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279B1 -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279B1
KR100760279B1 KR1020060024979A KR20060024979A KR100760279B1 KR 100760279 B1 KR100760279 B1 KR 100760279B1 KR 1020060024979 A KR1020060024979 A KR 1020060024979A KR 20060024979 A KR20060024979 A KR 20060024979A KR 100760279 B1 KR100760279 B1 KR 10076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outlet
unit
switch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6892A (ko
Inventor
임성규
Original Assignee
임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규 filed Critical 임성규
Priority to KR1020060024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279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연결소켓들을 가지는 멀티콘센트 본체의 연결소켓들 표면 각각에 전원공급 우선순위 표시를 하고 작동램프를 설치하도록 구성하며, 멀티콘센트 본체 내부에는 전기회로부를 설치하되, 전기회로부는, 다수의 연결소켓들 각각에 대응되며 소정 스위치 제어에 의해서 상용전원의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스위치들과, 멀티콘센트의 공급전원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부하상태를 출력하는 전류검출부와, 외부의 리모콘장치와 무선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콘장치의 스위치원격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치들을 스위치제어하고, 전류검출부로부터의 부하상태 출력이 미리 설정된 과부하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다수의 스위치들을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한다.
멀티콘센트본체, 연결소켓 원격 개별제어, 과부하 제어

Description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MULTI-OUTLET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VOLT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의 외관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멀티콘센트 장치에서 멀티콘센트 본체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멀티콘센트장치에서 리모콘장치의 회로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리모콘장치의 외관 개략도,
도 5는 도 2의 멀티콘센트 본체의 제어부에서의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제어가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콘센트는 여러모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기제품(예컨대, 컴퓨터기기, 가정용기기, 전열기기, 주방기 기 등)이 벽에 설치된 전원 메인콘센트와 떨어져 있을 경우 그 전원을 전기제품과 연결해주기 위해 멀티콘센트를 많이 사용한다.
멀티콘센트에는 다수의 연결소켓이 설치되어 있어 많은 전기제품 플러그들이 꽂혀져 사용되어지므로 언제나 과부하의 염려가 있고 또 주로 전기제품 플러그는 계속 꽂혀져 있기에 비작동되는 전기제품에 전류가 인가되어 전류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멀티콘센트의 다수의 연결소켓 각각에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스위치 수동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가 개발되었지만, 사용자가 일일이 해당 연결소켓의 스위치를 온/오프 조작하기에는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격으로 멀티콘센트 본체의 연결소켓들을 개별전원제어가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콘센트 본체의 과부하 발생시 과부하는 방지하면서도 우선적으로 공급되어야만 하는 전기제품에는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제어하는 멀티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콘센트 연결소켓들의 전원상태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멀티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멀티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연결소 켓들을 가지는 멀티콘센트 본체의 연결소켓들 표면 각각에 전원공급 우선순위 표시를 하고 작동램프를 설치하도록 구성하며, 멀티콘센트 본체 내부에는 전기회로부를 설치하되,
상기 전기회로부는,
상기 다수의 연결소켓들 각각에 대응되며 소정 스위치 제어에 의해서 상용전원의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스위치들과, 멀티콘센트의 공급전원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부하상태를 출력하는 전류검출부와, 외부의 리모콘장치와 무선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콘장치의 스위치원격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치들을 스위치제어하고, 전류검출부로부터의 부하상태 출력이 미리 설정된 과부하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다수의 스위치들을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소켓 개별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외관 구성도로서, 멀티콘센트 본체(2)와 리모콘장치(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콘센트 본체(2)와 리모콘장치(4)는 상용주파수대역에서 RF(Radio Frequency)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구현되며, 사용자가 리모콘장치(4)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멀티콘센트 본체(2)에 구비된 다수의 연결소켓들을 개별 전원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멀티콘센트 본체(2)는 일반적인 멀티콘센트와 마찬가지로 파워스위치 PSW가 구비되며 또한 다수의 연결소켓들 예컨대, 6개의 연결소켓 C1∼C6를 구비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멀티콘센트 본체(2)는 일반 멀티콘센트와는 다르게 다수의 연결소켓들 C1∼C6각각의 상부 외주면에는 전원공급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칼라색 R(red), O(orange), Y(yellow), BL(blue), G(green), BK(black)이 도색되고, 아울러 대응되는 작동램프 LP1∼LP6도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칼라색 표시 R(red), O(orange), Y(yellow), BL(blue), G(green), BK(black)중에서 적색인 R(red)이 가장 우선순위가 높으며 그 다음에는 O(orange), Y(yellow), BL(blue), G(green)의 순서로 이어지며, 흑색인 BK(black)이 가장 낮은 순위이다.
