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820B1 - 전원 공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820B1
KR101232820B1 KR1020120094692A KR20120094692A KR101232820B1 KR 101232820 B1 KR101232820 B1 KR 101232820B1 KR 1020120094692 A KR1020120094692 A KR 1020120094692A KR 20120094692 A KR20120094692 A KR 20120094692A KR 101232820 B1 KR101232820 B1 KR 101232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witch
power supply
pow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청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9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콘센트와 연결되어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AC전원 입력부;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된 교류전원을 출력하는 AC전원 출력부;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를 연결시키거나 단선시키는 계전기; 상기 AC전원 입력부 및 계전기와 전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계전기가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가 연결되거나 단선되도록 스위칭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편리한 위치에서 공급전원을 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화하고 동시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제어장치{POWER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공급전원을 제어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장치는 가정이나 공장 등지에 공급되는 전원과 각종 전기제품 사이를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장치로서, 각종 전기제품 등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 전원 자체의 인가를 차단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전원 공급장치는 벽면 등에 구비되는 전기 콘센트 또는 전기 콘센트에 근접한 바닥이나 책상 아래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닿기 힘든 위치에 배치되어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기존의 전원 공급장치로는 멀티탭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전원 공급장치로서의 멀티탭 등은, 여러 개의 전기제품을 동시에 연결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멀티탭의 스위치를 통해 공급전원과 전기제품의 연결을 차단시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존의 기존의 전원 공급장치로서의 멀티탭 등은 공급전원과 전기제품의 연결을 차단시키는 스위치가 몸체에 직접 구비되고, 그 배치는 전기 콘센트가 구비된 벽면 아래 또는 책상 아래쪽의 방바닥 구석 등에 위치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공급전원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멀티탭 등이 위치한 곳까지 허리를 굽히고 손을 뻗어 스위치를 오프(off)시켜야만 하는 불편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불편에 의해, 실제 많은 사용자들이 전기제품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도 멀티탭 등에 설치된 스위치를 오프시키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게 되어 실제 많은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746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의 경우에도 상술한 문제가 그대로 존재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콘센트에 연결되고 각종 전기제품이 연결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와 전선에 의해 이격되도록 연결된 스위치부(12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편리한 위치에서 공급전원을 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화하고 동시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바디부에 계전기를 포함하고 전선에 의해 AC전원 입력부 및 계전기와 연결된 스위치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전원공급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공급전원이 각종 전기제품 등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원 콘센트와 연결되어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AC전원 입력부와,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된 교류전원을 출력하는 AC전원 출력부, 및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를 연결시키거나 단선시키는 계전기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AC전원 입력부 및 계전기와 연결된 전선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상기 계전기가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가 연결되거나 단선되도록 스위칭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가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를 연결시키도록 온 스위칭 된 상태에서는 발광하고,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를 단선시키도록 오프 스위칭 된 상태에서는 소광되도록 설치된 엘이디(LED,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 램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스위치부 사이에서 상기 AC전원 입력부에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변환된 직류전원에 의해 상기 램프가 발광되도록 하되, 상기 바디부는 상기 AC-DC 컨버터와 스위치부 사이에서 상기 AC-DC 컨버터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정전원으로 변환하여 스탠드바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편리한 위치에서 공급전원을 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화하고 동시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전원공급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공급전원이 각종 전기제품 등에 공급될 수 있는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장치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장치에 사용되는 계전기와 스위치부의 회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장치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장치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장치에 사용되는 계전기와 스위치부의 회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장치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전원 콘센트와 연결되어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AC전원 입력부(111)와,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된 교류전원을 출력하는 AC전원 출력부(115)와,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AC전원 출력부(115)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AC전원 출력부(115)를 연결시키거나 단선시키는 계전기(113)와, 상기 AC전원 입력부(111) 및 계전기(113)와 전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계전기(113)가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AC전원 출력부(115)가 연결되거나 단선되도록 스위칭하는 온/오프 스위치(121)가 구비된 스위치부(12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전원 입력부(111)와 AC전원 출력부(115) 및 계전기(113)를 포함한 바디부(110)와, 온/오프 스위치(121)가 구비된 스위치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AC전원 입력부(111)는 가정이나 공장 등의 벽면 또는 바닥면 등에 전기가 공급되도록 설치된 전기 콘센트(10)와 연결되어 교류전압이 공급되는 포트(port)이다.
