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860B1 -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860B1
KR102273860B1 KR1020200096172A KR20200096172A KR102273860B1 KR 102273860 B1 KR102273860 B1 KR 102273860B1 KR 1020200096172 A KR1020200096172 A KR 1020200096172A KR 20200096172 A KR20200096172 A KR 20200096172A KR 102273860 B1 KR102273860 B1 KR 10227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ndby power
unit
load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화
유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Priority to KR102020009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콘센트로 입력되는 상시전원이 분기되는 전원 분기부; 부하의 플러그가 결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 상기 전원 분기부에서 분기된 상시전원을 입력받아 복수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각각 온(ON)/오프(OFF)되게 배선되는 릴레이부; 및 상기 전원 분기부에서 분기된 상시전원을 입력받아 대기전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공급하는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을 포함하여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에 각각 삽입되는 부하의 전력 사용패턴을 파악하여 상시전원을 공급하기도 하고 대기전력을 최소화하는 전원을 공급하기도 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SOCKET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사용패턴을 파악하여 복수의 콘센트구를 대기전력차단모드 또는 상시전력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대기전력이란 전자제품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실제기능을 수행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콘센트에 전원케이블이 꽂혀 있는 상태로 소비되는 전력을 말한다.
일반 가정에서 거의 대부분이 사용하는 전력의 10% 정도를 대기전력으로 소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소모되는 대기전력만 아껴도 전기세의 상당부분을 절감할 수 있어, 많은 업체들이 이미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콘센트를 개발하여 상품으로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 중 어느 하나 즉, 대기전력 차단 설정 패널이 형성된 우측 삽입구만 설정에 의해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또는 해제되어 상시전원으로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도 1의 설정 패널을 조작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콘센트에 가전제품을 연결하고, 설정패널의 '대기/켜짐' 버튼을 눌러 '자동' 램프가 켜지면 가전제품의 전원을 끈 후, '설정' 버튼을 3초간 누른다.
이후, 상기 사용자는 '수동' 및 '자동' 램프가 동시에 깜빡이면 '설정'버튼에서 손을 뗀 다음 '자동' 램프가 켜짐 상태가 됨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설정을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연결되는 가전제품이 바뀔 때 마다 대기전력을 재설정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종래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복수의 삽입구 중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삽입구의 개수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콘센트 배면의 배선구조를 변경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8035호(2011. 07. 04)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각각에 독립적으로 상시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배선하고, 동시에 대기전력 발생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대기전력 발생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배선하여,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되는 부하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상시전원을 공급하거나, 대기전력을 최소화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콘센트로 입력되는 상시전원이 분기되는 전원 분기부; 부하의 플러그가 결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 상기 전원 분기부에서 분기된 상시전원을 입력받아 복수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각각 온(ON)/오프(OFF)되게 배선되는 릴레이부; 상기 전원 분기부에서 분기된 상시전원을 입력받아 대기전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공급하는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 및 상기 근거리 통신과 원거리 통신이 모두 가능하여 주변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와 근거리 통신을 하고 외부 사용자 단말기와 원거리 통신을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의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은 상기 전원 분기부에서 분기되어 전달되는 상시전원을 수신하는 상시전원 수신부;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감시하면서 플러그 체결여부, 전력사용 여부 또는 부하 변동여부를 감시하는 삽입구 감시부; 상기 삽입구 감시부로부터 감시정보를 수신하여 부하의 특성을 파악하는 주제어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부하의 전력사용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 및 상기 주제어부가 파악한 부하의 특성에 따라 상기 상시전원 대신 대기전력을 차단하면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기전력 제로전원 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의 주제어부는 상기 시간 측정부가 측정한 시간정보와 상기 삽입구 감시부의 감시정보를 반영하여 부하의 전력사용 시간이 소정 기간 연속되면 부하가 대기전력 없이 지속적으로 상시전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특성을 파악하고 상기 릴레이부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연결을 유지시키고, 상기 시간 측정부가 측정한 시간정보와 상기 삽입구 감시부의 감시정보를 반영하여 부하의 전력사용 시간이 소정 시간단위로 불연속적이면 대기전력이 발생하는 부하로 특성을 파악하고, 상기 릴레이부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대기전력 제로전원 분배부로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에 각각 삽입되는 부하의 전력 사용패턴을 파악하여 상시전원을 공급하기도 하고 대기전력을 최소화하는 전원을 공급하기도 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가 연결되는 부하에 따라 상시전원 공급 플러그 삽입구, 또는 대기전력 차단 플러그 삽입구로 전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의 배선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의 배선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의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의 배선구조를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전원 분기부(100), 릴레이부(200),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300), 및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분기부(100)는 콘센트로 입력되는 상시전원을 분기시켜 일부는 릴레이부(200)로 입력되도록 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로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릴레이부(200)는 상기 상시전원과 연결되어 입력되는 상시전원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로 입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릴레이부(200)는 복수의 스위칭 단자가 형성되어 각 스위칭 단자에서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300) 각각에 독립적으로 배선되고,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의 제어를 받아 스위칭 단자가 온(ON) 오프(OFF) 된다.