상기한 멀티콘센트 본체(2)의 연결소켓들의 갯수 및 도색된 칼라표시는 일예로 구성된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내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중요한 전기제품은 최우선순위 그룹에 해당되는 연결소켓 C1,C2 등에 꽂아 넣으면 되고 잘 사용하지 않거나 중요도가 떨어지는 전기제품은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연결소켓 C6,C5에 꽂아 넣으면 된다.
상기와 같은 멀티콘센트 본체(2) 구성은 과부하 발생시 그 과부하는 방지되게 하면서도 우선적으로 공급되어야만 하는 전기제품에는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의 리모콘 장치(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콘센트 본체(2)에 구비된 연결소켓 갯수(예컨대, 6개)만큼의 소켓제어버튼들이 구비된 소켓제어버튼부(40)를 포함하되, 6개 각 버튼들의 외주면에는 멀티콘센트 본체(2)의 각 연결소켓들 C1∼C6에 도색된 칼라표시와 동일한 칼라표시 R(red), O(orange), Y(yellow), BL(blue), G(green), BK(black)가 도색된다. 상기 버튼들은 예컨대, 투광성 내지 반투광성 캡으로 구성하며, 그 하부의 리모콘 장치(4)케이스내에는 대응 발광램프 LD1∼LD6가 설치된다. 또한 리모콘 장치(4)의 키패드(도 3의 36)에는 콘센트모드와 텔레비젼모드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스위치(42)와, 멀티콘센트 본체(2)의 각 연결소켓들 C1∼C6의 상태 확인요청을 위한 램프버튼(44), 텔레비젼모드시의 채널 및 음량조정을 위한 조정버튼(46)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리모콘 장치(4)는 멀티콘센트 본체(2)의 연결소켓들의 전원공급통로를 원격제어하는 기능과 함께 텔레비젼 제어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제어부(30), 무선송수신부(32), 적외선 송출부(34), 키패드(36), 발광램프부(38)로 구성된다.
리모콘 제어부(30)는 리모콘장치(4)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무선송수신부(32)는 상용주파수대역에서 멀티콘센트 본체(2)와 RF 무선 송수신하는 블록이며, 적외선 송출부(34)는 텔레비젼 모드 선택시 텔레비젼으로 적외선신호를 송출한 다. 키패드(36)에는 도 4와 함께 설명한 소켓제어버튼부(40), 모드스위치(42), 램프버튼(44), 및 조정버튼(46)으로 구성하며, 사용자의 키입력에 누름에 따른 대응 키데이터를 리모콘 제어부(30)로 인가한다. 발광램프부(38)는 연결소켓 갯수만큼의 소켓제어버튼들의 하부에 설치된 삼색 발광램프 LD1∼LD6로 구성되며, 리모콘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점소등된다.
도 1의 멀티콘센트 본체(2)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콘센트 본체 전기회로부가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콘센트 본체 전기회로부는, 제어부(10), DC전원공급부(12), 무선송수신부(14), 메모리(16), CT(Current Transformer), 전류검출부(18), 다수의 작동램프들 LP1∼LP6을 구비하는 작동램프부(20), 및 스위칭부(24)로 구성한다.
