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626B1 -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 Google Patents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626B1
KR100980626B1 KR1020100048510A KR20100048510A KR100980626B1 KR 100980626 B1 KR100980626 B1 KR 100980626B1 KR 1020100048510 A KR1020100048510 A KR 1020100048510A KR 20100048510 A KR20100048510 A KR 20100048510A KR 100980626 B1 KR100980626 B1 KR 10098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lave
master
unit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일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일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일에너지
Priority to KR1020100048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626B1/ko
Priority to PCT/KR2010/003355 priority patent/WO201114912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6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one of the loads acting as master and the other or others acting as sl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탭 콘센트에서 전기기기가 착탈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변경하도록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멀티탭의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버튼부,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검출부, 차단기준값 저장부와 차단기준값 변경부와 카운터부 및 전력차단 판단부를 포함하는 콘센트제어부, 콘센트의 동작모드를 표시하는 상태알림부; 및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Adaptive Multi-Tab and method for Cutting Off the Over-Power and Standby-Power and Method for Cutting Off the Standby-Power}
본 발명은 과전력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멀티탭을 통해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소정값 이상으로 전력이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과전력 상태인 경우 과전력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전기기기의 고장이나 과전류에 의한 화재 발생 등을 방지하도록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소정값 이하가 되었을 경우, 전기기기가 대기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대기전력으로 낭비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멀티탭에 있어서 과전력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멀티탭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의 수 및 측정되는 과전력 또는 대기전력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다수의 가전제품이나 사무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의 (a)는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의 외관도로 이러한 종래의 멀티탭 콘센트는 여러개의 전기전자제품을 하나의 콘센트에 꽂아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반면에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항상 다수개의 전기전자제품의 전원코드가 꽂아져 있기 때문에 대기전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기전력은 실제로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콘센트에서 전원코드를 분리해 놓게 되면 전기사용량의 10%정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실제로 콘센트에서 사용하지 않은 전기전자제품을 분리해 놓고 사용시에만 전원코드를 꽂아 사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멀티탭 콘센트에 전기전자제품의 코드를 일일이 꽂고 분리하는 불편을 줄이기 위해 다수개의 멀티탭이 구비된 콘센트에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차단스위치가 멀티탭 콘센트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 스위치의 조작으로 전기전자제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 실제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그 이용률이 매우 저조하여 종래의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기는 마찬가지였다.
즉, 종래의 멀티탭 콘센트 본체에 대기전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전원차단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전기전자제품의 전원코드가 연결된 멀티탭 콘센트 본체는 통상 사용되는 전기전자제품의 후방에 위치하거나 미관상 외부에서 보이지 않은 곳에 놓고 사용되기 때문에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할 때마다 각 제품의 파워스위치의 온/오프와 멀티탭 콘센트의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키는 이중조작을 하는 것이 불편하여 사용자는 단지 각 제품에 구비된 파워스위치만 온/오프시켜 사용하는 추세였으며, 비록 각 제품의 파워스위치를 오프 시켰을지라도 각 제품에는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종래의 멀티탭 콘센트로는 전기전자제품에 공급되는 대기전력의 손실을 초래하게 되어 사용자는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최소한의 전기료를 지불해야 하는 비용손실이 불가피하였다.
특히, 멀티탭 콘센트 본체에 꽂아진 전기전자제품의 파워스위치가 오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멀티탭 콘센트에는 전원이 계속 공급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낙뢰나 기타 전기장애 발생시 고가의 전기전자제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멀티탭 콘센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멀티탭 콘센트에 여러 가지 센서가 구비되도록 하여 센서의 동작에 따라 콘센트에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거나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대기전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다수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제품들의 경우는 제품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품단가가 상승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그 실용화가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방안들이 제안되었다.
도 1의 (b)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20-0264054호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콘센트의 구성도이다.
도 1(b)의 따른 절전형 멀티탭콘센트는 멀티탭콘센트본체(5)의 일단에는 전원입력단(15)에 연결되어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변환부(50)와, 변환된 직류전원을 회로구동전압으로 변환하는 정전압회로부 (60)와, 변환된 직류전원에서 리플성분을 제거하여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평활회로부(70)와, 입력된 교류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릴레이(R)가 구비된 교류전원차단부(80)로 구성된 절전 및 대기전력차단부(40); 상기 릴레이(R)에 연결된 전원제어용코드(20)의 말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릴레이(R)를 온/오프시켜 멀티탭콘센트본체(5)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절전스위치(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절전 및 대기전력차단부(40)에는 다구의 콘센트중 컴퓨터본체가 연결되는 어느하나의 메인콘센트(10)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부(65)와, 컴퓨터본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레벨 값을 비교판단하는 비교판단회로부(75)가 구비되고, 상기 교류전원차단부(80)는 비교판단회로부(75)의 판단에 따라 메인콘센트(10)는 물론 주변기기콘센트(11)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의 (a)는 한국공개특허2008-01031934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의 구성도이다.
한국공개특허2008-01031934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은 콘센트(11)와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를 통해 가정기기로 유입되는 대기전력을 감지하여 대기전력값을 생성하는 대기전력 감지부(6)와; 상기 콘센트(11)에 플러그가 꼽혀 있는 가전제품들의 작동 시 이들 전류값을 감지한 후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전류감지부(3)와; 스위치의 ON 작동에 의해 전원부로부터 전원공급 받으며, 대기전력 감지부(6)로부터 생성된 대기전력값과 상기 전류감지부(3)로부터 생성된 전류값을 비교하여 대기전력값이 전류값보다 클 경우 전원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콤(5)과; 상기 전원 차단 신호에 의해 상기 콘센트(11)로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릴레이(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부하기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대기(Standby)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단락시켜 대기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도 2의 (b)는 한국등록특허10-0932637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의 구성도이다.
한국등록특허10-0932637호에 따른 대기전력 찬단 멀티탭은 멀티탭에 형성된 복수의 콘센트와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를 통해 가전기기의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의 탈착 상태를 감지하여 접점의 상태에 따른 접점 탈착 신호를 생성하는 접점 연결 감지부; 멀티탭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접점 연결 감지부에서 생성된 접점 탈착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 및 마이콤의 전원 차단 신호에 기초하여 가전기기의 플러그로 전송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계전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 상태를 전력값의 비교에 의해 판단하지 않고, 가전기기의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의 탈착 상태를 확인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전력과 대기전력을 갖는 다양한 가전기기 대기전원 및 전류값 측정이 어려운 미세전류까지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예시한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부가된 멀티탭 콘센트는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가 가변 되어도 이에 따라 소비하는 대기전력이 가변 됨에도 불구하고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이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수에 따라 가변 되지 않게 되는 것으로, 통상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는 그 소비하는 대기전력이 다르므로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가 변경됨에 따라 대기전력 가변 되어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이 적응적으로 가변 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대기전력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에서 전기기기가 제거되는 경우 대기전력을 비정상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소모 전력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9에서 전기기기 A의 대기전력을 v, 최대 사용전력을 w, 최대 소비전력을 S라 하며, 전기기기 B의 대기전력을 x, 최대 사용전력을 y, 최대 소비전력을 T라 하자.
