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1050A -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1050A
KR20110111050A KR1020100030433A KR20100030433A KR20110111050A KR 20110111050 A KR20110111050 A KR 20110111050A KR 1020100030433 A KR1020100030433 A KR 1020100030433A KR 20100030433 A KR20100030433 A KR 20100030433A KR 20110111050 A KR20110111050 A KR 20110111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dule
outlet
hub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미
홍준희
Original Assignee
이영미
홍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미, 홍준희 filed Critical 이영미
Priority to KR102010003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1050A/ko
Publication of KR20110111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콘센트의 출력부마다 개별적으로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고, 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개별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2 이상의 콘센트와 각 콘센트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허브로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센트는 2 이상의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2 이상의 출력부의 입력 단자는 상용 전원의 서로 다른 입력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허브와 zigbee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zigbee 통신 모듈; 상용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전원 회로를 개방하거나 연결하는 릴레이 구동 모듈;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과 직렬로 연결되고, 현재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량 확인 모듈;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과 직렬로 연결되고, 전류를 감지하여 설정된 과전류치 이상이면 릴레이 구동 모듈을 작동시켜 전원 회로를 차단하는 누전 확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콘센트와 zigbee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zigbee 통신 모듈; 상기 zigbee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출력부의 전력량 정보와 기 설정된 대기전력치를 비교하여 전력량이 대기전력치 이하이면 전원회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 모듈; 상기 zigbee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출력부의 전력량 정보와 누전 정보 및 환산된 요금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현시하는 전력량 표시 모듈;을 포함하여 허브에서 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의 출력부마다 대기전력을 별개로 제어한다

Description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Individual Management System of Standby Power}
본 발명은 대기전력의 개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 콘센트의 출력부마다 개별적으로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고, 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허브에서 개별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ㆍ전자기기(이하, '전자기기')는 콘센트와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분리하지 않을 경우,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시간당 대략 5W 정도의 미세한 대기전력이 소모되며, 이는 연간 수 천억원의 전력 손실 이 발생하는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대기전력이 흐르는 상태에서 낙뢰가 발생할 경우, 고압의 전류가 전자기기로 유입되어 뇌전피해(雷電被害)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on/off 스위치가 설치된 콘센트, 멀티탭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설치 장소가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위치인 경우가 많고, 연결된 전자기기들의 플러그에 흐르는 대기전력을 개별적으로 차단시킬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개별 콘센트 단자(출력부)마다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경우도 있으나, 종래 2구의 콘센트 커버를 사용하되 1구에만 콘센트가 설치되고 다른 위치에는 대기전력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어, 공간상의 제약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콘센트는 안전상, 외관상의 이유로 미리 콘센트가 설치될 위치의 벽면에 콘센트 본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고, 이후에 콘센트 본체와 콘센트 커버를 조립하여 콘센트 본체가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설치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홈에 제어부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공간상의 제약이 생기게 되고, 설치할 수 있는 콘센트가 하나로 제약될 수밖에 없다. 