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146A - 분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분배 제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3146A KR20210053146A KR1020200048906A KR20200048906A KR20210053146A KR 20210053146 A KR20210053146 A KR 20210053146A KR 1020200048906 A KR1020200048906 A KR 1020200048906A KR 20200048906 A KR20200048906 A KR 20200048906A KR 20210053146 A KR20210053146 A KR 202100531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outlet
- control unit
- operation control
- distribution cont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배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분배 제어 장치에 구비된 분배 제어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제어 장치의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21: 동작 제어부 22: 사용자 입력부
23: 저장부 24: 통신부
25: 정보 출력부 100, 1001, 1002: 전기 분배기
211, 212: 스위칭부 221, 222: 전류 감지부
231, 232: 전압 감지부 311: 플러그 삽입구
312: 플러그 삽입 감지부 200, 2001, 2002: 분배 제어기
300, 310, 320, 310a, 320a: 콘센트부
301, 301a: 콘센트 410: 전기전자제품
Claims (14)
- 전기 분배기와 콘센트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콘센트부로 인가되는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분배 제어기;
상기 콘센트부의 동작 모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분배 제어기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콘센트부의 동작 모드를 판정하고, 판정된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분배 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분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콘센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제어부
를 포함하는 분배 제어 장치. - 전기 분배기와 콘센트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콘센트부로 인가되는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분배 제어기; 및
상기 분배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콘센트부로부터 인가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수신 받으며,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콘센트부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이면 상기 분배 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분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콘센트부로 전달하고, 상기 콘센트부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분배 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콘센트부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 제어부
를 포함하는 분배 제어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수동 모드, 상시 모드 및 단전 모드를 포함하는 분배 제어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전원 공급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부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일 때,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치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분배 제어기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분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전기 분배기와 상기 콘센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분배 제어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의 동작 모드가 상시 모드일 때,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분배 제어기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분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전기 분배기와 상기 콘센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분배 제어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의 동작 모드가 단전 모드일 때,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분배 제어기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분배 제어기의 동작을 중지시켜 상기 전기 분배기와 상기 콘센트부를 전기적으로 단절시켜, 상기 콘센트부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을 중지시키는 분배 제어 장치. -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제어기는 상기 동작 제어부와 상기 전기 분배기에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콘센트부에 타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동작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분배 제어 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콘센트부의 소비 전력량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 제어기는 상기 전기 분배기와 상기 콘센트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부의 소비 전류에 따른 전류 감지 신호를 상기 동작 제어부로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 신호에 의해 감지된 현재 소비 전류가 상기 허용 소비 전류량을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차단하는 분배 제어 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제어기는 상기 콘센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부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압 감지 신호를 상기 동작 제어부로 출력하는 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 신호와 상기 전압 감지 신호에 의해 감지된 현재 소비 전류와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소비 전력량을 판단하는 분배 제어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콘센트의 허용 총 소비 전력량을 추가로 저장하고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소비 전력량을 이용하여 판단된 총 소비 전력량이 상기 허용 총 소비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차단하는 분배 제어 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허용 소비 전기량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허용 소비 전기량 설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부의 동작 모드와 허용 소비 전기량을 설정하는 분배 제어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동작 모드 설정 신호를 상기 동작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 설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부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분배 제어 장치.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콘센트부의 허용 총 소비 전력량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 제어기는,
