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313B1 -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313B1
KR102537313B1 KR1020170164276A KR20170164276A KR102537313B1 KR 102537313 B1 KR102537313 B1 KR 102537313B1 KR 1020170164276 A KR1020170164276 A KR 1020170164276A KR 20170164276 A KR20170164276 A KR 20170164276A KR 102537313 B1 KR102537313 B1 KR 102537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upled
state
button member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300A (ko
Inventor
유대영
Original Assignee
유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영 filed Critical 유대영
Publication of KR2018006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해제 및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1상태와,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2상태와,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을 이루는 제3상태를 기준으로, 버튼부재(20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타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제3상태, 상기 제2상태 및 제1상태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 {Switch module}
본 발명은 스위치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의 차단 및 차단해제를 수행하는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전기·전자기기를 상용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콘센트나 멀티탭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센트나 멀티탭은 전기·전자기기의 전원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기·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대기전력을 지속적으로 소모시키며 이를 방지 하기 위해 콘센트나 멀티탭에서 전기·전자기기의 전원선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사용이 잦은 전기·전자기기의 경우 전기·전자기기의 온/오프 시마다 전원선을 연결 및 분리하게 되면 전기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나, 사용이 번거롭고, 잦은 연결 및 분리 동작에 따라 콘센트나 멀티탭의 기계적 마모 및 탄성력 저하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가끔은 콘센트나 멀티탭의 스위치를 끄지 않거나 전기·전자기기의 전원선을 분리시키는 것을 잊어버리고 그대로 연결한 상태로 놔두어서 대기전력을 지속적으로 소모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기·전자기기의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누설전류, 대기전력 등을 차단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일단이 AC전원에 연결되는 배선 각각에 대응되어 연결 설치되며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AC연결단자(131)들과, 일단이 상기 AC연결단자(131)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DC출력단자(141)들과, 상기 AC연결단자(131)들 및 상기 전기·전자기기 사이에 설치되어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변환장치(190)의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가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2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AC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1스위치(3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스위치(400)를 포함하며, 상기 AC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해제 및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1상태와, 상기 AC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2상태와, 상기 AC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을 이루는 제3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버튼부재(20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상태, 상기 제2상태 및 상기 제3상태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타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3상태, 상기 제2상태 및 상기 제1상태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스위치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제1스위치(300)는, 상기 AC연결단자(131)에 연결되는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와;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를 가압하여 힌지회전시켜 상기 AC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1가압로드(320)와;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가압로드(320)와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가압로드(320)를 회전시키는 제1작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31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50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1작동축(210)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로드(320)가 결합되는 제1로드결합부(312)가 상기 제1회전축(50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결합부(312)는, 상기 제1가압로드(320)가 삽입되도록 로드삽입홈(312a)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삽입홈(312a)은, 상기 제1가압로드(320)가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3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는, 상기 AC연결단자(13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332)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축(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400)는, 상기 DC연결단자(141)에 연결되는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와;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가압하여 힌지회전시켜 상기 DC연결단자(141) 및 상기 출력단자(142) 사이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가압로드(420)와; 상기 본체부(100)에 보조회전축(50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보조작동부(490)와;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가압로드(420)와 결합하여 상기 보조작동부(49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2가압로드(420)를 회전시키는 제2작동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작동부(490)는, 상기 보조회전축(503)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보조회전축(503)을 기준으로 일단에 상기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2작동축(220)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411)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제2작동부(410)에 결합된 보조작동축(421)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로드(42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50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제3가이드홈(412)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상기 보조작동축(421)이 결합되고,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결합되는 제2로드결합부(422)가 상기 제2회전축(50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결합부(422)는,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삽입되도록 로드삽입홈(422a)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삽입홈(422a)은,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42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는, 상기 DC출력단자(14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432)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축(4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재(200)는, 그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a, 205b, 205c)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a, 205b, 205c)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부(600)가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200)가 상기 본체부(100)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로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400)는, 상기 출력단자(142)에 연결되는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와;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가압하여 힌지회전시켜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가압로드(420)와;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가압로드(420)와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2가압로드(420)를 회전시키는 제2작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부(42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50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2작동축(220)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결합되는 제2로드결합부(412)가 상기 제2회전축(50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결합부(412)는,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삽입되도록 로드삽입홈(412a)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삽입홈(412a)은,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4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는, 상기 출력단자(14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432)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축(4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재(200)는, 그 회전축(501)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오목홈(205)에 끼워져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돌기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부(600)는, 상기 오목홈(205)과 걸림되는 걸림부재(61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610)를 상기 오목홈(205)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부(600)는, 상기 제2상태를 이루는 회전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31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50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1작동축(210)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로드(320)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이 상기 제1회전축(50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은, 상기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 각각에 결합되는 제1가압로드(320)의 끝단(P1, P2)이 상기 제1회전축(502)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차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를 순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부(42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50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2작동축(220)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로드결합부(412, 413)들이상기 제2회전축(50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로드결합부(412, 413)들은, 상기 한 쌍의 제2로드결합부(412, 413)들 각각에 결합되는 상기 제2가압로드(420)의 끝단(P1, P2)이 상기 