또한, 개별 콘센트를 제어할 때, 각 콘센트가 설치된 위치에서 직접 콘센트의 상태를 설정하여야 하므로,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콘센트가 있거나 설치된 콘센트의 수가 많을 때는 제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콘센트 별로 대기전력 차단을 개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격 설치된 각 콘센트를 무선 연결된 허브에서 제어하여 직접적인 수동 제어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밖에도, 실시간으로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 사용량 절감의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전력 낭비로 인한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2 이상의 콘센트와 각 콘센트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허브로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센트는 2 이상의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2 이상의 출력부의 입력 단자는 상용 전원의 서로 다른 입력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허브와 zigbee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zigbee 통신 모듈; 상용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전원 회로를 개방하거나 연결하는 릴레이 구동 모듈;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과 직렬로 연결되고, 현재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량 확인 모듈;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과 직렬로 연결되고, 전류를 감지하여 설정된 과전류치 이상이면 릴레이 구동 모듈을 작동시켜 전원 회로를 차단하는 누전 확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콘센트와 zigbee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zigbee 통신 모듈; 상기 zigbee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출력부의 전력량 정보와 기 설정된 대기전력치를 비교하여 전력량이 대기전력치 이하이면 전원회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 모듈; 상기 zigbee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출력부의 전력량 정보와 누전 정보 및 환산된 요금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현시하는 전력량 표시 모듈;을 포함하여 허브에서 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의 출력부마다 대기전력을 별개로 제어하는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전력량 확인 모듈이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과 직렬로 연결되고, 현재 전력량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대기전력치 이하이면 전원회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을 작동시키고;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량 확인 모듈이 전력량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대기전력치 이하이면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을 작동시키는 "절전상태"로 설정되거나 해제되도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에는 각각의 출력부에 연결된 수동 입력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이 전원 회로를 차단하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전력량 확인 모듈을 "절전상태"로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밖에도, 상기 허브에는 입력 모듈이 구비되어 있어, 실시간 또는 시간을 정하여 각 출력부의 전원 차단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개별 콘센트마다 대기전력 차단을 제어할 수 있어, 대기전력 차단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격 설치된 각 콘센트를 무선 연결된 허브에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각 콘센트별로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밖에도, 실시간으로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동기를 부여하여 전력 낭비를 방지하며, 결과적으로 전력 사용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콘센트의 평면도 및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허브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 및 도 2b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콘센트(100)의 평면도 및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은 2 이상의 콘센트(100)와 이를 제어하는 허브(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센트(100)와 허브(200)는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한다.
각각의 콘센트(100)는 콘센트부(10)와 제어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부(10)는 도 2a에서 보듯이, 2개 이상의 출력부(11)를 갖는다. 각각의 출력부(11)에 구비된 출력단자(12)에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되고, 각 출력부(11)의 입력단자(미도시)는 상용 전원의 입력 라인에 연결된다. 이때, 각각의 입력단자는 개별적으로 상용 전원에 연결되고, 각각의 출력부(11)가 도 2b의 (a)와 같이 서로 다른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출력부(11)마다 대기전력 차단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도 2b의 (b)에서 보듯이 하나의 제어부(20)가 서로 다른 출력부(11)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zigbee 통신 모듈(21), 릴레이 구동 모듈(22), 전력량 확인 모듈(23), 누전 확인 모듈(24)을 구비한다. 