한편, 상기 릴레이부(200)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는 상시전원 공급선으로 배선되어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의 제어를 받아 부하에 따라 상기 상시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된다.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은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300)를 감시하면서 해당 플러그 삽입구(300)에 삽입된 전자제품이 부하의 전력사용시간을 측정하여 상시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대기전력 차단전원을 공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시전원 수신부(410), 삽입구 감시부(420), 시간 측정부(430), 주제어부(440), 대기전력 제로전원 분배부(450) 및 통신부(460)를 포함한다.
상기 상시전원 수신부(410)는 상기 전원 분기부(100)에서 분기되어 입력되는 상시전원을 수신한다.
상기 삽입구 감시부(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의 감시선으로 복수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 각각을 독립적으로 감시하면서, 연결된 부하의 온(ON)/오프(OFF) 상태, 플러그 체결정보, 사용되는 전원정보, 대기정보 부하변동 여부 등을 감시하여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의 주제어부(440)에 전달한다.
상기 주제어부(440)는 상기 삽입구 감시부(42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전류정보와 함께 상기 시간 측정부(430)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주제어부(440)는 부하에서 사용되는 사용전류가 상기 시간 측정부(430)의 측정에 따라 소정일자(시간 예를 들어 1일(24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부하가 대기전력 없이 전력을 계속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주제어부(440)는 상기 릴레이부(200)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로 연결되는 상시전원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참고로,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300)는 우선적으로 상기 릴레이부(200)와 연결되어 상시전원을 공급받도록 상시전원 공급선에 의해 배선되어 있다.
이때, 상기 주제어부(440)는 부하에서 사용되는 사용전류가 상기 시간 측정부(430)의 측정에 따라 소정시간, 예를 들어 24시간 이하에서 사용전원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 중간에 대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이 높은 부하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시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부(200)를 제어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이후, 상기 주제어부(440)는 상시전원 수신부(410)를 통해 입력된 상시전원을 도 2의 녹색 전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대기전력 제로전원 분배부(450)를 통해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300) 각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상기 삽입구 감시부(420)를 통해 부하가 사용하는 사용전원에 잦은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을 통해 분배되는 대기전력 제로전원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에 공급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상기 삽입구 감시부(420)를 통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에 플러그의 삽입과 인출이 이루어져 부하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다시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가 상기 릴레이부(200)로 배선되어 처음에는 상시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간 측정부(430)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구 감시부(420)를 감시하면서 부하가 연결되어 전원사용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면 상기 주제어부(440)의 제어를 받아 부하의 전원사용시간을 측정한다.
상기 대기전력 제로전원 분배부(450)는 상기 주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부하의 전원사용 여부를 바로 바로 감지하여 상기 삽입구 감시부(420)로 공급되는 전원을 바로 차단하고 차단 해제한다.
즉, 상기 대기전력 제로전원 분배부(450)는 부하의 전력사용시에는 전원을 공급하고, 부하의 전력 미사용시에는 전원을 차단한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플러그 삽입구(300)가 두 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삽입구(300)가 네 개인 것으로 실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그 이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460)는 IoT 통신, NFC 통신, 와이파이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한다.
