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574Y1 -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 Google Patents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574Y1
KR200252574Y1 KR2020010018413U KR20010018413U KR200252574Y1 KR 200252574 Y1 KR200252574 Y1 KR 200252574Y1 KR 2020010018413 U KR2020010018413 U KR 2020010018413U KR 20010018413 U KR20010018413 U KR 20010018413U KR 200252574 Y1 KR200252574 Y1 KR 200252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main body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성 filed Critical 김재성
Priority to KR2020010018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5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574Y1/ko

Links

Landscapes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개의 연결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선이 배선되는 본체(10)의 전선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자들이 상기 각 연결구의 안쪽에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20)가 소정 길이 연장되는 가는전선(22)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연결되며, 스위치(20)는 접점의 개폐신호가 중앙처리장치(26)에 입력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출력단자에 메인전원을 개폐하는 마그네틱릴레이(27)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26)가 입력되는 접점의 개폐신호에 따라 이를 연산하여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상기 마그네틱릴레이(27)에 출력하여 자장의 형성에 의해 메인 전원을 개폐하도록 하므로, 본체(10)로부터 원거리에서 사용자가 스위치(20)를 간단히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고, 효율적으로 대기전력을 절감하도록 하는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이다.

Description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multitap for remote control a power source}
본 고안은 각종 전자제품 등의 전원 플러그를 연결하는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멀티탭의 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가 본체로부터 거리를 두고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스위치를 사용하기 용이한 곳에 부착시켜둘 수 있도록 하므로 전원의 개폐가 편리하도록 하고, 대기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격전원 제어용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품의 전원플러그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구가 형성되는 본체(10) 내부에 전선이 배선되고, 각 연결구의 안쪽에 상기 전선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자들이 결합되며, 본체(10)의 일측에 상기 전선의 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11)가 장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멀티탭은 책상이나 탁자 하부에 설치되어 전선이 메인 전원에 연결되도록 하고, 본체(10)의 각 연결구에 컴퓨터본체나 모니터, 프린터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전원플러그를 연결시켜 사용하며, 상기 전자제품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대기전력이 소모되기 때문에, 통상 상기 전자제품들을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가 본체(10)의 일측에 장치된 스위치(11)를 켜고, 사용후에는 상기 스위치(11)를 끄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멀티탭은 본체(10)를 탁자나 책상 등의 하부나 후부와 같이 비교적 은폐되는 위치에 놓고 사용하기 때문에 본체(10)에 장치된 스위치(11)를 개폐조작하는 것이 번거롭고, 이로 인해 그냥 전원이 켜진상태로 두게 되어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소모되는 대기전력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래 개발된 멀티탭은 본체 내부에 전자체어회로(cpu)를 장치하여 일정 시간 이상 전류 흐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본체의 출력전원을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전자제어회로에 스위치가 가는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스위치를 조작하면 전원이 통전되도록 하였으나, 스위치가 켜는 기능만 있고 끄는 것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꺼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여전히 대기전력 손실이 발생되었으며, 특히 레이저프린터와 같이 일정 주기(약7초/1회)로 예열회로가 장치된 전자제품에는 적용이 불가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멀티탭은 회로가 복잡하여 전력낙차 폭 감도조절이 어렵고, 제조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체에 인입되는 전원을 강제로 개폐하는 스위치가 소정 길이 연장되는 가는전선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로 부터 소정 거리를 갖는 사용이 편리한 위치에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직접 개폐하도록 하므로 대기전력 손실이 없도록 하는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멀티탭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멀티탭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멀티탭의 제어용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스위치
21 : 버튼 22 : 가는전선
23 : 집개 24 : 플러그
25 : 발광다이오드 26 : 중앙처리장치
27 : 마그네틱릴레이
본 고안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전원플러그 연결구(a)가 형성되는 본체(10) 내부에 전선이 배선되고, 상기 각 연결구(a)의 안쪽에 상기 전선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자들이 결합되며, 상기 전선의 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20)가 플랙시블(flexible)한 가는전선(22)을 통해 본체(1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스위치(20)는 부착수단이 저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내부에 양 접점 단자가 스프링에 탄지되는 버튼(21)에 의해 접촉과 분리가 가능하게 장치되는 구조이고, 상기 양 접점 단자가 비교적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가는전선(22)에 의해본체(10)의 메인전원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버튼(21)의 일측에 본체(10)의 메인 전원의 개폐상태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발광다이오드(25)가 하우징 외부에서 가시 가능하도록 장치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10)를 탁자나 책상 등의 하부나 후부와 같은 비교적 은폐되는 위치에 두고, 가는전선(22)을 책상이나 탁자의 상부쪽으로 연장시켜 스위치(20)의 하우징을 부착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에 고정시켜둔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은 양면테이프를 사용하거나, 메직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정용 집개(23)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선을 플러그(24)와 잭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 스위치(20)의 전기적 제어회로는 버튼(21)에 의해 개폐되는 접점이 가는전선(22)을 통해 중앙처리장치(cpu)(26)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버튼(21)의 조작에 따라 개폐신호를 중앙처리장치(26)에 입력하도록 되고, 중앙처리장치(26)의 출력단자가 마그네틱릴레이(27)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위치(20)의 접점에 의한 개폐신호의 입력에 따라 이를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마그네틱릴레이(27)에 출력하도록 되며, 마그네틱릴레이(27)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자장이 형성되거나 제거되어 전원단자를 개폐하도록 된다. 또한, 발광다이오드(25)는 마그네틱릴레이(27)를 통해 메인전원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메인전원이 연결되었을 때 전원이 통전되어 점등되고, 메인전원이 꺼졌을 때 전원이 차단되어 소등되도록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입력 전원코드가 본체(10)에 통전되게 연결되어 있으면 발광다이오드(25)가 점등되어 있게 되고, 상기 전자제품의 입력 전원이 본체(10)에서 차단되어 있으면 발광다이오드(25)가 소등상태가 된다. 즉, 발광다이오드(25)가 점등되어 있고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스위치(20) 버튼(21)을 누르면 본체(10)로부터 전자제품으로 흐르는 대기전류가 차단되게 되고, 전자제품을 사용하고자 할 때 발광다이오드(25)가 소등되어 있는 경우, 스위치(20) 버튼(21)을 누르면 마그네틱릴레이(27)가 작동되어 본체(10)의 메인 전원이 전자제품의 입력 전원코드를 통해 통전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스위치가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에 부착되도록 되고 강제로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원을 개폐하도록 되어, 조작이 편리하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언제나 전원을 끄도록 유도하여 대기전력에 의한 손실이 없도록 한다.

