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461B1 -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 - Google Patents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461B1
KR102063461B1 KR1020190112096A KR20190112096A KR102063461B1 KR 102063461 B1 KR102063461 B1 KR 102063461B1 KR 1020190112096 A KR1020190112096 A KR 1020190112096A KR 20190112096 A KR20190112096 A KR 20190112096A KR 102063461 B1 KR102063461 B1 KR 102063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output terminal
handle
conductive surface
pow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곤
Original Assignee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11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9Selective or different modes of illumination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등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전등과 제2전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전등스위치는, 구형상의 몸체와, 제1도전면과, 제2도전면과, 손잡이를 구비하는 전환스위치와;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과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1전원입력단자와;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2전원입력단자와;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고,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과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1전원출력단자와;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3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4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2전원출력단자와;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과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2전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원출력단자와;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4전원출력단자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Cost saving lamp switch for easy using and fire preventing}
본 발명은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전등에 대하여 하나의 스위치로 점등 및 소등 제어가 가능하고, 사용이 쉽고 간편하고 비용이 절약되며, 스위치 조작에 따라 복수의 전등에 대하여 전체 또는 일부의 점등 및 소등이 가능하므로 상황에 맞는 밝기조절이 가능하여 절전을 이룰 수 있는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인 전등은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등 스위치와, 이 전등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전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전등이 점등되거나 소등된다.
그런데, 종래의 조명기구는 하나의 전등에 대하여 하나의 전등스위치가 매칭되어 사용되므로, 전등마다 별도의 전등스위치가 구비되어 복수의 전등에 대한 점등 또는 소등시 각각의 전등스위치를 조작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특정공간에서, 휴식을 취할 때와 독서를 할 때 등 상황에 맞게 밝기 조절이 불편하여, 귀차니즘으로 인해 에너지가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등스위치는 2개의 전원선중 하나는 전등에 직접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전원선에 대한 차단동작을 수행함에 의해, 누설전류에 의한 에너지 낭비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7661호(2001.09.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등에 대한 점등 또는 소등 제어가 가능한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밝기조절이 용이하고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1전등과 제2전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전등스위치는, 구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방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도전면과, 상기 몸체의 전방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도전면과,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전환스위치와; 상기 몸체의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후방이동인 제2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전방이동인 제1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상기 제1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1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2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2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좌측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후방이동상태에서 좌측이동하는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후방이동상태에서 우측이동하는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1전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원출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좌측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3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4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와 함께 제1전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전등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2전원출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우측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2전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원출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우측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와 함께 상기 제2전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전등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4전원출력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는, 전방이동인 제1이동, 후방이동인 제2이동, 후방이동상태에서 좌측이동인 제3이동 및 후방이동상태에서 우측 이동인 제4이동으로 상기 몸체를 회전시켜 전원을 차단 또는 전환하며,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몸체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제1전등 및 상기 제2전등이 소등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도전면,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도전면,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전등 및 상기 제2전등이 모두 점등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도전면 및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도전면, 및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1전등은 점등상태가 되고, 상기 제2전등은 소등상태가 되며, 상기 손잡이의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도전면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도전면,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1전등은 소등상태가 되고, 상기 제2전등은 점등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손잡이의 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과 상기 제2도전면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의 몸체는 상기 몸체가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 공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에는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 제2이동, 제3이동, 및 제4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는 건물의 벽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선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 각각의 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오목면이 밀접 접촉하도록 반원형 단면형상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 각각의 단부에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상태로 놓이도록 형성되는 반원형 단면형상의 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볼록면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전등의 점등시에 점등되고 소등시에 소등되는 제1엘이디와, 상기 제2전등의 점등시에 점등되고 소등시에 소등되는 제2엘이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엘이디는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에 연결된 전원선에서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엘이디는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에 연결된 전원선에서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온도센서를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과열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하여 상기 경보유닛이나 알람유닛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과열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가 온 되어 상기 경보유닛이나 알람유닛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전등에 대하여 하나의 스위치로 점등 및 소등 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이 쉽고 간편하고 비용이 절약되며, 스위치 조작에 따라 복수의 전등에 대하여 전체 또는 일부의 점등 및 소등이 가능하므로 상황에 맞는 밝기조절이 가능하여 절전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추가전력의 소모없이도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고, 과열로 인한 화재예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등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등스위치의 전등과의 연결구조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환스위치의 개략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손잡이의 제1 내지 제4이동시의 상기 전환스위치와 각 단자들의 전기적 접속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전등스위치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1의 제1엘이디 및 제2엘이디의 동작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등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등스위치의 전등과의 연결구조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환스위치의 개략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손잡이의 제1 내지 제4이동시의 상기 전환스위치와 각 단자들의 전기적 접속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등스위치(100)는 제1전원입력단자(112)와 제2전원입력단자(114), 제1전원출력단자(122)와 제2전원출력단자(124), 제3전원출력단자(132)와 제4전원출력단자(134), 및 전환스위치(150)를 구비하여 제1전등(120) 및 제2전등(13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전환스위치(150)는 구형상의 몸체(156)와, 상기 몸체(156)의 후방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도전면(152)과, 상기 몸체(156)의 전방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도전면(154)과, 상기 몸체(156)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158)를 구비한다. 여기서 후방상부 및 전방하부 등의 위치기준은 상기 손잡이(158)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 또는 상기 손잡이가 전방과 후방의 중간지점에 위치할 때를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다.