상기 AC전원 출력부(115)는 상기 AC전원 입력부(111)로 입력된 교류전원이 출력되는 출력 포트(port)이다.
상기 AC전원 출력부(115)에는 각종 멀티탭 또는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포트이다.
상기 계전기(relay, 113)는 회로를 열거나 닫을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되는 전자부품으로서, 일종의 전기 스위치에 해당된다.
상기 계전기(113)는 스위치부(120)의 온/오프 스위치(121) 동작에 의해 작동되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계전기(113)은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AC전원 출력부(115)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부(120)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121)에 의해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AC전원 출력부(115)를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온/오프 스위치(121)가 온(on)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AC전원 입력부(111)로 입력된 교류전원이 상기 AC전원 출력부(115)로 전달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121)가 오프(off)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AC전원 출력부(115) 사이의 연결기 상기 계전기(113)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AC전원 출력부(115)로의 공급전원이 차단된다.
상기 스위치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와 전선(130)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120)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121)를 포함하고, 램프(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와 전선(130)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계전기(113)에 의해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AC전원 출력부(115) 사이를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오프 스위치(121)는 상기 AC전원 입력부(111) 및 계전기(113)와 전선(130, 130a, 130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온/오프 스위치(121)가 온(on) 모드인 경우 상기 계전기(113)가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AC전원 출력부(115)를 연결시켜 상기 AC전원 입력부(111)로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AC전원 출력부(115)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121)가 오프(off) 모드인 경우 상기 계전기(113)가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AC전원 출력부(115)의 연결을 차단시켜 AC전원 출력부(115)로 교류 원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120)에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121)가 온(on) 모드인 경우 발광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121)가 오프(off) 모드인 경우 소광되는 램프(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램프(122)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121)가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AC전원 출력부(115)를 연결시키도록 온 스위칭 된 상태에서는 발광하고,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AC전원 출력부(115)를 단선시키도록 오프 스위칭 된 상태에서는 소광되도록 상기 스위치부(12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램프(122)는 LED(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와 스위치부(120) 사이에는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에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1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AC-DC 컨버터(112)는 상기 AC전원 입력부(111)에서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치부(120)에 공급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스위치부(120)에 직류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온/오프 스위치(121)의 온 동작에 따라 상기 램프(122)가 발광되도록 설계하게 된다.
상기 AC-DC 컨버터(112)와 스위치부(120) 사이에는 상기 AC-DC 컨버터(112)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정전원으로 변환하여 스탠드바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4)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부(SMPS, Switch Mode Power Supply, 114)는 상기 AC-DC 컨버터(112)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정전원으로 변환하여 스탠드바이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114)는 상기 변환된 직류전원을 LED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램프(122)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맞도록 변환시키는 수단이다. 예컨대, 상기 램프(11)를 구성하는 LED에서 요구되는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AC전원 출력부(115)는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120)를 전기 콘센트(10)에 연결되는 바디부(110)와 전선(130)에 의해 연결시키며 책상 위 또는 사용자의 손이 닿기 쉬운 장소에 배치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전원 공급 스위치인 온/오프 스위치(121)를 제어하여 전원의 공급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장치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소에 상기 스위치부(120)를 배치시킴으로써, 전원 공급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벽면 10: 전기 콘센트
100: 전원 공급 제어장치 110: 바디부
111: AC전원 입력부 112: AC-DC 컨버터
113: 계전기 114: 전원공급부
