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891B1 - 절전형 전기 콘센트 - Google Patents
절전형 전기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3891B1 KR102023891B1 KR1020190068863A KR20190068863A KR102023891B1 KR 102023891 B1 KR102023891 B1 KR 102023891B1 KR 1020190068863 A KR1020190068863 A KR 1020190068863A KR 20190068863 A KR20190068863 A KR 20190068863A KR 102023891 B1 KR102023891 B1 KR 1020238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ement
- power
- output terminal
- power output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형 전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전기 콘센트는, 구형상의 몸체와, 제1도전면과, 제2도전면과, 손잡이를 구비하는 전환스위치와;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과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1전원입력단자와;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2전원입력단자와;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1전원출력단자와;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3이동시에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4이동시에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2전원출력단자와;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3전원출력단자와;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4전원출력단자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전형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플러그를 분리함이 없이 대기전력을 손쉽게 절약할 수 있으며, 콘센트의 활성상태 또는 비활성상태의 전환을 손쉽게 할 수 있고, 한번의 동작으로 특정 콘센트를 비활성화함과 동시에 다른 콘센트의 활성화를 할 수 있는 절전형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란 플러그를 매개로 하여 전기배선과 코드를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기구로 전기/전자적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등의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벽에 내장된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지만 외출시나 취침 등과 같이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콘센트에 끼워진 플러그를 빼지 않고 전기제품의 전원만 오프하게 된다. 이 경우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음에도 콘센트에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꽂아두면 대기전력이 소모되어 에너지가 낭비되게 된다. 하지만,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빼는 행위 자체가 번거롭고 불편하며, 사용시에는 다시 체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플러그가 체결된 상태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대기전력의 소모 및 에너지의 낭비가 문제화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한편, 일반적인 전기제품은 전원 케이블이 당겨져서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플러그는 콘센트에 강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제작되게 된다. 에너지 절약상 이러한 전기제품들의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빼기 위해 통상 전원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경우가 있으며 그로인해 전원케이블과 플러그간의 접속상태가 불량해져 고장발생의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절전형 전기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플러그를 분리함이 없이 대기전력을 손쉽게 절약할 수 있고, 콘센트의 활성상태 또는 비활성상태의 전환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절전형 전기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번의 동작으로 특정 콘센트를 비활성화함과 동시에 다른 콘센트의 활성화를 할 수 있고, 한번의 동작으로 전체 콘센트의 비활성화 또는 전체 콘센트의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는 절전형 전기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전기 콘센트는, 구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방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도전면과, 상기 몸체의 전방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도전면과,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전환스위치와; 상기 몸체의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후방이동인 제2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전방이동인 제1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상기 제1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1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2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2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좌측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후방이동상태에서 좌측이동하는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후방이동상태에서 우측이동하는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1전원출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좌측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3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4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와 함께 제1전기콘센트를 구성하는 제2전원출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우측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3전원출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우측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와 함께 제2전기콘센트를 구성하는 제4전원출력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는, 전방이동인 제1이동, 후방이동인 제2이동, 후방이동상태에서 좌측이동인 제3이동 및 후방이동상태에서 우측 이동인 제4이동으로 상기 몸체를 회전시켜 전원을 차단 또는 전환하며,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몸체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제1콘센트 및 상기 제2콘센트가 비활성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도전면,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도전면,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콘센트 및 상기 제2콘센트가 모두 활성상태가 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도전면 및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도전면, 및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1콘센트는 활성상태가 되고 상기 제2콘센트는 비활성상태가 되며, 상기 손잡이의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도전면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도전면,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1콘센트는 비활성상태가 되고 상기 제2콘센트는 활성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손잡이의 