상기 zigbee 통신 모듈(21)은 허브(200)의 zigbee 통신 모듈(30)과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zigbee 통신 방식은 다른 통신 방식에 비해 저전력으로 구동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zigbee 통신 모듈(21) 자체가 중계기 역할을 하여 무선 매쉬 네트워킹이 가능하므로 허브(200)에서 이격된 콘센트(100)의 zigbee 통신 모듈(21)까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일반적인 건물 전체를 하나의 허브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22)은 실질적으로 출력부(11)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zigbee 통신 모듈(21)로부터 수신한 허브(200)(제어 모듈(40))의 제어 명령이나 콘센트(100) 제어부(20)의 전력량 확인 모듈(23)에 따라 출력부(11)의 스위치를 on/off 한다. 이때,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22)은 허브(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 이외에도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입력부(25)를 통해 직접 출력부(11)의 스위치를 on/off 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와 같이, 허브(200)의 제어 명령과 전력량 확인 모듈(23)의 제어, 수동 입력부(25)의 조작을 통해 출력부(11)의 스위치를 on/off 시키는 것 이외에도, 본 시스템에서는 출력부(11)가 특정 전력량 즉, 대기전력량 이하의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 전자기기의 off를 감지하여 스위치를 off 시키는 "절전상태"와 전자기기의 on/off에 관계없이 상용 전력을 제공하는 "사용상태"를 제어하도록 출력부(11)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 입력부(25)를 우측으로 움직이면 버튼의 좌측으로 초록 색상이 표시되도록 하여 "절전상태" 즉, 사용 전력이 대기전력이 이하일 경우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설정된 상태임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고, 수동 입력부(25)를 좌측으로 움직이면 버튼의 우측으로 붉은 색상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상태" 즉, 대기전력 차단을 위하여 스위치가 자동 on/off 되지 않는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동 입력부(25)에 의한 스위치의 제어는 후술하는 허브(200)의 제어 명령에 의한 스위치의 제어와 우선순위가 설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허브(200)에 설정된 제어 명령을 바꾸지 않고서 수동으로 개별 출력부(11)의 스위치를 on/off 시키거나 출력부(11)의 "절전/사용상태"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력량 확인 모듈(23)은 전원 회로에 직렬로 접속되어 전원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확인한다. 상기 개별 전원이 연결된 각 출력부(11)의 사용 전력량을 계산하며, 누전 확인 모듈(24)은 각 출력부(11)의 누전 여부를 체크하는데, 전력량 정보와 누전 정보는 zigbee 통신 모듈(21)을 통해 상기 허브(200)로 전송된다. 이때, 일시적인 누전, 서지가 감지되면 연결된 전자기기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허브(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릴레이 구동 모듈(22)이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누전 확인 모듈(24)이 직접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22)을 작동시켜 스위치를 off 할 수도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허브(200)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허브(200)는 zigbee 통신 모듈(30), 제어 모듈(40), 전력량 표시 모듈(50)을 구비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zigbee 통신 모듈(30)을 통해 각각의 콘센트(10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허브(200)에는 각 콘센트(100)의 전력량 정보, 누전 정보가 수신되며, 상기 제어 모듈(40)은 상기 전력량 정보로부터 대기전력 차단 여부를 판단하여 콘센트(100)의 각 제어부(20)에 스위치 on/off 명령을 송신한다. 이때, 상기 대기전력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량 확인 모듈(23)에서 감지된 전류가 설정된 대기전력값 보다 높으면, 릴레이 구동 모듈(22)을 작동시켜 스위치를 off 시킴으로써 전원 회로를 차단시킨다.
위와 같이, 상기 허브(200)의 제어 모듈(40)에서 직접 대기전력이 발생하는지 파악하여 스위치 on/off를 직접 제어하거나 상기 콘센트(100) 출력단의 "절전상태" 또는 "사용상태"만을 제어하도록 하고, "절전상태"인 경우 상기 콘센트(100)의 전력량 확인 모듈(23)에서 확인되는 전력과 설정된 대기전력을 비교하여 릴레이 구동 모듈(22)을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허브(200)의 제어 모듈(40)에서 모든 콘센트(100)의 대기전력 발생 여부를 파악하여 스위치 on/off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일부 콘센트(100)에 대해서만 제어하고 나머지에 대해서는 각 콘센트(100)의 전력량 확인 모듈(23)에서 직접 제어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허브(200)의 전력량 표시 모듈(50)은 허브(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콘센트(100)로부터 수신한 전력량 정보, 누전 정보 등을 현시하여 사용자가 사용 전력량, 대기전력손실, 누전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용 전력량을 전기 요금 등으로 환산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별 제어 콘센트(100)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별 제어 콘센트(100)는 도 2a에서 보듯이 2개 이상의 출력부(11)를 갖는 콘센트부(10)와 각각의 출력부(11)를 제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는 도 2b의 (a)와 같이 출력부(11)마다 하나씩 구비되어 출력부(11)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도 2b의 (b)와 같이 하나의 제어부(20)가 2 이상의 출력부(1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출력부(11)마다 제어부(20)가 구비된 경우에도 릴레이 구동 모듈(22)이나 전력량 확인 모듈(23)과 같이 일부 구성만 각각에 구비되고 zigbee 통신 모듈(21)을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개별 제어 콘센트(100)는 콘센트부(10)의 배면으로 콘센트 본체가 돌출되어 있어, 이 부분이 벽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제어부(20)는 홈에 삽입되지 않고, 콘센트(100)의 전면과 함께 벽면에 돌출 설치된다. 