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779B1 - 그린 콘센트 - Google Patents

그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779B1
KR100633779B1 KR1020060018377A KR20060018377A KR100633779B1 KR 100633779 B1 KR100633779 B1 KR 100633779B1 KR 1020060018377 A KR1020060018377 A KR 1020060018377A KR 20060018377 A KR20060018377 A KR 20060018377A KR 100633779 B1 KR100633779 B1 KR 10063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nit
current
power suppl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강덕
Original Assignee
박강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덕 filed Critical 박강덕
Priority to KR102006001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779B1/ko
Priority to US12/279,787 priority patent/US20100283329A1/en
Priority to PCT/KR2007/000926 priority patent/WO200709757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및 시스템형 그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우 상세하게는 치를 동작시키도록 외부에서 H,N 두 성향으로 서로간에 역파장을 가지며 각각의 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과; 상기 외부전원의 두 선 간에 설치되어 낙뢰로부터 외부부하장치를 보호하는 낙뢰방지회로와; 상기 외부전 원이 연결되어 12V로 출력되도록 전압을 강하시키는 제1전원부와;상기 제1전원부에서 출력된 전원을 5V로 출력되도록 전압을 강하시키는 제2전원부와; 상기 외부전원의 전류 세기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출력된 전류검출신호를 입력받아 LED 및 부져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홈서버와 메인 컨트롤러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지그비모듈로 부터 입력받으며, 리모컨 또는 휴대폰으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를 irDA센서부를 통해 입력받아 외부전원을 차단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로 전원을 차단하는 전열제어부와; 상기 컨트롤부에 적외선통신으로 리셋제어신호를 전송하는 irDA센서부와; 상기 irDA센서부에 적외선통신으로 리셋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동작감지센서와; 상기 컨트롤부와 무선으로 상호통신하여 외부에서 제어되는 지그비모듈과; 상기 컨트롤부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 스위치와; 상기 컨트롤부에서 차단한 전원을 재가동시키는 리셋스위치와; 상기 컨트롤부와 유선으로 상호통신하여 외부에서 제어되도록 신호를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RS485부와; 상기 외부전원에서 입력되는 한 선과 전열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다른한 선이 각각의 홀에 연결되어 외부부하장치가 연결되는 콘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반 및 시스템형 그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 매입형, 컨트롤, 시스템, 낙뢰방지, 과전류차단, 대기전기차단

Description

그린 콘센트{Green consent}
도 1은 1구인 콘센트의 전면도와 측면도,
도 2는 2구인 콘센트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3은 통신부가 없는 그린 콘센트의 구성도,
도 4는 통신부가 결합된 그린 콘센트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트롤부 15 : 전류감지부
20 : 전열제어부 25 : 낙뢰방지회로
30 : 제1전원부 35 : 제2전원부
40 : 제1,2콘센트 45 : 외부전원입력부
50 : 모드스위치 55 : 리셋스위치
60 : LED부 65 : 부저
70 : irDA센서부 75 : 적외선 동작감지센서
130 : 지그비모듈 150 : RS485부
본 발명은 일반 및 시스템형 그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우 상세하게는 치를 동작시키도록 외부에서 H,N 두 성향으로 서로간에 역파장을 가지며 각각의 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과; 상기 외부전원의 두 선 간에 설치되어 낙뢰로부터 외부부하장치를 보호하는 낙뢰방지회로와; 상기 외부전 원이 연결되어 12V로 출력되도록 전압을 강하시키는 제1전원부와;상기 제1전원부에서 출력된 전원을 5V로 출력되도록 전압을 강하시키는 제2전원부와; 상기 외부전원의 전류 세기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출력된 전류검출신호를 입력받아 LED 및 부져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홈서버와 메인 컨트롤러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지그비모듈로 부터 입력받으며, 리모컨 또는 휴대폰으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를 irDA센서부를 통해 입력받아 외부전원을 차단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로 전원을 차단하는 전열제어부와; 상기 컨트롤부에 적외선통신으로 리셋제어신호를 전송하는 irDA센서부와; 상기 irDA센서부에 적외선통신으로 리셋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동작감지센서와; 상기 컨트롤부와 무선으로 상호통신하여 외부에서 제어되는 지그비모듈과; 상기 컨트롤부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 스위치와; 상기 컨트롤부에서 차단한 전원을 재가동시키는 리셋스위치와; 상기 컨트롤부와 유선으로 상호통신하여 외부에서 제어되도록 신호를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RS485부와; 