상기 콘센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부의 소비 전류에 따른 전류 감지 신호를 상기 동작 제어부로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콘센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부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압 감지 신호를 상기 동작 제어부로 출력하는 전압 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 신호와 상기 전압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소비 전력량을 판단하고, 상기 소비 전력량을 이용하여 판단된 총 소비 전력량이 상기 허용 총 소비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분배 제어기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부로의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분배 제어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콘센트부의 동작 모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동작 모드가 단전 모드이고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콘센트부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이면, 상기 분배 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콘센트부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분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8959 | 2019-11-01 | ||
KR20190138959 | 2019-11-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3146A true KR20210053146A (ko) | 2021-05-11 |
KR102502019B1 KR102502019B1 (ko) | 2023-02-22 |
Family
ID=759149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8901A Active KR102476696B1 (ko) | 2019-11-01 | 2020-04-22 | 콘센트 장치 |
KR1020200048906A Active KR102502019B1 (ko) | 2019-11-01 | 2020-04-22 | 분배 제어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8901A Active KR102476696B1 (ko) | 2019-11-01 | 2020-04-22 | 콘센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47669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4153B1 (ko) * | 2022-02-11 | 2023-01-04 |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공동주택 전기의 자동 통합 관리 시스템 |
KR102655649B1 (ko) * | 2023-04-24 | 2024-04-08 | 주식회사 병오씨엠엔지니어링 |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케이블 보호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9530A (ko) * | 2009-07-22 | 2011-01-28 | (주)참소리전자통신 | 소비전력 감지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 |
KR20110108184A (ko) * | 2010-03-26 | 2011-10-05 | 제천시 |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
KR101183617B1 (ko) | 2012-02-02 | 2012-09-18 | 주식회사 위너스 |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
KR20170038982A (ko) * | 2015-09-30 | 2017-04-10 |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 콘센트 전원 공급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49466A1 (en) * | 2011-08-30 | 2013-02-28 | General Electric Company | Programmable power management system |
US9703342B2 (en) * | 2012-02-10 | 2017-07-11 | Server Technology, Inc. |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plurality of linked power distribution units in which configuration data of the linked power distribution units are accessible by the remote system |
-
2020
- 2020-04-22 KR KR1020200048901A patent/KR102476696B1/ko active Active
- 2020-04-22 KR KR1020200048906A patent/KR10250201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9530A (ko) * | 2009-07-22 | 2011-01-28 | (주)참소리전자통신 | 소비전력 감지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 |
KR20110108184A (ko) * | 2010-03-26 | 2011-10-05 | 제천시 |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
KR101183617B1 (ko) | 2012-02-02 | 2012-09-18 | 주식회사 위너스 |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
KR20170038982A (ko) * | 2015-09-30 | 2017-04-10 |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 콘센트 전원 공급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6696B1 (ko) | 2022-12-14 |
KR20210053145A (ko) | 2021-05-11 |
KR102502019B1 (ko) | 2023-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6047B1 (ko) |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 |
US7843081B2 (en) | Power-controllable outlet receptacle | |
KR101064310B1 (ko) | 화재예방 단자함 | |
US20070247134A1 (en) | Control Apparatus | |
KR100980626B1 (ko) |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 |
KR101871878B1 (ko) |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에 의한 유에스비 소켓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502019B1 (ko) | 분배 제어 장치 | |
JP4938356B2 (ja) | 電力供給システム | |
KR20150137429A (ko) | 멀티 콘센트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183884B1 (ko) | 무선 전력 모니터링 콘센트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 |
KR20180024449A (ko) |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누전차단 시스템 | |
KR101433710B1 (ko) | 절전 기능을 갖는 멀티 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080112781A (ko) | 타임설정이 가능한 그린 콘센트 | |
KR20110017949A (ko) |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 |
KR100996834B1 (ko) |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 | |
KR20160028893A (ko) |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 |
KR101200192B1 (ko) | 절전형 멀티탭 및 상기 멀티탭의 운용방법 | |
KR20150005345A (ko) | 전력 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 |
CN217824718U (zh) | 免接地装置以及储能设备 | |
KR102455053B1 (ko) | 스마트 누전 차단기 | |
KR20160019821A (ko) |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가진 멀티탭 및 이의 대기전력 차단방법 | |
KR20140126934A (ko) | 절전 지능형 멀티콘센트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20180024446A (ko) |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력사용량 모니터링 시스템 | |
KR20180003964A (ko) | 스마트 전원 단자함 | |
KR20180024433A (ko) | 스마트 멀티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7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