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813A -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813A
KR20150111813A KR1020140134355A KR20140134355A KR20150111813A KR 20150111813 A KR20150111813 A KR 20150111813A KR 1020140134355 A KR1020140134355 A KR 1020140134355A KR 20140134355 A KR20140134355 A KR 20140134355A KR 20150111813 A KR20150111813 A KR 20150111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wer
electronic
in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출
Original Assignee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EP15768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25374B1/en
Priority to CN201580001748.6A priority patent/CN105531887B/zh
Priority to US14/913,128 priority patent/US10019051B2/en
Priority to JP2016533267A priority patent/JP6243029B2/ja
Priority to PCT/KR2015/002036 priority patent/WO2015147454A1/ko
Publication of KR20150111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power network being locally controll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6Programming the control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8Suspend and resume; Hibernate and awa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2Shutdow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5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power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13Household appliance in gener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는, 전자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어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와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계측부; 및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량에 관한 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를 오프 모드(Off m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기기의 전력 정보와 제품 정보를 제어기기에 전달하고 제어기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 컴퓨터, 오디오 등과 같은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콘센트(Socket), 또는 콘센트와 전자기기 사이에 연결되는 파워 어댑터(또는 Power Strip)에 부하 감지 회로 또는 전원 제어 회로를 내장하여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부하 감지 회로, 전원 제어 회로 등을 콘센트에 내장하는 경우에는 내장된 회로들로 인해 콘센트 사이즈가 커지거나, 수구가 줄어들어 전자기기별로 제어하는 것에 대한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파워 어댑터는 사용자에 의해 자유로이 분리 가능하다는 점에서 각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통제가 불가능하여 기존의 방법으로는 에너지 수요 관리 측면에서 그 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최근 미국, 영국 등은 가정 내 전자기기에 외부 통신 기능이 있는 스마트 미터기(Smart Meters)의 내장을 의무화하는 정책을 발표하였으며 한국 또한 2015년부터 에어컨에 스마트 미터 기능을 내장시켜야 제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전자기기의 가격 상승을 초래하게 되어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됨과 동시에, 기존의 전자기기의 주기술인 디지털 제어기술에 전력 제어기술을 추가하는 어려움이 많아 스마트 전자기기로 교체하는데 오랜 기간이 걸린다는 점에서 기후 변화 대응과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기 위한 상용화 정책으로서는 많은 제약을 안고 있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한 낙뢰 등의 외부 충격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고가의 스마트 전자기기의 손상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
나아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3786호 (2013.07.0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무실과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전력 정보와 제품 정보를 관리, 통제하기 위한 장치로서, 보다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보급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기기의 전력 정보와 제품 정보를 외부의 제어기기에 전달함으로써 소비 전력 절감 및 실시간 전력 수요 관리와 함께 사용자의 불편함이 없이도 피크 제어가 가능한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후 변화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낙뢰 등으로부터 고가의 스마트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저비용으로 쉽게 애프터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CT를 활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에 있어서 필수적이고, 더 나아가 스마트 그리드사업에 있어서 개별 전자기기의 전기사용을 실시간으로, 능동적으로 통제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와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플러그 또는 어댑터 타입의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계측부; 및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량에 관한 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를 오프 모드(Off m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종류, 제조 회사, 제조 날짜 및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온/오프 여부, 상기 전자기기가 작동 중인지 여부, 상기 전자기기의 기 설정된 복수 개의 작동 모드 중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의 종류,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이 시작되거나 종료된 시간 및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가 종료되기까지 남은 작동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이상 유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이상 원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를 상기 전자기기로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자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교류전원 라인; 상기 교류전원 라인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1 접지 라인;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라인;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라인; 및 상기 수신 라인 또는 상기 송신 라인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2 접지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자기기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전원 라인;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라인;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라인; 및 상기 직류전원 라인, 상기 수신 라인 또는 상기 송신 라인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3 접지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흐르는 서지(Surge)를 차단시키는 서지 보호기(Surge Protec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될 직류전원의 크기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직류전원의 크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될 직류전원의 값을 상기 직류전원의 크기정보에 따라 조정하는 DC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계측부에서 산출된 전력량 또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와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전기 소켓 타입의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계측부; 및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량에 관한 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를 오프 모드(Off m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종류, 제조 회사, 제조 날짜 및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온/오프 여부, 상기 전자기기가 작동 중인지 여부, 상기 전자기기의 기 설정된 복수 개의 작동 모드 중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의 종류,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이 시작되거나 종료된 시간 