스위칭부(24)는 다수의 연결소켓들 C1∼C6각각에 대응 연결된 다수의 릴레이 스위치 RL1∼RL6와 릴레이구동부 RD1∼RD6로 구성되며, 릴레이 구동부 RD1∼RD6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스위치 RL1∼RL6를 스위칭제어하여 연결소켓 C1∼C6으로의 상용전원 AC의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CT(Current Transformer)는 멀티콘센트 본체(2)내 공급전원선(22)을 감싸지게 결합되며, 공급전원선(22)으로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자장을 전류로 변환하여 전류검출부(18)로 출력하며, 전류검출부(18)는 변환된 전류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제어부(10)로 인가한다. 따라서 제어부(10)는 CT와 전류검출부(18)를 통해서 인가된 전압값에 의거하여 멀티콘센트 본체(2)의 연결소켓 C1∼C6에 삽입연결 되어 각종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부하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무선송수신부(14)는 상용주파수대역에서 외부의 리모콘장치(4)와 무선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록이며, DC전원공급부(12)는 상용전원 AC를 변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0) 및 기타 회로부에 공급한다. 작동램프부(20)의 다수의 작동램프들 LP1∼LP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콘센트 본체(2)의 연결소켓들 C1∼C6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된다.
도 2의 메모리(16)는 동작프로그램이 맵핑되어 있으며,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관련된 데이터 및 과부하 임계치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각종 데이터가 저장 및 독출된다.
제어부(10)는 무선송수신부(14)를 통해서 인가되는 리모콘장치(4)의 스위치원격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칭부(24)의 릴레이스위치들 RL1∼RL6을 스위칭 제어하고, 또한 전류검출부(18)로부터 인가되는 부하상태에 대응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과부하 임계치를 초과하게되면 미리 설정된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스위칭부(24)의 릴레이스위치들 RL1∼RL6을 스위칭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작동램프들 LP1∼LP6중 현재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스위치들에 대응되는 작동램프가 점등되게 제어하며, 리모콘장치(4)로부터의 전원스위치 상태 요청에 따라 현재의 전원스위치상태를 리모콘장치(4)로 전송한다.
도 2에서 미 설명된 참조부호 "P"는 플러그이다.
도 5는 도 2의 멀티콘센트 본체(2)의 제어부(10)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욱 상세히 설명하 면 하기와 같다.
사용자는 멀티콘센트 본체(2)의 칼라표시를 확인하여 중요한 전기제품은 우선순위가 높은 연결소켓 C1 또는 C2 등에 꽂아 넣고, 잘 사용하지 않거나 중요도가 떨어지는 전기제품은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연결소켓 C6 또는 C5에 꽂아 넣게된다.
평소 멀티콘센트 본체(2)의 모든 연결소켓 C1∼C6은 꽂혀진 해당 전기제품으로 상용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지만, 리모콘장치(4)로부터의 스위치 원격제어나 과부하 검출에 따라서는 개별적으로 전원제어된다.
평소 멀티콘센트 본체(2)의 제어부(10)는 스위칭부(24)의 각 릴레이 스위치 RL1∼RL6가 온되게 제어하고, 그와 동시에 작동램프부(20)의 모든 작동램프(20)를 녹색점등되게 제어한다. 그에 따라 연결소켓 C1∼C6에 꽂혀진 해당 전기제품으로 상용전원이 공급되며, 연결소켓 C1∼C6 각각에 위치한 작동램프(20)는 녹색점등된 상태이다.
하지만 리모콘장치(4)의 연결소켓 C1∼C6에 대응 소켓제어버튼부(40)의 각 버튼의 하부에 설치된 발광램프 LD1∼LD6은 초기에는 소등상태에 있으며, 사용자가 램프버튼(44)을 눌러서 스위치상태 요청을 한 후에는 멀티콘센트 본체(2)의 확인응답 결과에 따라 점소등되어진다.
즉 사용자가 램프버튼(44)을 눌러서 스위치상태 확인요청을 하게되면 리모콘제어부(30)는 무선송수신부(32)를 통해서 스위치상태 요청신호를 무선전송하고, 멀티콘센트 본체(2)의 무선송수신부(14)를 통해 스위치상태 요청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0)는 메모리(16)에 저장된 스위치상태를 읽어 스위치상태 확인응답신호를 리모 콘 장치(4)로 무선전송하게된다(도 5의 104단계 및 106단계). 그에 따라 리모콘 제어부(30)는 스위치상태 확인응답신호에 의거하여 발광램프부(38)의 발광램프 LD1∼LD6을 점소등제어한다. 그리고 리모콘장치(30)의 발광램프부(38)의 녹색점등 상태는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30초 정도)이 경과하면 소등되어지게 제어하여 리모콘 장치(4)의 배터리 소모를 줄여준다.
