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84Y1 -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884Y1
KR200463884Y1 KR2020120000213U KR20120000213U KR200463884Y1 KR 200463884 Y1 KR200463884 Y1 KR 200463884Y1 KR 2020120000213 U KR2020120000213 U KR 2020120000213U KR 20120000213 U KR20120000213 U KR 20120000213U KR 200463884 Y1 KR200463884 Y1 KR 200463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esaw
terminals
control modu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군
Original Assignee
조경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군 filed Critical 조경군
Priority to KR2020120000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소버튼(490) 조작을 통해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전원제어모듈(400)과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꼽는 콘센트본체(200)가 별도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원제어모듈(400)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콘센트본체(200)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전원제어모듈(400)을 통해 파워인출코드(300) 전원선(310)(320)의 (+)(-) 양극 전원 모두를 연결(ON) 또는 차단(OFF)함으로써, 사용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콘센트본체(200)와는 별도로 구성된 전원제어모듈(400)측에 직류전원공급부(500)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어서, USB케이블(600)을 통해 휴대용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MULTI CONCENT DEVICE WITH POWER CONTROL MODULE}
본 고안은 멀티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 조작을 통해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전원제어모듈과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꼽는 콘센트본체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전원제어모듈로 온/오프 제어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콘센트는 여러 개의 전기제품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플러그가 마련된 전원코드와, 전기제품에 마련된 전원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도록 플러그소켓이 복수개 마련된 콘센트본체로 이루어져 있다. 전기제품들의 전원플러그는 콘센트본체의 플러그소켓에 항상 꽂혀 있는 상태로 사용되며, 전력은 전기제품들의 전원스위치까지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해 전기제품들의 전원스위치를 오프(OFF)시킨 상태에서도 전력은 계속 공급되어 전기에너지 낭비원인이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멀티콘센트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센트본체(1)의 콘센트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개별스위치(3)들을 플러그소켓(2)들 인접부위에 설치함으로써,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측으로의 전력 흐름을 개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스위치(3)들이 마련된 멀티콘센트는 통상적으로 전기제품이 놓이는 받침대 뒤편 또는 컴퓨터 책상 바닥에 놓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개별스위치(3) 조작을 위해 엎드리거나 바닥에 놓여져 있던 콘센트본체(1)를 들어올려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개별스위치(3)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원플러그가 꽂혀 있는 콘센트본체(1)를 잘 보이는 곳에 위치시켜야 함으로써,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위치 조작을 통해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전원제어모듈과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꼽는 콘센트본체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전원제어모듈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전원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원선의 (+),(-) 양극 전원 모두를 연결(ON) 또는 차단(OFF)하여 사용 안전성을 확보하며 전력낭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원제어모듈측에 USB케이블을 통해 휴대용 전기장치를 접속하여 이를 용이하게 충전시킬 수 있는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전원과 접속될 수 있도록 선단에 플러그가 마련된 파워인입코드와; 상기 파워인입코드를 통해 입력되는 (+)(-) 양극 전원을 동시에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모듈과; 상기 전원제어모듈과 파워인출코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를 꽂아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소켓들이 마련된 콘센트본체를 갖춘 멀티콘센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모듈이; 상면에는 버튼-홀들이 천공되며, 일측에는 상기 파워인입코드와 파워인출코드의 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가 마련되고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면 양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단자-배치홈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위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쌍으로 이루어진 버튼지지대들이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단자-배치홈에 각각 끼워져 배치되며 선단에는 상기 파워인입코드의 (+)(-)전원선이 클립단자를 통해 접속되는 제1,제2대단자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제1대단자의 슬릿홈들에 끼워져 연결되고 제1접점이 마련된 타단은 상기 버튼지지대들의 전방부에 위치되는 제1고정단자들과; 일단은 상기 제2대단자의 슬릿홈들에 끼워져 연결되고 제2접점이 마련된 타단은 상기 제1접점과 이웃하도록 상기 버튼지지대들의 전방부에 위치되는 제2고정단자들과; 상기 버튼지지대들의 사이틈에 배치되며, 상단은 시소지지대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아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워인출코드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전선과 클립단자를 통해 접속되는 제1지지단자들과; 중심부위가 상기 제1지지단자들의 시소지지대에 결합되어 전후로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단자들의 제1접점과 대응하는 선단부에는 제1가동접점이 형성된 제1시소단자들과; 상기 제1지지단자들과 나란하도록 상기 버튼지지대들의 사이틈에 배치되며, 상단은 시소지지대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아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워인출코드를 이루는 다른 하나의 전선과 클립단자를 통해 접속되는 제2지지단자들과; 중심부위가 상기 제2지지단자들의 시소지지대에 결합되어 전후로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고정단자들의 제2접점과 대응하는 선단부에는 제2가동접점이 형성된 제2시소단자들과; 중심부 양측이 상기 버튼지지대들 상단부에 축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버튼-홀들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제2시소단자의 전방 또는 후방을 선택적으로 눌러 상기 제1,제2가동접점을 상기 제1,제2접점에 모두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한쌍의 누름부가 이루어진 시소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시소버튼의 누름부에 압축 코일스프링과,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을 통해 상기 제1,제2시소단자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눌러 그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슬라이더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원제어모듈이 상기 제1,제2대단자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 일측에 수용 배치되며, USB케이블이 접속되어 휴대용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직류전원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멀티콘센트장치에 의하면; 시소버튼 조작을 통해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전원제어모듈과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꼽는 콘센트본체가 별도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원제어모듈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콘센트본체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기에너지 낭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원제어모듈을 통해 파워인출코드 전원선의 (+)(-) 양극 전원 모두를 연결(ON) 또는 차단(OFF)함으로써, 사용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전기에너지 낭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콘센트본체와는 별도로 구성된 전원제어모듈측에 직류전원공급부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어서, USB케이블을 통해 휴대용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개별스위치들이 마련된 멀티콘센트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콘센트장치의 사용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콘센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제어모듈의 내부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제어모듈의 전원제어를 위한 단자 결선구조 및 스위칭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시소버튼의 저면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시소버튼의 동작상태를 보인 것으로, 한쌍의 누름부가 시소단자의 전방부위를 눌러 전원 온(ON)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시소버튼의 동작상태를 보인 것으로, 한쌍의 누름부가 시소단자의 후방부위를 눌려 전원 오프(OFF)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콘센트장치의 구성 설명>
본 고안에 따른 멀티콘센트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전원과 접속될 수 있도록 선단에 플러그(110)가 마련된 파워인입코드(100)와; 이 파워인입코드(100)를 통해 입력되는 (+)(-) 양극 전원을 동시에 온/오프 제어할 수 있으며 책상(또는 장식대) 상면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원제어모듈(400)과; 이 전원제어모듈(400)과는 파워인출코드(3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를 꽂아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소켓(210)들이 마련된 콘센트본체(200)로 정의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파워인입코드(100)는 플러그(110)를 통해 건물 벽면에 매입 설치된 매입콘센트(미도시) 또는 다른 멀티콘센트(미도시)측과 접속되어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전원선(120)(130)과 접지선(1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콘센트본체(200)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꼽히는 부분으로; 여기에는 복수개의 플러그소켓(210)이 마련된다. 