상기에서 S와 T는 S=v+w, T=x+y의 관계가 있다.
t1구간에서 전기기기 A와 B가 정상 가동중이라고 하면 이때 소비되는 전력은 S+T근처에서 변동한다.
한편 전기기기 A와 B가 동시에 가동중이므로 A와 B가 동시에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은 v+x가 된다.
t1구간의 종점에서 전기기기 B가 대기전력 모드로 진입하여 t2구간에서 전기기기 A는 ON되고 B는 대기전력 모드 상태가 된다.
따라서 t2구간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S+x가 된다.
이때 전기기기 A는 항상 일정한 전력을 소비하는 것은 아니며 작동 상태에 따라 최대 소비전력과 최소 소비전력 사이에서 동작하게 되는데, 이는 t3구간에 의해 설명된다.
한편 t3구간에서 전기기기 B는 콘센트에서 제거되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t3구간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S값의 근처에서 유동하게 되는 S가 최소의 전력을 사용하는 구간 즉, F구간에서는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으로 설정된 v+x보다 적을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콘센트는 고정된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콘센트는 현재 측정된 소비전력이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보다 낮으므로 전기기기 A가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강제로 차단한다.
이는 전기기기 A에게는 전기 쇼크로 작용하는 것으로 전기기기의 주요 손상원인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이 고정되는 경우에 정상 가동 중인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특정 시점에서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보다 낮아져서 돌발적으로 전력이 차단되어 전기기기에 전기 쇼크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기기기가 연결될 때마다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변경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예시한 종래 기술에서는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직접 설정하거나, 전기기기가 연결될 때마다 연결된 전기기기를 모두 강제로 대기전력 모드로 변경한 다음 대기전력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대기전력값을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에서 전기기기가 추가로 연결되는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지 못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소모 전력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콘센트에서 전기기기가 추가로 연결되는 경우에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이 낮은 값으로 고정되어 있어 대기전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특정시점에서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는 A라고 가정한다.
먼저 t1구간에서 전기기기 A만이 콘센트에 연결되어 가동중에 있다고 하면 소비 전력은 S구간에서 유동되며, 전기기기 A만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대기전력 차단값은 v이다.
따라서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은 전기기기 A의 대기전력값인 v로 설정된다.
이후 t1구간의 종단에서 전기기기 B가 연결되어 대기전력 모드에 있다고 하면, t2구간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S+x가 된다.
한편 t2구간의 종단에서 전기기기 B가 가동된다고 하면, 이후 t3구간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S+T가 된다.
이후 t3 종단에서 전기기기 A와 B가 동시에 대기전력 모드로 진입한다고 하면, t4구간에서 전기기기 A와 B는 모두 대기전력 모드에 있게 되며 이때 소비되는 전력은 전기기기 A의 대기전력 v와 전기기기 B의 대기전력 x의 합인 v+x가 된다.
한편 전기기기가 연결될 때마다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이 변경되지 않는 이상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은 초기에 설정된 v가 되는데, t4구간에서 대기전력 모드에 있는 전기기기는 A와 B이며 이때 소비되는 대기전력은 v+x이므로 이전에 설정된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 v보다 크므로 콘센트는 연결된 전기기기가 대기전력 모드가 아닌 정상 가동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콘센트에 전기기기가 추가로 연결된다고 하면 추가로 연결된 전기기기에 의해 대기전력값이 증가하여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보다 높게 되므로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콘센트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기기기가 추가되는 경우 전기기기가 정상 가동중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적으로 전력을 차단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1은 상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기기가 추가되는 경우 과전력 차단 기준값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비정상적으로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소모 전력에 관한 그래프이다.
전기기기에 과도하게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 통상 콘센트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설정하여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과전력 차단 기준값보다 높게 공급되는 경우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1에서 t1구간에서 콘센트에 전기기기 A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과전력 차단 기준값은 전기기기 A의 최대 소비전력을 참고하여 최대 소비전력보다 일정값 이상인 C로 설정된다. 여기에서 C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이다.
이후 t2구간에서 전기기기 B가 연결되어 대기모드로 있게 되면 소비전력은 S+x가 되며, 이는 C보다 작은 값이므로 전기기기 A, B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t2구간의 종단에서 전기기기 B가 가동되면, 과도구간의 중간에서 전기기기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과전력 차단 기준값 C보다 크게 되며,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은 과전력이라 판단하여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한편 콘센트에는 부하에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이 있는데 도 10의 D의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만일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값이 D이하인 경우, 과전력 상태가 아니므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여도 과전력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과전력 차단 기준값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부하에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전기기기가 추가된 경우 소비전력이 과전력 차단 기준값이 높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비정상적으로 차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미리 높게 설정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로 하나의 전기기기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과전력을 원활하게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1에서 과전력 차단 기준값은 미리 D로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
이때 전기기기 A만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기기기 A에 공급되는 전력이 C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차단하여만 전기기기 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고장 등의 원인으로 인해 전기기기 A에 공급되는 전력이 C 이상 D미만으로 공급되는 상황이 되어도 과전류 차단 기준값인 D보다 작으므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력을 차단하지 않는다.
그러나 전기기기 A는 이상 허용가능한 최대 전력 C보다 큰 전력이 공급되므로 전기기기 A는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10-0932637호에서와 같이 콘센트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전원을 연결하는 점점의 탈착 상태를 확인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것은 가전기기가 콘센트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만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때문에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실익이 없으며 이탈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기전력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실지적인 대기전력 차단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현재 정상 사용중인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전력까지 차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종래 기술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콘센트는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미리 설정된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에 부합되는지 판단하여 부합되는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게 되는데,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고정된다.
한편 콘센트에는 다양한 전기기기들이 수시로 착탈되며,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기기의 수가 가변되면 이에 따라 소비되는 대기전력도 가변되게 된다.