제2회전축(503)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차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2로드결합부(412, 413)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순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재(200)는, 하측에 그 회전축(501)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오목홈(720)이 형성되는 보조버튼부재(700)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오목홈(205)에 끼워져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돌출걸림돌기(7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버튼부재(700)에 형성된 오목홈(720)은, 상기 제2상태를 이루는 회전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일단이 1차측전원에 연결되는 배선 각각에 대응되어 연결 설치되며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1차측연결단자(131)들과, 일단이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2차측출력단자(141)들과,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들 및 상기 전기·전자기기 사이에 설치되어 1차측전원을 2차측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변환장치(190)의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가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2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1스위치(3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2차측출력단자(141)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스위치(400)를 포함하며,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해제 및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2차측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1상태와,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2차측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2상태와,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2차측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을 이루는 제3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버튼부재(20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상태, 상기 제2상태 및 상기 제3상태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타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3상태, 상기 제2상태 및 상기 제1상태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 은, 하나의 버튼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AC연결단자와,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변환부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DC출력단자에 대한 연결 및 연결해제를 단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각 스위치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 은, 하나의 버튼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AC연결단자와,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변환부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DC출력단자 모두를 단계적으로 온오프(연결 및 연결해제)시킴으로써 온오프시 전기·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전기적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는, 하나의 버튼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AC연결단자와,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변환장치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DC출력단자의 온오프가 각각 단계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는, 제2상태를 기준으로 버튼부재의 양방향 회전에 의하여 제1상태 및 제3상태로 전환되도록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는, 하나의 버튼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복수 개의 전기·전자기기의 온오프가 단계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적 충격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된 전기·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위치모듈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위치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스위치모듈의 버튼부재를 하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2의 스위치모듈에서 본체부, 버튼부재,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의 결합을 위한 각종 축들의 결합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스위치모듈의 버튼부재의 동작에 따라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스위치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스위치모듈의 버튼부재를 하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스위치모듈에서 본체부, 버튼부재,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의 결합을 위한 각종 축들의 결합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의 스위치모듈의 버튼부재의 동작에 따라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버튼부재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스위치모듈의 버튼부재,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의 작동을 위한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스위치모듈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스위치모듈의 버튼부재를 하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도 15의 스위치모듈의 버튼부재의 동작에 따라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9는, 도 15의 버튼부재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0는, 도 1에 도시된 회로도 중 엘이디와 저항의 순서에 따른 DC 회로의 변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1은, 도 20의 변형례로서 엘이디, 저항 및 정전류다이오드의 순서에 따른 DC 회로의 변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2는, 도 1에서 AC전류의 인가여부를 표시하는 제1엘이디의 설치예를 보여주는 변형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 및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전원(30) 및 전기·전자기기(20) 사이에 설치되어 AC전원으로부터 전기·전자기기(20)를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거나, 전기·전자기기(20)의 구성 일부로 구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누설전류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모듈의 구성 일부로 구성되는 경우 전기·전자기기(20)의 전원제어부와 연결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에서 회로구성에 따라서 저항소자인 R1 및 R2는, 다이오드로 대체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전기흐름을 위하여, 접접지배선(33)을 제외한 2개의 AC연결배선(31, 32), 즉 AC연결단자(131, 132)를 연결하는 도선에 저항소자(R1)가 설치되거나, 저항소자(R1) 및 다이오드가 직렬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기변환장치(190) 중 DC 측의 출력단자(142) 쪽에는, 도 1,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인가를 표시하는 제2엘이디(LED2) 및 제2저항소자(R2)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인가를 표시하는 제2엘이디(LED2)를 설치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정격전압 이상인 경우 켜질 수 있도록 다양한 회로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2엘이디(LED2)는, 도 21과 같이 설치가 가능하다. 도 21은, 정전류다이오드를 추가로 설치한 경우로서 제2엘이디(LED2)의 순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흐름을 기준으로 정전류다이오드, 제2엘이디(LED2) 및 저항 순으로, 또는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흐름을 기준으로 정전류다이오드, 저항 및 제2엘이디(LED2) 순으로,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흐름을 기준으로 저항, 정전류다이오드 및 제2엘이디(LED2)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AC전원의 인가를 표시하는 제1엘이디(LED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전선 중 접지선을 제외한 선과 서로 연결되는 도선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AC전원의 인가를 표시하는 제1엘이디(LED1)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AC 전선들 중 어느 하나 및 접지선을 연결하는 도선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엘이디(LED1)의 순방향은, 두 개의 AC 전선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접지선을 향하여 배치되며, 전방 측에 다이오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은, 회로적 구성을 내용으로 하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525979호와는 달리, 보조배터리(181), 버튼 등을 구비한 물리적 구성을 내용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차단스위치모듈은, PC, DC전기제품 등 전기·전자기기(20)의 일부로 구성되거나, 전기·전자기기(20)와 별도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차단스위치모듈은,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SMPS 등으로 구성되는 전기변환장치(190)와 함께 구성되거나, 별도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한편, 제1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은, 도 2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AC전원에 연결되는 배선 각각에 대응되어 연결 설치되며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AC연결단자(131)들과, 일단이 AC연결단자(131)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DC출력단자(141)들과, AC연결단자(131)들 및 전기·전자기기 사이에 설치되어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변환장치(190)의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가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200)와;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1스위치(300)와;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스위치(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단스위치모듈은,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해제 및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1상태(AC OFF 및 DC OFF)와,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2상태(AC ON 및 DC OFF)와,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을 이루는 제3상태(AC ON 및 DC ON)를 기준으로, 버튼부재(20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타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제3상태, 제2상태 및 제1상태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차단스위치모듈의 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일단이 AC전원(30)에 연결되는 배선(31, 32, 33) 각각에 대응되어 연결 설치되며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AC연결단자(131)들과, 일단이 AC연결단자(131)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DC출력단자(141)들과, AC연결단자(131)들 및 전기·전자기기 사이에 설치되어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변환장치(190)의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가 설치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AC전원(30)은, 상용전원으로서 전원의 공급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그 단자가 2개 또는 접지와 연결되는 3개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AC전원(30)에 연결되는 배선은, 전력을 전달하는 2개의 배선(31, 32) 이외에 접지배선(33)이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접지배선(33)은 스위치의 설치없이 전기·전자기기와 