이러한 콘센트본체(200)는 플러그소켓(210)들과 동일한 수의 파워인출코드(300;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3개 라인)를 통해 전원제어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플러그소켓(210)들에는 접지단자(211)가 구성되며, 이것은 파워인출코드(300)측에 마련된 접지선(330)을 통해 파워인입코드(110)측의 접지선(140)과 연결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인 전원제어모듈(400)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콘센트본체(200)와는 별도로 이루어지며 파워인입코드(100)를 통해 입력되어 콘센트본체(200)측으로 흐르는 (+)(-) 양극 전원을 동시에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콘센트본체(200)의 플러그소켓(210)들측으로 흐르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전원제어모듈(4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버튼-홀(410)들이 천공되며 일측에는 파워인입코드(100)와 파워인출코드(300)의 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412)가 마련되고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410)과; 이 하우징(410)의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하부덮개(420)와; 하우징(410)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면 양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단자-배치홈(431)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위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쌍으로 이루어진 버튼지지대(432)들이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430)와; 이 베이스플레이트(430)의 단자-배치홈(431)에 각각 끼워져 배치되며 선단에는 파워인입코드(100)의 (+)(-)전원선(120)(130)이 클립단자(121)(131)를 통해 접속되는 제1,제2대단자(440L)(440R)와; 베이스플레이트(430)의 상면에 배치되되, 일단은 제1대단자(440L)의 슬릿홈(441)들에 끼워져 연결되고 제1접점(451)이 마련된 타단은 버튼지지대(432)들의 전방부에 위치되는 제1고정단자(450)들과; 일단은 제2대단자(440R)의 슬릿홈(441)들에 끼워져 연결되고 제2접점(461)이 마련된 타단은 제1접점(451)과 이웃하도록 버튼지지대(432)들의 전방부에 위치되는 제2고정단자(460)들과; 버튼지지대(432)들의 사이틈에 배치되며 상단은 시소지지대(471)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430) 아래측으로 연장되어 파워인출코드(300)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전선(310)과 클립단자(311)를 통해 접속되는 제1지지단자(470L)들과; 중심부위가 제1지지단자(470L)들의 시소지지대(471)에 결합되어 전후로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고정단자(450)들의 제1접점(451)과 대응하는 선단부에는 제1가동접점(481)이 형성된 제1시소단자(480L)들과; 제1지지단자(470L)들과 나란하도록 버튼지지대(432)들의 사이틈에 배치되며 상단은 시소지지대(471)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430) 아래측으로 연장되어 파워인출코드(300)를 이루는 다른 하나의 전선(320)과 클립단자(321)를 통해 접속되는 제2지지단자(470R)들과; 중심부위가 제2지지단자(470R)들의 시소지지대(471)에 결합되어 전후로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2고정단자(460)들의 제2접점(461)과 대응하는 선단부에는 제2가동접점(482)이 형성된 제2시소단자(480R)들과; 중심부 양측이 버튼지지대(432)들 상단부에 축결합되고 상부는 버튼-홀(411)들을 통해 하우징(400) 외부로 노출되며, 하부에는 제1,제2시소단자(480L)(480R)의 전방 또는 후방을 선택적으로 눌러 제1,제2가동접점(481)(482)을 제1,제2접점(451)(461)에 모두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도록 누름부(491)(492)가 이루어진 시소버튼(490)들을; 갖추고 있다. 이하에서는 전원제어모듈(400)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중복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410)은 전원제어모듈(4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는 콘센트본체(200)의 플러그소켓(210)들과 동일한 수의 버튼-홀(411)들이 천공되며, 일측에는 한가닥의 파워인입코드(100)와 3가닥의 파워인출코드(300) 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412)가 마련되고, 하부가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413"은 USB케이블(600) 단자를 삽입할 수 있도록 천공된 USB포트이다. 그리고 하부덮개(420)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되며, 하우징(410)의 개방된 하부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스크루(421)들을 통해 견실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430)는 합성수지를 통해 성형된 것으로, 하우징(410)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면 양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단자-배치홈(431)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위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쌍으로 이루어진 버튼지지대(432)들이 마련되어 있다.
제1,제2대단자(440L)(440R)는 전도가 우수한 동판으로 제작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430)의 단자-배치홈(431)을 따라 각각 끼워져 배치되며, 선단부에는 파워인입코드(100)의 (+)(-)전원선(120)(130)이 클립단자(121)(131)를 통해 접속된다. 그리고 제1,제2대단자(440L)(440R)에는 랜싱가공(Lancing)을 통해 일정한 간격으로 슬릿홈(441;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3개씩)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1고정단자(450)들과 제2고정단자(460)들을 용이하게 끼워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함이다.
제1고정단자(450)들은 전도가 우수한 동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되며, 베이스플레이트(430)의 상면에 배치되되 일단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제1대단자(440L)의 슬릿홈(441)들에 끼워져 연결되고, 제1접점(451)이 마련된 타단은 버튼지지대(432)들의 전방부에 위치된다.