상기 외부전원에서 입력되는 한 선과 전열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다른한 선이 각각의 홀에 연결되어 외부부하장치가 연결되는 콘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반 및 시스템형 그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라 함은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 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되게 하는 기구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는 통상 정격전압을 100볼트(V)와 220볼트(V), 그리고 정격전류를 10~50암페어(A)값으로 설정하여, 외부(전원발생지)로 부터 유입되는 전기를 각종 가전기구에 공급토록 하는 중간 매개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콘센트는 크게 매입형과 노출형 두가지 종류로 분리되는 것으로, 특히 본 고안에 적용되는 매입형 콘센트를 살펴보면, 이는 외부 전원선이 연결되는 단자판과, 상기 단자판 전면에 부착되는 플러그 유도판을 수용하는 외장구성으로, 보호커버가 구비되도록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매입형 콘센트는 실내 벽면에 부착된 형태 로써, 가전기구 사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항상 전류를 흐름되게 하고 있는 구성인바, 이에 플러그 삽입에 의한 전원공급으로 가전제품의 사용을 완료한후, 주의를 기울여 플러그를 콘센트로 부터 이탈시키지 않을 경우, 삽입된 플러그에 의한 전원 누출현상으로 에너지가 낭비되는 등,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의 문제점이 발생 하게된다.
또한, 과전류가 흐르거나 낙뢰로 인하여 가전제품이 고장나거나 화재의 원인이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 하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매입형 콘센트에 낙뢰방지회로, 전류감지부, 전열제어부를 구성하여 과전류로 인한 화재와 낙뢰로 인한 외부부하장치를 보호하며, 외부부하장치를 사용하지 않을시 소비되는 대기전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일반 및 시스템형 그린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컨트롤부에 irDA와 지그비모듈 및 RS485로 구성된 통신부를 연결하여 리모컨이나 홈서버 및 건물외부에서 핸드폰 또는 인터넷으로 제어가 되도록 일반 및 시스템형 그린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어 외부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매입형 콘센트에 있어서, 외부부하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외부에서 H,N 두 성향으로 서로간에 역파장을 가지며 각각의 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과; 상기 외부전원의 두 선 간에 설치되어 낙뢰로부터 외부부하장치를 보호하는 낙뢰방지회로와; 상기 외부전 원이 연결되어 12V로 출력되도록 전압을 강하시키는 제1전원부와;상기 제1전원부에서 출력된 전원을 5V로 출력되도록 전압을 강하시키는 제2전원부와; 상기 외부전원의 전류 세기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출력된 전류검출신호를 입력받아 LED 및 부져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홈서버와 메인 컨트롤러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지그비모듈로 부터 입력받으며, 리모컨 또는 휴대폰으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를 irDA센서부를 통해 입력받아 외부전원을 차단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로 전원을 차단하는 전열제어부와; 상기 컨트롤부에 적외선통신으로 리셋제어신호를 전송하는 irDA센서부와; 상기 irDA센서부에 적외선통신으로 리셋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동작감지센서와; 상기 컨트롤부와 무선으로 상호통신하여 외부에서 제어되는 지그비모듈과; 상기 컨트롤부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 스위치와; 상기 컨트롤부에서 차단한 전원을 재가동시키는 리셋스위치와; 상기 컨트롤부와 유선으로 상호통신하여 외부에서 제어되도록 신호를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RS485부와; 상기 외부전원에서 입력되는 한 선과 전열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다른한 선이 각각의 홀에 연결되어 외부부하장치가 연결되는 콘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1구인 콘센트의 전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2는 2구인 콘센트의 정면도와 측면도 이며, 도 3은 통신부가 없는 그린 콘센트의 구성도 이고, 도 4는 통신부가 결합된 그린 콘센트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통신부가 없는 그린 콘센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부에서 N,H의 두 성향의 역파장을 가지며 서로 다른 전선을 통해 건물내부로 연결되어 외부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45,180)과, 상기 외부전원(45,180)의 두선 사이에 연결되어 평상시 전압일 경우에는 두 선을 흐르는 전기가 합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다가 낙뢰가 외부전원(45,180)이 연결된 두 전선을 타고 흘러들어오면 낙뢰방지회로(25,125)에서 순간 콘덴서처럼 충전되고, 서서히 방출되어 낙뢰로부터 외부부하장치를 보호하게 되며, 상기 외부전원(45,180)이 제1전원부(30,140)를 통과하면서 고압의 외부전원(45,180)이 전열제어부(20,120)를 동작시키는 12V로 전압이 강하되어 출력되며, 상기 제1전원부 (30,140)에서 출력된 전압이 다시 제2전원부(35,145)를 통과하며 컨트롤부(10,110)와 전류감지부(15,115) 및 지그비모듈(130)등에서 사용되는 전압인 5V로 강하되어 출력된다.