Claims (3)

  1. 복수개의 연결구가 형성되는 본체(10) 내부에 전선이 배선되고 상기 전선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자들이 상기 각 연결구의 안쪽에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20)가 소정 길이 연장되는 가는전선(22)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2. 제 1항에 있어서, 스위치(20)는 접점의 개폐신호가 중앙처리장치(26)에 입력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출력단자에 메인전원을 개폐하는 마그네틱릴레이(27)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26)가 입력되는 접점의 개폐신호에 따라 이를 연산하여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상기 마그네틱릴레이(27)에 출력하여 자장의 형성에 의해 메인 전원을 개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마그네틱릴레이(27)를 통해 메인전원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통전 여부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발광다이오드(25)가 스위치(20)의 접점 일측에 가시 가능하게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KR2020010018413U 2001-06-20 2001-06-20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KR2002525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413U KR200252574Y1 (ko) 2001-06-20 2001-06-20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413U KR200252574Y1 (ko) 2001-06-20 2001-06-20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574Y1 true KR200252574Y1 (ko) 2001-11-16

Family

ID=7310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413U KR200252574Y1 (ko) 2001-06-20 2001-06-20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5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165A (ko) * 2003-01-22 2004-07-30 이경목 통신포트를 장착한 전원 콘센트
KR100760279B1 (ko) * 2006-03-17 2007-09-20 임성규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165A (ko) * 2003-01-22 2004-07-30 이경목 통신포트를 장착한 전원 콘센트
KR100760279B1 (ko) * 2006-03-17 2007-09-20 임성규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8022B2 (en) Radio frequency powered switch
JP2008532225A (ja) 許可スイッチを備える電力ソケット装置
KR200252574Y1 (ko)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US20040159653A1 (en) Detachable temperature controller
US5124679A (en) Automatic power breaker and relay and water sensor used in the automatic power breaker
DE50006226D1 (de) Elektrische Steckdose
KR200391510Y1 (ko) 멀티탭 콘센트
KR200324398Y1 (ko) 원격 케이블형 멀티탭
BR0101214B1 (pt) circuito eletrÈnico de controle de espelho para a ativaçáo de espelhos externos.
US6670727B2 (en) Timed switch
KR200324397Y1 (ko) 멀티탭
KR20060006750A (ko) 매립형 콘센트에 장착하는 스위치가 부설된 콘센트
KR102559523B1 (ko) 플러그 연결 보조장치
KR102023891B1 (ko) 절전형 전기 콘센트
CN209856821U (zh) 电筒及其后盖
JP2000166090A (ja) 電源装置
CN208704105U (zh) 一种加湿器的独立控制器
KR102023892B1 (ko) 절전이 가능한 벽체 매립형 전기 콘센트
KR200185351Y1 (ko) 적외선 센서스위치가 있는 멀티콘센트
KR200286365Y1 (ko) 전자파 방출용 전원코드
JP3221599B2 (ja) 遮断器の通電表示装置
KR200199639Y1 (ko) 전기 절전용 멀티콘센트 코드 스위치
RS50156B (sr) Modul sa ispitnim tasterom
KR200324399Y1 (ko) 멀티탭
JPS6314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