그러므로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수에 따라 가변되는 대기전력에 대응하여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기기의 수에 따라 능동적으로 가변 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까지 제안된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는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이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기기의 수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경되지 않아 대기전력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멀티탭 콘센트에서 전기기기가 착탈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변경하도록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멀티탭 콘센트에서 전기기기가 착탈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변경하도록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을 공급받는 마스터 전원입력부와 상기 마스터 전원입력부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출력하는 마스터 전원출력부 및 대기전력과 과전력을 차단하는 마스터 전원 차단부를 구비한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은,
상기 마스터 전원입력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슬레이브 멀티탭 또는 전기기기에 공급하는 마스터 멀티탭;
상기 마스터 멀티탭의 상태를 설정하는 마스터 모드버튼부;
상기 마스터 멀티탭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마스터 전력검출부;
상기 마스터 멀티탭에 연결된 슬레이브 멀티탭의 아이디를 검출하는 슬레이브 아이디 검출부;
상기 마스터 멀티탭의 콘센트에 전기기기가 착탈되는지 검출하는 마스터 플러그 착탈감지부;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는 마스터 차단기준값 저장부, 상기 마스터 플러그 착탈감지부의 전기기기 착탈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된 후 상기 마스터 전력검출부에서 측정된 대기전력값을 입력받아 새로운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 또는 과전력 차단기준값을 설정하여 상기 마스터 차단기준값 저장부에 저장하는 마스터 차단기준값 변경부와 상기 마스터 차단기준값 저장부로부터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입력받아 상기 마스터 전력검출부로부터 측정된 전력을 입력받아 비교하여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여 상기 마스터 전원차단부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터 전력차단 판단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콘센트제어부;
상기 마스터 멀티탭의 내부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을 상기 마스터 전원입력부로 입력된 전력으로부터 변환하는 마스터 전원변환부;
상기 마스터 멀티탭의 모드를 표시하는 마스터 상태알림부(344); 및
외부 제어기기와 RS-232, RS-485, IrDA, TTL, USB, ZigBee, RF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마스터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은,
상기 마스터 멀티탭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입력받는 슬레이브 전원입력부;
상기 슬레이브 전원입력부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출력하는 슬레이브 전원출력부;
대기전력과 과전력을 차단하는 슬레이브 전원차단부;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상태를 설정하는 슬레이브 모드버튼부;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을 통해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슬레이브 전력검출부;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콘센트에 전기기기가 착탈되는지 검출하는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저장부, 상기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로부터 전기기기 착탈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된 후 상기 슬레이브 전력검출부에서 측정된 대기전력값을 입력받아 새로운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 또는 과전력 차단기준값을 설정하여 상기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저장부에 저장하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변경부와 상기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저장부로부터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입력받아 상기 슬레이브 전력검출부로부터 측정된 전력을 입력받아 비교하여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여 상기 슬레이브 전원차단부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슬레이브 전력차단 판단부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콘센트 제어부;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내부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을 상기 슬레이브 전원입력부로 입력된 전력으로부터 변환하는 슬레이브 전원변환부;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모드를 표시하는 슬레이브 상태알림부(344); 및
외부 제어기기와 RS-232, RS-485, IrDA, TTL, USB, ZigBee, RF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슬레이브 외부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멀태탭에는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스터 상태알림부는 상기 마스터 멀티탭의 콘센트에 각각 더 구비되며,
상기 슬레이브 아이디검출부는 상기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슬레이브 멀티탭의 아이디를 검출하여 상기 마스터 상태알림부에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아이디의 검출여부를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콘센트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카운터값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구동되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카운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변경부는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에서 검출된 착탈감지 신호가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카운터부를 구동하여 카운터값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에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변경부에 의해 새로 설정된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차단 기준값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콘센트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카운터값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구동되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카운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변경부는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에서 검출된 착탈감지 신호가 상기 카운터부를 구동하여 카운터값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에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변경부에 의해 새로 설정된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차단 기준값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외부제어기기는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대기 전력이 특정 시간, 날짜, 또는 일정한 주기로 차단하도록 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대기전력 차단설정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은 전기기기가 연결되는 콘센트에서 전기기기가 착탈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전기기기가 착탈될 때마다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값을 설정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재설정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오동작 즉, 대기전력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사용중인 전기기기에 전기적 쇼크가 발생되거나 또는 대기전력 상태임에도 대기전력을 차단한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과전력 차단 설정값이 재설정되지 않음으로 인해 과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과전력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a)는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의 외관도이다.
도 1의 (b)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20-0264054호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콘센트의 구성도이다.
도 2의 (a)는 한국공개특허2008-01031934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의 구성도이다.
도 2의 (b)는 한국등록특허10-0932637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에 있어서마스터 멀티탭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에 있어서슬레이브 멀티탭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에 있어서 마스터 멀티탭의 슬레이브 아디디검출부 및 슬레이브 멀티탭의 슬레이브 아이디검출부와 마스터 멀티탭과 슬레이브 멀티탭의 플러그 착탈 감지부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에 있어서 플러그 착탈감지부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에 있어서 외부제어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에 전기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소모 전력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에서 전기기기가 제거되는 경우 대기전력을 비정상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소모 전력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에서 전기기기가 추가로 연결되는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지 못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소모 전력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에서 전기기기가 추가되는 경우 과전력을 비정상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소모 전력에 관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에 있어서마스터 멀티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에서 마스터 멀티탭은 마스터 전원입력부(321), 마스터 전원 차단부(322) 및 마스터 전원출력부(323)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마스터 전원입력부(321)를 통해 상용전력이 입력되고, 마스터 전원출력부(323)를 통해 연결된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마스터 전원 차단부(322)는 마스터 콘센트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에서 마스터 멀티탭은 내부의 전자기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마스터 전원입력부(321)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이를 위해 마스터 전원변환부(333)가 구비되어 있으며, 마스터 전원변환부(333)는 상용 110V 내지는 220V의 교류를 직류 12V, 5V 또는 3.3V로 변환한다.
상기 마스터 전원변환부(333)는 일 예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일 수 있으며, 상기 SMPS에 대하여는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에서 마스터 멀티탭에는 마스터 대지접지부(332)가 더 구비되어 있다.
통상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 전기기기들이 사용되는 환경의 건축물에는 접지를 사용하여 낙뢰나 정전기, 주변의 급작스런 전기적 변화에 대하여 전기기기들을 보호하기 위한 설계가 되어 있으나,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접지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전기기기의 파손이나 감전의 위험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마스터 대지접지부(332)가 더 구비되어 전원선의 접지단자와 연결되어 낙뢰나 낙뢰나 정전기, 주변의 급작스런 전기적 변화에 의한 돌발 전류 등을 접지를 통해 외부로 방출한다.
마스터 전력검출부(331)는 마스터 전원입력부(321)를 통해 입력되어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한다.
상기 마스터 전력검출부(331)는 마스터 전원입력부(321)와 마스터 전원출력부(323)의 사이에서 CT센서 또는 홀센서를 한 개의 P선 또는 N선에 연결하여 전류를 측정하여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한다.
상기 마스터 전력검출부(331)에서 대기전력, 소비전력 또는 과전력을 콘센트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측정하는 동작은 도 8의 설명에서 자세히 하도록 한다.
마스터 콘센트제어부(310)는 마스터 차단기준값 변경부(311), 마스터 차단기준값 저장부(312), 마스터 전력차단 판단부(314), 마스터 카운터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스터 차단기준값 변경부(311)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마스터 플러그 착탈감지부(342)에서 연결된 전기기의 수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어, 먼저 상기 마스터 전력검출부(331)에 현재 소비되고 있는 대기전력을 측정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마스터 전력검출부(331)로부터 측정된 대기전력값을 입력받아 새로운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으로 설정하여 마스터 차단기준값 저장부(312)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마스터 차단기준값 변경부(311)는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으로부터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마스터 차단기준값 변경부(311)에 의해 설정된 과전력 차단 기준값 역시 마스터 차단기준값 저장부(312)에 저장된다.