한편, 상기 외부전원(45,180)의 두 선중에 한 선은 콘센트(40,80)의 한쪽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한 선은 전류감지부(15,115)의 IP+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전류감지부(15,115)의 IP- 단자를 통해 전열제어부(20,1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류감지부(15,115)은 외부전원(45,180)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컨트롤부(10,110)로 전류 측정값을 전송하게 되며, 상기 컨트롤부(10,110)는 전류 측정값이 일정 수치보다 높으면 경고음과 함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전열제어부(20,120)로 전송하고, 일정 시간동안 일정수치보다 낮은 전류가 흐르면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전열제어부(20,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irDA센서부(70,135)가 상기 컨트롤부(10,110)에 연결되어 리모컨과 휴대폰에 내장된 irDA센서부에서 송신된 리셋제어신호와 동작을 감지하는 적외선 동작감지센서(75,185)에서 전송된 리셋제어신호를 컨트롤부(10,11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전열제어부(20,120)는 전류감지부(15,115)를 통과한 전기를 릴레이 스위치를 통하여 콘센트(40,80)의 남은 한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부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통해 릴레이 스위치를 동작시켜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리셋스위치(55,170)를 컨트롤부(10,110)에 연결하여 과전류시나 대기전류, 낙뢰등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면 원인요소를 제거한뒤에 재가동 시키도록 하며, 상기 컨트롤부(10,110)에 모드선택 스위치(50,165)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직 접 전원을 차단하거나 재동작 시키는 수동모드와, 콘센트(40,80)의 컨트롤부(10,110)에서 자동으로 동작하는 자동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유선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시스템형 그린 콘센트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부전원(45,180)과 컨트롤부(10,110), 전류감지부(15,115), 전열제어부(20,120), 모드선택 스위치(50,165) 및 리셋스위치(55,170)로 구성된 것은 동일하고, 상기 컨트롤부(10,110)에 사용자가 외출을 하거나 다른곳에 설치된 콘센트(40,80)를 제어할 수 있는 상호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컨트롤부(10,110)에 연결하여 콘센트(40,80)를 켜거나 끄게 된다.
이에 상기 통신모듈은 지그비모듈(130), irDA센서부(135), RS485부(150)를 사용하며, 상기 지그비모듈(130)은 건물내부의 어느한 곳에 설치된 홈서버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컨트롤부(10,110)에 전송하거나, 건물외부에서 핸드폰이나 인터넷으로 홈서버에 연결하여 콘센트(40,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콘센트(40,80)의 현재 상태를 홈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irDA센서부(70,135)는 과전류 및 대기전류, 낙뢰에의해서 전원이 차단된 경우 콘센트(40,80)의 리셋스위치(55,170)를 누르기 어려울시 리모컨이나 휴대폰에 내장된 irDA센서로 콘센트(40,80)를 켤수 있도록하고, RS485부(150)는 홈서버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건물내부에서 핸드폰이나 인터넷으로 건물내부의 콘센트(40,8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통신부가 없는 그린 콘센트와 통신부가 결합된 그린콘센트는 필요에 따라서 외부부하장치가 연결되는 콘센트의 수를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 제1 실시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1구를 가지는 콘센트(300)와 그 측면(310)이고, 제2 실시예로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2구를 가지는 콘센트(400)와 그 측면(410)의 모습이다.
