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701A -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701A
KR20100114701A KR1020090033211A KR20090033211A KR20100114701A KR 20100114701 A KR20100114701 A KR 20100114701A KR 1020090033211 A KR1020090033211 A KR 1020090033211A KR 20090033211 A KR20090033211 A KR 20090033211A KR 20100114701 A KR20100114701 A KR 20100114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b
main
outle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수
Original Assignee
강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수 filed Critical 강병수
Priority to KR102009003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701A/ko
Publication of KR2010011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책상 위나 테이블, 벽면 등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체 콘센트부 또는 각각의 개별 콘센트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콘센트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콘센트부들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플러그의 일측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1접속라인과, 전원코드와 연결되는 메인 스위칭라인,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제1접속라인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2접속라인과, 일단이 상기 각 콘센트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접속라인에 연결되는 제1서브 스위칭라인과, 일단부에 플러그의 다른 일측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2서브 스위칭라인과, 일단부에 상기 메인 스위칭라인과 제2접속라인에 접속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며 타단부에 상기 연결단자를 통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메인 스위치가 구비되어 콘센트부 전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라인과, 일단부에 상기 각각의 제1서브 스위칭라인과 제2서브 스위칭라인에 접속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며 타단부에 상기 연결단자를 통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서브 스위치가 구비되어 각 콘센트부로의 전원 공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복수개의 서브 제어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33211
멀티 콘센트, 다공 콘센트, 절전, 스위치, 메인 스위치, 서브 스위치

Description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Multi-outlet Assembly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본 발명은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콘센트에 연결된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멀티 콘세트로부터 분리되게 구성되어, 책상 위나 벽체 등의 원거리에서 편리하게 멀티 콘센트의 전원 온/오프(on/off) 제어가 가능하며, 스위치를 멀티 콘센트 본체에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호환성을 향상시킨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각종 전자 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용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콘센트에 각 전자 기기의 플러그를 접속시켜서 전자 기기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대기 전류 또는 미세하게 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발생하여 전력 소모가 발생함은 물론 그 전류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력 소모와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많은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뽑아서 제거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나 사실상 이를 실천하기가 매우 어렵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오디오, 컴퓨터 등은 하루 중에도 빈번하게 전원을 켜서 이용하게 되지만, 매번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제거하여 사용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것이 사실이다.
또한, 이를 행하는 경우에도 콘센트 주변에 먼지 등이 있는 경우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제거하거나 꼽을 때 발생하는 스파크 불꽃이 먼지에 옮겨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도 매우 빈번하여 이 또한 매우 위험하다.
이에 콘센트 자체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스위치를 구성하여, 전자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대기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콘센트들은 몸체 자체에 절전용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콘센트가 주로 책상 밑이나, 뒤에 놓고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기가 상당히 불편한 경우가 많아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절전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9639호(2000년08월03일 등록)에 멀티콘센트의 한쪽 황동배선판 끝에 일정한 길이의 전선을 연결하고 이 전선의 다른 한 끝단에 스위치의 부하측 접점에 연결하고, 외부전원과 연결된 전선의 한 쪽 끝단을 스위치의 인입측 접점에 연결하여, 멀티콘센트의 몸체로부터 분리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절전용 멀티콘센트 코드 스위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전기 절전용 멀티콘센트 코드 스위치는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전체 접속구의 전원이 차단되므로 전원을 차단시키기를 원하지 않는 전자 기기도 전원이 차단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멀티 콘센트는 각 전자 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다수의 콘센트부를 갖는데, 이중 어느 하나에 냉장고의 플러그가 연결되고, 다른 콘센트부에 컴퓨터 등의 플러그들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컴퓨터 등의 사용이 종료되어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냉장고 전원까지 함께 오프되어 냉장고 내의 음식이 상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스위치를 오프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전기 절전용 멀티콘센트는 스위치가 연결된 전선이 멀티콘센트에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가 고장나는 경우 멀티콘센트 전체를 교체하거나 분해하여 수리해야 하며, 사용이 불편한 문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전자 기기의 플러그들이 접속되는 다수의 콘센트부를 갖는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멀티 콘센트 본체로부터 먼거리에서 멀티 콘센트의 전체 콘센트부로의 전원 공급 제어가 가능함과 더불어 각각의 개별 콘센트부로의 전원 공급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대기 전류를 차단하여 절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 콘센트의 전체 전원 공급 제어 및 개별 전원 공급 제어를 수행하는 스위치 및 전선을 멀티 콘센트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스위치의 고장시 멀티 콘센트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스위치 및 