상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AC연결단자(131)들은, 일단이 AC전원(30)에 연결되는 배선(31, 32, 33) 각각에 대응되어 연결 설치되며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2개 이상의 DC출력단자(141)들은, 일단이 AC연결단자(131)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전기변환장치(190)의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는, 연결되는 전기·전자기기의 숫자에 따라서 대응되어 복수로 설치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는, AC연결단자(131), DC출력단자(141), 전기변환장치(190)의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 등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는 누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도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상기 본체부(10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AC연결단자(131), DC출력단자(141), 전기변환장치(190)의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 등이 설치되는 저면부(120)와, 후술하는 버튼부재(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저면부(120), 버튼부재(200)와 함께 단자(131, 132, 141, 142)들, 스위치(300, 400)들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20)는, 단자(131, 132, 141, 142)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플랜지부(122, 123)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22, 123)는, 단자(131, 132, 141, 142)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설치되는 형태이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플랜지부(122, 123)는, AC연결단자(131) 및 DC출력단자(141)가 복수로 설치될 때 복수의 단자들을 위한 공간들을 구획하는 제1플랜지부(122)와,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를 기준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제2플랜지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10)는, 버튼부재(200)와 함께 단자(131, 132, 141, 142)들, 스위치(300, 400)들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10)는, 후술하는 버튼부재회전축(501), 회전축(502, 503, 504)들 각각이 결합하는 축결합공(101, 102, 103, 104)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110)와 저면부(120)는, 저면부(12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21)와, 측벽부(11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105)이 끼움결합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05)과 고정돌기(121)는, 측벽부(110) 및 저면부(120)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구조로서, 측벽부(110)와 저면부(120)를 결합시키는 형태이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버튼부재(200)는, 버튼부재회전축(501)를 회전축으로 하여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버튼부재(200)는,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하는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400)를 작동시키는 구성이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재(200)는 누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도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200)는, 작동시 후술하는 회전축(502, 503, 504)들, 스위치(300, 400)들과의 간섭을 방지되도록 간섭방지부(201, 202, 2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방지부(201, 202, 203)는, 버튼부재(200)의 회전시 제1회전축(502), 제2회전축(504), 보조회전축(503) 각각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간섭방지부(201, 202, 203)는, 제1회전축(502)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이드하는 제1간섭방지부(201)와, 제2회전축(504)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이드하는 제2간섭방지부(202), 보조회전축(503)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이드하는 제3간섭방지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간섭방지부(201), 제2간섭방지부(202) 및 제3간섭방지부(203)는, 버튼부재회전축(501)을 중심으로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간섭방지부(2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위치(400)의 작동에 따라 제2회전축(50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재(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힌지결합하는 버튼부재회전축(501)과, 후술하는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400)의 작동을 위한 작동축(210, 220)들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재(200)는, 너비방향으로 관통설치되는 버튼부재회전축(501)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400) 각각의 작동을 위한 제1작동축(210) 및 제2작동축(220)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3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1스위치(300)는, 도 3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치(300)는, AC연결단자(131)에 연결되는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와;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를 가압하여 힌지회전시켜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1가압로드(320)와;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가압로드(320)와 결합하여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가압로드(320)를 회전시키는 제1작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는, AC연결단자(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는, 본체부(100)에 버튼부재(200)의 회전축(501)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는, AC연결단자(13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332)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축(3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332)의 일단 및 입력단자(132)의 끝단이 접촉되는 접촉위치 각각에는 단자부재(333, 334)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재(333, 334)들은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시 전력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로드(320)는,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를 가압하여 힌지회전시켜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가압로드(320)는 부도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작동부(310)는,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가압로드(320)와 결합하여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가압로드(32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1작동부(310)는,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50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1작동축(210)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311)이 형성되고, 제1가압로드(320)가 결합되는 제1로드결합부(312)가 제1회전축(50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502)은, 버튼부재(200)의 회전축(50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작동부(310)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축이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홈(311)은, 제1작동부(310)의 일단에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1작동축(210)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버튼부재(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제1작동축(210)은, 제1가이드홈(311)에 가이드되면서 제1작동부(3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작동부(310)의 회전에 의하여 앞서 설명한 제1로드결합부(312)에 결합된 제1가압로드(320) 또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제1로드결합부(312)는, 제1가압로드(320)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제1가압로드(320)가 삽입되도록 로드삽입홈(312a)이 형성되고, 로드삽입홈(312a)은, 제1가압로드(320)가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321)가 설치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2스위치(4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2스위치(400)는, DC연결단자(141)에 연결되는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와;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가압하여 힌지회전시켜 DC연결단자(141) 및 출력단자(142) 사이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가압로드(420)와; 본체부(100)에 보조회전축(50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보조작동부(490)와;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가압로드(420)와 결합하여 보조작동부(49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2가압로드(420)를 회전시키는 제2작동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는, DC연결단자(1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는, 본체부(100)에 버튼부재(200)의 회전축(501)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는, DC출력단자(14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432)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축(4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432)의 일단 및 출력단자(142)의 끝단이 접촉되는 접촉위치 각각에는 단자부재(433, 434)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재(433, 434)들은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DC연결단자(141) 및 출력단자(142) 사이의 연결시 전력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로드(420)는,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가압하여 힌지회전시켜 DC연결단자(141) 및 출력단자(142) 사이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작동부(490)는, 보조회전축(50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공(113)이 형성되며,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보조작동부(490)는, 제1스위치(300)에서의 제1가압로드(3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2가압로드(42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보조회전축(503)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보조회전축(503)을 기준으로 일단에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2작동축(220)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411)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작동부(410)에 결합된 보조작동축(421)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회전축(503)은, 버튼부재(200)의 회전축(50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보조작동부(490)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축이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홈(411)은, 보조작동부(490)의 일단에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2작동축(220)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버튼부재(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제2작동축(220)은, 제2가이드홈(411)에 가이드되면서 보조작동부(49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작동부(490)의 회전에 의하여 제3가이드홈(412)이 형성된 부분 또한 회전된다.