따라서, 콘센트부(10)의 전면과 제어부(20)의 전면이 하나의 박판면으로 연결되는 것이 외관상 바람직하며, 수동 입력부(25)는 각 출력부(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콘센트(100)에는 리셋 입력부(26)가 구비되어 있어, 이를 수동 조작 또는 허브(200)에서 원격 조작함으로써 콘센트(100)의 모든 설정을 초기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허브(200)를 통해 여러 곳의 콘센트(100)와 이에 설치된 출력부(11)를 개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콘센트(100)의 서로 다른 출력부(11)에 연결된 전자기기가 반드시 동시에 꺼지거나 켜진 상태가 아니라도 효율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사무실과 같이 일정 시간 동안 전력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된 본 시스템은 허브(200)의 입력 모듈을 통해 전력차단 시간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off 시킴으로써 기계가 on 상태인 채로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냉장시설과 같이 퇴근 시간 이후에도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야하는 기기는 허브(200)에서 별도로 설정을 하거나 콘센트(100)에 구비된 수동 입력부(25)를 통하여 "사용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모든 콘센트(100)와 허브(200)가 zigbee 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무선으로 상기 콘센트(100)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콘센트(100)에 설치된 출력부(11)마다 별도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어, 시스템 사용의 편의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10 콘센트부 11 출력부 12 출력단자
20 제어부 21 zigbee 통신 모듈 22 릴레이 구동 모듈
23 전력량 확인 모듈 24 누전 확인 모듈
30 zigbee 통신 모듈 40 제어 모듈 50 전력량 표시 모듈
100 콘센트 200 허브

Claims (4)

  1. 2 이상의 콘센트(100);와 각 콘센트(1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허브(200)로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센트(100)는 2 이상의 출력부(11)와 상기 출력부(1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어부(20)를 구비하며,
    상기 2 이상의 출력부(11)의 입력 단자는 상용 전원의 서로 다른 입력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허브(200)와 zigbee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zigbee 통신 모듈(21); 상용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전원 회로를 개방하거나 연결하는 릴레이 구동 모듈(22);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22)과 직렬로 연결되고, 현재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량 확인 모듈(23);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22)과 직렬로 연결되고,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설정된 과전류치 이상이면 릴레이 구동 모듈(22)을 작동시켜 전원 회로를 차단하는 누전 확인 모듈(24);을 포함하고,
    상기 허브(200)는 상기 콘센트(100)와 zigbee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zigbee 통신 모듈(30); 상기 zigbee 통신 모듈(30)을 통해 수신한 출력부(11)의 전력량 정보와 기 설정된 대기전력치를 비교하여 전력량이 대기전력치 이하이면 전원회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22)을 작동시키는 제어 모듈(40); 상기 zigbee 통신 모듈(30)을 통해 수신한 출력부(11)의 전력량 정보와 누전 정보 및 환산된 요금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현시하는 전력량 표시 모듈(50);을 포함하여
    허브(200)에서 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100)의 출력부(11)마다 대기전력을 별개로 제어하는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2. 2 이상의 콘센트(100);와 각 콘센트(1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허브(200)로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센트(100)는 2 이상의 출력부(11)와 상기 출력부(1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어부(20)를 구비하며,
    상기 2 이상의 출력부(11)의 입력 단자는 상용 전원의 서로 다른 입력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허브(200)와 zigbee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zigbee 통신 모듈(21); 상용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전원 회로를 개방하거나 연결하는 릴레이 구동 모듈(22);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22)과 직렬로 연결되고, 현재 전력량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대기전력치 이하이면 전원회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22)을 작동시키는 전력량 확인 모듈(23);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22)과 직렬로 연결되고,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설정된 과전류치 이상이면 릴레이 구동 모듈(22)을 작동시켜 전원 회로를 차단하는 누전 확인 모듈(24);을 포함하고,