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과 상기 제2도전면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의 몸체는 상기 몸체가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 공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에는 상기 손잡이의 전방이동, 후방이동, 좌측이동, 우측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는 하나의 전기플러그를 구성하며, 상기 전기콘센트는 멀티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 각각의 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오목면이 밀접 접촉하도록 반원형 단면형상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 각각의 단부에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상태로 놓이도록 형성되는 반원형 단면형상의 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볼록면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콘센트의 활성상태시에 점등되고 비활성상태시에 소등되는 제1엘이디와, 상기 제2콘센트 각각의 활성상태시에 점등되고 비활성상태시에 소등되는 제2엘이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엘이디는 상기 제1콘센트에 내장된 전원선에서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엘이디는 상기 제2콘센트에 내장된 전원선에서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온도센서를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과열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하여 상기 경보유닛이나 알람유닛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경고유닛 또는 알람유닛은, 상기 제1콘센트 또는 상기 제2콘센트에 내장된 전원선에서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과열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가 온 되어 상기 경보유닛이나 알람유닛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경고유닛 또는 알람유닛은, 상기 제1콘센트 또는 상기 제2콘센트에 내장된 전원선에서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플러그를 분리함이 없이 대기전력을 손쉽게 절약할 수 있고, 콘센트의 활성상태 또는 비활성상태의 전환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번의 동작으로 특정 콘센트를 비활성화함과 동시에 다른 콘센트의 활성화를 할 수 있고, 한번의 동작으로 전체 콘센트의 비활성화 또는 전체 콘센트의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어 대기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추가전력의 소모없이도 콘센트의 활성 또는 비활성 상태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과열로 인한 화재예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전기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환스위치의 개략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손잡이의 제1 내지 제4이동시의 상기 전환스위치와 각 단자들의 전기적 접속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전기콘센트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1의 제1엘이디 및 제2엘이디의 동작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환스위치의 개략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손잡이의 제1 내지 제4이동시의 상기 전환스위치와 각 단자들의 전기적 접속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전기콘센트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1의 제1엘이디 및 제2엘이디의 동작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전기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환스위치의 개략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손잡이의 제1 내지 제4이동시의 상기 전환스위치와 각 단자들의 전기적 접속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전기 콘센트(100)는 제1전원입력단자(112)와 제2전원입력단자(114), 제1전원출력단자(122)와 제2전원출력단자(124), 제3전원출력단자(132)와 제4전원출력단자(134), 및 전환스위치(150)를 구비한다.
상기 전환스위치(150)는 구형상의 몸체(156)와, 상기 몸체(156)의 후방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도전면(152)과, 상기 몸체(156)의 전방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도전면(154)과, 상기 몸체(156)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158)를 구비한다. 여기서 후방상부 및 전방하부 등의 위치기준은 상기 손잡이(158)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 또는 상기 손잡이가 전방과 후방의 중간지점에 위치할 때를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다.
상기 제1도전면(152) 및 상기 제2도전면(154)은 도전성 물질이 도포되거나 전기도전성이 우수한 금속판을 상기 몸체(156)에 부착되어 형성가능하고, 기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으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제1도전면(152) 및 상기 제2도전면(154)은 상기 몸체(156)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158)의 전방이동, 후방이동, 후방이동 상태에서 좌측이동, 후방이동 상태에서 우측 이동에 따라 몸체(156)가 회전하게 되어 그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158)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2이동, 후방이동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제3이동, 후방이동상태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제4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몸체(156)는 상기 손잡이(158)의 이동시에 상기 몸체(156)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152)과 상기 제2도전면(154)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58)의 제1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152)과 상기 제2도전면(154)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일정각도(예를 들면, 45도)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150)의 몸체(156)는 몸체(156)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 공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140)에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측에는 상기 손잡이(158)의 제1이동 내지 제4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58)의 제1 내지 제4이동에 따라, 상기 몸체(156)가 회전하고, 상기 몸체(15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도전면(152) 및 상기 제2도전면(154)의 위치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제1전원입력단자(112)와 제2전원입력단자(114), 제1전원출력단자(122)와 제2전원출력단자(124), 제3전원출력단자(132)와 제4전원출력단자(134) 와의 전기적 접속관계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는 상기 몸체(156)의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8)의 후방이동 즉 제2이동시 상기 몸체(156)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1도전면(152)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58)의 전방이동 즉 제1이동시 상기 몸체(156)의 회전으로 상기 제1도전면(152)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는 상기 몸체(156)의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 상기 