및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가 종료되기까지 남은 작동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이상 유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이상 원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부를 상기 전자기기로 연결시키는 상기 복수 개의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핀은, 상기 전자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교류전원 핀; 상기 교류전원 라인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1 접지 핀;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핀;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핀; 및 상기 수신 라인 또는 상기 송신 라인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2 접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핀은, 상기 전자기기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전원 핀;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핀;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핀; 및 상기 직류전원 라인, 상기 수신 라인 또는 상기 송신 라인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3 접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핀을 통해 흐르는 서지(Surge)를 차단시키는 서지 보호기(Surge Protec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될 직류전원의 크기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직류전원의 크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될 직류전원의 값을 상기 직류전원의 크기정보에 따라 조정하는 DC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계측부에서 산출된 전력량 또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에 관한 정보,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 및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제어기기로 송신하고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를 오프 모드(Off m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효율적인 전력 수요 관리 및 전력 피크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순환 정전과 블랙 아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진단정보를 제어기기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애프터 서비스를 위한 전자기기의 원격 진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시대에 중요한 노드(node)로서 자리잡을 수 있으며, 전 세계에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보급하는 측면에서도 그 효과가 매우 크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기기에 연결되거나 내장 또는 장착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를 통해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통신 대기 전력과 낭비 전력의 차단으로 인한 전기 절약과 함께 개별적인 전력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사용을 위해서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를 반드시 전원부에 삽입하거나 또는 전원 플러그, 어댑터 등을 통해 전원부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전력 관리 대상의 통제가 완전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력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해 스마트 전자기기 내에 전력 관리 회로를 추가할 필요가 없어져, 스마트 전자기기에 젼력 관리 회로를 내장시키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하고 스마트 전자기기의 교체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에너지 절약과 전력 피크 관리를 위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도입을 앞당기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간편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빠른 기간 내에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타입의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타입의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타입의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켓 타입의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켓 타입의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켓 타입의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켓 타입의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전자기기(150) 및 전원부(16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원 플러그일 수 있다. 전자기기(15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텔레비젼, 세탁기, PC, 냉장고, 노트북, 오디오, 조명 등이 될 수 있다. 전원부(160)는 전자기기(15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콘센트가 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전원부(16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기기(1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기(170)는 전자기기(150)에 공급되는 전력정보와 전자기기(150)의 제품정보(전자기기(150)의 식별정보, 상태정보 및 진단정보)를 원격으로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무선 스위치 등의 무선 단말이 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제어기기(17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기(170)는 중앙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의 근처(예를 들어, 반경 100m 이내)에는 게이트웨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기기(170)는 직접 또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기(170)는 예를 들어,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와 직접 무선 통신하거나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게이트웨이(미도시)와 무선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 지그비 통신 방식, 와이파이 통신 방식, 블루투스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전자기기(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의 케이블(112)은 통신부 및 전자기기(15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150)는 통신 포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케이블(112)은 상기 통신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12)에는 전자기기(150)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교류전원 라인(AC_L, AC_N ; 112-1, 112-2) 및 교류전원 라인(112-1, 112-2)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1 접지 라인(112-3)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12)에는 전자기기(15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신 라인(112-4), 송신 라인(112-5) 및 제 2 접지 라인(112-6)이 추가로 내장될 수 있다. 수신 라인(112-4)은 전자기기(150)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하며, 송신 라인(112-5)은 전자기기(150)로 각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접지 라인(112-6)은 수신 라인(112-4) 또는 송신 라인(112-5)을 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과 달리 통신 라인(112-4, 112-5, 112-6)을 추가적으로 내장하여 전자기기(15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12)은 전자기기(150)로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블(112)에는 전자기기(150)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전원 라인(112-7), 전자기기(15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신 라인(112-8), 송신 라인(112-9) 및 제 3 접지 라인(112-10)이 내장될 수 있다. 