전선만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는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콘센트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콘센트부들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각 콘센트부의 접속공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의 일측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단자를 구비하며, 일단부가 전원코드의 제1전선에 연결되는 제1접속라인과; 일단부가 상기 전원코드의 제2전선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부에 본체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제1메인 단자가 형성된 메인 스위칭 라인과;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제1접속라인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 상기 제1메인 단자와 쌍을 이루는 제2메인 단자가 형성된 제2접속라인과; 일단이 상기 각 콘센트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접속라인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부에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제1서브 단자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1서브 스위칭라인과; 일단부에 상기 제1서브 단자와 쌍을 이루는 제2서브 단자가 형성되며, 다른 일단부에 상기 각 콘센트부의 접속공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의 다른 일측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2서브 스위칭라인과; 일단부에 상기 제1메인 단자 및 제2메인 단자에 동시에 접속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며, 타단부에 상기 연결단자를 통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메인 스위치가 구비된, 소정 길이를 갖는 메인 제어라인과; 일단부에 상기 제1서브 단자 및 제2서브 단자에 동시에 접속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며, 타단부에 상기 연결단자를 통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서브 스위치가 구비된, 소정 길이를 갖는 서브 제어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책상 위나 벽체 등 멀티 콘센트 본체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메인 단자에 연결된 스위치 또는 각 개별 콘센트부의 서브 단자에 연결된 전선과 스위치를 온/오프(on/off)시켜 멀티 콘센트의 전체 콘센트부 또는 각 개별 콘센트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 또는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는 등의 불편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편리하게 멀티 콘센트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 기기들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플러그로의 전원 공급을 쉽게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대기 전류를 최소할 수 있으며, 절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위치가 장착된 전선이 멀티 콘센트의 메인 단자와 서브 단자에 접속 또는 분리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의 고장시 멀티 콘센트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스위치 및 전선만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전자 기기의 플러그(1)가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콘센트부(11)가 오목하게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에서 상기 콘센트부(11)들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각 콘센트부(11)의 접속공(12)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1)의 일측 단자(2)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단자(31)를 구비하는 제1접속라인(30)과, 메인 스위칭라인(40), 상기 본체(10) 내에서 상기 제1접속라인(30)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2접속라인(50)과, 일단이 상기 각 콘센트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접속라인(50)에 연결되는 제1서브 스위칭라인(61)과, 일단부에 상기 각 콘센트부(11)의 접속공(12)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1)의 다른 일측 단자(2)와 접속되는 접속단자(67)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2서브 스위칭라인(65)과, 일단부에 상기 메인 스위칭라인(40)과 제2접속라인(50)에 접속되는 연결단자(72)를 구비하며 타단부에 상기 연결단자(72)를 통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메인 스위치(71)가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부(11) 전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라인(70)과, 일단부에 상기 각각의 제1서브 스위칭라인(61)과 제2서브 스위칭라인(65)에 접속되는 연결단자(82)를 구비하며 타단부에 상기 연결단자(82)를 통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서브 스위치(81)가 구비되어 각 콘센트부(11)로의 전원 공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복수개의 서브 제어라인(8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일측면부에는 상기 메인 제어라인(70)의 연결단자(72)와 서브 제어라인(80)의 연결단자(82)를 접속시키기 위한 메인 접속부(15)와 서브 접속부(16)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접속라인(30)은 황동과 같은 전도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전원코드(20)의 제1전선(21)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 스위칭라인(40)의 일단부는 전원코드(20)의 제2전선(22)에 연결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메인 제어라인(70)의 연결단자(72)와 접속되는 제1메인 단자(4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메인 단자(41)는 상기 본체(10)의 일측면부에 형성된 메인 접속부(15)의 한 접속공(15a)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접속라인(50)의 일단부에도 상기 제1메인 단자(41)와 쌍을 이뤄 상기 메인 제어라인(70)의 연결단자(72)와 접속되는 제2메인 단자(51)가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 단자(51)는 상기 본체(10)의 일측면부에 형성된 메인 접속부(15)의 다른 한 접속공(15b)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제1서브 스위칭라인(61)의 일단부에 상기 서브 제어라 인(80)의 연결단자(82)와 접속되는 제1서브 단자(6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서브 단자(62)는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서브 접속부(16)의 한 접속공(16a) 내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2서브 스위칭라인(65)의 일단부에 상기 제1서브 단자(62)와 쌍을 이뤄 상기 서브 제어라인(80)의 연결단자(82)와 접속되는 제2서브 단자(66)가 구비된다. 상기 제2서브 단자(66)는 상기 서브 접속부(16)의 다른 한 접속공(16b)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메인 제어라인(70)과 서브 제어라인(80)은 대략 1~5m 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메인 제어라인(70)과 서브 제어라인(80)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라인(70)이 제1,2메인 단자(41, 51)에 접속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2접속라인(50)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여 멀티 콘센트 전체에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대략 'U'자형의 연결핀(91a)을 갖는 제1보조 접속단자부(91)(도 5참조)를 메인 접속부(15)의 제1,2메인 단자(41, 51)에 접속시킨다.