몸체(156)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2도전면(154)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58)의 제1이동시 상기 몸체(156)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2도전면(154)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몸체(156)와 전기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4) 및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는 전기 플러그 형상으로 구현되어 전기 콘센트에 접속되는 멀티탭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선에 직접 연결되도록 매립형 또는 벽부형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는 상기 몸체(156)의 좌측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 및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152)과 접촉함에 따라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58)의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15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는 상기 몸체(156)의 좌측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 및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2도전면(154)과 접촉하여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58)의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2도전면(154)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4)와 함께 제1콘센트(120)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1콘센트 및 제2콘센트는 전기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는 상기 몸체(156)의 우측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152)과 접촉하여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58)의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15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는 상기 몸체(156)의 우측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2도전면(154)과 접촉하여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58)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154)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와 함께 제2콘센트(130)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콘센트(120) 및 상기 제2콘센트(130)의 구현에 있어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구성으로 구현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40)에는 상기 제1콘센트(120)의 활성상태시에 점등되고 비활성상태시에 소등되는 제1엘이디(126)와, 상기 제2콘센트(130)의 활성상태시에 점등되고 비활성상태시에 소등되는 제2엘이디(136)가 구비되어 각 콘센트의 활성상태 및 비활성 상태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엘이디(126)와 상기 제2엘이디(136)는 상기 제1콘센트(120) 및 상기 제2콘센트(130) 내의 전원선에 흐르는 교류전류에 의해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류가 흐르는 전원선(PC)이 원형코어(C)를 통과하고 있고, 코어(C)에는 일정 권수의 코일(L)이 감겨져 있다. 코일(L)은 정류기능을 하는 다이오드(D)와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1엘이디(126) 또는 상기 제2엘이디(136)와 직렬연결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회로구성은 제1콘센트(120) 및 상기 제2콘센트(130) 각각에 내장되어 별도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코어(C)는 통상의 철심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규소강판으로 제작된다. 또한 코일(L)은 코어(C) 전체에 걸쳐 감겨져 있을 수도 있고 코어(C)의 일부분에만 감겨져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다이오드(D)는 별도의 정류회로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전원선에 흐르는 교류전류를 이용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엘이디를 점등하는 회로구성은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다.
상기 제1콘센트(120)가 활성화되어 제1콘센트(120)의 전원선을 통해 교류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원선(PC)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 역시 시간에 따라 계속 변하게 되고, 시간적으로 변하는 자기장은 전기장을 발생시킨다는 패러데이 법칙에 따라, 코일(L)을 감고 있는 전선에 유도기전력이 생성되게 된다. 이 유도기전력에 의해 다이오드(D) 및 상기 제1엘이디(126)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1엘이디(126)가 점등되고, 상기 제1콘센트(120)가 비활성화되면 유도기전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엘이디(126)가 소등되게 된다. 이는 제2콘센트(1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상기 제2콘센트(130)가 활성화되면 발생된 유도기전력에 의해 상기 제2엘이디(136)가 점등되고 상기 제2콘센트(130)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2엘이디(136)는 소등된다. 이에 따라 추가 전력소모의 필요가 없고,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이도, 상기 제1엘이디(126) 및 상기 제2엘이디(136)를 통해 각 콘센트의 활성상태 및 비활성 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 각각의 단부는 상기 몸체(156)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56)의 외주면에 오목면이 밀접 접촉하도록 반원형 단면형상 또는 곡면 형상의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56)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 각각의 단부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상태로 놓이도록 형성되는 반원형 단면형상의 판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볼록면이 상기 몸체(156)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접촉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스위치(150)의 손잡이(158)는 제1이동 내지 제4이동으로 상기 몸체(156)를 회전시켜 전원을 차단 또는 전환하는 구성을 가진다. 도 5 내지 도 8은 제1이동 내지 제4이동시의 전환스위치(150)의 전, 후, 좌, 우의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58)의 제1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 및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와 상기 몸체(156)의 제1도전면(152) 및 제2도전면(154)이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제1콘센트(120) 및 상기 제2콘센트(130)가 모두 비활성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58)의 제2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 상기 제1도전면(152),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 상기 제2도전면(154),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가지므로, 상기 제1콘센트(120) 및 상기 제2콘센트(130)가 모두 활성상태가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58)의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 상기 제1도전면(152) 및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 상기 제2도전면(154), 및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1콘센트(120)는 활성상태가 되고 상기 제2콘센트(130)는 