상기 두 종류의 그린 콘센트는 구성상 차이는 통신모듈뿐이며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이에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외부전원(45,180)이 공급되는 두 전선을 콘센트(40,80)에 연결하여 외부부하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시 대기전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한편 낙뢰시나 외부부하장치가 다수여서 과전류 현상일때 화재나 외부부하장치를 보호하기위해 제어장치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먼저, 외부전원(45,180)이 공급되는 두 전선을 통해 낙뢰가 유입될 경우 두 전선 간에 연결된 낙뢰방지회로(25,125)에서 낙뢰로 인한 고압의 전기를 흡수 충전하고, 서서히 방전시켜 낙뢰로부터 외부부하장치를 보호하며,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두 전선중 한 선은 콘센트(40,80)의 연결홀에 직접 연결되고, 다른 한선은 전류감지부(15,115)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전류감지부(15,115)는 통과하는 전류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컨트롤부(10,110)에 전송하고, 상기 전류감지부(15,115)를 통과한 전기는 전열제어부(20,120)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전열제어부(20,120)는 유도전기로 동작하는 릴레이 스위치와, 유도전기를 흐르게하는 유도전기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유도전기부는 12V의 전압으로 동작되는데 상기 컨트롤부(10,110)에서 과전류와 대기전류 및 낙뢰시 신호 출 력하면 전압이 도통되면서 유도전기가 흐르게 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접점이 떨어져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부(10,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부에는 모드선택 스위치(50,165)와 리셋스위치(55,170), 통신모듈인 지그비모듈(130)과 irDA센서부(70,135), RS485부(150), 표시장치인 LED(60,155)와 부져(65,160)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전열제어부(20,120)로 전송되고, 전류감지부(15,115)의 측정값이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은 여러가지 기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데, 먼저 지그비모듈(130)은 외부의 무선제어신호 즉, 홈서버 또는 메인 컨트롤러에서 전송되는 차단신호와 연결신호를 수신하여 컨트롤부(10,110)에 전송하고, 컨트롤부(10,110)에서 전송된 상태신호 즉, 차단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상태신호를 전송하여 홈서버에서 사용자가 제어할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irDA센서부(70,135)는 콘센트(40,80)의 위치가 손이 닿지 않는 곳이나, 먼곳에 있을때 리모컨이나 핸드폰등에 내장된 irDA센서를 이용하여 다시 재동작 시키는 리셋신호를 수신 받아 컨트롤부(10,110)에 전송하며, 상기 RS485부(150)는 외부의 유선제어신호 즉, 홈서버에서 전송되는 차단혹 연결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건물내부의 콘센트(40,80)들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제어하도록 컨트롤부(10,110)와 통신이 된다.