즉, 전원부(160)는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을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에 공급할 수 있으며, 케이블(112)은 전원 형태에 따라 위와 같은 복수 개의 라인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전자기기(150)로부터 전자기기(150)의 식별정보, 전자기기(150)의 상태정보 및 전자기기(150)의 진단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150)의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전자기기(150)의 종류, 제조 회사, 제조 날짜 및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50)의 상태정보는 예를 들어, 전자기기(150)의 전원 온/오프 여부, 전자기기(150)가 작동 중인지 여부, 전자기기(150)의 기 설정된 복수 개의 작동 모드 중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의 종류, 전자기기(150)의 작동이 시작되거나 종료된 시간 및 전자기기(150)의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가 종료되기까지 남은 작동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150)의 작동 모드는 전자기기(15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경우 출력되는 채널의 종류가 작동 모드일 수 있으며, 세탁기의 경우 세탁, 헹굼, 탈수 등의 작동 상태가 작동 모드일 수 있으며, 냉장고의 경우 배출되는 냉기의 온도가 작동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가 종료되기까지의 남은 시간은 예를 들어, 세탁기의 경우 “세탁” 작동 모드가 종료되기까지의 남은 시간(예를 들어, 20분)이 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150)의 작동 모드 각각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도록 미리 세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50)의 진단정보는 예를 들어, 전자기기(150)의 이상 유무 및 전자기기(150)의 이상 원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150)의 이상이란 전자기기(15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서, 전자기기(150)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부품 등)의 결함 또는 전자기기(150)에 내장된 소프트웨어(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등)의 오류 등으로 인해 전자기기(150)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 기준에서 벗어난 상태를 의미한다. 전자기기의 이상 원인이란 예를 들어, 결함이 발생된 하드웨어의 종류 또는 오류가 발생된 소프트웨어의 종류 등이 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전자기기(15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기(150)의 식별정보, 상태정보 및 진단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제어기기(17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어기기(170)를 통해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기기(170)를 통해 전자기기(150)의 종류(예를 들어, “세탁기”), 전자기기(150)의 작동 여부(예를 들어, “작동 중”), 전자기기(150)의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의 종류(예를 들어, “세탁”) 및 전자기기(150)의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가 종료되기까지 남은 작동 시간(예를 들어, “남은 시간 : 20분”)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어기기(170)를 통해 전자기기(150)의 이상 유무(예를 들어, “세탁기 이상 있음”) 및 전자기기(150)의 이상 원인(예를 들어, “세탁기의 세탁통 이상 있음”)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전자기기(150)의 작동(또는 동작)”이란 전자기기(150)가 그 목적에 맞게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경우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화면에 영상이 출력되는 상태, 세탁기의 경우 내부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도록 물이 배출되거나 세탁통이 움직이는 상태, 냉장고의 경우 내부의 음식물을 냉장시킬 수 있도록 특정 온도 이하의 냉기가 배출되는 상태, 오디오의 경우 음악을 출력하는 상태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 입력 방식, 터치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자기기(150)를 오프 모드(Off m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는 명령을 제어기기(17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기기(170)는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제어기기(170)로부터 제 1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제어 신호를 전자기기(150)로 송신함으로써 전자기기(150)를 오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오프 모드란 전자기기(150)가 작동을 중지하여 소정의 대기 전력만이 남아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50)가 에어컨이라 가정하였을 때, 오프 모드는 에어컨의 송풍이 중단된 상태일 수 있다. 오프 모드 상태에서 전자기기(150)에 공급되는 전력은 예를 들어, 0.5W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슬립 모드란 전자기기(150)가 현재 상태 또는 기 설정된 상태로 작동을 중지한 채, 작동 개시시 중지된 상태로 다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도록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50)가 노트북이라 가정하였을 때, 슬립 모드는 시스템 대기 모드일 수 있다.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기기(150)에 공급되는 전력은 예를 들어, 0.8W 이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기기(170)를 통해 전자기기(150)의 식별정보, 전자기기(150)의 상태정보, 및 후술할 전자기기(150)에 공급되는 전력량에 관한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전자기기(150)의 작동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효율적인 전력 수요 관리 및 전력 피크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순환 정전과 블랙 아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진단정보를 제어기기(170)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애프터 서비스를 위한 전자기기(170)의 원격 진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력량에 관한 정보를 제어기기(17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기기(170)를 통해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전력량(예를 들어, “20W”)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버튼 입력 방식, 터치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자기기(15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명령을 제어기기(17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기기(170)는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제어기기(170)로부터 제 2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15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전자기기(150)로의 전력 공급”이란 전자기기(150)가 작동할 수 있을 만큼의 전력을 공급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자기기(150)가 작동하고 있지는 않으나 전자기기(150)가 전원부(160)와 연결된 상태에서 소비되는 대기 전력량 만큼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전자기기(15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이란 전자기기(150)에 공급되는 모든 전력, 즉 대기 전력까지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의 외면에는 발광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114)는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전력량 또는 전자기기(150)의 상태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14)는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전력량이 50W 이상인 경우 푸른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전력량이 5W 이하인 경우 붉은 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14)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150)가 전원 온(ON) 상태로서 작동 중인 경우, 전자기기(150)가 전원 온 상태로서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경우, 전자기기(150)가 전원 오프(OFF) 상태인 경우 각각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의 외면에는 리셋 버튼(12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셋 버튼(120)을 눌러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계측부(102), 통신부(104), 제어부(106), 스위칭부(108), 케이블(112) 및 발광부(114)를 포함한다.
계측부(102)는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력량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150)의 실시간 전력 사용량, 일간 전력 사용량, 월간 전력 사용량 등이 될 수 있다. 계측부(102)는 예를 들어, 전자기기(150)에 공급되는 부하 전류 및 부하 전압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부하 전류와 부하 전압을 기반으로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부(114)는 계측부(102)에서 산출된 전력량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14)는 계측부(102)에서 산출된 전력량이 50W 이상인 경우 푸른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계측부(102)에서 산출된 전력량이 5W 이하인 경우 붉은 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발광부(114)를 통해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간편하게 알 수 있다.