사용자는 소켓제어버튼부(40)의 각 버튼의 점소등 상태를 보고 멀티콘센트 본체(2)의 연결소켓 C1∼C6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본인이 원하는 연결소켓들에 대해서 개별 전원제어를 할 수 있다. 특히 소켓제어버튼부(40)의 각 버튼들에 칠해진 칼라색과 멀티콘센트 본체(2)의 각 연결소켓 C1∼C6의 상부면 외주에 칠해진 칼라색이 동일하므로 자신이 전원제어해야할 연결소켓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사용자가 리모콘장치(4)의 소켓제어버튼부(40)의 버튼들중 개별 전원제어하기를 원하는 버튼을 누르게되면 리모콘 장치(4)의 리모콘제어부(30)는 그에 대응하는 스위치원격제어신호를 무선송수신부(32)를 통해 무선송신하게 되고, 멀티콘센트 본체(2)의 제어부(10)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스위칭부(24)의 해당 릴레이스위치를 제어함과 동시에 작동램프부(20)의 대응 작동램프를 점소등시킨다(도 5의 100단계 및 102단계). 또한 릴레이스위치 제어한 결과상태를 리모콘 장치(4)로 무선전송하여 줌으로써 리모콘 제어부(30)가 새롭게 개별전원 제어된 연결소켓에 대응된 발광램프를 녹색 점소등 제어되게 한다. 이렇게 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눌러졌던 버튼에는 녹색발광 또는 소등 표시가 바로 나타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멀티콘센트 본체(2)의 연결소켓을 개별 전원제어할 수 있으며, 현재 연결소켓의 개별전원제어상태를 필요에 따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멀티콘센트 본체(2)의 제어부(10)는 전류검출부(18)를 통해서 멀티콘센트 본체(2)에 걸리는 전원 부하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며, 현재의 부하가 메모리(16)에 미리 설정된 과부하 임계치보다 큰가를 체크한다(도 5의 108단계 및 110). 미리 설정된 과부하 임계치는 정격부하의 80% 내지 130%까지의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다.
도 5의 110단계의 판단에서, 만약 현재의 부하가 미리 설정된 과부하 임계치보다 크게되면 제어부(10)는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낮은 우선순위 순서대로 스위칭부(24)의 릴레이스위치를 차례대로 오프시키면서 현재부하를 다시 체크한다(도 5의 112단계 및 114단계). 아울러 릴레이스위치 오프된 결과상태를 리모콘 장치(4)로 무선전송하여 줌으로써(도 5의 114단계), 리모콘 제어부(30)는 전원오프된 연결소켓에 대응된 발광램프(예컨대 LD6,LD5)가 소정 기간 적색점멸후 소등되게 제어한다.
멀티콘센트 본체(2)의 연결소켓들 C1∼C6중 우선순위가 낮은 연결소켓 예컨대, 연결소켓 C6,C5에는 사전에 사용자가 잘 사용하지 않거나 중요도가 떨어지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를 꽂아 놓았기때문에 전원공급이 중지되어도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는 멀티콘센트 본체의 과부하 발생시 과부하는 방지하면서도 우선적으로 공급되어야만 전기제품에는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해준다.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스위칭부(24)의 스위치를 오프(off)제어하고 최우선순위그룹에 해당하는 스위치들만이 온(on)제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과부하 상태가 지속되면, 멀티콘센트 본체(2)의 제어부(10)는 최우선순위그룹에 해당하는 스위치들을 즉시 오프하지 않고 먼저 수십초 내지 수십분정도의 지연타이머를 구동하고 리모콘제어부(30)로 스위치 오프예정통보신호를 무선전송한다. 그에 따라 리모콘 제어부(30)는 전원오프 예정인 최우선순위 그룹의 연결소켓에 대응된 발광램프(예컨대 LD2,LD1)를 황색점멸되게 제어한다.