또한, 상기 서브 접속부(16)에도 서브 제어라인(80)의 연결단자(82)가 접속되지 않을 경우 접속공(16a, 16b)을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제1보조 접속단자부(9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제2보조 접속단자부(92)를 제1,2서브 단자(62, 66)에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보조 접속단자부(91)와 제2보조 접속단자부(92)는 메인 접속부(15)와 서브 접속부(16)에 혼용하여 접속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메인 접속부(15)의 제1,2메인 단자(41, 51)에 메인 제어라인(70)의 연결단자(72)를 접속시키고, 각각의 서브 접속부(16)의 제1,2서브 단자(62, 66)에 서브 제어라인(80)의 연결단자(82)를 접속시킨다. 상기 메인 제어라인(70)의 메인 스위치(71)와 서브 제어라인(80)의 서브 스위치(81)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한 임의의 위치, 예를 들어 책상 위나 테이블,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콘센트부(11)에 전자 기기들의 플러그(1)를 접속시키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스위치(71)와 서브 스위치(81)를 온(on) 시키면, 메인 스위칭라인(40)이 메인 제어라인(70)을 통해 제2접속라인(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각각의 제1서브 스위칭라인(61)과 제2서브 스위칭라인(65)이 서브 제어라인(8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콘센트부(1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의 모든 콘센트부(11)로의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자 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스위치(71)를 오프(off)시키면, 메인 스위칭라인(40)과 제2접속라인(50) 간의 연결이 끊어져 제2접 속라인(50)으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모든 콘센트부(11)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각 콘센트부(11)들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고자 하는 플러그(1)가 연결된 콘센트부(11)의 서브 스위치(81)만 조작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첫번째 콘센트부(11)와 세번째 콘센트부(11)의 전원만 차단하고자 할 경우, 첫번째 콘센트부(11)의 서브 접속부(16)에 연결된 서브 제어라인(80)의 서브 스위치(81)와, 세번째 콘센트부(11)의 서브 접속부(16)에 연결된 서브 제어라인(80)의 서브 스위치(81)를 오프시키면, 첫번째 콘센트부(11) 및 세번째 콘센트부(11)의 제1서브 스위칭라인(61)과 제2서브 스위칭라인(65) 간의 연결이 끊어지면서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 때, 메인 스위칭라인(40)과 제2접속라인(50) 간의 연결은 유지되고 있으므로 제2접속라인(50)을 통해서는 계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두번째 콘센트부(11)와 네번째 콘센트부(11)로는 계속 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메인 스위치(71)를 계속 온(on)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각각의 서브 스위치(81)들을 조작하여 각각의 콘센트부(11)로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접속부(15) 또는 서브 접속부(16) 각각에 메인 제어라인(70)과 서브 제어라인(80)을 접속시키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접속부(15)에 제1보조 접속단자부(91)를 접속시켜 메인 스위칭라인(40)과 제2접속라인(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플러그(1)가 연결되지 않은 콘센트부(11)(도 5에서는 네번째 콘센트부임)의 서브 접속부(16)에 제2보조 접속단자부(92)를 접속시켜, 콘센트부(11) 전체 제어는 수행하지 않고 서브 스위치(81)를 이용한 개별 제어만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의 본체(10)를 직접 조작하거나 플러그(1)를 빼내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간단히 책상 위나 테이블 위, 벽면 등에 설치된 메인 스위치(71) 또는 서브 스위치(81)를 조작하여 각 콘센트부(11)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 또는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의 사용이 종료되어 전원 공급을 완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가 쉽게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대기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는 메인 제어라인(70)과 서브 제어라인(80)을 본체(10)에 쉽게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메인 스위치(71) 또는 서브 스위치(81)의 고장시 간단히 메인 제어라인(70) 또는 서브 제어라인(80)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라인(70)과 서브 제어라인(80)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메인 제어라인(70)의 고장 또는 분실시 서브 제어라인(80)을 메인 접속부(15)에 연결하여 메인 제어라인(70)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그 반대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라인(70)과 서브 제어라인(80)을 멀티 콘센트 본체(10) 와는 별도의 부분 제품으로 제작하여 판매함으로써 사용자가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전체를 구매할 필요없이 멀티 콘센트 본체(10) 또는 메인 제어라인(70)과 서브 제어라인(80)을 개별적으로 구매하여 구매 비용을 절감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 목적으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의 외관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플러그 2 : 단자
10 : 본체 11 : 콘센트부
20 : 전원코드 21, 22 : 제1,2전선
30 : 제1접속라인 40 : 메인 스위칭라인
41 : 제1메인 단자 50 : 제2접속라인
51 : 제2메인 단자 61 : 제1서브 스위칭라인
62 : 제1서브 단자 65 : 제2서브 스위칭라인
66 : 제2서브 단자 70 : 메인 제어라인
71 : 메인 스위치 72 : 연결단자
80 : 서브 제어라인 81 : 서브 스위치
82 : 연결단자 91, 92 : 제1,2보조 접속단자부

Claims (3)

  1. 복수개의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콘센트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콘센트부들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각 콘센트부의 접속공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의 일측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단자를 구비하며, 일단부가 전원코드의 제1전선에 연결되는 제1접속라인과;