또한, 상기 irDA센서부(70,135)에 동작을 감지하여 차단된 전원을 재동작 시키는 리셋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동작감지센서로 사용자가 리모컨 또는 핸드 폰을 가지고 있지 않을때 콘센트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매입형 콘센트에 낙뢰방지회로, 전류감지부, 전열제어부를 구성하여 과전류로 인한 화재와 낙뢰로 인한 외부부하장치를 보호하며, 외부부하장치를 사용하지 않을시 소비되는 대기전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트롤부에 irDA와 지그비모듈 및 RS485로 구성된 통신부를 연결하여 리모컨이나 홈서버 및 건물외부에서 핸드폰 또는 인터넷으로 제어가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어 외부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매입형 콘센트에 있어서,
    외부부하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외부에서 H,N 두 성향으로 서로간에 역파장을 가지며 각각의 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180)과;
    상기 외부전원(180)의 두 선 간에 설치되어 낙뢰로부터 외부부하장치를 보호하는 낙뢰방지회로(125)와;
    상기 외부전원(180)이 연결되어 12V로 출력되도록 전압을 강하시키는 제1전원부(140)와;
    상기 제1전원부(140)에서 출력된 전원을 5V로 출력되도록 전압을 강하시키는 제2전원부(145)와;
    상기 외부전원(180)의 전류 세기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15)와;
    상기 전류감지부(115)에서 출력된 전류검출신호를 입력받아 LED(155) 및 부져(16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홈서버와 메인 컨트롤러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지그비모듈(130)로 부터 입력받으며, 리모컨 또는 휴대폰으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를 irDA센서부(135)를 통해 입력받아 외부전원(180)을 차단하는 컨트롤부(110)와;
    상기 컨트롤부(11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로 전원을 차단하는 전열제어부(120)와;
    상기 컨트롤부(110)에 적외선통신으로 리셋제어신호를 전송하는 irDA센서부 (135)와;
    상기 irDA센서부(135)에 적외선통신으로 리셋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동작감지센서(185)와;
    상기 컨트롤부(110)와 무선으로 상호통신하여 외부에서 제어되는 지그비모듈(130)과;
    상기 컨트롤부(110)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 스위치(165)와;
    상기 컨트롤부(110)에서 차단한 전원을 재가동시키는 리셋스위치(55,170)와;
    상기 컨트롤부(110)와 유선으로 상호통신하여 외부에서 제어되도록 신호를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RS485부(150)와;
    상기 외부전원(180)에서 입력되는 한 선과 전열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다른한 선이 각각의 홀에 연결되어 외부부하장치가 연결되는 콘센트(8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콘센트.
  2.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어 외부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매입형 콘센트에 있어서,
    외부부하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외부에서 H,N 두 성향으로 서로간에 역파장을 가지며 각각의 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45)과;
    상기 외부전원(45)의 두 선 간에 설치되어 낙뢰로부터 외부부하장치를 보호하는 낙뢰방지회로(25)와;
    상기 외부전원(45)이 연결되어 12V로 출력되도록 전압을 강하시키는 제1전원 부(30)와;
    상기 제1전원부(30)에서 출력된 전원을 5V로 출력되도록 전압을 강하시키는 제2전원부(35)와;
    상기 외부전원(45)의 전류 세기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5)와;
    상기 전류감지부(15)에서 출력된 전류검출신호를 입력받아 LED(60) 및 부져(6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리모컨 또는 휴대폰으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를 irDA센서부(70)를 통해 입력받아 외부전원(45)을 차단하는 컨트롤부(10)와;
    상기 컨트롤부(1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로 전원을 차단하는 전열제어부(20)와;
    상기 컨트롤부(10)에 적외선통신으로 리셋제어신호를 전송하는 irDA센서부(70)와;
    상기 irDA센서부(70)에 적외선통신으로 리셋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동작감지센서(75)와;
    상기 컨트롤부(10)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 스위치(50)와;
    상기 컨트롤부(10)에서 차단한 전원을 재가동시키는 리셋스위치(55)와;
    상기 외부전원(45)에서 입력되는 한 선과 전열제어부(20)를 통해 출력되는 다른한 선이 각각의 연결홀에 연결되어 외부부하장치가 연결되는 콘센트(4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콘센트.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감지부(15,115)는 외부전원의 전류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컨트롤부(10,110)로 전송하며, 상기 전류감지부(15,115)를 통과한 외부전원이 전열제어부(20,120)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콘센트.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제어부(20,120)는 전류감지부(15,115)에서 측정된 전류측정 값이 컨트롤부(10,110)에 입력되어 과전류 및 대기전류일때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서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외부전원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콘센트.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10,110)는 전류감지부(15,115)에서 전송되는 전류 측정값으로 과전류 및 대기전류 상태일때 외부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컨트롤부에 연결된 LED(60,155)와 부져(65,160)에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콘센트.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10,110)와 연결되는 모드선택 스위치(50,165)는 상기 컨트롤부의 동작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부(10,110)와 연결된 리셋스위치(55,170)는 전원차단시 문제되는 요인을 제거하여 재동작 되도록 컨트롤부(10,110)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콘센트.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irDA센서부(70,135)는 리모컨 및 휴대폰에 내장된 irDA센서부의 송신신호를 수신 받아 컨트롤부(10,110)에 리셋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콘센트.