특히, 상기 통신부(460)는 IoT 통신, NFC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과 와이파이 통신, 인터넷 통신과 같은 원거리 통신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은 통신부(460)를 통해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여 시간 측정부(430)가 측정하는 측정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삽입구 감시부(420)가 감시하는 전류, 전압, 역률, 전력과 같은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콘센트와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는 어플 연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대기전력 콘센트 제어와 관련된 어플을 단말기에 설치한 후, 실행하여 대기전력 콘센트를 제어하고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 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은 주변의 다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여 대기전력으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량 정보 등을 상호 공유할 수 있다.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은 근거리 통신과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460)를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주변 대기전력 콘센트와 통신하여 대기전력 발생정보를 공유하면서, 원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에 자신의 대기전력 발생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 대기전력 콘센트의 대기전력 발생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대기전력 콘센트는 원거리 통신에 장애가 발생하여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근접하게 위치한 다른 대기전력 콘센트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대기전력 정보를 전달하여 공유함으로써, 다른 대기전력 콘센트의 원거리 통신을 통해 대기전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를 비롯한 외부 단말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에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가 A, B, C, 및 D로 4개가 구비되어 있고, A에는 김치냉장고, B에는 세탁기, C에는 TV, 및 D에는 냉장고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 A, B, C, 및 D는 처음 상기 릴레이부(200)와 배선되어 상시전원을 인가 받는다.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의 삽입구 감시부(420)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 A, B, C, 및 D를 감시한다.
김치냉장고와 냉장고의 플러그가 꽂혀진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 A와 D에서 계속해서 일정범위의 전원사용이 이루어져 상기 삽입구 감시부(420)는 부하의 변동을 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주제어부(440)는 상기 릴레이부(200)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 A와 D로 연결되는 상시전원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하지만, 세탁기와 TV의 플러그가 꽂혀진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 B와 C에서 24시간 내에 전원이 꺼지게 되어 상기 삽입구 감시부(420)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 B와 C에서 발생하는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 주제어부(440)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 B와 C에서 상기 릴레이부(200)로 연결되는 배선을 오프(OFF)시키고, 대기전력을 감지하여 바로 바로 차단하는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400)의 대기전력 제로전원 분배부(4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플러그 삽입구(300) B와 C 중, 어느 하나에 플러그가 교체되어 부하가 변동되는 경우 해당 플러그 삽입구(300)는 처음에 상기 릴레이부(200)로부터 상시전원을 공급받고, 변동된 부하가 냉장고와 같이 장시간 일정범위의 전원사용을 하는 부하인 경우 계속해서 상기 릴레이부(200)로부터 상시전원을 인가 받는다.
반면, 부하가 변동되는 경우 해당 플러그 삽입구(300)는 변동된 부가가 소정 시간단위로 전원이 온(ON)/오프(OFF)되는 부하인 경우 상기 릴레이부(200)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자동차단 모듈(400)의 대기전력 제로전원 분배부(45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전원 분기부
200 : 릴레이부
300 : 플러그 삽입구
400 :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
410 : 상시전원 수신부
420 : 삽입구 감시부
430 : 시간 측정부
440 : 주제어부
450 : 대기전력 제로전원 분배부
460 : 통신부

Claims (6)

  1. 콘센트로 입력되는 상시전원이 분기되는 전원 분기부;
    부하의 플러그가 결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
    상기 전원 분기부에서 분기된 상시전원을 입력받아 복수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각각 온(ON)/오프(OFF)되게 배선되는 릴레이부; 및
    상기 전원 분기부에서 분기된 상시전원을 입력받아 대기전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공급하는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모듈은
    상기 전원 분기부에서 분기되어 전달되는 상시전원을 수신하는 상시전원 수신부;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감시하면서 플러그 체결여부, 전력사용 여부 또는 부하 변동여부를 감시하는 삽입구 감시부;
    상기 삽입구 감시부로부터 감시정보를 수신하여 부하의 특성을 파악하는 주제어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부하의 전력사용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
    상기 주제어부가 파악한 부하의 특성에 따라 상기 상시전원 대신 대기전력을 차단하면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기전력 제로전원 분배부; 및