마스터 차단기준값 저장부(312)는 마스터 차단기준값 변경부(311)에 의해 설정된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마스터 전력차단 판단부(314)에 저장된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출력하여 마스터 전력차단 판단부(314)에서 상기 마스터 전력검출부(331)에서 측정된 전력이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마스터 카운터부(313)는 마스터 플러그 착탈감지부(342)에서 연결된 전기기의 수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카운터값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구동된다.
한편 상기 마스터 차단기준값 변경부(311)는 상기 마스터 카운터부(313)가 구동되는 동안 마스터 플러그 착탈감지부(342)에서 검출된 연결된 전기기기의 수의 변동이 바뀌었는지를 확인하여 바뀌지 않은 경우에만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전기기기가 멀티탭에 짧은 시간 내에 착탈이 반복되는 경우에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자주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마스터 상태알림부(353)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의 마스터 멀티탭의 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녹색, 청색 및 적색의 램프와 부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램프는 콘센트의 현재 동작 모드에 따라 단독 또는 결합되어 점등, 소등 또는 일정간격으로 점멸될 수 있다.
일 예로 콘센트에 전기기기가 최초로 연결되거나 모두 뽑힌 후 다시 연결되는 처음의 시점이나 기존에 설정된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초기화하고 재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전에 저장된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현재 연결되는 전기기기의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값을 측정하여 초기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설정하여야 하는데, 이를 시스템 초기화 모드 또는 대기전력 측정 모드라 하며 이와 경우에 마스터 전력검출부(331)에서 대기전력을 최초로 측정하는 동안에는 녹색 --> 청색 --> 적색 램프의 순서로 점멸되며, 대기전력 측정이 완료되면 녹색 램프가 지속적으로 점등되도록 한다. 이때 부저는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음을 발생시켜 대기전력 측정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예로 하기에서 설명하는 마스터 모드버튼부(352)가 가압될 때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의 마스터 멀티탭의 동작모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 멀티탭이 대기전력 차단 대기모드로 동작할 때는 녹색램프가 일정시간 동안 점멸되며, 대기전력 차단 모드일 때는 녹색 램프가 지속적으로 점등되고, 소비전력 공급모드일 때는 청색램프가 점등되며, 시스템 초기화 모드일 때는 적색램프가 일정시간 동안 점등된 후 소등된다.
또한 과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알리는 경우 즉, 과전력 차단 모드가 시작되는 경우에는 적색 램프가 일정시간 동안 점멸되면서 부저가 울릴 수 있다. 이후 과전력 차단 모드로 진입하여 과전력을 차단하였음을 알리고 난 후에는 적색 램프가 지속적으로 점등된다.
한편 상기에서 대기전력 차단 모드 이후 전기기기의 가동 등의 조건에 따라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대기전력 이상으로 마스터 전력검출부(331)에서 측정되거나, 마스터 모드버튼부(352)가 가압되거나 또는 외부제어기기의 제어명령에 의해 대기전력 차단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대기전력 차단 모드에서 소비전력 공급모드로 천이되며 이때에는 청색 램프가 지속적으로 점등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콘센트의 상태 변화에 따라 녹색, 청색, 적색의 램프가 점등되거나 소등 또는 점멸되는 동작을 주로 설명하였으나 부저의 경우에도 상태 변화에 따른 음의 패턴을 미리 정하여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콘센트의 상태 변화를 가시적인 방법과 가청적인 방법으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에서 부저의 음의 패턴은 본 발명에서는 명시적인 예로 제시하지 않았으나 이는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마스터 모드버튼부(35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에서 마스터 멀티탭의 상태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콘센트가 대기전력 차단 대기모드, 대기전력 차단 모드, 소비전력 공급모드 또는 시스템 초기화 모드 또는 대기전력 측정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마스터 모드버튼부(352)는 일 예로, 토글링 방식으로 작동하는 스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 모드버튼부(352)가 가압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순서로 상기 마스터 멀티탭의 모드가 변경된다.
일 예로 상기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초기에 대기전력 측정 모드에서 한번 가압되면 대기전력 차단 대기모드로 천이되며, 이후 다시 가압되면 소비전력 공급모드로 천이하며, 이후 다시 한번 가압되면 시스템 초기화 모드 또는 대기전력 측정 모드로 천이된다.
상기에서 시스템 초기화 모드는 특정한 상황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스템 초기화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마스터 모드버튼부(352)를 단순히 한번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는 모드 변경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 동안 예를 들어, 1초 내지 2초 지속적으로 가압되는 경우에만 시스템 초기화 모드로 천이하도록 할 수 있다.
마스터 외부인터페이스부(351)는 외부제어기기(도7 참조)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으로, 상기 마스터 외부인터페이스부(351)는 무선으로 동작하는 외부 제어기기를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와 유선으로 동작으로 외부 제어기기를 위한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는 일 예로, ZigBee프로토콜이나 RF무선(400MHz 또는 800MHz)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시스템으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는 RS-232, RS-485, RS-422, USB, TTL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시스템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유선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설계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것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의 외부제어기기(700)의 외관도로 마스터 멀티탭 또는 슬레이브 멀티탭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마스터 멀티탭 또는 슬레이브 멀티탭의 외부인터페이스부와 유선 또는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외부제어기기(700)에는 마스터 멀티탭 또는 슬레이브 멀티탭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들 즉,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상태알림부(720),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버튼부(730),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외부인터페이스부(740),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대기전력 차단설정부(750) 및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적외선 송수신부(710)가 포함되어 상기 외부제어기기(700)의 외부인터페이스부(740)와 마스터 멀티탭의 외부인터페이스부가 연결되면 마스터 멀티탭의 외부제어기기로 동작하며, 슬레이브 멀티탭의 외부인터페이스부가 연결되면 슬레이브 멀티탭의 외부제어기기로 동작한다.
상기 외부제어기기(700)에 구비된 구성들은 마스터 멀티탭 또는 슬레이브 멀티탭에 구비된 유사한 명칭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으로 마스터 멀티탭 또는 슬레이브 멀티탭의 구성요소 설명을 참고로 하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외부제어기기(700)에는 마스터 멀티탭과 슬레이브 멀티탭에 연결되는 경우에 마스터 멀티탭에 연결되는지 또는 슬레이브 멀티탭에 연결되는지 다른 한편으로 복수의 슬레이부가 존재하는 경우 어떤 슬레이브 멀티탭과 연결되는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연결설정부(7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설정부(760)는 소정 개수의 코드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과 통신 연결을 설정한 다음 정해진 코드를 연결 대상에 저장시킴으로써 다른 기기와의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마스터 멀티탭과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코드를 0000으로 설정한 다음 마스터 멀티탭에 송신하고 마스터 멀티탭으로부터 연결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후 0000으로 코드를 확정하면 마스터 멀티탭의 외부제어기기로 동작하며 슬레이브 멀티탭과 통신이 되지 않으므로 슬레이브 멀티탭의 외부제어기기로는 동작되지 않는다.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적외선 송수신부(710)는 대기전력 차단 모드, 과전력 차단 모드에서 TV 또는 일반 적외선 송신장치(리모컨)의 신호를 받아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모드를 해제 하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받은 신호를 콘센트, TV 또는 전기기기에 재송출한다.
