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450A -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450A
KR20130072450A KR1020110139873A KR20110139873A KR20130072450A KR 20130072450 A KR20130072450 A KR 20130072450A KR 1020110139873 A KR1020110139873 A KR 1020110139873A KR 20110139873 A KR20110139873 A KR 20110139873A KR 20130072450 A KR20130072450 A KR 20130072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ower
current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태
Original Assignee
황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태 filed Critical 황규태
Priority to KR102011013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2450A/ko
Publication of KR2013007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5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power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bstract

무선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제어장치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장치 또는 유무선 중계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 간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하는 연결 제어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로 인가되는 소비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검출된 소비전류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유무선중계기를 통해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소비전류정보 전송부; 상기 무선통신장치 또는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 중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 설정된 전류 이하의 상기 검출된 소비전류가 인가되는 전자기기가 접속된 콘센트 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부 간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연결 제어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가 접속된 콘센트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부 간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연결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RECEPTACLE CONTROLLING APPARATUS, POW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원격지에서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모니터링 또는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연결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써,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의 일 예로는 세탁기, TV, 오디오, 컴퓨터, 공기 청정기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여기서, 콘센트는 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 벽면에 설치되지 않는 싱글 탭 또는 멀티 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센트에 전자기기가 꺼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면 대기전력이 지속적으로 소모되기 때문에, 절전을 위하여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제거하거나 싱글 탭 또는 멀티 탭 등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전자기기를 끌 때마다,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빼거나 싱글 탭 또는 멀티 탭 등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가 개시되어 있다. 즉,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전류소모량이 설정된 전류, 예를 들어 100mA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자동으로 대기전력 차단모드를 수행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또한 이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에, 대기전력 차단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대기전력 차단모드 해제스위치 또는 적외선으로 대기전력차단모드 해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를 구비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대기전력 차단모드로 진입한 이후에, 다시 전자기기를 동작시킬 때마다, 사용자는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에 구비된 대기전력 차단해제 스위치를 일일이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갖는다. 또한 적외선으로 대기전력 차단모드 해제정보를 송수신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경우, 적외선의 방향지향성으로 인해, 다시 전자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항상 적외선 송신부가 구비된 리모컨의 방향을 적외선 수신부가 구비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방향으로 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진다.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을 모니터링하거나 차단하는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력관리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와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를 구비한 복수의 콘센트; 상기 복수의 콘센트 중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의 소비 전류를 감지하여 무선통신장치로 직접 전송하며,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 중 설정된 전류 이하의 소비전류가 인가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 중 상기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콘센트 제어장치로 직접 전송하는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와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는,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동글(Dongle) 타입 센서기기로 동작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동글 타입 센서기기에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 각각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는,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에 의해 감지된 센싱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콘센트 외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센서기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센서기기 각각은 감지한 센싱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 WiFi, 447MHz 대역 RF(Radio Frequency) 통신, 900MHz 대역 RF 통신, 2.4GHz 대역 RF 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와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를 구비한 복수의 콘센트; 상기 복수의 콘센트 중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의 소비 전류를 감지하여 통신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 중 설정된 전류 이하의 소비전류가 인가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거나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 중 상기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콘센트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통신장치; 및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와 상기 통신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중계하는 유무선 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와 상기 유무선 중계기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는,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동글(Dongle) 타입 센서기기로 동작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동글 타입 