상기 제2작동부(410)는,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가압로드(420)와 결합하여 보조작동부(49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2가압로드(42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2작동부(410)는, 보조작동부(490)의 타단에 형성된 제3가이드홈(412)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보조작동축(421)이 결합되는데, 보조작동부(490)의 회전시 제2작동부(410)에 설치된 보조작동축(421)은, 제3가이드홈(412)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작동축(421)의 회전시, 보조작동축(421)이 설치된 제2작동부(410) 또한 회전되며, 제2작동부(410)의 회전에 의하여 이에 결합된 제2가압로드(420) 또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제2가압로드(420)는,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50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제3가이드홈(412)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보조작동축(421)이 결합되고, 제2가압로드(420)가 결합되는 제2로드결합부(422)가 제2회전축(50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압로드(420)는 부도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로드결합부(422)는, 제2가압로드(420)가 삽입되도록 로드삽입홈(422a)이 형성되고, 로드삽입홈(422a)은, 제2가압로드(420)가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424)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재(200)는, 그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a, 205b, 205c)들이 형성되고, 본체부(100)는,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a, 205b, 205c)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부(600)가 설치되어, 버튼부재(200)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로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후술하는 오목홈(205a, 205b, 205c)들와 걸림되어 상기 버튼부재(200)를 단계별로 특정 각도에서 고정시키기는 걸림돌기부(6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걸림돌기부(600)는, 오목홈(205a, 205b, 205c)들과 걸림되는 걸림부재(610)와, 걸림부재(610)와 저면부(120) 사이에 설치되어 걸림부재(610)를 오목홈(205a, 205b, 205c)들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200)는, 저면에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a, 205b, 205c)들이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a, 205b, 205c)들은 본체부(100)에 설치되는 걸림돌기부(600)와 걸림되어 버튼부재(200)를 미리 설정된 특정 각도에서 단계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a, 205b, 205c)들은, 걸림돌기부(600)에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형태이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a, 205b, 205c)들은, 버튼부재회전축(50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버튼부재(200)가 특정위치 즉,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400) 각각의 온오프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a, 205b, 205c)들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 사이의 연결해제 및 출력단자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1상태와,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 사이의 연결 및 출력단자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2상태와,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 사이의 연결 및 출력단자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을 이루는 제3상태를 기준으로, 버튼부재(200)가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타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제3상태, 제2상태 및 제1상태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은, 앞서 설명한바 및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대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상태로부터 제2상태로의 변환과정, 즉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전기적 연결 과정에 있어서,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AC연결단자(131)들이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입력단자(132) 또한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을 위한 구체적 구성인 각 AC연결단자(131)에 대응되어 제1가압로드(320)의 길이, 제1가압로드(320) 및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 사이의 간격, 구체적으로 단자부재(333, 334)들 간의 간격 등을 조절함으로써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은, 제1상태로부터 제2상태로의 변환 후 또는 제2상태로부터 제1상태로의 변환, 제2상태로부터 제3상태로의 변환 후 또는 제3상태로부터 제2상태로의 변환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오목홈 등을 이용하여 버튼부재(2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변환된 후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은, 사용자에 의한 버튼부재(200)의 조작(버튼 누름)에 의하여 제2상태로부터 제3상태로의 변환 후 사용자에 의한 버튼부재(200)이 조작(버튼 누름)없는 경우 제3상태에서 제2상태로 복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a, 205b, 205c)들 중 제3상태에 대응되는 오목홈(205c)이 제외되면 탄성부재(620), 탄성부재(424) 등의 작동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한 버튼부재(200)이 조작(버튼 누름)없는 경우 제3상태에서 제2상태로 복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은, 본체부(100), 버튼부재(200) 및 별도 부재에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표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수단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구성으로 그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표시수단은, AC의 온오프상태에 따라서 발광하는 엘이디와 같은 제1발광부재와, DC의 온오프상태에 따라서 발광하는 엘이디와 같은 제2발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발광부재 및 제2발광부재는, 그 구분을 위하여 색상(AC는 붉은색, DC는 녹색) 또는 개수(동일한 수로 1개는 AC 온, 2개는 AC 및 DC 온)로서 표시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은, 복수 개의 전기·전자기기를 대상으로 전기·전자기기의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누설전류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바,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400)가 복수 개의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쌍으로 설치되는 상기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400)는 AC연결단자(131), AC전원(30)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변환장치(190)의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 DC출력단자(141)에 대한 연결 및 연결해제가 수행될 수 있으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AC연결단자(131), 입력단자(132),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의 배치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400)의 구성 및 형태 또한 AC연결단자(131), 입력단자(132),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의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 제2스위치(400)의 구성 중 보조작동부(490)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은, 일단이 AC전원에 연결되는 배선 각각에 대응되어 연결 설치되며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AC연결단자(131)들과, 일단이 AC연결단자(131)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DC출력단자(141)들과, AC연결단자(131)들 및 전기·전자기기 사이에 설치되어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변환장치(190)의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가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200)와;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1스위치(300)와;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스위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단스위치모듈은,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2상태(AC ON 및 DC OFF)를 기준으로 회전에 