구체적으로 TV 리모컨으로 전원 버튼을 눌렀을 때 TV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먼저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모드를 해제하고 TV 리모컨의 전원 버튼을 눌러 TV를 Turn On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제어기기(700, 예: 리모컨)은 TV 리모컨의 TV 전원 Turn On 신호를 받아 일정시간 후에 받은 신호를 재송출하도록 함으로써 TV 리모컨의 전원 Turn On 버튼을 누르거나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모드를 별도로 해지한 다음 TV 리모컨의 전원 Turn On 버튼을 추가로 누르지 않아도 TV 리모컨의 전원 Turn On 버튼을 한번만 눌러도 본 발명의 리모컨의 적외선 송수신부를 통해 재송출함으로 TV 리모컨의 전원 Turn On 버튼을 두 번 누르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가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에서 슬레이브 멀티탭의 구성도이다.
도 4의 슬레이브 멀티탭의 구성 및 각 구성의 동작은 마스터 멀티탭과 동일하며 다만 슬레이브 전원입력부(421)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마스터 멀티탭의 마스터 전원출력부(323)를 통해 공급되는 것과 마스터 멀티탭에 포함되어 있는 슬레이브 아이디검출부(341)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441)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슬레이브 멀티탭에는 슬레이브 전원입력부(421), 슬레이브 전원차단부(422), 슬레이브 전원출력부(423)가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슬레이브 전력검출부(431), 슬레이브 대지접지부(432), 슬레이브 전원변환부(433), 슬레이브 상태알림부(453), 슬레이브 모드버튼부(425), 슬레이브 외부인터페이스부(451),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442),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441) 및 슬레이브 콘센트제어부(4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슬레이브 콘센드제어부(410)에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변경부(411),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저장부(412), 슬레이브 카운터부(413) 및 슬레이브 전력차단 판단부(414)가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의 마스터 멀티탭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마스터 멀티탭과 중복되지 않는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441)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441)는 슬레이브 멀티탭이 마스터 멀티탭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경우에 슬레이브 상태알림부(453)를 확인하지 않고 마스터 멀티탭만 살펴보아도 슬레이브 멀티탭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스터 멀티탭에 연결되는 슬레이브 멀티탭에 각각 아이디를 설정하여 슬레이브 상태알림부(453)와 마스터 콘센트제어부(410)와 통신하여 슬레이브 멀티탭의 상태를 마스터 멀티탭에서 감지하여 이를 마스터 멀티탭의 각 콘센트의 상태 알림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스터 멀티탭에 슬레이브 멀티탭이 복수로 연결되는 경우에 각 슬레이브 멀티탭에 연결되는 전기기기의 수를 각각 구분하여 마스터 멀티탭이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슬레이브 멀티탭의 모드가 마스터 멀티탭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슬레이브 멀티탭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에 있어서 마스터 멀티탭의 슬레이브 아디디검출부(510) 및 슬레이브 멀티탭의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521, 531, 541, 551)와 마스터 멀티탭과 슬레이브 멀티탭의 플러그 착탈감지부의 일 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5의 회로도는 마스터 멀티탭의 측면에서 슬레이브 아이디검출부와 플러그 착탈감지부의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즉, 마스터 멀티탭의 콘센트에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경우에 스위치 S1 내지 S4가 연결되어 있는 접점 A0 내지 D0에서 스위치 S1 내지 S4의 ON/OFF에 따라 이를 Block_ID_0 내지 Block_ID_3에 연결된 저항 R1 내지 R4에서 전압을 검출하여 전압이 검출되는 저항은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저항은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전압이 검출되는 저항의 수를 계산하여 전기기기 플러그의 착탈을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저항 R1 내지 R4는 동일한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마스터 멀티탭의 슬레이브 아이디검출부(510)가 마스터 플러그 착탈감지부의 기능을 동시에 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마스터 멀티탭의 슬레이브 아이디검출부(510)는 상기 콘센트에 연결되는 슬레이브 멀티탭의 아이디를 검출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521, 531, 541, 551)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슬레이브 아이디 설정부(521, 531, 541, 551)는 회전형 스위치(522, 532, 542, 552)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형 스위치(522, 532, 542, 552)가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될 때마다 저항값이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하여 저항값의 단계적인 변화가 슬레이브의 아이디값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형 스위치(522, 532, 542, 552)를 사용하여 저항값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경우 슬레이브 멀티탭이 마스터 멀티탭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경우 각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형 스위치(522, 532, 542, 552)가 가압되어 회로가 연결되면 R1 내지 R4는 스위치 S1 내지 S4가 가압되면 도통되어 저항과 직렬로 연결되어 R1 내지 R4에서 검출되는 전압은 회전형 스위치(522, 532, 542, 552)에 설정된 저항값에 따라 단계적으로 측정된다.
한편 마스터 멀티탭에는 슬레이브 아이디검출부(510)에서 검출되는 전압값에 아이디를 부여하여 저장하도록 하면, 상기 R1 내지 R4에서 측정되는 전압값으로부터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슬레이브 아이디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5는 마스터 멀티탭의 슬레이브 아이디검출부(510)가 플러그 착탈감지부의 기능을 겸하도록 하였으나 이를 분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회로도에서 마스터 멀티탭은 슬레이브 아이디 검출부(510)의 기능만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슬레이브 멀티탭의 슬레이브 아이디 설정부(521, 531, 541, 551)는 회전형 스위치(522, 532, 542, 552)이나 저항이 가변되는 구조는 아니며 다만 회전형 스위치(522, 532, 542, 552)가 회전됨에 따라 접점 A0 내지 D0와 연결되는 접점이 변경되는 구조이다. 이때 회전각은 마스터 멀티탭에서 검출가능한 슬레이브 멀티탭의 개수와 동일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멀티탭에서 검출 가능한 슬레이브 멀티탭의 개수가 4개라고 저항 R1 내지 R4에 아이디가 각각 1에서부터 4까지 할당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회전형 스위치(522, 532, 542, 552)는 90도 회전될 때마다 다른 아이디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Socket Block_1에서 슬레이브 멀티탭의 회전형 스위치(522, 532, 542, 552)가 180도 회전되어 있다고 하면, 회전형 스위치는 Block_ID_0 내지 Block_ID_3에서 Block_ID_1라인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회전형 스위치(522)이 가압되면 실제로 전압이 측정되는 저항 R2이므로 Socket Blcok_1에 연결되는 슬레이브의 아이디는 2번이 부여되고, 만일 회전형 스위치(522, 532, 542, 552)가 270도 회전되어 있다고 하면 연결되는 접점은 C0가 되고 전압이 측정되는 저항은 R3이므로 할당되는 아이디는 3이 된다.