센서기기에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상기 유무선 중계기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 각각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는,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에 의해 감지된 센싱정보를 상기 유무선 중계기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콘센트 외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센서기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센서기기 각각은, 감지한 센싱 정보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유무선 중계기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콘센트 제어 장치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장치 또는 유무선 중계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 간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하는 연결 제어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로 인가되는 소비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검출된 소비전류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유무선중계기를 통해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소비전류정보 전송부; 상기 무선통신장치 또는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 중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 설정된 전류 이하의 상기 검출된 소비전류가 인가되는 전자기기가 접속된 콘센트 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부 간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연결 제어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가 접속된 콘센트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부 간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연결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콘센트 제어 장치는, 전류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전류가 설정된 과부하 기준 값을 넘어선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 간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연결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동글(Dongle) 타입 센서기기로 상기 직류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동글 타입 센서기기에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해당 USB 포트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장치 또는 상기 유무선 중계기를 통해 연결된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에 의해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장치 또는 상기 유무선 중계기를 통해 연결된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에 따르면,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을 모니터링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 차단모드로 진입한 이후에, 다시 전자기기를 동작시킬 때마다, 사용자가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에 구비된 대기전력 차단해제 스위치를 일일이 눌러주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적외선으로 대기전력 차단모드 해제정보를 송수신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술의 단점인, 적외선의 방향지향성으로 인해, 다시 전자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항상 적외선 송신부가 구비된 리모컨의 방향을 적외선 수신부가 구비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방향으로 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콘센트에 USB 포트를 빌트-인(bulit-in) 시키고 USB 포트에 접속되는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를 구비한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어댑터를 소지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시스템(100)은, 제 1 USB 포트(4) 내지 제 n USB 포트(4n)와 제 1 콘센트 단자(5)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5n)를 구비한 복수의 콘센트(3,...,3n),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 및 무선통신장치(2)를 포함한다. 즉 하나의 무선통신장치(2)를 이용하여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를 제어하는 구조이다.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와 무선통신장치(2)는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공간에 모두 위치하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호 간에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한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실시예로,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WiFi, 447MHz 대역 RF(Radio Frequency) 통신, 900MHz 대역 RF 통신, 2.4GHz 대역 RF 통신 등일 수 있으며, 전력 관리 시스템이 설치되는 환경에 맞게 선택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 각각은 복수의 콘센트(3,...,3n) 중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제 1 USB 포트(4) 내지 제 n USB 포트(4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단말기(6)의 배터리 내지 제 n 단말기(6n)의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콘센트 제어장치(1)는 콘센트(3)와 대응 연결되고 콘센트 제어장치(1n)는 콘센트(3n)와 대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USB 포트(4)는 제 1 단말기(6)의 배터리에 대응 접속되며, 제 n USB 포트(4n)는 제 n 단말기(6n)의 배터리에 대응 접속될 수 있다. 제 1 단말기(6) 내지 제 n 단말기(6n) 각각은 배터리를 구비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노트북, 스마트폰, 휴대용 전화기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단말기(6) 내지 제 n 단말기(6n) 각각의 사용자는 콘센트 내 USB 포트를 통해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어댑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 각각은 복수의 콘센트(3,...,3n) 중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제 1 콘센트 단자(5)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5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전자기기(7) 내지 제 n 전자기기(7n)의 소비전류를 감지하여 무선통신장치(2)로 직접 전송한다. 이때, 제 1 콘센트 단자(5)에 제 1 전자기기(7)가 대응 접속되고, 제 n 콘센트 단자(5n)에 제 n 전자기기(7n)가 대응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전자기기(7) 내지 제 n 전자기기(7n) 각각은 제 1 콘센트 단자(5)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5n) 중 대응 접속된 콘센트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사용해서 동작하는 텔레비전, 컴퓨터, 냉장고, 에어컨, 전기히터, 전자레인지, 세탁기 등 일 수 있다.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 각각은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의 콘센트 단자(5,...,5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전자기기(7) 내지 제 n 전자기기(7n) 중 소비전류가 설정된 전류 이하인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거나, 무선통신장치(2)에서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의 콘센트 단자(5,...,5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전자기기(7) 내지 제 n 전자기기(7n) 중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한다. 이때, 각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와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와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로 구성되거나, 일체형으로 결합 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대기차단전력은, 콘센트 단자(5,...,5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전자기기(7) 내지 제 n 전자기기(7n)가 대기상태에 있는지 여부의 기준이 되는 값으로, 미리 설정된 값일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값일 수 있다. 