  8.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동작감지센서(75,185)는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리셋신호를 irDA센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콘센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110)는 지그비모듈(130), irDA센서부(135), RS485부(150)와 상호 통신을 하여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제어신호를 전열제어부(120)로 전송하고, 상기 지그비모듈(130), RS485부(150)를 통해 현재 상태의 정보 신호를 홈서버 또는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콘센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비모듈(130)은 무선으로 실내의 어느곳에 설치된 홈서버와 통신하며, 홈서버에서 사용자가 내리는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컨트롤부(110)에 전송하고, 컨트롤부(11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홈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콘센트.
KR1020060018377A 2006-02-24 2006-02-24 그린 콘센트 KR100633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377A KR100633779B1 (ko) 2006-02-24 2006-02-24 그린 콘센트
US12/279,787 US20100283329A1 (en) 2006-02-24 2007-02-22 Green consent
PCT/KR2007/000926 WO2007097576A1 (en) 2006-02-24 2007-02-22 Green cons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377A KR100633779B1 (ko) 2006-02-24 2006-02-24 그린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3779B1 true KR100633779B1 (ko) 2006-10-16

Family

ID=3762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377A KR100633779B1 (ko) 2006-02-24 2006-02-24 그린 콘센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83329A1 (ko)
KR (1) KR100633779B1 (ko)
WO (1) WO2007097576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919B1 (ko) 2007-04-30 2009-03-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탭 제어 시스템
KR100912004B1 (ko) 2007-05-23 2009-08-14 삼성물산 주식회사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KR100929818B1 (ko) * 2009-10-17 2009-12-07 주식회사 중원파워컨트롤스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매입 콘센트
WO2010074392A1 (en) * 2008-12-24 2010-07-01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System and methods for reducing standby power and monitoring electric energy consumed by home appliances and home network devices
KR100970843B1 (ko) 2010-05-14 2010-07-16 주식회사 조일에너지 적응형 그린 콘센트
KR101041432B1 (ko) * 2008-10-22 2011-06-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1149128A1 (ko) * 2010-05-25 2011-12-01 Kim Jae Ho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KR101387881B1 (ko) 2011-06-17 2014-04-22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장비의 원격 리셋 장치
CN106056895A (zh) * 2016-07-21 2016-10-26 国家电网公司 一种485转红外电路及数据传输方法
CN106325175A (zh) * 2016-10-28 2017-01-11 成都力雅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红外无线传输的微盘控制系统
CN106781389A (zh) * 2016-12-28 2017-05-31 重庆金鑫科技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控制器及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2030B1 (fr) * 2008-05-30 2010-08-13 Bouygues Telecom Sa Systeme de suivi de l'alimentation d'un appareil electrique et prise electrique communicante pour un tel systeme.