이 경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342, 442)는 별도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에 있어서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610)의 회로도의 일 예이다.
도 6의 회로의 동작은 도 5의 회로와 동일한 것으로 플러그 착탈감지스위치(620, 630, 640, 650)에 포함되어 있는 스위치 S1’ 내지 S4’는 콘센트에 구비되어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경우에 가압되어 ON된다.
스위치 S1’이 가압되어 도통되면 플러그 착탈감지부(610)에 포함되어 있는 저항 R1에서 전압이 측정되어 스위치 S1’이 구비되어 있는 콘센트에 전기기기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610)는 연결된 전기기기를 구분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연결된 전기기기의 수만 고려의 대상이므로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521, 531, 541, 551)에 포함되어 있는 회전형 스위치는 제거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의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기기의 수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것에 관하여 도 8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마스터 멀티탭 및 슬레이브 멀티탭에서 연결되는 전기기기의 수에 따라 대기전력 내지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때, 공통된 기능을 가지는 장치에 대해서는 마스터 내지는 슬레이브를 생략하고 구분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에 전기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소모 전력에 관한 그래프로, 최대 2개의 전기기기 A와 B가 멀티탭에 연결되며 초기에는 전기기기가 멀티탭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가정한다.
먼저, t0구간에서는 전기기기 A와 전기기기 B가 멀티탭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력검출부에서는 소비되고 있는 전력이 검출되지 않는다.
이후 t1의 시작점에서 대기전력이 v이며 최대 사용전력이 w인 전기기기 A가 연결되었으며 대기모드에 있다고 한다.
이때 대기전력과 최대 사용전력의 합을 최대 소비전력이라 하며 이를 S라고 하면 S = v+w임을 알 수 있다.
전기기기 A가 연결되면 플러그 착탈감지부(342, 442)에 멀티탭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수가 변경되었음을 감지하여 이를 차단기준값 변경부(311, 411) 및 카운터부(313, 413)에 출력하고 차단기준값 변경부(311, 411)는 이에 따라 전력검출부(331, 431)를 구동하여 대기전력을 측정하도록 하며 대기전력측정 모드임을 상태알림부(353, 453)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상태알림부(353, 453)의 자세한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생략한다.
상기에서 전력검출부(331, 431)에 의해 측정된 대기전력 측정값은 카운터부(313, 413)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 상기 플러그 착탈감지부(342, 442)에 검출되는 전기기기의 수가 변경되지 않으면 차단기준값 저장부(312, 412)에 전달되어 저장된다.
만일 카운터부(313, 413)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 상기 플러그 착탈감지부(342, 442)에 검출되는 전기기기의 수가 변경되면 측정된 대기전력값은 무시되고, 플러그 착탈감지부(342, 442)에서 연결된 전기기기의 수가 카운터부(313, 413) 구동 이전의 수와 다른지 확인하여 다른 경우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재시작하고, 같은 경우 이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뿐만 아니라 과전력 차단 기준값도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일 예로 통상 대기전력은 최대소비 전력의 10 내지 20%정도의 범위에 있으므로 최대소비 전력보다 높게 설정되어야 하므로 대기전력보다 약 11내지 12배 정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최대 소비전력보다 약간 높게 설정되어야 하므로 상기에서 전기기기 A의 대기전력을 v라 하였으므로 10v+r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r은 설계자의 경험에 따라 설정되는 오프셋값이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C’이라 한다.
이후 t2구간의 시작점에서 전기기기 A는 구동되어 전력을 소비한다. 이때 소비되는 전력은 전기기기 A가 최대의 전력을 소비한다 가정할 때 S로 표시되는 라인 근처에서 유동한다.
이후 t3구간에서 대기전력이 x이며 최대 사용전력이 y인 전기기기 B가 콘센트에 연결되어 대기전력 모드에 있다고 하면, 콘센트를 통해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총 전력은 S+x가 된다.
한편 상기 전기기기 B의 최대 소비전력은 대기전력과 최대 사용전력의 합으로 T라 하면 T=x+y가 된다.
t3구간에서 새로운 전기기기 B가 연결되었음을 플러그 착탈감지부(342, 442)에서 감지되고 이에 따라 새로운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전기기기 B의 대기전력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전기기기 B가 연결되면 플러그 착탈감지부(342, 442)에서 검출되는 전기기기의 수가 변경되었음을 감지하여 이를 차단기준값 변경부(311, 411) 및 카운터부(313, 413)에 출력하고 차단기준값 변경부(311, 411)는 이에 따라 전력검출부(331, 431)를 구동하여 대기전력을 측정하도록 하며 대기전력측정 모드임을 상태알림부(353, 453)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상기에서 전력검출부(331, 431)에 의해 측정된 대기전력 측정값은 카운터부(313, 413)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 상기 플러그 착탈감지부(342, 442)에 검출되는 전기기기의 수가 변경되지 않으면 차단기준값 저장부(312, 412)에 전달되어 저장된다.
만일 카운터부(313, 413)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 상기 플러그 착탈감지부(342, 442)에 검출되는 전기기기의 수가 변경되면 측정된 대기전력값은 무시되고, 플러그 착탈감지부(342, 442)에서 연결된 전기기기의 수가 카운터부(313, 413) 구동이전의 수가 다른지 확인하여 다른 경우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재시작하고 같은 경우 이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전력검출부(331, 431)에서 측정되는 전력은 전기기기 A의 최대 소비 전력 S와 전기기기 B의 대기전력 x이므로 전기기기 A의 최대 소비전력을 측정되는 전력에서 빼면 전기기기 B의 대기전력 x를 구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해진 전기기기 B의 대기전력은 t1구간에서 측정된 전기기기 A의 대기전력 v와 더해져 새로운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 즉, v+r로 설정되어 대기전력 차단기준값 저장부(312, 412)에 저장된다.
한편 과전력 차단기준값 또한 t1구간에서 계산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전기기기 B가 추가된 경우에 과전력 차단 기준값은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인 (v+x)의 약 11배 내지는 12배로 설정하거나 또는 10(v+x)+r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r만을 더하여 주는 이유는 전기기기 A와 B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 하더라도 최대 소비전력에서 일정한 범위에서만 유동되므로 일종의 오프셋값인 r을 두 번 더하여 주는 과도하게 높게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콘센트 자체에는 통상 설계에 따라 과전력 차단 최대 전력값이 설정되어 있다. 통상 콘센트는 구리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경우 구리선에서의 발열에 의해 구리선의 피복이 소손될 수 있으며 이는 화재의 주요한 원인이 되므로 콘센트 자체에는 견딜 수 있는 과전력 차단 최대 전력값이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과전력 차단 기준값은 항상 콘센트 자체에 설정되어 있는 과전력 차단 최대 전력값과 비교되어 더 낮은 값으로 설정되며 이에 따라 콘센트에 과도한 전류가 흘러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t4구간에서 전기기기 A와 B가 모두 최대 소비전력으로 구동되는 경우, 전력검출부에서 측정되는 전력은 S+T가 된다.