대기차단전력은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 마다 구비된 키들(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입력될 수도 있고, 무선통신장치(2)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실시예로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 각각은 복수의 콘센트(3,...,3n) 중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의 콘센트 단자(5,...,5n)에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7,...,7n)에서 소비되는 전력, 해당 전자기의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이 대기차단전력 이하인 경우, 해당 전자기기가 동작을 하지 않고 대기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전자기기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한다. 이로써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무선통신장치(2)는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로부터 수신된 소비전류를 상응하는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전력이 대기차단전력 이하인 경우,각 콘센트 제어장치가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의 콘센트 단자(5,...,5n)에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전자기기(7) 내지 제 n 전자기기(7n) 중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가 접속된 콘센트 단자를 구비한 콘센트와 대응 연결된 콘센트 제어장치로 직접 전송한다. 무선통신장치(2)는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가 설치된 공간, 예를 들어 가정 또는 사무실 내에서 사용자가 가지고 이동할 수 있고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리모컨 등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는 복수의 콘센트(3,...,3n) 중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의 제 1 USB 포트(4) 내지 제 n USB 포트(4n)에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동글(Dongle) 타입 센서기기(도시하지 않음) 내지 제 n 동글 타입 센서기기(도시하지 않음)로 동작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제 1 동글 타입 센서기기 내지 제 n 동글 타입 센서기기에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무선통신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1 동글 타입 센서기기 내지 제 n 동글 타입 센서기기는 각각 대응 접속된 USB 포트의 전원단자를 통해서 공급되는 동작 전원(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해서 감지한 센싱정보를 상기 대응 접속된 USB 포트의 데이터 단자를 통해서 제 1 동글 타입 센서기기 내지 제 n 동글 타입 센서기기가 구비된 콘센트와 대응 연결된 콘센트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동글 타입 센서기기 내지 제 n 동글 타입 센서기기가 구비된 콘센트와 대응 연결된 콘센트 제어장치는 센싱정보를 무선통신장치(2)로 전송한다.
이러한 동글 타입 센서기기는 USB 포트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며, PIR(Passive Infra Red)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글 타입 센서기기가 PIR 센서인 경우, PIR 센서는 USB 포트의 전원공급 단자를 통해서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물체(인체)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열)을 감지한 센싱정보를 USB 포트의 데이터 단자를 통해서 상기 동글 타입 센서기기가 구비된 콘센트와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콘센트 제어장치는 PIR 센서가 감지한 센싱정보를 무선통신장치(2)로 전송하며, 무선통신장치(2)는 콘센트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사용자게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센싱정보를 통해서 외부의 침입자가 콘센트 제어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침입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1,...,1n) 각각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내부 센서기기의 동작 전원은 내부 센서기기가 내장된 콘센트와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제어장치로부터 내부 센서기기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즉, 이 내부 센서기기는 콘센트에 구비된 USB 포트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로, 후술될 도 3의 내부 센서기기(323_1,...,323_n))는 도 3의 충전부(308)의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해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직접 콘센트 제어장치(300) 내 제어부(307)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콘센트 제어장치(300) 내 제어부(307)는 내부 센서기기(323_1,...,323_1)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무선통신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내부 센서기기는 PIR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 일 수 있다.
상기 전력관리시스템(100)은 복수의 콘센트(1,...,1n) 외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센서기기(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로 외부 센서기기의 동작 전원은 외부 센서기기 내 구비된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용교류전원이 직류로 변환되어 출력된 직류전원일 수 있다. 외부 센서기기는 자체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해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직접 무선통신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센서기기는 PIR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센서기기는 무선통신으로 센싱정보를 무선통신장치(2)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시스템(200)은, 하나의 통신장치(9)로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를 제어하여 복수의 콘센트(3,...,3n)별로 내부의 제 1 콘센트 단자(5)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5n)에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전자기기(7) 내지 제 n 전자기기(7n)의 소비전류를 감지하고 대기전력소비를 차단 제어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전력관리시스템(100)이 하나의 무선통신장치(2)로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를 통해 복수의 콘센트(3,...,3n)별로 내부의 제 1 콘센트 단자(5)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5n)에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전자기기(7) 내지 제 n 전자기기(7n)의 소비전류를 감지하고 대기전력소비를 차단 제어한다는 점에서, 도 1의 전력관리시스템(100)과 도 2의 전력관리시스템(200)은 유사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에서 이루어졌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2의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는 대응 연결된 콘센트 내의 제 1 USB 포트(4) 내지 제 n USB 포트(4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단말기(6)의 배터리 내지 제 n 단말기(6n)의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도 1의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와 유사하고, 이에 대한 설명도 도 1에서 상세하게 이루어졌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도 1의 하나의 무선통신장치(2)와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는 가정 또는 사무실 등과 같은 동일한 공간 내에 위치하지만, 도 2의 하나의 통신장치(9)와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는 서로 다른 공간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도 2의 통신장치(9)와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가 서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매개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 도 2의 전력 관리 시스템(200)은 유무선 중계기(8)를 개시한다.