통신부(104)는 전자기기(150) 및 제어기기(170)와 각종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04)는 전자기기(150)로부터 전자기기(150)의 식별정보, 전자기기(150)의 상태정보 및 전자기기(150)의 진단정보를 수신하며, 제어기기(170)로부터 수신한 제 1 제어 신호를 전자기기(15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04)는 케이블(112)을 통해 전자기기(150)의 통신 포트(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150)의 통신 포트는, 전자기기(150)의 작동을 제어하며 전자기기(150)의 이상 유무 및 이상 원인을 파악 및 분석하는 중앙 처리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처리부는 전자기기(150)의 제품정보(전자기기(150)의 식별정보, 상태정보 및 진단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에어컨 등과 같은 전기 다소비 전자기기(150)의 경우 전력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보다 1차적으로 오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작동 중지)시키는 것이 전력 피크 관리에 있어서 더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기기(150)의 경우 갑작스런 전력 공급의 차단은 전자기기(150)의 고장을 유발할 위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전자기기(15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자기기(150)를 오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통신부(104)는 전자기기(150)로부터 전자기기(150)의 식별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4)는 전자기기(150)의 식별정보 및 상태정보를 제어기기(17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어기기(170)를 통해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기기(170)를 통해 전자기기(150)의 종류(예를 들어, “세탁기”), 전자기기(150)의 작동 여부(예를 들어, “작동 중”), 전자기기(150)의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의 종류(예를 들어, “세탁”) 및 전자기기(150)의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가 종료되기까지 남은 작동 시간(예를 들어, “남은 시간 : 20분”)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기기(150)를 오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는 명령을 제어기기(17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기기(170)는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04)는 제어기기(170)로부터 제 1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부(104)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104)는 제 1 제어 신호를 전자기기(150)로 송신함으로써 전자기기(150)를 오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104)는 케이블(112)을 통해 제 1 제어 신호를 전자기기(150)로 송신할 수 있다. 케이블(112)은 전자기기(150)의 통신 포트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150)는 케이블(112)을 통해 수신한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오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50)가 세탁기인 경우, 세탁기는 통신부(104) 및 케이블(112)을 통해 수신한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등의 작동이 중지되어 오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기기(150)의 작동이 중지되어 오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될 뿐 전자기기(150)의 대기 전력까지 차단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기기(150)로의 대기 전력의 공급은 유지한 채 전자기기(150)를 오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갑작스런 전력 차단으로 인한 전자기기(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 피크 관리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04)를 통해 전자기기(150)로부터 전자기기(150)의 진단정보를 수신하여 제어기기(170)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기기(150)의 진단정보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는 전자기기(150)의 이상 유무 및 이상 원인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기기(150)의 이상 발생시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애프터 서비스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통신부(104)는 계측부(102)에서 산출된 전력량에 관한 정보를 제어기기(17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기기(170)를 통해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버튼 입력 방식, 터치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자기기(15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명령을 제어기기(17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기기(170)는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04)는 제어기기(170)로부터 제 2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06)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06)는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15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제어부(106)는 스위칭부(108)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108)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전자기기(15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스위칭부(108)는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160)와 연결되는 단자 핀(미도시)과 전원 라인(교류전원 라인(112-1, 112-2) 또는 직류전원 라인(112-7))의 접속을 기계적으로 온/오프시킨다. 스위칭부(108)가 단자 핀과 전원 라인(교류전원 라인(112-1, 112-2) 또는 직류전원 라인(112-7))과의 접속을 오프시키는 경우,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대기 전력까지 완전히 차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기기(150)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 외출시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원격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케이블(112)은 통신부(104) 및 전자기기(150)에 각각 연결되어 전자기기(150)로 전원을 공급하며 전자기기(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먼저, 케이블(112)은 교류전원을 전자기기(15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블(112)에는 전자기기(150)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교류전원 라인(AC_L, AC_N ; 112-1, 112-2) 및 교류전원 라인(112-1, 112-2)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1 접지 라인(112-3)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12)은 직류전원을 전자기기(150)로 공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케이블(112)에는 전자기기(150)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전원 라인(112-7) 및 직류전원 라인(112-7)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3 접지 라인(112-10)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12)은 전자기기(150)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블(112)에는 전자기기(1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라인(112-4, 112-8), 전자기기(150)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라인(112-5, 112-9), 및 수신 라인(112-4, 112-8) 또는 송신 라인(112-5, 112-9)을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 라인(제 2 접지 라인(112-6) 또는 제 3 접지 라인(112-10))이 추가로 내장될 수 있다.