    일단부가 상기 전원코드의 제2전선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부에 본체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제1메인 단자가 형성된 메인 스위칭라인과;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제1접속라인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 상기 제1메인 단자와 쌍을 이루는 제2메인 단자가 형성된 제2접속라인과;
    일단이 상기 각 콘센트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접속라인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부에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제1서브 단자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1서브 스위칭라인과;
    일단부에 상기 제1서브 단자와 쌍을 이루는 제2서브 단자가 형성되며, 다른 일단부에 상기 각 콘센트부의 접속공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의 다른 일측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2서브 스위칭라인과;
    일단부에 상기 제1메인 단자 및 제2메인 단자에 동시에 접속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며, 타단부에 상기 연결단자를 통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메인 스위치가 구비된, 소정 길이를 갖는 메인 제어라인과;
    일단부에 상기 제1서브 단자 및 제2서브 단자에 동시에 접속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며, 타단부에 상기 연결단자를 통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서브 스위치가 구비된, 소정 길이를 갖는 서브 제어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라인이 제1,2메인 단자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2메인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스위칭라인과 제2접속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U'자형 연결핀을 갖는 제1보조 접속단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라인이 제1,2서브 단자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2서브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1서브 스위칭라인과 제2서브 스위칭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U'자형 연결핀을 갖는 제2보조 접속단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KR1020090033211A 2009-04-16 2009-04-16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KR20100114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211A KR20100114701A (ko) 2009-04-16 2009-04-16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211A KR20100114701A (ko) 2009-04-16 2009-04-16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701A true KR20100114701A (ko) 2010-10-26

Family

ID=4313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211A KR20100114701A (ko) 2009-04-16 2009-04-16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7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010B1 (ko) * 2013-09-16 2015-01-26 노태완 절전형 멀티탭
KR20150004570U (ko) 2015-12-07 2015-12-23 한지흠 Led 스위치부 분리시 자체 동작 메카니즘을 구비한 전기 콘센트
WO2018138449A1 (fr) * 2017-01-28 2018-08-02 Groupe Adeo Ensemble de prises modulable et module electriqu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010B1 (ko) * 2013-09-16 2015-01-26 노태완 절전형 멀티탭
KR20150004570U (ko) 2015-12-07 2015-12-23 한지흠 Led 스위치부 분리시 자체 동작 메카니즘을 구비한 전기 콘센트
WO2018138449A1 (fr) * 2017-01-28 2018-08-02 Groupe Adeo Ensemble de prises modulable et module electrique
FR3062528A1 (fr) * 2017-01-28 2018-08-03 Groupe Adeo Ensemble de prises modulable et module electriq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6907A (ko) 절전용 콘센트장치
KR20100114701A (ko)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KR101484010B1 (ko) 절전형 멀티탭
US20080248667A1 (en) Power strip for computer and related computer peripherals
US20120142204A1 (en) Electrical wall outlet
EP1139512A1 (en) Portable socket outlet and system of portable socket outlets with modular structure
KR101610331B1 (ko) 벽면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KR20140012234A (ko)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20100002913U (ko)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KR200335092Y1 (ko) 스위치 분리형 다중 콘센트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KR200463884Y1 (ko)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
KR200151974Y1 (ko) 멀티형 콘센트
KR200430787Y1 (ko) 연동스위치를 내장한 멀티콘센트
CN208782184U (zh) 一种新型插座
KR200239689Y1 (ko) 스위치가 있는 벽 내장형 콘센트
KR200355740Y1 (ko) 스위칭 전원콘센트
KR200185341Y1 (ko)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KR20140053517A (ko) 직병렬 접속 스위치 구조를 갖는 멀티탭
KR19990034736U (ko) 코오드플러그절전좌우접속스위치
KR200183108Y1 (ko) 전기절전용 어댑터스위치
KR200456538Y1 (ko) 양극전원 온/오프 멀티탭
JP2001313126A (ja) マルチソケットスイッチ付きコンセントの構造
TWM449369U (zh) 採用雙迴路電路之省電插座
KR200310900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