사용자는 최우선순위 그룹의 연결소켓들에 대응된 각 버튼들의 발광램프가 황색점멸이 됨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다른 메인콘센트로 옮기는 나름대로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지연타이머의 구동이 만료가 되면 멀티콘센트(2)의 제어부(10)는 최우선순위그룹 스위치들중에도 우선순위가 낮은 스위치를 오프제어함과 동시에 릴레이스위치 오프된 결과상태를 리모콘 장치(4)로 무선전송하여 준다(도 5의 118단계 및 120단계). 그에 따라 리모콘 제어부(30)는 전원오프된 연결소켓에 대응되며 황색점멸하고 있는 발광램프(예컨대 LD2,LD1)를 소정 기간 적색점멸시킨후 소등되게 제어한다.
한편 리모콘장치(4)는 멀티콘센트 본체(2)의 연결소켓들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원격제어하는 기능 이외에도 텔레비젼의 리모콘으로도 사용가능하다.
즉 리모콘장치(4)의 키패드(36)상에는 모드스위치(42)가 구비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모드스위치(42)를 '콘센트'에서 'TV'로 전환을 하게되면 리모콘제어부(30)는 텔레비젼모드로 진입을 하게된다. 텔레비젼모드에서 사용자가 상하좌우의 조정버튼(46)을 누르게되면 텔레비젼의 채널 및 음량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텔레비젼모드에서 사용자가 상하좌우의 조정버튼(46)을 누르게되면 키패드(36)는 그에 대응된 키데이터를 리모콘제어부(30)으로 인가하고, 리모콘제어부(30)는 적외선송출부(34)를 통해서 대응된 적외선신호를 텔레비젼으로 송출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멀티콘센트 본체(2)와 리모콘장치(4)간의 근거리무선통신을 RF무선통신으로 언급을 하여지만, 블루투스방식이나 와이파이방식 등 기타 근거리무선통신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음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여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격으로 멀티콘센트 본체의 소켓을 개별전원제어할 수 있으며 멀티콘센트 본체의 과부하 발생시 과부하는 방지하면서 도 우선적으로 공급되어야만 전기제품에는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한다. 또한 개별제어된 멀티콘센트 연결소켓들의 전원상태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3)

  1. 삭제
  2. 멀티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호 무선 송수신하는 멀티콘센트 본체와 리모콘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멀티콘센트 본체는; 다수의 연결소켓들을 가지며 상기 연결소켓들 표면 각각에는 전원공급 우선순위 표시가 형성되고 대응 작동램프들이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는 전기회로부를 설치하되,
    상기 전기회로부는,
    상기 다수의 연결소켓들 각각에 대응되며 소정 스위치 제어에 의해서 상용전원의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스위치들과,
    멀티콘센트의 공급전원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부하상태를 출력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리모콘장치와 무선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콘장치의 스위치원격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치들을 스위치제어하고,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의 부하상태 출력이 미리 설정된 과부하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다수의 스위치들을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하며,
    상기 리모콘 장치는;
    다수의 버튼들을 가지는 리모콘 본체의 버튼들 표면 각각에는 전원공급 우선순위 표시를 하고 대응 버튼들의 하부에 발광램프들을 각각 설치 구성하며, 사용자의 소정 버튼 누름에 따라 상기 멀티콘센트 본체로 대응된 원격제어신호를 무선송출하고 상기 멀티콘센트 본체로부터의 스위치상태 무선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발광램프들을 선택적으로 점등제어하는 리모콘 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콘센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장치는
    키패드에 위치하며 콘센트모드와 텔레비젼모드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스위치와,
    상기 리모콘장치의 제어부에 제어하에 텔레비젼으로 적외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외선송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콘센트장치.
