 전자장치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이를 분리하지 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콘센트로부터 전자장치의 플러그를 일일이 빼내지 않고도 대기전류를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를 구성하는 T형 하우징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의 T형 하우징 부재에 구비되는 단자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를 구성하는 벽면콘센트 접속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의 벽면콘센트 접속 부재에 구비되는 비통전 부재를 전개하여 평면에서 바라본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의 벽면콘센트 접속 부재에 구비되는 비통전 부재를 전개하여 정면에서 바라본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를 구성하는 T형 하우징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의 T형 하우징 부재에 구비되는 단자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를 구성하는 벽면콘센트 접속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의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에 구비되는 비통전 부재인 절연부재를 평면적으로 전개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의 벽면콘센트 접속 부재에 구비되는 비통전 부재를 정면적으로 전개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참고로, 도 5 및 도 6에서 절연부재(300)는 설명의 명확화를 위하여 함몰된 형태가 아닌 돌출된 형태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의 플러그가 접속(삽입)되는 플러그 접속구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복수(3개)의 플러그 접속구(110)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플러그 접속구(110)와 직교하는 방향의 일면이 개방된 T형 하우징 부재(100); 일단부에 접속 플러그(210)가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접속 플러그(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띠형 단자(211)(212)가 구비되며, 상기 T형 하우징 부재(100)의 개방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200); 및 상기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200)에 대한 T형 하우징 부재(100)의 회전으로 상기 플러그 접속구(110)의 단자 부재(120)를 띠형 단자(211)(212)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통전 및 비통전시키는 대기전력 차단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T형 하우징 부재(100)는 원통형 바디(111)에 전자장치의 플러그(P)(도 3 참조)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복수의 플러그 접속구(110), 즉 전자장치의 한 쌍의 삽입 단자(미도시)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을 갖고 함몰 형성되는 플러그 접속구(110)가 90도 간격을 갖고 방사상 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T형 하우징 부재(100)에 구비되는 단자 부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의 플러그(P)가 접속(삽입)되는 플러그 단자(121)와, 상기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200)의 띠형 단자(211)(212) 중 하나에 접촉하는 접촉 단자(122), 및 상기 플러그 단자(121)와 접촉 단자(1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123)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단자(122)는 후술하겠지만 원기둥형 바디를 갖는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200)의 띠형 단자(211)(212)에 안정적으로 접촉하기 위하여 호(arc) 형태의 판형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대기전력 차단 수단은 상기 접촉 단자(122)가 대향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방향 반대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되어 각각 상기 띠형 단자(211)(212) 중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절연부재(30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띠형 단자(211)(212) 중 하측에 위치한 띠형 단자(211)에 절연부재(300)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재(300)는 T형 하우징 부재(100)의 소정 회전 횟수에 따라 접촉 단자(122)가 절연부재(300)에 의해 띠형 단자(211)의 함몰부에 순차적으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즉 T형 하우징 부재(100)의 소정 각도만큼의 회전에 의해 띠형 단자(211)에 접촉되어 있는 접촉 단자(122)는 절연부재(300)를 타고 들어가 띠형 단자(211)로부터 절연되어 단락(비통전)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부재(300)는 회전방향으로의 일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 단자(122)가 띠형 단자(211)로부터 순차적으로 절연되어 전자장치의 플러그가 꼽혀 있는 플러그 삽입구(110)를 비통전시키는 동작을 살펴보면, 초기에 모든 접촉 단자(122)가 띠형 단자(211)에 접촉되어 통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T형 하우징 부재(100)를 ①의 피치만큼 회전시키는 경우, 도 1의 우측 플러그 접속구(이하, '제1 플러그 접속구'라 칭함)의 접촉 단자(122)는 절연부재(300)에 의해 띠형 단자(211)로부터 이격(절연)되어 비통전상태로 되고, 도 1의 전방 플러그 접속구(이하, '제2 플러그 접속구'라 칭함)와 좌측 플러그 접속구(이하, '제3 플러그 접속구'라 칭함)의 접촉 단자(122)는 통전상태에 있다.
상기 T형 하우징 부재(100)를 ①+②의 피치만큼 회전시키는 경우, 제1 플러그 접속구의 접촉 단자(122)는 절연부재(300)에 의해 계속 비통전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제2 플러그 접속구의 접촉 단자(122)는 해당 피치 위치에서 그에 대향하는 절연부재(300)에 의해 비통전상태로 되며, 제3 플러그 접속구의 접촉 단자(122)는 통전 상태에 있다.
계속해서, T형 하우징 부재(100)를 ①+②+③의 피치만큼 더 회전시키는 경우, 제1 플러그 접숙구와 제2 플러그 접속구의 접촉 단자(122)는 절연부재(300)에 의해 비통전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제3 플러그 접속구의 접촉 단자(122)도 해당 피치 위치에서 그에 대향하는 절연부재(300)에 의해 비통전상태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 T형 하우징 부재(100)가 ①+②+③ 피치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T형 하우징 부재(100)와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200) 간에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부재는 T형 하우징 부재(100)가 ①+②+③ 피치 이상 회전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턱(미도시)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T형 하우징 부재(100)와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 간의 상대적 이동시, 해당 피치에서의 위치를 임시 구속하고 사용자에게 클릭감(click sense)을 부여할 수 있도록 회전위치 임시구속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회전위치 임시구속 수단은 T형 하우징 부재(100)와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200)가 접하는 접촉면 중 하나에 일정 간격(즉, 피치 간격 만큼)으로 각각 형성되는 돌기(410)(도 4 참조)와, 다른 하나에 각각 형성되는 돌기 수용홈(420)(도 2 참조)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T형 하우징 부재(100)에 돌기 수용홈(420)이,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200)에 돌기(410)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연부재(300)는 90도 간격을 기준으로 할 경우, T형 하우징 부재(100)의 회전방향으로 그 절연부재(300)의 폭회전방향으로 길이)이 해당 피치 간격만큼 감소하도록 구비시킴으로써 구현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T형 하우징 부재(100)의 해당 피치만큼의 회전에 따른 해당 플러그 접속구(110)의 통전/비통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도록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가 대향하는 T형 하우징 부재(100)의 외면에 도 1의 화살표와 같이 회전각 조절 표시부(150)가 색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는 전자장치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져 있는, 즉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전자장치의 플러그를 일일이 분리하지 하지 않고도, 전자장치의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간단히 일정 정도의 순차적 회전만으로 전자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어 벽면콘센트로부터 전자장치로 흐르는 대기전류를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T형 하우징 부재
110: 플러그 접속구
121: 플러그 단자
122: 접속 단자(판형 스프링)
123: 연결선
150: 회전각 조절 표시부
200: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
210: 접속 플러그
211: 띠형 단자
300: 절연부재
410: 돌기
420: 돌기 수용홈