    상기 허브(200)는 상기 콘센트(100)와 zigbee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zigbee 통신 모듈(30); 상기 전력량 확인 모듈(23)이 전력량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대기전력치 이하이면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22)을 작동시키는 "절전상태"로 설정되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 모듈(40); 상기 zigbee 통신 모듈(30)을 통해 수신한 출력부(11)의 전력량 정보와 누전 정보 및 환산된 요금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현시하는 전력량 표시 모듈(50);을 포함하는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100)에는 각각의 출력부(11)에 연결된 수동 입력부(25)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릴레이 구동 모듈(22)이 전원 회로를 차단하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전력량 확인 모듈(23)을 "절전상태"로 설정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200)에는 입력 모듈이 구비되어 있어, 실시간 또는 시간을 정하여 각 출력부(11)의 전원 차단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KR1020100030433A 2010-04-02 2010-04-02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KR20110111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433A KR20110111050A (ko) 2010-04-02 2010-04-02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433A KR20110111050A (ko) 2010-04-02 2010-04-02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050A true KR20110111050A (ko) 2011-10-10

Family

ID=4502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433A KR20110111050A (ko) 2010-04-02 2010-04-02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105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276B1 (ko) * 2011-06-27 2013-02-12 (주)이지정보기술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KR101361618B1 (ko) * 2012-09-07 2014-02-14 김경수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멀티 탭
WO2016072795A3 (ko) * 2014-11-07 2016-06-23 주식회사 미로 콘센트
CN106450958A (zh) * 2016-10-31 2017-02-22 深圳市领耀东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电量采集计算模块的电源线插头
CN108022491A (zh) * 2017-12-27 2018-05-11 国家电网公司 节能体验装置、节能体验台
KR102106079B1 (ko) * 2019-09-17 2020-04-29 조현희 대기전력 차단 전기공사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276B1 (ko) * 2011-06-27 2013-02-12 (주)이지정보기술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KR101361618B1 (ko) * 2012-09-07 2014-02-14 김경수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멀티 탭
WO2016072795A3 (ko) * 2014-11-07 2016-06-23 주식회사 미로 콘센트
CN106450958A (zh) * 2016-10-31 2017-02-22 深圳市领耀东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电量采集计算模块的电源线插头
CN108022491A (zh) * 2017-12-27 2018-05-11 国家电网公司 节能体验装置、节能体验台
CN108022491B (zh) * 2017-12-27 2024-04-09 国家电网公司 节能体验装置、节能体验台
KR102106079B1 (ko) * 2019-09-17 2020-04-29 조현희 대기전력 차단 전기공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9316B1 (en) Power saver controller
US20100283329A1 (en) Green consent
KR20110111050A (ko)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US20080140565A1 (en) Intelligent power port
KR101035127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KR101685062B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매입형 콘센트
KR100909598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및 소비전력 표시장치
KR20130125184A (ko) 스마트그리드 지원 지능형 절전콘센트
MX2014012571A (es) Un dispositivo de control electrico programable.
MX2010014507A (es) Circuito de energia controlado por condicion de carga.
KR20150111813A (ko)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CN102495558B (zh) 一种利用射频通讯实现遥控用电设备开/关的方法
KR20170128802A (ko) 개별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JP2003235119A (ja) 配電装置
CN104577804A (zh) 智能配电箱及其控制方法
KR20080112781A (ko) 타임설정이 가능한 그린 콘센트
KR20210053146A (ko) 분배 제어 장치
CN204376254U (zh) 智能配电箱
KR101095439B1 (ko) 스마트전력제어시스템
JP2010136490A (ja) 通電制御装置
KR20110017949A (ko)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TWI524621B (zh) 電源管理系統及其控制方法
KR101515131B1 (ko) 적응적 전력 공급 시스템 및 그 변압기
KR101063438B1 (ko) 대기전력 절감형 멀티콘센트
KR20160041027A (ko)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