    근거리 통신과 원거리 통신이 모두 가능하여 주변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와 근거리 통신을 하고 외부 사용자 단말기와 원거리 통신을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주변 대기전력 콘센트와 통신하여 대기전력 발생정보를 공유하면서, 원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에 자신의 대기전력 발생정보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획득한 주변 대기전력 콘센트의 대기전력 발생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시간 측정부가 측정한 시간정보와 상기 삽입구 감시부의 감시정보를 반영하여 부하의 전력사용 시간이 소정 기간 연속되면 부하가 대기전력 없이 지속적으로 상시전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특성을 파악하고 상기 릴레이부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시간 측정부가 측정한 시간정보와 상기 삽입구 감시부의 감시정보를 반영하여 부하의 전력사용 시간이 소정 시간단위로 불연속적이면 대기전력이 발생하는 부하로 특성을 파악하고, 상기 릴레이부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대기전력 제로전원 분배부로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6. 삭제
KR1020200096172A 2020-07-31 2020-07-31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KR10227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172A KR102273860B1 (ko) 2020-07-31 2020-07-31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172A KR102273860B1 (ko) 2020-07-31 2020-07-31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860B1 true KR102273860B1 (ko) 2021-07-06

Family

ID=7686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172A KR102273860B1 (ko) 2020-07-31 2020-07-31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86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0895A (ko) * 2009-05-07 2010-11-1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제어 및 소비전력측정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수행방법
KR101048035B1 (ko) 2010-02-19 2011-07-13 씨앤디아이(주)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제어기
KR20120040315A (ko) * 2010-10-19 2012-04-27 주식회사 비쥬드림 소비전력 패턴분석시스템용 지능형 콘센트
KR20120058284A (ko) * 2010-11-29 2012-06-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콘센트 및 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20160137424A (ko) * 2016-05-20 2016-11-30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
KR20170128802A (ko) * 2016-05-16 2017-11-24 (주)굿엠 개별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20190090368A (ko) * 2019-07-11 2019-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적 가전 제어 방법, 가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지능형 컴퓨팅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0895A (ko) * 2009-05-07 2010-11-1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제어 및 소비전력측정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수행방법
KR101048035B1 (ko) 2010-02-19 2011-07-13 씨앤디아이(주)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제어기
KR20120040315A (ko) * 2010-10-19 2012-04-27 주식회사 비쥬드림 소비전력 패턴분석시스템용 지능형 콘센트
KR20120058284A (ko) * 2010-11-29 2012-06-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콘센트 및 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20170128802A (ko) * 2016-05-16 2017-11-24 (주)굿엠 개별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20160137424A (ko) * 2016-05-20 2016-11-30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
KR20190090368A (ko) * 2019-07-11 2019-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적 가전 제어 방법, 가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지능형 컴퓨팅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21461B2 (en) Power-controllable outlet receptacle
CN101208840B (zh) 电力可控的插座
JP6246186B2 (ja) プログラム可能な電気制御装置
US20070247134A1 (en) Control Apparatus
AU2015306067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CN105531887A (zh) 电子设备的操作控制装置
KR20160134476A (ko) 모듈형 스마트 멀티 콘센트 원격 제어 시스템
US11289863B2 (en) Smart adapter
KR20110002269A (ko) 절전형 멀티 탭 및 그 제어 시스템
US20140203638A1 (en) Electrical outlet having wireless control capabilities
KR102273860B1 (ko)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KR102502019B1 (ko) 분배 제어 장치
KR101479659B1 (ko)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멀티탭을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 되는 멀티탭
KR101264062B1 (ko) Ip 분배용 자동 제어 멀티탭, 그리고 이를 장착한 ip 분배용 멀티 콘센트 일체형 책상 및 개인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KR102239636B1 (ko)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CN112310753B (zh) 一种智能插座、智能插座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10368314B2 (en) Wireless control system
JP2015023456A (ja) 制御可能コンセントおよび消費電力管理システム
KR101123684B1 (ko) 대기전력/과부하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과부하 차단방법
KR101830642B1 (ko) 조명분전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KR20180092703A (ko)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CN205029119U (zh) 一种插座和插头
US20220407312A1 (en) Utility power distribution branch management system
TWM600494U (zh) 智慧型插座
KR20190063981A (ko) 멀티 콘센트의 부하전력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