Claims (9)

  1. 전자장치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 접속구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플러그 접속구와 직교하는 방향의 일면이 개방된 T형 하우징 부재;
    일단부에 접속 플러그가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접속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띠형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개방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 및
    상기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에 대한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플러그 접속구의 단자 부재를 상기 띠형 단자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통전 및 비통전시키는 대기전력 차단 수단;을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형 하우징 부재는 원통형 바디에 상기 플러그 접속구가 90도 간격을 갖고 방사상 삼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자 부재는 전자장치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 단자와, 상기 띠형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 단자, 및 상기 플러그 단자와 접촉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는 중앙부가 라운드진 호(arc) 형태의 판형 스프링 단자로 형성되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 수단은
    상기 접촉 단자가 대향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방향 반대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되어 각각 상기 띠형 단자 중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90도 간격을 갖고 형성되되,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절연부재의 폭이 회전 피치만큼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에 대한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와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 간의 상대적 회전시, 회전 위치를 임시 구속하기 위한 회전위치 임시구속 수단을 더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위치 임시구속 수단은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와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가 접하는 접촉면 중 하나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와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의 다른 하나에 각각 형성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도록 상기 벽면콘센트 접속 플러그 부재가 대향하는 상기 T형 하우징 부재의 외면에 회전각 조절 표시부가 형성되는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KR1020140142114A 2014-10-20 2014-10-20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KR20160046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114A KR20160046422A (ko) 2014-10-20 2014-10-20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114A KR20160046422A (ko) 2014-10-20 2014-10-20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22A true KR20160046422A (ko) 2016-04-29

Family

ID=5591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114A KR20160046422A (ko) 2014-10-20 2014-10-20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642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892B1 (ko) * 2019-06-11 2019-09-23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절전이 가능한 벽체 매립형 전기 콘센트
KR102023891B1 (ko) * 2019-06-11 2019-09-23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절전형 전기 콘센트
KR102048489B1 (ko) * 2019-09-10 2019-11-26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대기전력 저감이 가능한 전원분배기
KR102063461B1 (ko) * 2019-09-10 2020-01-08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384Y1 (ko) 2001-11-01 2002-04-03 김석순 플러그 일체형 다중콘센트
KR200366369Y1 (ko) 2004-07-30 2004-11-09 배옥복 3구 티형 접지 콘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384Y1 (ko) 2001-11-01 2002-04-03 김석순 플러그 일체형 다중콘센트
KR200366369Y1 (ko) 2004-07-30 2004-11-09 배옥복 3구 티형 접지 콘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892B1 (ko) * 2019-06-11 2019-09-23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절전이 가능한 벽체 매립형 전기 콘센트
KR102023891B1 (ko) * 2019-06-11 2019-09-23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절전형 전기 콘센트
KR102048489B1 (ko) * 2019-09-10 2019-11-26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대기전력 저감이 가능한 전원분배기
KR102063461B1 (ko) * 2019-09-10 2020-01-08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7283B2 (en)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KR20160046422A (ko)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KR101645466B1 (ko) 회전식 멀티탭
CN203645089U (zh) 一种可自动断电插拔的电缆连接器
KR20070038678A (ko) 회전 스위치형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원 차단시스템
KR101407104B1 (ko)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TWI538002B (zh) 開關結構
CN104779494A (zh) 一种可自动断电插拔的电缆连接器
JP2005056758A (ja) 電源接続装置
KR200465010Y1 (ko)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
KR20160046421A (ko) 대기전력 차단용 슬라이드방식 선형 멀티콘센트
KR19980065331U (ko) 멀티 콘센트
TWI752445B (zh) 配線器具系統及單元裝置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JP7217424B2 (ja) コンセント装置及び給電装置
KR101658781B1 (ko) 조립식 멀티 탭
KR20100002913U (ko)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KR101152591B1 (ko) 타이머를 이용한 타이머 콘센트
KR101205447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플러그와 콘센트가 구비된 대기전력 차단장치
KR20160092695A (ko) 콘센트 겸용 전원 플러그
KR20150097881A (ko) 벽면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CN213184867U (zh) 一种转接头充电器
KR20180092343A (ko) 더미 플러그를 갖는 콘센트 직접 고정형 멀티탭
KR20120116721A (ko) 콘센트
KR101384544B1 (ko) 전기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