수신 라인(112-4, 112-8)은 전자기기(150)로부터 전자기기(150)의 식별정보, 상태정보 및 진단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송신 라인(112-5, 112-9)은 제 1 제어 신호를 전자기기(15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라인(112-4, 112-8)은 전자기기(150)로부터 전자기기(150)의 식별정보, 전자기기(150)의 상태정보 및 전자기기(150)의 진단정보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케이블(112)을 통해 흐르는 서지를 차단시키는 서지 보호기(112a ; Surge Protec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지(Surge)란 전선 또는 전기 회로를 따라 전달되며 짧은 시간 급속히 증가하여 서서히 감소하는 특성을 지닌 전기적 전류, 전압 또는 전력의 과도 파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서지는 낙뢰 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지로 인해 건물 내부의 통신 시스템이나 전자기기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지 보호기(112a)를 통해 케이블(112)에 흐르는 서지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서지 보호기(112a)는 케이블(112)을 통해 순간적으로 흐르는 과전류 또는 과전압을 차단, 억제 또는 바이패스(bypass)시킬 수 있다. 서지 보호기(112a)는 케이블(112) 내의 각 라인과 연결될 수 있으며, 서지 보호기(112a)가 케이블(112)을 통해 흐르는 서지를 차단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지 보호기(112a)는 케이블(112)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일 때 이를 서지로 판단하여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낙뢰 등으로부터 전자기기(15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발광부(114)는 계측부(102)에서 산출된 전력량 또는 전자기기(150)의 상태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14)는 계측부(102)에서 산출된 전력량이 50W 이상인 경우 푸른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계측부(102)에서 산출된 전력량이 5W 이하인 경우 붉은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14)는 예를 들어, 전자기기(150)가 전원 온(ON) 상태로서 작동 중인 경우, 전자기기(150)가 전원 온 상태로서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경우, 전자기기(150)가 전원 오프(OFF) 상태인 경우 각각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광부(114)를 통해 전자기기(150)의 전원 온/오프 여부, 작동 여부, 대기전력 차단 여부 등을 알 수 있다. 발광부(114)는 예를 들어, LED일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는 변환부(116) 및 DC 조정부(118)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에 기재된 구성들은 도 3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였으며, 여기서는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변환부(116)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킨다. 종래의 전원 플러그는 교류전원을 전자기기(150)로 공급하며, 전자기기는 공급받은 교류전원을 내부에서 기 설정된 크기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전자기기는 직류전원을 사용하여야 하나, 종래의 전원 플러그는 전송 과정에서의 손실 등의 이유로 인해 교류전원을 송수신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부(116) 구성을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에 내장시킴으로써, 전자기기(150)에서 별도의 전원 변환을 할 필요가 없도록 하였다.
DC 조정부(118)는 전자기기(150)에 공급될 직류전원의 값을 조정한다. 먼저, 통신부(104)는 전자기기(150)에 공급될 직류전원의 크기정보를 제어기기(1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직류전원의 크기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임의로 생성되거나 또는 전자기기(150)의 식별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50)가 24V를 사용하는 노트북일 경우, 통신부(102)는 제어기기(170)로부터 24V의 직류전원의 크기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DC 조정부(118)는 통신부(104)로부터 직류전원의 크기정보를 수신하고, 전자기기(150)에 공급될 직류전원의 값을 상기 직류전원의 크기정보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DC 조정부(118)는 변환부(116)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변환부(116)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의 값을 직류전원의 크기정보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DC 조정부(118)는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직접 공급받고(별도의 변환 과정 없이) 공급받은 직류전원의 값을 상기 직류전원의 크기정보에 따라 조정할 수도 있다.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전원의 손실이 생길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에서 직접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그 값을 전자기기(150)의 종류에 맞게 변환함으로써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전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200, 300)는 전자기기(150) 및 전원부(16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어댑터일 수 있다.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200, 300)는 앞서 설명한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12)은 전자기기(150)로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112)에는 전자기기(150)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전원 라인(112-7), 전자기기(15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신 라인(112-8), 송신 라인(112-9) 및 제 3 접지 라인(112-10)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50)는 예를 들어, PC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어기기(170)를 통해 전자기기(150)의 종류(예를 들어, “PC”), 전자기기(150)의 작동 여부(예를 들어, “작동 중”) 및 전자기기(150)의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의 종류(예를 들어, “현재 접속 중인 URL : www. naver.com”)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200, 300)의 상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4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5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6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7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400, 500, 600, 700)는 예를 들어, 전기 소켓일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400)는 교류 전원용 전기 소켓으로서, 전자 기기(150)에 내장 또는 장착되어 전원 플러그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400)는 일측 단부에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과 연결되기 위한 3개의 홀(L, N, FG)을 구비할 수 있으며, 타측 단부에 전자 기기(150) 내부의 회로부(상술한 중앙 처리부로서 예를 들어, PCB)와 연결되기 위한 6개의 핀(402-1, 402-2, 402-3, 402-4, 402-5, 402-6)을 구비할 수 있다. 전자 기기(150) 내부의 회로부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4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4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교류전원 핀(402-1, 402-2)은 전자기기(150)로 교류전원(AC)을 공급하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교류전원 라인(AC_L, AC_N ; 112-1, 112-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접지 핀(402-3)은 교류전원 핀(402-1, 402-2)을 접지시키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제 1 접지 라인(112-3)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 핀(402-4)은 전자기기(150)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수신 라인(112-4)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송신 핀(402-5)은 전자기기(150)로 각종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송신 라인(112-5)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접지 핀(402-6)은 수신 핀(402-4) 또는 송신 핀(402-5)을 접지시키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제 2 접지 라인(112-6)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500)는 AC-DC 용 전기 소켓으로서, 전자 기기(150)에 내장 또는 장착되어 교류전원 콘센트 또는 전원 플러그와 연결될 수 있다.