유무선 중계기(8)는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와 통신장치(9) 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한다. 즉, 유무선 중계기(8)는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가 설치된 공간 내에 설치되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실시예로,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WiFi, 447MHz 대역 RF(Radio Frequency) 통신, 900MHz 대역 RF 통신, 2.4GHz 대역 RF 통신 등일 수 있으며, 전력 관리 시스템(200)이 설치되는 환경에 맞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중계기(8)는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해서 콘센트 제어장치(1,...,1n)가 설치된 공간의 외부 공간에 위치한 무선통신장치(9-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중계기(8)는 유선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해서 콘센트 제어장치(10,...,10n)가 설치된 공간의 외부 공간에 위치한 유선통신장치(9-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장치(9)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장치(9-1)와 유선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통신장치(9-1)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1,...,1n)는 복수의 콘센트(3,...,3n) 중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제 1 USB 포트(4) 내지 제 n USB 포트(4n)에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동글(Dongle) 타입 센서기기(도시하지 않음) 내지 제 n 동글 타입 센서기기(도시하지 않음)로 동작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제 1 동글 타입 센서기기 내지 제 n 동글 타입 센서기기에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무선통신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1 동글 타입 센서기기 내지 제 n 동글 타입 센서기기는 각각 대응 접속된 USB 포트의 전원단자를 통해서 공급되는 동작 전원(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해서 감지한 센싱정보를 상기 대응 접속된 USB 포트의 데이터 단자를 통해서 제 1 동글 타입 센서기기 내지 제 n 동글 타입 센서기기가 구비된 콘센트와 대응 연결된 콘센트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동글 타입 센서기기 내지 제 n 동글 타입 센서기기가 구비된 콘센트와 대응 연결된 콘센트 제어장치는 센싱정보를 유무선 중계기(8)를 통해 통신장치(9)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글 타입 센서기기는 USB 포트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며, PIR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글 타입 센서기기가 PIR 센서인 경우, PIR 센서는 USB 포트의 전원공급 단자를 통해서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물체(인체)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열)을 감지한 센싱정보를 USB 포트의 데이터 단자를 통해서 상기 동글 타입 센서기기가 구비된 콘센트와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콘센트 제어장치는 PIR 센서가 감지한 센싱정보를 유무선 중계기(8)를 통해 통신장치(9)로 전송하며, 통신장치(9)는 콘센트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사용자게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콘센트 제어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외부에서 센싱정보를 통해서 외부의 침입자가 콘센트 제어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침입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1,...,1n) 각각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내부 센서기기의 동작 전원은 내부 센서기기가 내장된 콘센트와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제어장치로부터 내부 센서기기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즉, 이 내부 센서기기는 콘센트에 구비된 USB 포트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로 도 3의 내부 센서기기(323_1,...,323_n)는 도 3의 충전부(308)의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해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직접 콘센트 제어장치(300) 내 제어부(307)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307)는 내부 센서기기(323_1,...,323_n)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유무선 중계기(8)를 통해 통신장치(9)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내부 센서기기는 PIR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 일 수 있다.
상기 전력관리시스템(200)은 복수의 콘센트(1,...,1n) 외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센서기기(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로 외부 센서기기의 동작 전원은 외부 센서기기 내 구비된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용교류전원이 직류로 변환되어 출력된 직류전원일 수 있다. 외부 센서기기는 내부에 구비한 전원공급부가 공급하는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해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유무선 중계기(8)를 통해 통신장치(9)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센서기기는 PIR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센서기기는 무선통신으로 센싱정보를 유무선 중계기(8)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콘센트 제어장치(1,...,1n) 또는 도 2의 콘센트 제어장치(1,...,10n) 각각은 도 3의 콘센트 제어장치(300)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콘센트 제어장치(300)는 콘센트(32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콘센트(320)는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콘센트일 수 있고, 싱글탭 또는 멀티탭일 수도 있다. 콘센트 제어장치(300)와 콘센트(320)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벽면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콘센트 제어 장치(30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콘센트 제어장치(300)는 통신모듈(301), 연결제어부(303), 전류 검출부(304), 소비전류정보 전송부(305), 제어신호 수신부(306), 제어부(307) 및 충전부(308)를 포함한다.