115: 출력부 120: 스위치부
121: 온/오프 스위치 122: 램프
130: 전선 200: 멀테탭 또는 각종 전기제품 플러그

Claims (4)

  1. 전원 콘센트와 연결되어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AC전원 입력부와,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된 교류전원을 출력하는 AC전원 출력부, 및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를 연결시키거나 단선시키는 계전기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AC전원 입력부 및 계전기와 연결된 전선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상기 계전기가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가 연결되거나 단선되도록 스위칭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가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를 연결시키도록 온 스위칭 된 상태에서는 발광하고,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AC전원 출력부를 단선시키도록 오프 스위칭 된 상태에서는 소광되도록 설치된 엘이디(LED,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 램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AC전원 입력부와 스위치부 사이에서 상기 AC전원 입력부에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변환된 직류전원에 의해 상기 램프가 발광되도록 하되,
    상기 바디부는 상기 AC-DC 컨버터와 스위치부 사이에서 상기 AC-DC 컨버터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정전원으로 변환하여 스탠드바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94692A 2012-08-29 2012-08-29 전원 공급 제어장치 KR101232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692A KR101232820B1 (ko) 2012-08-29 2012-08-29 전원 공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692A KR101232820B1 (ko) 2012-08-29 2012-08-29 전원 공급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820B1 true KR101232820B1 (ko) 2013-02-13

Family

ID=4789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692A KR101232820B1 (ko) 2012-08-29 2012-08-29 전원 공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8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222A (ko) * 2018-01-10 2019-07-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호 계전기용 전원 공급 장치
CN113098298A (zh) * 2021-03-02 2021-07-09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雄安新区供电公司 一种直流供电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126Y1 (ko) 2000-10-26 2001-04-02 허영호 멀티 탭
KR101024381B1 (ko) 2010-03-31 2011-03-23 김창호 대기전력 차단 구조를 구비한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126Y1 (ko) 2000-10-26 2001-04-02 허영호 멀티 탭
KR101024381B1 (ko) 2010-03-31 2011-03-23 김창호 대기전력 차단 구조를 구비한 전원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222A (ko) * 2018-01-10 2019-07-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호 계전기용 전원 공급 장치
KR102053716B1 (ko) * 2018-01-10 2020-01-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호 계전기용 전원 공급 장치
US10819329B2 (en) 2018-01-10 2020-10-27 Lsis Co., Ltd. Power supply device for protective relay
US11689194B2 (en) 2018-01-10 2023-06-27 Ls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device for protective relay
CN113098298A (zh) * 2021-03-02 2021-07-09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雄安新区供电公司 一种直流供电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004B1 (ko)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KR101232820B1 (ko) 전원 공급 제어장치
CN104205522A (zh) 便于整理连接至电子产品的多余电线的多插口插座
US10927826B2 (en)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having an electrical cord set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electrical amperage ratings
KR101671482B1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US10097033B2 (en) Electrical appliance having zero stand-by power consumption
KR20070112314A (ko) 콘센트장치
KR20160142688A (ko) 복합 콘센트
KR20160142707A (ko) 복합 콘센트
KR102241271B1 (ko) 전력 백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1903850B1 (ko) 직류 전력을 사용하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101376132B1 (ko)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101850210B1 (ko) Dc 출력을 제공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
TW201637519A (zh) 開關裝置及開關系統
CN202076818U (zh) 无待机损耗的usb充电器
JP2011238395A (ja) 照明システム
KR20110062549A (ko) 가정용 아답터 통합 장치
KR101197456B1 (ko) Usb 포트를 갖춘 멀티콘센트
WO2008001052A1 (en) Battery charger
EP3041140B1 (en) Proximity switch
JP2008072751A (ja) 電力線搬送通信用配線システム
JP5809008B2 (ja) 電気負荷のスイッチをオンおよび/またはオフに切り替えるための回路
US20140091730A1 (en) Dual-Mode Dimmable Receptacle
KR102048489B1 (ko) 대기전력 저감이 가능한 전원분배기
KR102023891B1 (ko) 절전형 전기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