t5구간은 전기기기 A와 B가 모두 대기전력 모드로 천이한 것을 가정한 것으로, 이때 전력검출부에서 측정되는 전력은 v+x가 되고 이는 새로운 대기전력 차단기준값과 동일한 값이므로 멀티탭에 연결된 모두 대기모드라고 판단하여 전원출력부(323, 423)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전기기기에서 소비하는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상기에서는 콘센트에 전기기가 추가되는 경우에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콘센트에서 전기기기가 제거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플러그 착탈검출부(342, 442)에서 전기기기가 이탈되는 것을 감지한 경우 이를 차단기준값 변경부(311, 411)에 출력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전기기기가 연결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대기전력값을 측정하여 대기전력 또는 과전련 차단 기준값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310: 마스터 콘센트제어부
311: 마스터 차단기준값 변경부
312: 마스터 차단기준값 저장부
313: 마스터 카운터부
314: 마스터 전력차단 판단부
321: 마스터 전원입력부
322: 마스터 전원차단부
323: 마스터 전원출력부
331: 마스터 전력검출부
332: 마스터 대지접지부
333: 마스터 전원변환부
341: 슬레이브 아이디검출부
342: 마스터 플러그 착탈감지부
351: 마스터 외부인터페이스부
352: 마스터 모드버튼부
353: 마스터 상태알림부
410: 슬레이브 콘센트제어부
411: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변경부
412: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저장부
413: 슬레이브 카운터부
414: 슬레이브 전력차단 판단부
421: 슬레이브 전원입력부
422: 슬레이브 전원차단부
423: 슬레이브 전원출력부
431: 슬레이브 전력검출부
432: 슬레이브 대지접지부
433: 슬레이브 전원변환부
441: 슬레이브아이디설정부
442: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
451: 슬레이브 외부인터페이스부
452: 슬레이브 모드버튼부
453: 슬레이브 상태알림부
510: 슬레이브ID검출부
521: 제1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
522: 제1 회전 스위치
531: 제2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
532: 제2 회전 스위치
541: 제3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
542: 제3 회전 스위치
551: 제4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
552: 제4 회전 스위치
610: 플러그 착탈감지부
620: 제1플러그 착탈감지스위치
630: 제2플러그 착탈감지스위치
640: 제3플러그 착탈감지스위치
640: 제4플러그 착탈감지스위치
700: 외부제어기기
710: 적외선 송수신부
720: 상태알림부
730: 모드버튼부
740: 외부인터페이스부
750: 대기전력 차단설정부
760: 연결설정부

Claims (16)

  1.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출력하는 전원출력부 및 대기전력과 과전력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구비한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슬레이브 멀티탭 또는 전기기기에 공급하는 마스터 멀티탭;상기 마스터 멀티탭의 상태를 설정하는 마스터 모드버튼부;
    상기 마스터 멀티탭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마스터 전력검출부;상기 마스터 멀티탭에 연결된 슬레이브 멀티탭의 아이디를 검출하는 슬레이브 아이디 검출부;
    상기 마스터 멀티탭의 콘센트에 전기기기가 착탈되는지 검출하는 마스터 플러그 착탈감지부;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는 마스터 차단기준값 저장부, 상기 플러그 착탈감지부의 전기기기 착탈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된 후 상기 마스터 전력검출부에서 측정된 대기전력값을 입력받아 새로운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 또는 과전력 차단기준값을 설정하여 상기 마스터 차단기준값 저장부에 저장하는 마스터 차단기준값 변경부와 상기 마스터 차단기준값 저장부로부터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입력받아 상기 마스터 전력검출부로부터 측정된 전력을 입력받아 비교하여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여 상기 전원차단부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터 전력차단 판단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콘센트제어부;
    상기 마스터 멀티탭의 내부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을 상기 전원입력부로 입력된 전력으로부터 변환하는 마스터 전원변환부;
    상기 마스터 멀티탭의 모드를 표시하는 마스터 상태알림부(344); 및
    외부 제어기기와 RS-232, RS-485, IrDA, TTL, USB, ZigBee, RF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마스터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은,상기 마스터 멀티탭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입력받는 슬레이브 전원입력부;
    상기 슬레이브 전원입력부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출력하는 슬레이브 전원출력부;
    대기전력과 과전력을 차단하는 슬레이브 전원차단부;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상태를 설정하는 슬레이브 모드버튼부;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을 통해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슬레이브 전력검출부;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콘센트에 전기기기가 착탈되는지 검출하는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저장부, 상기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로부터 전기기기 착탈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된 후 상기 슬레이브 전력검출부에서 측정된 대기전력값을 입력받아 새로운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 또는 과전력 차단기준값을 설정하여 상기 차단기준값 저장부에 저장하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변경부와 상기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저장부로부터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입력받아 상기 슬레이브 전력검출부로부터 측정된 전력을 입력받아 비교하여 대기전력 또는 과전력 차단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여 상기 슬레이브 전원차단부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슬레이브 전력차단 판단부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콘센트 제어부;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내부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을 상기 전원입력부로 입력된 전력으로부터 변환하는 슬레이브 전원변환부;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모드를 표시하는 슬레이브 상태알림부(344); 및
    외부 제어기기와 RS-232, RS-485, IrDA, TTL, USB, ZigBee, RF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슬레이브 외부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멀태탭에는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상태알림부는 상기 마스터 멀티탭의 콘센트에 각각 더 구비되며,상기 슬레이브 아이디검출부는 상기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슬레이브 멀티탭의 아이디를 검출하여 상기 마스터 상태알림부에 상기 슬레이브 멀티탭의 아이디의 검출여부를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는 푸쉬형 스위치가 적어도 하나 더 구비되고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푸쉬형 스위치가 가압되어 도통되는 경우 전압이 유기되는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전압검출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에는 푸쉬형 스위치가 적어도 하나 더 구비되고,
    상기 슬레이브 아이디설정부는 일단에 전압검출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압검출부에는 전압이 유기되는 저항이 각각 구비되는 회전형 스위치가 적어도 하나 더 구비되어,
    상기 푸쉬형 스위치가 가압되는 경우 도통되어 상기 회전형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압검출부의 저항에서 전압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콘센트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카운터값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구동되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카운터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변경부는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에서 검출된 착탈감지 신호가 상기 카운터부를 구동하여 카운터값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에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변경부에 의해 새로 설정된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을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차단 기준값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콘센트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카운터값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구동되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카운터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변경부는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플러그 착탈감지부에서 검출된 착탈감지 신호가 상기 카운터부를 구동하여 카운터값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에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차단기준값 변경부에 의해 새로 설정된 과전력 차단 기준값을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차단 기준값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력 차단 기준값은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전력검출부에서 측정된 대기전력값의 11배 내지 12배와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멀티탭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과전력값 중 작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력 차단 기준값은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전력검출부에서 측정된 대기전력값의 10배에 소정의 오프셋값을 더한 값과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멀티탭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과전력값 