통신모듈(301)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도 1의 무선통신장치(2) 또는 도 2의 유무선 중계기(8)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에 따라 도 1의 무선통신장치(2) 또는 도 2의 유무선 중계기(8)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신모듈(301)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연결 제어부(303)는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2)와 상기 콘센트 제어장치(300)와 대응 접속되는 콘센트 내 제 1 콘센트 단자(321_1)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321_n) 간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연결 제어부(303)는 n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n개의 각 스위칭 소자는 제어부(307)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온(On) 또는 스위칭 오프(off) 되어, 전원공급부(302)와 각 제 1 콘센트 단자(321_1)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321_n)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전류 검출부(304)는 전원공급부(302)로부터 제 1 콘센트 단자(321_1)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321_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로 인가되는 소비전류를 검출한다. 실시예로, 전류 검출부(304)는 연결 제어부(303)와 각 제 1 콘센트 단자(321_1)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321_n)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각 라인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각 전자기기로 인가되는 소비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소비전류정보 전송부(305)는 전류 검출부(304)에서 검출된 소비전류 정보를 통신모듈(301)을 통해, 도 1의 무선통신장치(2) 또는 도 2의 유무선중계기(8)를 통해 연결된 통신장치(9)로 전송한다.
제어신호 수신부(306)는 도 1의 무선통신장치(2) 또는 도 2의 유무선 중계기(8)에 연결된 통신장치(9)로부터, 상기 콘센트 제어장치(300)와 대응 접속되는 콘센트 내 제 1 콘센트 단자(321_1)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321_n) 중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신호는, 도 1의 무선통신장치(2) 또는 도 2의 통신장치(9)가 전류 검출부(304)에서 검출된 소비전류를 상응하는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력이 대기차단 전력 이하인 경우, 전자기기가 동작하지 않는 대기상태로 판단하여 전자기기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307)는 설정된 전류 이하의 전류 검출부(304)에서 검출된 소비전류가 인가되는 전자기기가 접속된 콘센트 단자와 전원공급부(302) 간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도록 연결 제어부(303)를 제어하거나,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가 접속된 콘센트 단자와 전원공급부 간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도록 연결 제어부(303)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307)는 전류 검출부(304)에서 검출된 소비전류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콘센트 제어장치(300)의 외부 장치, 즉 도 1의 무선통신장치(2) 또는 도 2의 통신장치(9)로부터 수신되는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콘센트 단자에 접속된 전자기기에서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차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7)는 전류 검출부(304)에서 검출된 전류가 설정된 과부하 기준 값을 넘어선 경우, 전원공급부(302)와 제 1 콘센트 단자(321_1)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321_n) 간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연결 제어부(303)를 제어할 수 있다.