비활성상태가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58)의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112), 상기 제1도전면(152)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132)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122)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114), 상기 제2도전면(154),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134)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124)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1콘센트(120)는 비활성상태가 되고 상기 제2콘센트(130)는 활성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콘센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이 가능한 멀티탭 구조를 가지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에 매립되는 매립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센트는 제1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제1콘센트(120)에 접속되고, 제2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제2콘센트(130)에 접속한 상태에서, 제1전기제품 및 제2전기제품 모두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58)를 제2이동시키고, 제1전기제품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58)를 제3이동시키고, 제2전기제품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58)를 제4이동시키고, 제1전기제품 및 제2전기제품 모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58)를 제1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사용가능하다. 이에 따라, 간단한 동작으로 사용하는 전기제품에만 전기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기전력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를 분리함이 없이 전기 차단 및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56)의 내부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40)에는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56)가 과열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하여 상기 경보유닛이나 알람유닛을 동작시켜 사용자가 알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과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56)의 내부에 바이메탈 스위치를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140)에는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56)가 과열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온바이메탈 스위치가 온 되어 상기 경보유닛이나 알람유닛을 동작시켜 사용자가 알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과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 바이메탈 스위치 등에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제1 및 제2전원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적절하게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선에 흐르는 교류전류를 이용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유도기전력을 전원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절전이 가능하면서도 화재예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2 : 제1전원입력단자 114 : 제2전원입력단자
120 : 제1콘센트 122 : 제1전원출력단자
124 : 제2전원출력단자 130 : 제2콘센트
132 : 제3전원출력단자 134 : 제4전원출력단자
140 : 하우징 145 : 가이드홀
150 : 전환스위치 152 : 제1도전면
154 : 제2도전면 156 : 몸체
158 : 손잡이
120 : 제1콘센트 122 : 제1전원출력단자
124 : 제2전원출력단자 130 : 제2콘센트
132 : 제3전원출력단자 134 : 제4전원출력단자
140 : 하우징 145 : 가이드홀
150 : 전환스위치 152 : 제1도전면
154 : 제2도전면 156 : 몸체
158 : 손잡이
Claims (13)
- 절전형 전기 콘센트에 있어서:
구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방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도전면과, 상기 몸체의 전방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도전면과,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전환스위치와;
상기 몸체의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후방이동인 제2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전방이동인 제1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상기 제1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1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2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2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좌측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후방이동상태에서 좌측이동하는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후방이동상태에서 우측이동하는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1전원출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좌측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3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4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와 함께 제1콘센트를 구성하는 제2전원출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우측 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1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제3전원출력단자와;
상기 몸체의 우측 전방 외주면에 단부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 및 제4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 상기 제2도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와 함께 제2콘센트를 구성하는 제4전원출력단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 콘센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전방이동인 제1이동, 후방이동인 제2이동, 후방이동상태에서 좌측이동인 제3이동 및 후방이동상태에서 우측 이동인 제4이동으로 상기 몸체를 회전시켜 전원을 차단 또는 전환하며,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몸체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제1콘센트 및 상기 제2콘센트가 비활성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도전면,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도전면,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콘센트 및 상기 제2콘센트가 모두 활성상태가 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3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도전면 및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도전면, 및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1콘센트는 활성상태가 되고 상기 제2콘센트는 비활성상태가 되며,