제2고정단자들(460) 역시 전도가 우수한 동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된 것으로; 일단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제2대단자(440R)의 슬릿홈(441)들에 끼워져 연결되고, 제2접점(461)이 마련된 타단은 제1고정단자(450)의 제1접점(451)과 이웃하면서 나란하도록 버튼지지대(432)들의 전방부에 위치된다.
제1지지단자(470L)들은 쌍으로 이루어진 버튼지지대(432)들의 사이틈에 각각 배치되며, 상단은 시소지지대(471)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430) 아래측으로 연장되어 파워인출코드(300)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전선(310)과 클립단자(311)를 통해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제1시소단자(480L)들은 중심부위가 제1지지단자(470L)들의 시소지지대(471)에 결합되어 전후로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고정단자(450)들의 제1접점(451)과 대응하는 선단부에는 제1가동접점(481)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고정단자(450)들의 제1접점(451)과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지지단자(470R)들 역시 쌍으로 이루어진 버튼지지대(432)들의 사이틈에서 제1지지단자(470R)들과 나란하도록 각각 배치되며, 상단은 시소지지대(471)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430) 아래측으로 연장되어 파워인출코드(300)를 이루는 다른 하나의 전선(320)과 클립단자(321)를 통해 접속되게 된다. 또한, 제2시소단자(480R)들은 중심부위가 제2지지단자(470R)들의 시소지지대(471)에 결합되어 전후로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2고정단자(460)들의 제2접점(461)과 대응하는 선단부에는 제2가동접점(48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2고정단자(460)들의 제2접점(461)과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하게 된다.
시소버튼(490)들은 중심부 양측이 버튼지지대(432)들 상단부에 축결합되고 상부는 버튼-홀(411)들을 통해 하우징(410)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전후로 눌러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시소버튼(490)들의 하부에는 제1,제2시소단자(480L)(480R)의 전방 또는 후방을 선택적으로 눌러 제1,제2가동접점(481)(482)을 제1,제2접점(451)(461)에 모두 온(ON) 또는 (OFF)시키기 위한 한쌍의 누름부(491L)(491R)가 돌출되게 이루어져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누름부(491L)(491R)에는 각각 압축 코일스프링(492)과, 이 압축 코일스프링(492)의 탄성 지지력을 통해 제1,제2시소단자(480L)(480R)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눌러 그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금속 슬라이더(49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소버튼(490) 내부에는 네온램프(494;도 5와 도 6참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의 리드선들은 압축스프링(492)과 슬라이더(493)를 통해 각각 제1,제2시소단자(480L)(480R)측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시소버튼(490)에 의해 제1,제2시소단자(480L)(480R)의 제1,제2가동접점(481)(482)이 제1,제2접점(451)(461)에 온(ON) 되면, 네온램프(494) 역시 점등되어 회로가 연통 된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제어모듈(400)에는 휴대용 전기장치에 전원(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직류전원공급부(50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즉, 직류전원공급부(500)는 제1,제2대단자(440L)(440R)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220V 교류전원을 5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하우징(410)의 USB포트(413)를 통해 USB케이블(600)이 접속되도록 구성되며, 휴대용 전기장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램프(51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직류전원공급부(50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1,제2대단자(440L)(440R)의 타단과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파워인출코드(300) 즉 콘센트본체(200)측으로 흐르는 전원을 제어하는 시소버튼(490)들의 동작상태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제어모듈을 통한 멀티콘센트장치의 동작 설명>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멀티콘센트장치의 사용상태 일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제어모듈(400)은 책상(또는 장식대) 위에 올려놓고 콘센트본체(200)는 실내바닥에 내려놓고 여기에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를 꽂는다. 그리고 파워인입코드(100)의 플러그(110)를 벽면에 매립된 매입콘센트(미도시)에 접속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꼽힌 플러그소켓(210)을 제어하기 위한 해당 시소버튼(490)을 온(ON) 방향으로 동작시킨다(도 8의 화살표 방향 참조). 즉 시소버튼(490)을 온(ON) 방향으로 조작하여 제1,제2시소단자(480L)(480R)의 제1,제2가동접점(481)(482)을 제1,제2고정단자(450)(460)들의 제1,제2접점(451)(461)에 접속시키면, 파워인입코드(10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은 해당하는 파워인출코드(300) 전원선(310,320)을 통해 콘센트본체(200)의 해당 플러그소켓(210)측으로만 공급된다. 이때, 시소버튼(490)에 내장된 네온램프(494)가 점등되어 회로가 연통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소버튼(490)을 오프(OFF)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1,제2시소단자(480L)(480R)의 제1,제2가동접점(481)(482)이 제1,제2고장단자(450)(460)들의 제1,제2접점(451)(461)과 양극 모두 단락되어, 파워인입코드(10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은 해당하는 파워인출코드(300) 전원선(310,320)측으로 전혀 흐르지 않는다.