상기 제1도전면(152) 및 상기 제2도전면(154)은 도전성 물질이 도포되거나 전기도전성이 우수한 금속판을 상기 몸체(156)에 부착되어 형성가능하고, 기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으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제1도전면(152) 및 상기 제2도전면(154)은 상기 몸체(156)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158)의 전방이동, 후방이동, 후방이동 상태에서 좌측이동, 후방이동 상태에서 우측 이동에 따라 몸체(156)가 회전하게 되어 그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158)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2이동, 후방이동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제3이동, 후방이동상태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제4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몸체(156)는 상기 손잡이(158)의 이동시에 상기 몸체(156)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152)과 상기 제2도전면(154)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58)의 제1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152)과 상기 제2도전면(154)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일정각도(예를 들면, 45도)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150)의 몸체(156)는 몸체(156)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 공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140)에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측에는 상기 손잡이(158)의 제1이동 내지 제4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58)의 제1 내지 제4이동에 따라, 상기 몸체(156)가 회전하고, 상기 몸체(15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도전면(152) 및 상기 제2도전면(154)의 위치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제1전원입력단자(112)와 제2전원입력단자(114), 제1전원출력단자(122)와 제2전원출력단자(124), 제3전원출력단자(132)와 제4전원출력단자(134) 와의 전기적 접속관계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는 상기 몸체(156)의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8)의 후방이동 즉 제2이동시 상기 몸체(156)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1도전면(152)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58)의 전방이동 즉 제1이동시 상기 몸체(156)의 회전으로 상기 제1도전면(152)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는 상기 몸체(156)의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 상기 몸체(156)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2도전면(154)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58)의 제1이동시 상기 몸체(156)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2도전면(154)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몸체(156)와 전기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4) 및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는 옥내배선의 전원공급 전원선 즉, 건물의 벽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선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는 상기 몸체(156)의 좌측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 및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152)과 접촉함에 따라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58)의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15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는 상기 제1전등(120)의 두개의 전원선중 하나의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는 상기 몸체(156)의 좌측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 및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2도전면(154)과 접촉하여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58)의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2도전면(154)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와 함께 제1전등(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156)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전등(12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는 상기 제1전등(120)의 두개의 전원선중 나머지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는 상기 몸체(156)의 우측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152)과 접촉하여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58)의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15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는 상기 제2전등(130)의 두개의 전원선중 하나의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는 상기 몸체(156)의 우측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2도전면(154)과 접촉하여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58)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154)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와 함께 제2전등(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156)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전등(13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는 상기 제2전등(130)의 두개의 전원선중 나머지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40)에는 상기 제1전등(120)의 점등상태시에 점등되고 소등상태시에 소등되는 제1엘이디(126)와, 상기 제2전등(130)의 점등상태시에 점등되고 소등상태시에 소등되는 제2엘이디(136)가 구비되어 상기 전환스위치(150) 또는 상기 몸체(156)의 정상동작 여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엘이디(126)와 상기 제2엘이디(136)는 상기 제1전등(120) 및 상기 제2전등(130)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40) 내부에 있는 전원선에 흐르는 교류전류에 의해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제1엘이디(126)은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 및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에 연결된 전원선에서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엘이디(136)는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4)에 연결된 전원선에서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류가 흐르는 전원선(PC)이 원형코어(C)를 통과하고 있고, 코어(C)에는 일정 권수의 코일(L)이 감겨져 있다. 코일(L)은 정류기능을 하는 다이오드(D)와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1엘이디(126) 또는 상기 제2엘이디(136)와 직렬연결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회로구성은 상기 하우징(140)에 내장되어 별도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코어(C)는 통상의 철심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규소강판으로 제작된다. 또한 코일(L)은 코어(C) 전체에 걸쳐 감겨져 있을 수도 있고 코어(C)의 일부분에만 감겨져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다이오드(D)는 별도의 정류회로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전원선에 흐르는 교류전류를 이용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엘이디를 점등하는 회로구성은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다.