의하여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해제 및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1상태(AC OFF 및 DC OFF)와,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을 이루는 제3상태(AC ON 및 DC ON)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스위치(300)는 도 3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2스위치(400) 또한 제1스위치(3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스위치(400)는, 도 7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단자(142)에 연결되는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와;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가압하여 힌지회전시켜 출력단자(142)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가압로드(420)와;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가압로드(420)와 결합하여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2가압로드(420)를 회전시키는 제2작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작동부(490)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작동부(420)는,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50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2작동축(220)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312)이 형성되고, 제2가압로드(420)가 결합되는 제2로드결합부(412)가 제2회전축(50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로드결합부(412)는, 제2가압로드(420)가 삽입되도록 로드삽입홈(412a)이 형성되고, 로드삽입홈(412a)은, 제2가압로드(420)가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42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재(200)는, 버튼부재회전축(501)를 회전축으로 하여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버튼부재(200)는,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400)를 작동시키는 구성이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재(200)는 누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도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200)는, 작동시 후술하는 회전축(502, 504)들, 스위치(300, 400)들과의 간섭을 방지되도록 간섭방지부(201, 2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방지부(201, 203)는, 버튼부재(200)의 회전시 제1회전축(502) 및 제2회전축(504) 각각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간섭방지부(201, 203)는, 제1회전축(502)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이드하는 제1간섭방지부(201)와, 제2회전축(504)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이드하는 제2간섭방지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간섭방지부(201) 및 제3간섭방지부(203)는, 버튼부재회전축(501)을 중심으로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재(2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힌지결합하는 버튼부재회전축(501)과, 후술하는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400)의 작동을 위한 작동축(210, 220)들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재(200)는, 너비방향으로 관통설치되는 버튼부재회전축(501)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400) 각각의 작동을 위한 제1작동축(210) 및 제2작동축(220)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재(200)는, 그 회전축(501)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이 형성되고, 본체부(100)는, 오목홈(205)에 끼워져 버튼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돌기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부(600)는, 오목홈(205)과 걸림되는 걸림부재(610)와,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걸림부재(610)를 오목홈(205)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부(600)는, 제2상태를 이루는 회전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버튼부재(200)는, 일측에 오목홈(205)이 형성되고, 회전중심에 버튼부재회전축(501)이 형성되어 버튼부재회전축(501)을 회전축으로 하여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부(100)는, 버튼부재(200)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위치될 때 오목홈(205)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부(600)가 설치되어, 버튼부재(200)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위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후술하는 오목홈(205)에 걸림되어 버튼부재(200)를 특정 각도에서 고정시키기는 걸림돌기부(6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걸림돌기부(600)는, 오목홈(205)과 걸림되는 걸림부재(610)와, 걸림부재(610)와 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설치부(106)에 설치되어 걸림부재(610)를 오목홈(205)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돌기부(600)는, 오목홈(205)과 걸림되는 걸림부재(610)와, 걸림부재(610)와 걸림돌기설치부(106)의 사이에 설치되어 걸림부재(610)를 오목홈(205)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설치부(106)는, 걸림부재(610)가 오목홈(205)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걸림돌기설치부(106)는, 탄성부재(620)에 의하여 걸림부재(610)를 가이드하는 걸림돌기설치홈(10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홈(205)은, 버튼부재회전축(50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버튼부재(200)가 특정위치 즉, 제1스위치(300)가 온 상태이며 제2스위치(400)가 오프인 상태를 기준으로 양방향 회전가능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목홈(205)은,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 사이의 연결 및 출력단자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2상태를 기준으로,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 사이의 연결해제 및 출력단자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1상태와, AC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 사이의 연결 및 출력단자 및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을 이루는 제3상태로, 버튼부재(200)가 양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제2상태로부터 제1상태 및 상기 제3상태가 이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400)는, 각각 도 3 내지 도 6c 또는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모듈은, 본체부(100)에 AC연결단자(131) 및 DC출력단자(141)가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는 바, 각각의 AC연결단자(131) 및 DC출력단자(141)에 연결되는 2 이상의 장치들은 회전부재(200)의 양방향 회전에 의하여 전기변환장치(190)와 순차적으로 연결 및 연결해제될 수 있다.
특히 외부전원에 서지전류 등으로 인하여 전기변환장치(190) 및 이에 연결된 전기전자기기에 충격을 줄 수 있는바, 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AC연결단자(131) 및 전기변환장치(190)의 2개 이상의 입력단자(132)들의 연결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AC연결단자(131) 및 전기변환장치(190)의 2개 이상의 입력단자(132)들의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제1작동부(3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50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1작동축(210)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311)이 형성되고, 제1가압로드(320)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이 제1회전축(50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은,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 각각에 결합되는 제1가압로드(320)의 끝단(P1, P2)이 제1회전축(502)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차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 각각에 대응되는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를 순차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서 상기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 각각에 결합되는 제1가압로드(320)의 끝단(P1, P2)이 제1회전축(502)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차(θ)는, 1° 등 미세한 각도차만 가져도 무방하다.