결국,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꼽히는 콘센트본체(200)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책상 위에 배치한 전원제어모듈(400)을 통해 각 플러그소켓(210)들측으로 흐르는 전원을 용이하게 온(ON) 또는 오프(OFF)시킴으로써,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제어모듈(400)을 통해 각 파워인출코드(300) 전원선(310)(320)의 (+)(-) 양극 전원 모두를 연결(ON) 또는 차단(OFF)함으로써, 사용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제어모듈(400)의 USB포트(413)에 USB케이블(600)을 통해 휴대용 전기장치를 연결하면, 5V의 직류전원을 휴대용 전기장치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전원제어모듈(400)이 책상 위에 있기 때문에 이것 역시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100..파워인입코드 110..플러그 120,130..전원선
121,131..클립단자 140..접지선 200..콘센트본체
210..플러그소켓 211..접지단자 300..파워인출코드
310,3230..전원선 311,321..클립단자 400..전원제어모듈
410..하우징 411..버튼-홀 412..인입구
413..USB포트 420..하부덮개 421..스크루
430..베이스플레이트 431..단자-배치홈 432..버튼지지대
440L,440R..제1,제2대단자, 441..슬릿홈 450..제1고정단자
451..제1접점 460..제2고정단자 461..제2접점
470L,470R..제1,제2지지단자 471..시소지지대 480L,480R..제1,제2시소단자
481..제1가동접점 482..제2가동접점 490..시소버튼
491L,491R..누름부 492..압축 코일스프링 493..슬라이더
500..직류전원공급부 510..엘이디램프 600..USB케이블

Claims (3)

  1. 외부전원과 접속될 수 있도록 선단에 플러그(110)가 마련된 파워인입코드(100)와; 상기 파워인입코드(100)를 통해 입력되는 (+)(-) 양극 전원을 동시에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모듈(400)과; 상기 전원제어모듈(400)과 파워인출코드(3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를 꽂아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소켓(210)들이 마련된 콘센트본체(200)를 갖춘 멀티콘센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모듈(400)은;
    상면에는 버튼-홀(411)들이 천공되며, 일측에는 상기 파워인입코드(100)와 파워인출코드(300)의 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412)가 마련되고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의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하부덮개(420)와;
    상기 하우징(410)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면 양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단자-배치홈(431)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위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쌍으로 이루어진 버튼지지대(432)들이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43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30)의 단자-배치홈(431)에 각각 끼워져 배치되며 선단에는 상기 파워인입코드(100)의 (+)(-)전원선(120)(130)이 클립단자(121)(131)를 통해 접속되는 제1,제2대단자(440L)(440R)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30)의 상면에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제1대단자(440L)의 슬릿홈(441)들에 끼워져 연결되고 제1접점(451)이 마련된 타단은 상기 버튼지지대(432)들의 전방부에 위치되는 제1고정단자(450)들과;
    일단은 상기 제2대단자(440R)의 슬릿홈(441)들에 끼워져 연결되고 제2접점(461)이 마련된 타단은 상기 제1접점(451)과 이웃하도록 상기 버튼지지대(432)들의 전방부에 위치되는 제2고정단자(460)들과;
    상기 버튼지지대(432)들의 사이틈에 배치되며, 상단은 시소지지대(471)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30) 아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워인출코드(300)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전선(310)과 클립단자(311)를 통해 접속되는 제1지지단자(470L)들과;
    중심부위가 상기 제1지지단자(470L)들의 시소지지대(471)에 결합되어 전후로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단자(450)들의 제1접점(451)과 대응하는 선단부에는 제1가동접점(481)이 형성된 제1시소단자(480L)들과;
    상기 제1지지단자(470L)들과 나란하도록 상기 버튼지지대(432)들의 사이틈에 배치되며, 상단은 시소지지대(471)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30) 아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워인출코드(300)를 이루는 다른 하나의 전선(320)과 클립단자(321)를 통해 접속되는 제2지지단자(470R)들과;