중 작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상태알림부는 녹색, 청색, 적색 램프 및 부저가 더 포함되어,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멀티탭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전력검출부에서 최초로 측정하는 경우, 녹색 램프, 청색 램프, 적색 램프의 순서로 점등 및 소등되며, 대기전력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녹색 램프가 일정 횟수 동안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버튼부가 가압될 때마다 녹색 램프, 청색 램프, 적색 램프의 순으로 점등되며 녹색 램프가 점등되는 경우 대기전력 차단 모드, 청색 램프가 점등되면 소비전력 공급모드, 적색램프가 점등되면 시스템 초기화 또는 대기전력 측정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전력차단 판단부가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멀티탭에 연결된 전기기기가 대기전력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상태알림부로 더 출력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녹색 램프가 소정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점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전력차단 판단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대기전력이 차단된 후,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전력검출부에서 측정된 전력값이 대기전력 차단 기준값 이상이거나,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모드버튼부가 가압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제어기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 모드가 해제되어 소비전력 공급모드로 천이되면 상기 청색 램프가 지속적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전력차단 판단부가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가 과전력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상태알림부로 더 출력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적색 램프가 소정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점멸됨과 동시에 부저가 구동되며,상기 소정시간 이후 적색 램프가 지속적으로 점등되어 과전력 차단 모드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외부제어기기는 상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대기 전력이 특정 시간, 날짜, 또는 일정한 주기로 차단하도록 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대기전력 차단 설정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KR1020100048510A 2010-05-25 2010-05-25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KR10098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510A KR100980626B1 (ko) 2010-05-25 2010-05-25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PCT/KR2010/003355 WO2011149128A1 (ko) 2010-05-25 2010-05-27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510A KR100980626B1 (ko) 2010-05-25 2010-05-25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626B1 true KR100980626B1 (ko) 2010-09-07

Family

ID=4300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510A KR100980626B1 (ko) 2010-05-25 2010-05-25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0626B1 (ko)
WO (1) WO2011149128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937B1 (ko) * 2011-08-17 2013-01-30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의 플러그 삽입 여부에 따라 자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콘센트 및 자체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101302056B1 (ko) * 2013-04-09 2013-08-29 정완석 지능형 대기전력 차단방법
KR101301755B1 (ko) * 2013-06-05 2013-08-29 정완석 스마트 빌딩 제어 시스템
KR101314716B1 (ko) * 2011-11-30 2013-10-08 안성준 앱기반 풍력발전기 체크시스템
KR101358152B1 (ko) 2013-01-30 2014-02-10 주식회사 리산테크 대기전력 제로 차단 콘센트 장치
WO2014069839A1 (ko) * 2012-10-29 2014-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KR101432058B1 (ko) 2013-03-08 2014-08-2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전원연결장치, 대기 전력 차단 방법 및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CN104577538A (zh) * 2014-11-25 2015-04-29 华立仪表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zigbee无线通信的插座,紧凑式插座
KR101903850B1 (ko) * 2016-08-23 2018-10-02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류 전력을 사용하는 멀티 콘센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9583A (zh) * 2013-11-21 2015-05-27 李勤 云端智能突波保护插座与云端电量监测系统
CN104752905B (zh) * 2013-12-25 2017-05-17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配合智能可穿戴设备使用的智能插座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216A (ko) * 2000-02-11 2001-08-29 황명환 전원차단장치
KR200363480Y1 (ko) * 2004-07-02 2004-10-13 주식회사 이륜 부하전류 감지를 이용한 절전형 멀티탭콘센트
KR20080103193A (ko) * 2007-05-23 2008-11-27 삼성물산 주식회사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042B1 (ko) * 2005-09-02 2008-02-11 김선영 자동전원차단콘센트
KR100633779B1 (ko) * 2006-02-24 2006-10-16 박강덕 그린 콘센트
KR20100050625A (ko) * 2008-11-06 2010-05-14 김민수 전력절감 및 원거리 제어가 용이한 원격제어 콘센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216A (ko) * 2000-02-11 2001-08-29 황명환 전원차단장치
KR200363480Y1 (ko) * 2004-07-02 2004-10-13 주식회사 이륜 부하전류 감지를 이용한 절전형 멀티탭콘센트
KR20080103193A (ko) * 2007-05-23 2008-11-27 삼성물산 주식회사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937B1 (ko) * 2011-08-17 2013-01-30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의 플러그 삽입 여부에 따라 자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콘센트 및 자체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101314716B1 (ko) * 2011-11-30 2013-10-08 안성준 앱기반 풍력발전기 체크시스템
WO2014069839A1 (ko) * 2012-10-29 2014-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US8933723B2 (en) 2012-10-29 2015-01-13 Lg Chem, Ltd. Terminating resistance generation device for differential input mode communication and differential input mode communication device
KR101358152B1 (ko) 2013-01-30 2014-02-10 주식회사 리산테크 대기전력 제로 차단 콘센트 장치
KR101432058B1 (ko) 2013-03-08 2014-08-2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전원연결장치, 대기 전력 차단 방법 및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KR101302056B1 (ko) * 2013-04-09 2013-08-29 정완석 지능형 대기전력 차단방법
KR101301755B1 (ko) * 2013-06-05 2013-08-29 정완석 스마트 빌딩 제어 시스템
CN104577538A (zh) * 2014-11-25 2015-04-29 华立仪表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zigbee无线通信的插座,紧凑式插座
KR101903850B1 (ko) * 2016-08-23 2018-10-02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류 전력을 사용하는 멀티 콘센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9128A1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626B1 (ko)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RU2419932C1 (ru) Штепс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912004B1 (ko)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JP3160311U (ja) 電源管理装置
KR100801042B1 (ko) 자동전원차단콘센트
JP4932849B2 (ja) 電源制御可能なコンセント装置
KR101685062B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매입형 콘센트
KR100909598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및 소비전력 표시장치
CN202601991U (zh) 一种无线控制的多功能电源插线板
KR100970843B1 (ko) 적응형 그린 콘센트
KR100909790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장치
JP2019511076A (ja) 待機電力の自動遮断と自動復旧機能を有する人口知能型コンセント
KR101302056B1 (ko) 지능형 대기전력 차단방법
KR101389897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KR20070056892A (ko)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TWM398237U (en) Intelligent socket apparatus
EP3531139A1 (en) Electric power consumption overload alarm apparatus
WO2007136213A1 (en) Electric outlet device
KR20130042933A (ko) 누전, 과부하 및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KR100918794B1 (ko) 대기 전력 차단용 그린 콘센트
KR101078778B1 (ko) 대기전력 자동 차단 스위치장치
KR101592464B1 (ko)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의 제어 방법
KR101448695B1 (ko) 인공지능형 절전제어 콘센트
KR101037757B1 (ko) 대기 전력 차단용 콘센트
KR101763903B1 (ko) 대기전력 자동 설정이 가능한 자동 절전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