다만 도 13에서는, 각도차를 표시하기 위하여 편의상 크게 그린 것으로 도면에 의하여 이상적인 각도차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더 나아가 상기 제2작동부(420)는,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50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2작동축(220)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312)이 형성되고, 제2가압로드(420)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로드결합부(412, 413)들이 제2회전축(50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한 쌍의 제2로드결합부(412, 413)들은, 한 쌍의 제2로드결합부(412, 413)들 각각에 결합되는, 제2가압로드(420)의 끝단(P1, P2)이 제2회전축(503)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차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제2로드결합부(412, 413)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순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버튼부재(200)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그 회전축(501)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오목홈(720)이 형성되는 보조버튼부재(700)가 결합되고, 본체부(100)는, 오목홈(205)에 끼워져 버튼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돌출걸림돌기(71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버튼부재(700)에 형성된 오목홈(720)은, 제2상태를 이루는 회전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들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구성의 생략, 추가 등 다양한 변형예들이 가능하다.
특히 앞서 설명한 도 8에서의 걸림돌기부(600), 도 12에서의 보조버튼부재(700) 및 걸림돌기부(600)의 조합의 구성은,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로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모듈은,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변형으로서,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에 구비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에서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의 구조 및 일부 구성이 달라진바 달라진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는, 도 18a 내지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00)가 회전하면서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에 변경되며,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에 따라서,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2가압로드(420)를 순차적으로 지지하는 2개 이상의 지지홈부(438, 4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홈부(438, 439)는,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의하여 제2가압로드(42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제2상태에 대응되어 제2가압로드(420)가 더 돌출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지지홈부(439)와, 제3상태에 대응되어 제2가압로드(420)가 더 돌출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지지홈부(43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홈부(439) 및 제2지지홈부(438)는,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제2가압로드(420)가 회전되고 제2상태 및 제3상태에서는 회전이 방지되며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제2가압로드(420)의 회전이 부드럽도록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도전체의 판상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는, 도 18a 내지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00)가 회전하면서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에 변경되며,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에 따라서,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2가압로드(420)를 순차적으로 지지하도록 상측에서 볼 때 볼록 및 오목의 조합에 의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는, 구리와 같은 금속 플레이트를 수직단면이 파형 형상을 이룸으로써 버튼부재(200)가 회전하면서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에 변경되며,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에 따라서, 제2가압로드(420)를 지지하는 면이 볼록 및 오목의 조합에 의하여 적절한 탄성과 함께 제2가압로드(420)를 지지함과 아울러, 단자부재(433, 434)와의 접촉 및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홈부(439) 및 제2지지홈부(438)는,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에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의 구조는,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 및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 각각은,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유도되어 제1가압로드(320) 및 제2가압로드(420)의 가압에 의하여 저면부(12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필요가 있는바,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 및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저면부(120)에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 및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는, 저면부(120)에 형성 또는 설치된 힌지축지지부(437, 337)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작동축(210) 제2작동축(220)은, 별도의 부재로 설치될 수 있으나, 제4실시예, 즉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위치(400) 및 제1스위치(300) 각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도시된 작동효과를 가지기 위하여, 버튼부재(200)에는, 제1작동축(210) 제2작동축(220)의 회전 및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구조를 구비한다.
예로서, 상기 이동구조는,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작동축(2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면(794)이 형성된 제1안내부(793)와, 제1작동축(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면(792)가 형성된 제2안내부(791)와, 제1안내부(793)와 함께 제2작동축(2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3안내면(795)와 제2안내부(793)와 함께 제1작동축(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4안내면(796)이 형성된 축지지부재(7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부재(790)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로서 버튼부재(200)의 저면 쪽에서 결합되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버튼부재(200)의 측방에 형성된 삽입홈(797)에 삽입되는 결합돌기(79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치(400) 및 제1스위치(300)는, 회전시 버튼부재(200)의 저면 쪽에서 형성된 제1안내부(793) 및 제2안내부(791)과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절개홈(781, 78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 중 가장 핵심요지는, 제1상태에서 제2상태 및 제3상태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더 나아가 제2상태 및 제3상태에 있어서도,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들 수 각각에 순차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단자(132)가 2개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1개가 먼저 AC연결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나머지가 다음으로 시차를 두고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출력단자(142)가 2개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1개가 먼저 DC연결단자(1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나머지가 다음으로 시차를 두고 접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방법은 크게 3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첫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치(300)의 제1가압로드(320)의 각도 및 제2스위치(400)의 제1가압로드(420)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각도를 편차를 둠으로써 시차를 통한 접속을 이룰 수 있다.
둘째,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에 접촉하는 입력단자(132) 또는 AC연결단자(131)의 높이,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에 접촉하는 출력단자(142) 또는 DC연결단자(141)의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시차를 통한 접속을 이룰 수 있다.