    중심부위가 상기 제2지지단자(470R)들의 시소지지대(471)에 결합되어 전후로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고정단자(460)들의 제2접점(461)과 대응하는 선단부에는 제2가동접점(482)이 형성된 제2시소단자(480R)들과;
    중심부 양측이 상기 버튼지지대(432)들 상단부에 축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버튼-홀(411)들을 통해 상기 하우징(410) 외부로 노출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제2시소단자(480L)(480R)의 전방 또는 후방을 선택적으로 눌러 상기 제1,제2가동접점(481)(482)을 상기 제1,제2접점(451)(461)에 모두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한쌍의 누름부(491)(492)가 이루어진 시소버튼(490)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버튼(490)의 누름부(491L)(491R)에는;
    압축 코일스프링(492)과,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492)의 탄성 지지력을 통해 상기 제1,제2시소단자(480L)(480R)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눌러 그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슬라이더(49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모듈(400)은;
    상기 제1,제2대단자(440L)(440R)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410) 일측에 수용 배치되며, USB케이블(600)이 접속되어 휴대용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직류전원공급부(5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
KR2020120000213U 2012-01-09 2012-01-09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 KR200463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13U KR200463884Y1 (ko) 2012-01-09 2012-01-09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13U KR200463884Y1 (ko) 2012-01-09 2012-01-09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884Y1 true KR200463884Y1 (ko) 2012-12-03

Family

ID=5371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213U KR200463884Y1 (ko) 2012-01-09 2012-01-09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8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245A (ko) 2017-10-20 2019-04-30 임기영 교체식 멀티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245A (ko) 2017-10-20 2019-04-30 임기영 교체식 멀티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04299A1 (en) Illuminated Power Strip
CN202405498U (zh) 带多路独立控制的多功能插座收纳盒
RU2636268C2 (ru) Штепсельная розетка для скрытой проводки с углублением штепсельной розетки
CN202949105U (zh) 一种自动短路保护的插座
KR200463884Y1 (ko) 전원제어모듈을 갖춘 멀티콘센트장치
CN105845862A (zh) 一种抽屉式电池盒
CN104934822A (zh) 智能插座及智能插座控制系统
KR101610331B1 (ko) 벽면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JP3197970U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充電できるテーブルタップ
CN209730833U (zh) 一种带智能高保真音响及led小夜灯的智能usb墙壁充电器
CN208571136U (zh) 一种智能插座及智能充电系统
KR200382283Y1 (ko) 2극 스위치가 부착된 멀티콘센트
CN220439940U (zh) 一种德式单控式插座
CN216133795U (zh) 一种电竞试轴器
CN217090030U (zh) 一种智能镜柜
CN204615430U (zh) 一种单口双输出移动电源
CN212968393U (zh) 一种电源插座及开关联动结构
CN218161093U (zh) 一种多功能组合插座结构
CN208674484U (zh) 一种结构稳定型电源插座
CN202474365U (zh) 组合插座
CN208782184U (zh) 一种新型插座
CN209626500U (zh) 一种防触电式的电力直流电源插座
CN210074270U (zh) 一种机房专用电源插座
KR200448895Y1 (ko) 2 극스위치를 이용한 멀티탭
TW201025392A (en) Switch with conductive driving device for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the power suppl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