직류전원 핀(502-1)은 전자기기(150)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직류전원 라인(112-7)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 핀(502-2) 및 송신 핀(502-3)은 전자기기(15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수신 라인(112-8), 송신 라인(112-9)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접지 핀(502-4)은 수신 핀(502-2) 또는 송신 핀(502-3)을 접지시키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제 3 접지 라인(112-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500)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AC-DC 변환부(미도시)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AC-DC 변환부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500)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600)는 직류 전원(DC)용 전기 소켓으로서, 전자 기기(150)에 내장 또는 장착되어 직류전원 콘센트 또는 전원 어댑터와 연결될 수 있다.
직류전원 핀(602-1)은 전자기기(150)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직류전원 라인(112-7)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 핀(602-2) 및 송신 핀(602-3)은 전자기기(15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수신 라인(112-8), 송신 라인(112-9)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접지 핀(602-4)은 수신 핀(602-2) 또는 송신 핀(602-3)을 접지시키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제 3 접지 라인(112-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700)는 직류 전원(DC)용 전기 소켓의 다른 예시로서, 전자 기기(150)에 내장 또는 장착되어 전원 어댑터와 연결될 수 있다.
직류전원 핀(702-1)은 전자기기(150)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직류전원 라인(112-7)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 핀(702-2) 및 송신 핀(702-3)은 전자기기(15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수신 라인(112-8), 송신 라인(112-9)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접지 핀(702-4)은 수신 핀(702-2) 또는 송신 핀(702-3)을 접지시키기 위한 핀으로서, 상술한 제 3 접지 라인(112-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700)는 어댑터가 전원부(16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8의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600)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400, 500, 600, 700)는 상술한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 200, 300)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 200, 300)들의 구성들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원부(160) 및 전자기기(150)에 연결되거나 내장 또는 장착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 내지 700)를 통해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150) 각각에 대한 통신 대기 전력과 낭비 전력의 차단으로 인한 전기 절약과 함께 개별적인 전력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50)의 사용을 위해서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100 내지 700)를 반드시 전원부(160)에 삽입하거나 전원 플러그, 어댑터 등을 통해 전원부(160)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전력 관리 대상의 통제가 완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력 모니터링 및 원격 관리를 위해 스마트 전자기기 회로부 내에 전력 관리 회로를 추가로 설계 적용할 필요가 없어져, 스마트 전자기기에 젼력 관리 회로를 내장시키는데 추가되는 기술 개발과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스마트 전자기기의 교체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에너지 절약과 전력 피크 관리를 위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도입을 앞당기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간편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빠른 기간 내에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기기(150)로 공급되는 전력량에 관한 정보, 전자기기(150)의 식별 정보 및 전자기기(150)의 상태정보를 제어기기(170)로 송신하고 제어기기(17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150)로의 전력 공급 및 전자기기(150)의 작동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효율적인 전력 수요 관리 및 전력 피크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순환 정전과 블랙 아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기기(150)의 진단정보를 제어기기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애프터 서비스(After-sales Service)를 위한 전자기기(150)의 원격 진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시대에 중요한 노드(node)로서 자리잡을 수 있으며, 전 세계에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보급하는 측면에서도 그 효과가 매우 크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102 : 계측부
104 : 통신부
106 : 제어부
108 : 스위칭부
112 : 케이블
112-1, 112-2: 교류전원 라인
112-3: 제 1 접지 라인
112-4, 112-8: 수신 라인
112-5, 112-9: 송신 라인
112-6: 제 2 접지 라인
112-7: 직류전원 라인
112-10: 제 3 접지 라인
112a : 서지 보호기
114 : 발광부
116 : 변환부
118 : DC 조정부
120 : 리셋 버튼
150 : 전자기기
160 : 전원부
170 : 제어기기
402-1, 402-2 : 교류전원 핀
402-3 : 제 1 접지 핀
402-4, 502-2, 602-2, 702-2 : 수신 핀
402-5, 502-3, 602-3, 702-3 : 송신 핀
402-6 : 제 2 접지 핀
502-1, 602-1, 702-1 : 직류전원 핀
502-4, 602-4, 702-4 : 제 3 접지 핀

Claims (28)

  1. 전자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와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계측부; 및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량에 관한 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를 오프 모드(Off m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종류, 제조 회사, 제조 날짜 및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온/오프 여부, 상기 전자기기가 작동 중인지 여부, 상기 전자기기의 기 설정된 복수 개의 작동 모드 중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의 종류,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이 시작되거나 종료된 시간 및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가 종료되기까지 남은 작동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기로 송신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이상 유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이상 원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상기 전자기기로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자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교류전원 라인;
    상기 교류전원 라인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1 접지 라인;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라인;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라인; 및
    상기 수신 라인 또는 상기 송신 라인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2 접지 라인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자기기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전원 라인;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라인;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라인; 및