셋째, 입력단자(132) 또는 AC연결단자(131)에 접촉하는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의 굽어진 각도 및 출력단자(142) 또는 DC연결단자(141)에 접촉하는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의 굽어진 각도를 달리함으로써 시차를 통한 접속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AC전원에서 DC전원으로 변환 후 DC전원을 출력하는 전기변환장치(190)를 구비한 경우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본적 구조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은, 일반화한 구성으로서, 일단이 1차측전원에 연결되는 배선 각각에 대응되어 연결 설치되며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1차측연결단자(131)들과, 일단이 1차측연결단자(131)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2차측출력단자(141)들과, 1차측연결단자(131)들 및 전기·전자기기 사이에 설치되어 1차측전원을 2차측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변환장치(190)의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가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200)와;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1스위치(300)와;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출력단자(142) 및 2차측출력단자(141)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스위치(400)를 포함하며, 1차측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해제 및 출력단자(142) 및 2차측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1상태와, 1차측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출력단자(142) 및 2차측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2상태와, 1차측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출력단자(142) 및 2차측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을 이루는 제3상태를 기준으로, 버튼부재(20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타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제3상태, 제2상태 및 제1상태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은, 1차측 전원으로부터 2차측 전원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그 연결상태를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를 순방향으로 또는 역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은, AC전원에서 DC전원으로 설명하였으나, 전기변환장치(190)를 DC전원에서 AC전원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1차측 전원이 DC전원, 2차측 전원이 AC전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19에 따른 스위치모듈의 구조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도를 가지는 스위치모듈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19에 따른 스위치모듈의 구조 중 전기변환장치(190)가 설치되는 대신에 1차측연결단자(131)가 출력단자(142)와 제1전기도체(133)에 의하여 연결되며, 입력단자(132)가 2차측출력단자(141)가 제4전기도체(134)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상태에서는, 1차측에서 2차측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2상태에서는, 버튼부재(200)의 1차회전으로 제1스위치(300)가 작동된 상태, 즉 1차측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스위치(300)가 고장난 경우 제1스위치(300)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1차측연결단자(131) 및 입력단자(1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는 데, 이 경우 버튼부재(200)의 추가 회전, 즉 2차회전으로 제3상태로 변환, 즉 제2스위치(400)의 작동에 의하여, 출력단자(142) 및 2차측출력단자(141)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1차측 및 2차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40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스위치로서 작동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 1차측 전원 및 2차 측 전원은, AC-AC, DC-DC, AC-DC, DC-AC 등의 조합이 가능하다.
여기서 AC-AC, DC-DC의 경우 앞서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대로 구성되며, AC-DC, DC-AC의 경우 AC→DC 또는 DC→AC로 변환하는 전기변환장치(190)를 추가로 구비하여 도 1 내지 도 19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0 : 전기·전자기기
30 : AC전원 200: 버튼부재
300: 제1스위치 400: 제2스위치

Claims (23)

  1. 일단이 AC전원에 연결되는 배선 각각에 대응되어 연결 설치되며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AC연결단자(131)들과, 일단이 상기 AC연결단자(131)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DC출력단자(141)들과, 상기 AC연결단자(131)들 및 상기 전기·전자기기 사이에 설치되어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변환장치(190)의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가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2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AC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1스위치(3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스위치(400)를 포함하며,
    상기 AC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해제 및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1상태와, 상기 AC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2상태와, 상기 AC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을 이루는 제3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버튼부재(20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상태, 상기 제2상태 및 상기 제3상태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타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3상태, 상기 제2상태 및 상기 제1상태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위치(300)는,
    상기 AC연결단자(131)에 연결되는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와;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를 가압하여 힌지회전시켜 상기 AC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1가압로드(320)와;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가압로드(320)와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가압로드(320)를 회전시키는 제1작동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작동부(31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50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1작동축(210)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로드(320)가 결합되는 제1로드결합부(312)가 상기 제1회전축(50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로드결합부(312)는,
    상기 제1가압로드(320)가 삽입되도록 로드삽입홈(312a)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삽입홈(312a)은, 상기 제1가압로드(320)가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3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는,
    상기 AC연결단자(13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332)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축(3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400)는,
    상기 DC출력단자(141)에 연결되는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와;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가압하여 힌지회전시켜 상기 DC출력단자(141) 및 상기 출력단자(142) 사이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가압로드(420)와;
    상기 본체부(100)에 보조회전축(50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보조작동부(490)와;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가압로드(420)와 결합하여 상기 보조작동부(49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2가압로드(420)를 회전시키는 제2작동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작동부(490)는,
    상기 보조회전축(503)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보조회전축(503)을 기준으로 일단에 상기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2작동축(220)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411)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제2작동부(410)에 결합된 보조작동축(421)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홈(4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로드(42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50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제3가이드홈(412)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상기 보조작동축(421)이 결합되고,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결합되는 제2로드결합부(422)가 상기 제2회전축(50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로드결합부(422)는,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삽입되도록 로드삽입홈(422a)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삽입홈(422a)은,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4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는,
    상기 DC출력단자(14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432)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축(4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11. 청구항 1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200)는,
    그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a, 205b, 205c)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a, 205b, 205c)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부(600)가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200)가 상기 본체부(100)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로 단계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400)는,