상기 손잡이의 제4이동시에는,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도전면 및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도전면,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1콘센트는 비활성상태가 되고 상기 제2콘센트는 활성상태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 콘센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손잡이의 이동시에 상기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손잡이의 제2이동시에는 상기 제1도전면과 상기 제2도전면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콘센트.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의 몸체는 상기 몸체가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 공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에는 상기 손잡이의 제1이동, 제2이동, 제3이동, 및 제4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 콘센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는 하나의 전기플러그를 구성하며, 상기 전기콘센트는 멀티탭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콘센트.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 각각의 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오목면이 밀접 접촉하도록 반원형 단면형상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콘센트.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입력단자, 상기 제2전원입력단자, 상기 제1전원출력단자, 상기 제2전원출력단자, 상기 제3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제4전원출력단자 각각의 단부에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상태로 놓이도록 형성되는 반원형 단면형상의 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볼록면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콘센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콘센트의 활성상태시에 점등되고 비활성상태시에 소등되는 제1엘이디와, 상기 제2콘센트 각각의 활성상태시에 점등되고 비활성상태시에 소등되는 제2엘이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콘센트.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엘이디는 상기 제1콘센트에 내장된 전원선에서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엘이디는 상기 제2콘센트에 내장된 전원선에서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 콘센트.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온도센서를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과열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하여 상기 경보유닛이나 알람유닛을 동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 콘센트.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은, 상기 제1콘센트 또는 상기 제2콘센트에 내장된 전원선에서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 콘센트.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과열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가 온 되어 상기 경보유닛이나 알람유닛을 동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 콘센트.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경보유닛 또는 알람유닛은, 상기 제1콘센트 또는 상기 제2콘센트에 내장된 전원선에서 여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기 콘센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8863A KR102023891B1 (ko) | 2019-06-11 | 2019-06-11 | 절전형 전기 콘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8863A KR102023891B1 (ko) | 2019-06-11 | 2019-06-11 | 절전형 전기 콘센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3891B1 true KR102023891B1 (ko) | 2019-09-23 |
Family
ID=6806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8863A KR102023891B1 (ko) | 2019-06-11 | 2019-06-11 | 절전형 전기 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3891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4282A (ko) | 2003-05-28 | 2004-12-10 | 김재흥 | 대기전력 제어용 절전스위치가 연결된 콘센트 |
KR20080093005A (ko) * | 2008-05-21 | 2008-10-17 | 이영우 | 화재예방 단자함 |
KR20110030081A (ko) * | 2009-09-17 | 2011-03-23 | 신성그린텍(주) | 절전형 콘센트장치 |
KR20120124014A (ko) * | 2011-08-02 | 2012-11-12 | 박증언 | 절전형 멀티탭 |
KR101241717B1 (ko) * | 2012-06-14 | 2013-03-11 | 이태훈 | 비접촉식 조이스틱 |
KR20160046422A (ko) * | 2014-10-20 | 2016-04-29 | 주식회사 시명 |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
KR20170035435A (ko) * | 2015-09-23 | 2017-03-31 | 김동휘 |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
-
2019
- 2019-06-11 KR KR1020190068863A patent/KR1020238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4282A (ko) | 2003-05-28 | 2004-12-10 | 김재흥 | 대기전력 제어용 절전스위치가 연결된 콘센트 |
KR20080093005A (ko) * | 2008-05-21 | 2008-10-17 | 이영우 | 화재예방 단자함 |
KR20110030081A (ko) * | 2009-09-17 | 2011-03-23 | 신성그린텍(주) | 절전형 콘센트장치 |
KR20120124014A (ko) * | 2011-08-02 | 2012-11-12 | 박증언 | 절전형 멀티탭 |
KR101241717B1 (ko) * | 2012-06-14 | 2013-03-11 | 이태훈 | 비접촉식 조이스틱 |
KR20160046422A (ko) * | 2014-10-20 | 2016-04-29 | 주식회사 시명 |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
KR20170035435A (ko) * | 2015-09-23 | 2017-03-31 | 김동휘 |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4854B1 (ko) | 대기전력 차단용 벽면 매설형 콘센트 | |
CN101662112A (zh) | 插座 | |
JP2010251133A (ja) | 感電防止ソケットの回路 | |
CN104205522A (zh) | 便于整理连接至电子产品的多余电线的多插口插座 | |
KR102023891B1 (ko) | 절전형 전기 콘센트 | |
KR102023892B1 (ko) | 절전이 가능한 벽체 매립형 전기 콘센트 | |
KR102048489B1 (ko) | 대기전력 저감이 가능한 전원분배기 | |
KR102063461B1 (ko) | 사용이 용이하고 화재예방이 가능한 비용 절약형 전등스위치 | |
KR101232820B1 (ko) | 전원 공급 제어장치 | |
KR20140012234A (ko) |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 | |
KR101436309B1 (ko) | 케이블 릴의 멀티 콘센트 | |
KR200296141Y1 (ko) | 콘센트 | |
KR20100114701A (ko) |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 |
KR20100088011A (ko) | 전원케이블의 플러그장치 | |
US20180301852A1 (en) | Power-saving outlet | |
KR101113475B1 (ko) | 절전형 콘센트 | |
CN218009382U (zh) | 一种便携式暖奶器 | |
KR200252574Y1 (ko) |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 |
KR200199639Y1 (ko) | 전기 절전용 멀티콘센트 코드 스위치 | |
CN212845849U (zh) | 检测电路及电磁加热设备 | |
KR200185351Y1 (ko) | 적외선 센서스위치가 있는 멀티콘센트 | |
JP2013158115A (ja) | 無線給電装置、什器 | |
KR200267355Y1 (ko) | 온/오프 스위치 작동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 |
KR102555766B1 (ko) |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 | |
KR102537313B1 (ko) |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