KR1020060024979A 2006-03-17 2006-03-17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KR10076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979A KR100760279B1 (ko) 2006-03-17 2006-03-17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979A KR100760279B1 (ko) 2006-03-17 2006-03-17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818U Division KR200408667Y1 (ko) 2005-11-30 2005-11-30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892A KR20070056892A (ko) 2007-06-04
KR100760279B1 true KR100760279B1 (ko) 2007-09-20

Family

ID=3835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979A KR100760279B1 (ko) 2006-03-17 2006-03-17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2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89B1 (ko) 2009-07-27 2010-06-21 임성규 플러그장치
WO2010123239A2 (ko) * 2009-04-20 2010-10-28 Baek Myung Soon 소음제거 및 절전기능을 갖는 전원연결장치
KR101124155B1 (ko) 2009-10-01 2012-03-22 정재덕 대기 전력 자동 차단 기능을 가지는 멀티탭
WO2016195327A1 (ko) * 2015-05-29 2016-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34515A (ko) 2015-09-21 2017-03-29 김학섭 대기 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멀티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211B1 (ko) * 2012-11-15 2014-08-01 김문일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CN105071152A (zh) * 2015-08-21 2015-11-18 湖州高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控制插线板
KR101957802B1 (ko) * 2017-11-22 2019-03-13 (주)제이디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121A (ko) * 1998-07-24 1998-10-26 이선범 멀티콘센트의 순차전원제어장치
KR20000012048A (ko) * 1998-07-24 2000-02-25 이선범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
KR200252574Y1 (ko) * 2001-06-20 2001-11-16 김재성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KR20040021132A (ko) *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에릭테크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자동차단 및 재투입을수행하는 누전경보 콘센트
KR20050028479A (ko) * 2003-09-18 2005-03-23 주식회사 필룩스 코드함이 설치된 콘센트의 전원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121A (ko) * 1998-07-24 1998-10-26 이선범 멀티콘센트의 순차전원제어장치
KR20000012048A (ko) * 1998-07-24 2000-02-25 이선범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
KR200252574Y1 (ko) * 2001-06-20 2001-11-16 김재성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KR20040021132A (ko) *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에릭테크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자동차단 및 재투입을수행하는 누전경보 콘센트
KR20050028479A (ko) * 2003-09-18 2005-03-23 주식회사 필룩스 코드함이 설치된 콘센트의 전원제어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239A2 (ko) * 2009-04-20 2010-10-28 Baek Myung Soon 소음제거 및 절전기능을 갖는 전원연결장치
WO2010123239A3 (ko) * 2009-04-20 2011-02-03 Baek Myung Soon 소음제거 및 절전기능을 갖는 전원연결장치
KR100964489B1 (ko) 2009-07-27 2010-06-21 임성규 플러그장치
KR101124155B1 (ko) 2009-10-01 2012-03-22 정재덕 대기 전력 자동 차단 기능을 가지는 멀티탭
WO2016195327A1 (ko) * 2015-05-29 2016-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710540A (zh) * 2015-05-29 2018-02-1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电力供应的方法和装置
US10491001B2 (en) 2015-05-29 2019-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KR20170034515A (ko) 2015-09-21 2017-03-29 김학섭 대기 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멀티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892A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2849B2 (ja) 電源制御可能なコンセント装置
KR200408666Y1 (ko) 전원제어 중계 콘센트장치
KR100760279B1 (ko)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CA2924498C (en) Easy-install home automation light switch
KR100436114B1 (ko) 자동제어가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EP3501240B1 (en) Lighting device for powering from a main power supply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KR200408667Y1 (ko)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KR101685062B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매입형 콘센트
KR100980626B1 (ko)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GB2438655A (en) A socket adapter for saving standby power
KR20090093569A (ko) 콘센트
WO2017131371A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콘센트
KR100909790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장치
KR100760280B1 (ko) 전원제어 중계 콘센트장치
KR101041432B1 (ko)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20080018426A1 (en) Remote controlled power switch system
KR200416937Y1 (ko) 무선 절전용 콘센트
KR20140129825A (ko)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멀티탭을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 되는 멀티탭
KR101123684B1 (ko) 대기전력/과부하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과부하 차단방법
KR20120035718A (ko) 대기전력콘센트 제어시스템
MX2008007009A (en) Power-controllable outlet receptacle
KR200268638Y1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KR100917357B1 (ko) 절전기
TW201505314A (zh) 遙控式電源管理裝置及其方法
KR20160127536A (ko) 지능형 멀티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