상기 제1전등(120)과 연결된 전원선을 통해 교류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원선(PC)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 역시 시간에 따라 계속 변하게 되고, 시간적으로 변하는 자기장은 전기장을 발생시킨다는 패러데이 법칙에 따라, 코일(L)을 감고 있는 전선에 유도기전력이 생성되게 된다. 이 유도기전력에 의해 다이오드(D) 및 상기 제1엘이디(126)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1엘이디(126)가 점등되고, 상기 제1전등이 소등되면, 유도기전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엘이디(126)가 소등되게 된다. 이는 제2엘이디(136)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에 따라 추가 전력소모의 필요가 없고,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이도, 상기 제1엘이디(126) 및 상기 제2엘이디(136)를 통해 상기 전환스위치(150)의 정상동작여부를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전등스위치(100)와 제1전등(120) 또는 상기 전등스위치(100)와 제2전등(130)이 서로 별도의 분리된 장소에 이격되어 있어, 제1전등(120) 또는 제2전등(130)의 점등 또는 소등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울 때 유용하며, 상기 전환스위치(150) 만을 통해서 제1전등(120) 또는 제2전등(130)의 점등 또는 소등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전등(120) 또는 제2전등(130)이 점등되지 않는 고장상태일 경우에, 전등의 고장인지 전환스위치(150)의 고장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 각각의 단부는 상기 몸체(156)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이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56)의 외주면에 오목면이 밀접 접촉하도록 반원형 단면형상 또는 곡면 형상의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56)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 각각의 단부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상태로 놓이도록 형성되는 반원형 단면형상의 판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볼록면이 상기 몸체(156)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접촉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스위치(150)의 손잡이(158)는 제1이동 내지 제4이동으로 상기 몸체(156)를 회전시켜 전원을 차단 또는 전환하는 구성을 가진다. 도 5 내지 도 8은 제1이동 내지 제4이동시의 전환스위치(150)의 전, 후, 좌, 우의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58)의 제1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 및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와 상기 몸체(156)의 제1도전면(152) 및 제2도전면(154)이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제1전등(120) 및 상기 제2전등(130)이 모두 소등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 상기 제1도전면(152),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 상기 제2도전면(154),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가지므로, 상기 제1전등(120) 및 상기 제2전등(130)은 모두 점등상태가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58)의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 상기 제1도전면(152) 및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 상기 제2도전면(154), 및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1전등(120)은 점등상태가 되고 상기 제2전등(130)은 소등상태가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58)의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 상기 제1도전면(152)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 상기 제2도전면(154),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1전등(120)은 소등상태가 되고 상기 제2전등(130)은 점등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등스위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에 매립되거나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등스위치(100)는 제1전등(120) 및 제2전등(130)에 접속한 상태에서, 제1전등(120) 및 제2전등(130) 모두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58)를 제2이동시키고, 제1전등(120)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58)를 제3이동시키고, 제2전등(120)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58)를 제4이동시키고, 제1전등(120) 및 제2전등(130) 모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58)를 제1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사용가능하다. 이에 따라, 간단한 동작으로 사용하는 전등 제어가 가능하고, 하나의 스위치를 사용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하나의 공간에 제1전등(120) 및 제2전드(130)이 구비되는 경우 해당 공간에 밝기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56)의 내부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40)에는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56)가 과열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하여 상기 경보유닛이나 알람유닛을 동작시켜 사용자가 알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과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56)의 내부에 바이메탈 스위치를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140)에는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56)가 과열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온바이메탈 스위치가 온 되어 상기 경보유닛이나 알람유닛을 동작시켜 사용자가 알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과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 바이메탈 스위치 등에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제1 및 제2전원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적절하게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선에 흐르는 교류전류를 이용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유도기전력을 전원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절전이 가능하면서도 화재예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2 : 제1전원입력단자 114 : 제2전원입력단자
120 : 제1전등 122 : 제1전원출력단자
124 : 제2전원출력단자 130 : 제2전등
132 : 제3전원출력단자 134 : 제4전원출력단자
140 : 하우징 145 : 가이드홀
150 : 전환스위치 152 : 제1도전면
154 : 제2도전면 156 : 몸체
158 : 손잡이

Claims (11)

  1. 제1전등과 제2전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전등스위치에 있어서:
    구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방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도전면과, 상기 몸체의 전방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도전면과,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전환스위치와;