US20100271226A1 (en) * 2009-04-28 2010-10-28 Grid Mobility Llc Electrical outlet arrangements and system
CN102065456A (zh) * 2010-12-14 2011-05-18 广州市香港科大霍英东研究院 一种无线传感器节点电能量管理方法
CN104486183B (zh) * 2014-12-05 2018-09-11 青岛鼎信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收发自控制的三态rs485通讯方法
CN105451371A (zh) * 2015-11-10 2016-03-30 福建农林大学 一种监测植物生长环境的无线传感器网络
ITUA20162323A1 (it) * 2016-04-05 2017-10-05 Homatron Srl Sistema per comandare una presa a muro o un relè da remot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0884A (en) * 1978-02-06 1979-07-10 Wescom, Inc. Power regulation system for repeatered telephone transmission lines
US4638175A (en) * 1984-07-03 1987-01-2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nd load transfer system
US5457621A (en) * 1992-02-21 1995-10-10 Abb Power T&D Company Inc. Switching power supply having voltage blocking clamp
US5485151A (en) * 1993-05-06 1996-01-16 Adb-Alnaco, Inc. Airfield lighting system
KR20000037676A (ko) * 1998-12-01 2000-07-05 전주범 낙뢰 방지용 콘센트
JP3465674B2 (ja) * 2000-09-08 2003-11-10 株式会社ニプロン 無停電性二重化電源装置におけるユニットの抜き差し構造
TW523643B (en) * 2001-03-06 2003-03-11 Inca Systems Co Ltd Power saving outlet device that allows remote control
US7460889B2 (en) * 2003-10-16 2008-12-02 Microsemi Corp.—Analog Mixed Signal Group Ltd. High power classification for power over Ethernet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919B1 (ko) 2007-04-30 2009-03-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탭 제어 시스템
KR100912004B1 (ko) 2007-05-23 2009-08-14 삼성물산 주식회사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KR101041432B1 (ko) * 2008-10-22 2011-06-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0074392A1 (en) * 2008-12-24 2010-07-01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System and methods for reducing standby power and monitoring electric energy consumed by home appliances and home network devices
KR101060302B1 (ko) 2008-12-24 2011-08-29 전자부품연구원 가전 및 홈네트워크 기기의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및 대기전력 절감 시스템 및 방법
US8362918B2 (en) 2008-12-24 2013-01-29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System and methods for monitoring energy consumption and reducing standby power
WO2011046265A1 (ko) * 2009-10-17 2011-04-21 주식회사 중원파워컨트롤스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매입 콘센트
KR100929818B1 (ko) * 2009-10-17 2009-12-07 주식회사 중원파워컨트롤스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매입 콘센트
KR100970843B1 (ko) 2010-05-14 2010-07-16 주식회사 조일에너지 적응형 그린 콘센트
WO2011149128A1 (ko) * 2010-05-25 2011-12-01 Kim Jae Ho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KR101387881B1 (ko) 2011-06-17 2014-04-22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장비의 원격 리셋 장치
CN106056895A (zh) * 2016-07-21 2016-10-26 国家电网公司 一种485转红外电路及数据传输方法
CN106056895B (zh) * 2016-07-21 2021-11-16 国家电网公司 一种485转红外电路及数据传输方法
CN106325175A (zh) * 2016-10-28 2017-01-11 成都力雅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红外无线传输的微盘控制系统
CN106781389A (zh) * 2016-12-28 2017-05-31 重庆金鑫科技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控制器及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83329A1 (en) 2010-11-11
WO2007097576A1 (en)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779B1 (ko) 그린 콘센트
KR101266047B1 (ko)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29818B1 (ko)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매입 콘센트
KR101084109B1 (ko)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멀티콘센트
CN202601991U (zh) 一种无线控制的多功能电源插线板
KR100980626B1 (ko)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KR20080103193A (ko)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KR100691391B1 (ko) 파워콘트롤러 및 상기 파워콘트롤러를 포함한 전자식전력제어시스템
KR100970843B1 (ko) 적응형 그린 콘센트
KR20080093005A (ko) 화재예방 단자함
KR20100083393A (ko)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CN111459113A (zh) 用于家用电器的智能插座和电源控制系统
KR20080112781A (ko) 타임설정이 가능한 그린 콘센트
KR20110111050A (ko)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AU2014101593A4 (en) Protection device for monitoring water logging
CN105680256A (zh) 一种智能插座
WO2016025998A1 (en) Electrical outlet assembly
KR101078778B1 (ko) 대기전력 자동 차단 스위치장치
CN107332113B (zh) 一种电气控制装置和配电箱柜
KR100921659B1 (ko) 재실관리 시스템용 콘센트
KR101037669B1 (ko) 콘센트의 대기전력차단장치
CN212181309U (zh) 用于家用电器的智能插座和电源控制系统
KR102242541B1 (ko)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
TWI524621B (zh) 電源管理系統及其控制方法
EP1938020A1 (en) A h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0530

Effective date: 201310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