    상기 직류전원 라인, 상기 수신 라인 또는 상기 송신 라인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3 접지 라인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통해 흐르는 서지(Surge)를 차단시키는 서지 보호기(Surge Protector)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될 직류전원의 크기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직류전원의 크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될 직류전원의 값을 상기 직류전원의 크기정보에 따라 조정하는 DC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에서 산출된 전력량 또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15. 전자기기에 내장되거나 장착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와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계측부; 및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량에 관한 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를 오프 모드(Off m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종류, 제조 회사, 제조 날짜 및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온/오프 여부, 상기 전자기기가 작동 중인지 여부, 상기 전자기기의 기 설정된 복수 개의 작동 모드 중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의 종류,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이 시작되거나 종료된 시간 및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가 종료되기까지 남은 작동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기로 송신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이상 유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이상 원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상기 전자기기로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핀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핀은,
    상기 전자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교류전원 핀;
    상기 교류전원 라인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1 접지 핀;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핀;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핀; 및
    상기 수신 라인 또는 상기 송신 라인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2 접지 핀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핀은,
    상기 전자기기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전원 핀;
    상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진단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핀;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핀; 및
    상기 직류전원 라인, 상기 수신 라인 또는 상기 송신 라인을 접지시키기 위한 제 3 접지 핀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핀을 통해 흐르는 서지(Surge)를 차단시키는 서지 보호기(Surge Protector)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25.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2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될 직류전원의 크기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직류전원의 크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될 직류전원의 값을 상기 직류전원의 크기정보에 따라 조정하는 DC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2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에서 산출된 전력량 또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KR1020140134355A 2014-03-26 2014-10-06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KR20150111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768021.6A EP3125374B1 (en) 2014-03-26 2015-03-04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CN201580001748.6A CN105531887B (zh) 2014-03-26 2015-03-04 电子设备的操作控制装置
US14/913,128 US10019051B2 (en) 2014-03-26 2015-03-04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JP2016533267A JP6243029B2 (ja) 2014-03-26 2015-03-04 電子機器の動作制御装置
PCT/KR2015/002036 WO2015147454A1 (ko) 2014-03-26 2015-03-04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360 2014-03-26
KR20140035360 2014-03-26
KR20140071146 2014-06-12
KR1020140071146 2014-06-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778A Division KR20160041026A (ko) 2015-12-10 2015-12-10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KR1020150175791A Division KR20160041027A (ko) 2015-12-10 2015-12-10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813A true KR20150111813A (ko) 2015-10-06

Family

ID=5434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355A KR20150111813A (ko) 2014-03-26 2014-10-06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19051B2 (ko)
EP (1) EP3125374B1 (ko)
JP (1) JP6243029B2 (ko)
KR (1) KR20150111813A (ko)
CN (1) CN10553188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329A1 (ko) * 2015-10-13 2017-04-2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우회 경로로 차량을 유도하는 안전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유도 방법 및 차량 유도 시스템
KR20180023375A (ko) * 2016-08-25 2018-03-07 (주) 이이시스 스마트 전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3016B2 (ja) * 2011-07-15 2016-10-05 ソニー株式会社 還元処理装置、還元処理方法および還元システム
JP6631169B2 (ja) * 2015-09-14 2020-01-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通電システム
CN106527642A (zh) * 2016-11-26 2017-03-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排插的供电控制方法、装置及排插
WO2018139702A1 (ko) * 2017-01-25 2018-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원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한 전원 어댑터
TWI664526B (zh) * 2018-01-24 2019-07-01 台灣松下電器股份有限公司 Standby start circuit
US11106263B2 (en) * 2019-01-31 2021-08-31 Sapient Industries, Inc. Region-based electrical intelligence system
WO2021090981A1 (ko) * 2019-11-06 2021-05-14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Iot 보조 플러그
WO2022011331A1 (en) * 2020-07-10 2022-01-13 Sapient Industries, Inc. Powered device electrical data modeling and intelligence
EP4372950A1 (en) * 2022-11-21 2024-05-22 Collins Aerospace Ireland, Limited Energy managemen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2161A (ja) 1997-04-09 199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消費電力監視システム
JP2000078849A (ja) 1998-09-01 2000-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Acアダプタ及び電源供給システム
JP3067768U (ja) 1999-07-19 2000-04-11 幸浩 北沢 家庭用遠隔電源制御システム
JP2001035614A (ja) 1999-07-27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テーブルタップ
IT1310142B1 (it) * 1999-08-20 2002-02-11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Dispositivo, sistema e metodo per il monitoraggio di una utenzaelettrica domestica, in particolare un elettrodomestico.