    상기 출력단자(142)에 연결되는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와;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가압하여 힌지회전시켜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DC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가압로드(420)와;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가압로드(420)와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2가압로드(420)를 회전시키는 제2작동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41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50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2작동축(220)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결합되는 제2로드결합부(412)가 상기 제2회전축(50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로드결합부(412)는,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삽입되도록 로드삽입홈(412a)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삽입홈(412a)은,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4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는,
    상기 출력단자(14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432)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축(4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16.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5 및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200)는,
    그 회전축(501)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오목홈(205)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오목홈(205)에 끼워져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돌기부(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부(600)는, 상기 오목홈(205)과 걸림되는 걸림부재(61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610)를 상기 오목홈(205)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부(600)는, 상기 제2상태를 이루는 회전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부(31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50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1작동축(210)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로드(320)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이 상기 제1회전축(50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은,
    상기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 각각에 결합되는 제1가압로드(320)의 끝단(P1, P2)이 상기 제1회전축(502)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차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로드결합부들(312, 313)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를 순차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20.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41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50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2작동축(220)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압로드(420)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로드결합부(412, 413)들이상기 제2회전축(50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로드결합부(412, 413)들은,
    상기 한 쌍의 제2로드결합부(412, 413)들 각각에 결합되는 상기 제2가압로드(420)의 끝단(P1, P2)이 상기 제2회전축(504)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차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2로드결합부(412, 413)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2힌지단자접촉부재(430)를 순차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21.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5 및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200)는,
    하측에 그 회전축(501)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오목홈(720)이 형성되는 보조버튼부재(700)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오목홈(720)에 끼워져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돌출걸림돌기(7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보조버튼부재(700)에 형성된 오목홈(720)은, 상기 제2상태를 이루는 회전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23. 일단이 1차측전원에 연결되는 배선 각각에 대응되어 연결 설치되며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1차측연결단자(131)들과, 일단이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2차측출력단자(141)들과,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들 및 상기 전기·전자기기 사이에 설치되어 1차측전원을 2차측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변환장치(190)의 입력단자(132) 및 출력단자(142)가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2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1스위치(3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2차측출력단자(141)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2스위치(400)를 포함하며,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해제 및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2차측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1상태와,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2차측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해제를 이루는 제2상태와,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상기 출력단자(142) 및 상기 2차측출력단자(141) 사이의 연결을 이루는 제3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버튼부재(20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상태, 상기 제2상태 및 상기 제3상태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타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3상태, 상기 제2상태 및 상기 제1상태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위치(300)는,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에 연결되는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와;
    상기 제1힌지단자접촉부재(330)를 가압하여 힌지회전시켜 상기 1차측연결단자(131) 및 상기 입력단자(132) 사이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제1가압로드(320)와;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가압로드(320)와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가압로드(320)를 회전시키는 제1작동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작동부(31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50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버튼부재(200)에 결합된 제1작동축(210)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로드(320)가 결합되는 제1로드결합부(312)가 상기 제1회전축(50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듈.
KR1020170164276A 2016-12-05 2017-12-01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 KR102537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517 2016-12-05
KR20160164517 2016-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300A KR20180064300A (ko) 2018-06-14
KR102537313B1 true KR102537313B1 (ko) 2023-05-30

Family

ID=6249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276A KR102537313B1 (ko) 2016-12-05 2017-12-01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37313B1 (ko)
CN (1) CN110036540B (ko)
WO (1) WO201810595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883Y1 (ko) * 2000-02-09 2000-07-15 주식회사에이취케이티 절전기능을 갖는 전원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107Y1 (ko) * 1999-03-22 2002-10-25 김동명 전원 절환장치
KR20060089353A (ko) * 2005-02-04 2006-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정보시스템용 통합스위치의 메뉴선택 가이드장치
DE102009019264A1 (de) * 2009-04-28 2010-11-11 Abb Ag Elektrische Steckdose mit Klappdeckel
KR20120090259A (ko) * 2011-02-07 2012-08-17 한국엔디이 (주) 대기전력 차단 플러그
KR101525979B1 (ko) * 2013-11-07 2015-06-05 유대영 대기전력 차단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된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883Y1 (ko) * 2000-02-09 2000-07-15 주식회사에이취케이티 절전기능을 갖는 전원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36540B (zh) 2021-03-09
CN110036540A (zh) 2019-07-19
KR20180064300A (ko) 2018-06-14
WO2018105956A1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817B2 (en) Rotatable and foldable electrical plug connector
US9413113B2 (en) Pow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device
US9054464B1 (en) Pow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device
US9235223B2 (en) Modular travel power adapter and converter system
US20020154528A1 (en) AC to DC adapter with AC receptacle
KR20140123343A (ko) 조립식 멀티탭
KR102537313B1 (ko)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
KR102555766B1 (ko) 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되는 전기전자기기
US20030176100A1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 DC electrical outlet
US20160181750A1 (en) Electrical Extension Cord with Remote Power Control
CN212229465U (zh) 无线开关接收器与设备控制组件
US9088114B2 (en) Multifunction socket device
US20210066939A1 (en) Rechargeable Power Supply Assembly
CN114207760A (zh) 具有usb充电器的电缆开关
JP2011070945A (ja) 直流配電用コンセント、照明器具および直流配電システム
KR200458857Y1 (ko) 흡수 펌프의 전원 전압 스위칭 장치
CN211507431U (zh) 一种新型拔插式开关结构
CN205248165U (zh) 一种分体拉线开关
KR101610336B1 (ko) 사용자 선택형 조명 장치
CN201532877U (zh) 一种互锁开关
KR200299116Y1 (ko) 절전형 스위치
JP3069141U (ja) 延長コ―ド付きタップコンセント
CN104952652A (zh) 一种旋转式墙壁开关
KR860000539Y1 (ko) 110v/220v 절환장치
CN105323903A (zh) 调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