    상기 몸체의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후방이동인 제2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전방이동인 제1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상기 제1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1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2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2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좌측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후방이동상태에서 좌측이동하는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후방이동상태에서 우측이동하는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1전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원출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좌측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3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4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와 함께 제1전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전등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2전원출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우측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2전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원출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우측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와 함께 상기 제2전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전등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4전원출력단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전방이동인 제1이동, 후방이동인 제2이동, 후방이동상태에서 좌측이동인 제3이동 및 후방이동상태에서 우측 이동인 제4이동으로 상기 몸체를 회전시켜 전원을 차단 또는 전환하며,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몸체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제1전등 및 상기 제2전등이 소등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도전면,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도전면,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전등 및 상기 제2전등이 모두 점등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도전면 및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도전면, 및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1전등은 점등상태가 되고, 상기 제2전등은 소등상태가 되며,
    상기 손잡이의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도전면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도전면,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1전등은 소등상태가 되고, 상기 제2전등은 점등상태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스위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손잡이의 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과 상기 제2도전면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스위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의 몸체는 상기 몸체가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 공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에는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 제2이동, 제3이동, 및 제4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등스위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는 건물의 벽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선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스위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 각각의 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오목면이 밀접 접촉하도록 반원형 단면형상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스위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 각각의 단부에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상태로 놓이도록 형성되는 반원형 단면형상의 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볼록면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스위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전등의 점등시에 점등되고 소등시에 소등되는 제1엘이디와, 상기 제2전등의 점등시에 점등되고 소등시에 소등되는 제2엘이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스위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12096A 2019-09-10 2019-09-10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 KR102063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96A KR102063461B1 (ko) 2019-09-10 2019-09-10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96A KR102063461B1 (ko) 2019-09-10 2019-09-10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461B1 true KR102063461B1 (ko) 2020-01-08

Family

ID=6915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096A KR102063461B1 (ko) 2019-09-10 2019-09-10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4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661Y1 (ko) 2001-06-27 2001-10-17 김남희 기호가 인쇄된 전등스위치
KR20080093005A (ko) * 2008-05-21 2008-10-17 이영우 화재예방 단자함
KR20110030081A (ko) * 2009-09-17 2011-03-23 신성그린텍(주) 절전형 콘센트장치
KR20120124014A (ko) * 2011-08-02 2012-11-12 박증언 절전형 멀티탭
KR20160046422A (ko) * 2014-10-20 2016-04-29 주식회사 시명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KR20170035435A (ko) * 2015-09-23 2017-03-31 김동휘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661Y1 (ko) 2001-06-27 2001-10-17 김남희 기호가 인쇄된 전등스위치
KR20080093005A (ko) * 2008-05-21 2008-10-17 이영우 화재예방 단자함
KR20110030081A (ko) * 2009-09-17 2011-03-23 신성그린텍(주) 절전형 콘센트장치
KR20120124014A (ko) * 2011-08-02 2012-11-12 박증언 절전형 멀티탭
KR20160046422A (ko) * 2014-10-20 2016-04-29 주식회사 시명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KR20170035435A (ko) * 2015-09-23 2017-03-31 김동휘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9113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負荷制御システム
JP5156521B2 (ja) センサ脱着式照明器具
KR102063461B1 (ko)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
KR102023892B1 (ko) 절전이 가능한 벽체 매립형 전기 콘센트
KR102023891B1 (ko) 절전형 전기 콘센트
KR102048489B1 (ko) 대기전력 저감이 가능한 전원분배기
JP2016134211A (ja)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システム
TWI452933B (zh) 燈管切換電路
EP3984648A1 (en) Lighting shower
KR101212550B1 (ko) 엘이디 경광등
WO2012035738A1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JP4959034B2 (ja) 照明器具
JP2013030415A (ja) センサ付き照明制御装置およびセンサ付き照明器具
CN208566623U (zh) 插装式灯具控制器及灯具
JP2010040205A (ja) 照明装置
JP5812273B2 (ja) 電源制御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4218457B2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WO2014073161A1 (ja) 非接触給電装置
CN214306851U (zh) 一种可以控制亮度的场馆用照明灯
KR20150086962A (ko)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
JP2018018787A (ja) 照明装置
RU2298248C1 (ru) Настен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KR102290744B1 (ko) 전기 레인지용 사용표시장치
JP5554021B2 (ja) 壁スイッチ
CN210771617U (zh) 一种磁吸结构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