JP2002051455A (ja) 2000-08-04 2002-02-15 Sony Corp 保護装置および通信装置
JP2003033034A (ja) 2001-07-09 2003-01-31 Funai Electric Co Ltd Acアダプタおよび電源供給システム
US20030072674A1 (en) 2001-10-16 2003-04-17 Richard Melker Microwaveable container for sterilizing objects
JP2004274116A (ja) 2003-03-05 2004-09-30 Toshiba Corp 使用電力量一括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JP2005124341A (ja) * 2003-10-20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省エネ制御システム
KR100935186B1 (ko) * 2007-06-27 2010-01-06 임성규 플러그장치
JP4767222B2 (ja) * 2007-06-28 2011-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流制限システム
JP4309445B2 (ja) * 2007-10-31 2009-08-05 株式会社東芝 遠隔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源タップ
KR100992294B1 (ko) * 2008-02-29 2010-11-05 김선영 콘센트
JP2009237936A (ja) * 2008-03-27 2009-10-15 Toshiba Corp 情報収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284037A (ja) 2009-06-05 2010-12-16 Softbank Mobile Corp 電力供給用アダプタ
US20110276289A1 (en) * 2010-05-07 201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monitoring apparatus for household appliance
EP2611039A4 (en) * 2010-08-24 2016-11-02 Sony Corp SENDING DEVICE, RECEP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EP2609734A4 (en) * 2010-08-27 2015-02-25 Intel Corp RECORDING AND PLAYING OF A MEETING IN A HOME ENTERTAINMENT SYSTEM
US8774143B2 (en) 2010-11-18 2014-07-0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using a smart meter
KR101850487B1 (ko) * 2011-06-21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공급제어장치
US20130060393A1 (en) 2011-09-06 2013-03-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Home and business device energy consumption tripper
CN202333340U (zh) 2011-12-02 2012-07-11 国网信息通信有限公司 一种智能插座
KR20130072450A (ko) 2011-12-22 2013-07-02 황규태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
JP2014014250A (ja) 2012-07-05 2014-01-23 Sharp Corp コントローラ、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29575B2 (ja) 2012-07-11 2016-06-08 ソニー株式会社 消費電力管理装置及び消費電力管理システム
JP6002502B2 (ja) * 2012-08-07 2016-10-0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913557B1 (ko) * 2012-08-23 2018-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전원제어방법
JP2014069592A (ja) * 2012-09-27 2014-04-21 Mitsubishi Motors Corp 車載機器の遠隔操作システム
EP2755299B1 (en) * 2013-01-10 2018-07-04 Timotion Technology Co., Ltd. Power-saving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power-saving manual control apparatus
JP5644981B1 (ja) * 2013-06-26 2014-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モートユニットおよびリモートユニットの異常判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329A1 (ko) * 2015-10-13 2017-04-2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우회 경로로 차량을 유도하는 안전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유도 방법 및 차량 유도 시스템
KR20180023375A (ko) * 2016-08-25 2018-03-07 (주) 이이시스 스마트 전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5374A4 (en) 2017-11-08
CN105531887B (zh) 2019-06-21
US10019051B2 (en) 2018-07-10
EP3125374A1 (en) 2017-02-01
JP2016533153A (ja) 2016-10-20
EP3125374B1 (en) 2019-07-24
US20170010661A1 (en) 2017-01-12
CN105531887A (zh) 2016-04-27
JP6243029B2 (ja)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3029B2 (ja) 電子機器の動作制御装置
EP3748810B1 (en)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10567853B2 (en) Smart grid appliance control
US8415826B2 (en) Power outlet apparatus with multiple sockets detection,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KR101035127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JP2013051870A (ja) プログラム可能な電力管理システム
CN202939450U (zh) 一种家居电量监控系统
WO2015147455A1 (ko) 지능형 전원 플러그 및 전원 어댑터
KR20150057728A (ko) 정보기기의 ess(에너지 저장 장치)와 양방향 전력 송전을 연동하는 우선순위 제어 모듈 기반의 스마트 콘센트 동작 방법과 스마트 모니터링 및 표시장치
KR20150111804A (ko) 지능형 전원 플러그 및 전원 어댑터
KR20160041027A (ko)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KR20120058284A (ko) 콘센트 및 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20170063502A (ko)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KR20170064530A (ko)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KR20160041026A (ko)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KR101178491B1 (ko) 스마트 절전 시스템
JP5699104B2 (ja) 使用電力制御システム
KR20110017949A (ko)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20140140198A (ko) 수요반응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전기기기를 위한 수요반응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203722327U (zh) 一种高压直流供电装置用桥接结构
TWI622248B (zh) 可自動切換電源的電源分配單元
KR20150005345A (ko) 전력 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CN210895063U (zh) 中央控制器
CN210534308U (zh) 一种市电断电监测装置及设备
WO2015147454A1 (ko)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8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12

Effective date: 2017111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1001103;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1001103;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04

Effective date: 20180726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301011346;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810

Effective date: 2018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