충전부(308)는 전원공급부(302)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콘센트(320) 내 제 1 USB 포트(322_1)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322_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도시하지 않음) 충전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충전부(308)는 제 1 USB 포트(322_1) 내지 제 n USB 포트(322_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가 접속되었으면, 전원공급부(302)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제 1 USB 포트(322_1) 내지 제 n USB 포트(322_n)에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다른 실시예로 충전부(308)는 제 1 USB 포트(322_1) 내지 제 n USB 포트(322_n)에서의 단말기의 배터리의 접속정보를 제어부(307)로 전송해서 제어부(307)로부터 수신된 배터리 충전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302)의 상용교류전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제 1 USB 포트(322_1) 내지 제 n USB 포트(322_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7)는 제 1 콘센트 단자(321_1) 내지 제 n 콘센트 단자(321_1)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로의 대기전력 차단제어와 제 1 USB 포트(322_1) 내지 제 n USB 포트(322_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콘센트 제어 장치(300)는, 전류센서를 이용하여 충전부(308)에서 제 1 USB 포트(322_1) 내지 제 n USB 포트(322_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310)와, 제 1 USB 포트(322_1) 내지 제 n USB 포트(322_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3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09)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부(309)가 LED로 구현된 경우,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상황에 따라, LED의 점등색깔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충전인 경우 LED의 점등색깔을 초록색으로 할 수 있고 충전중인 경우 LED의 점등색깔을 빨간색으로 할 수 있다. 이때 LED는 USB 포트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즉, 콘센트(320)에 USB 포트가 n개 구비되므로 LED도 이에 대응하여 n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308)는 콘센트(320) 내 제 1 USB 포트(322_1) 내지 제 n USB 포트(322_n)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동글(Dongle) 타입 센서기기 내지 제 n 동글 타입 센서기기로 직류전원을 인가한다. 즉 충전부(308)는 제 1 USB 포트(322_1) 내지 제 n USB 포트(322_n)의 전원단자를 통해서 각각 대응 접속된 제 1 동글(Dongle) 타입 센서기기 내지 제 n 동글 타입 센서기기로 직류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러한 동글 타입 센서기기는 USB 포트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며, PIR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7)는, 상기 제 1 동글 타입 센서기기 내지 제 n 동글 센서기기에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상기 제 1 USB 포트(322_1) 내지 제 n USB 포트(322_n)를 통해 수신해서, 도 1의 무선통신장치(2) 또는 도 2의 유무선 중계기(3)를 통해 연결된 통신장치(9)로 전송한다. 즉, 상기 제 1 동글 타입 센서기기 내지 제 n 동글 센서기기에서 감지된 센싱정보는, 대응되는 상기 제 1 USB 포트(322_1) 내지 제 n USB 포트(322_n)의 데이터단자를 통해서 제어부(307)로 전송될 수 있다.
콘센트(32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323_1,...,323_n)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323_1,...,323_n)는 PIR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 일 수 있으며, 충전부(308)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감지된 센싱정보를 제어부(307)로 전송한다.
제어부(307)는 통신모듈(301)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323_1,...,323_n)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도 1의 무선통신장치(2) 또는 도 2의 유무선 중계기(8)에 연결된 통신장치(9)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제어장치(300)의 블럭 구성도는 단순히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류된 것일 뿐, 실제 구현방식 또는 하드웨어 방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성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모듈로 통합 또는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와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를 구비한 복수의 콘센트;
    상기 복수의 콘센트 중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의 소비 전류를 감지하여 무선통신장치로 직접 전송하며,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 중 설정된 전류 이하의 소비전류가 인가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 중 상기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콘센트 제어장치로 직접 전송하는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와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는,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동글(Dongle) 타입 센서기기로 동작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동글 타입 센서기기에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센트 각각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는,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에 의해 감지된 센싱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콘센트 외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센서기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센서기기 각각은 감지한 센싱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은,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 WiFi, 447MHz 대역 RF(Radio Frequency) 통신, 900MHz 대역 RF 통신, 2.4GHz 대역 RF 통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6.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와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를 구비한 복수의 콘센트;
    상기 복수의 콘센트 중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의 소비 전류를 감지하여 통신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 중 설정된 전류 이하의 소비전류가 인가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거나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 중 상기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콘센트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통신장치; 및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와 상기 통신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중계하는 유무선 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와 상기 유무선 중계기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는,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동글(Dongle) 타입 센서기기로 동작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동글 타입 센서기기에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상기 유무선 중계기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센트 각각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콘센트 제어장치는, 상기 대응 연결되는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에 의해 감지된 센싱정보를 상기 유무선 중계기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콘센트 외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센서기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센서기기 각각은, 감지한 센싱 정보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유무선 중계기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은,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 WiFi, 447MHz 대역 RF(Radio Frequency) 통신, 900MHz 대역 RF 통신, 2.4GHz 대역 RF 통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1.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장치 또는 유무선 중계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 간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하는 연결 제어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로 인가되는 소비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검출된 소비전류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유무선중계기를 통해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소비전류정보 전송부;
    상기 무선통신장치 또는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각각 대응 접속된 전자기기 중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로의 전류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
    설정된 전류 이하의 상기 검출된 소비전류가 인가되는 전자기기가 접속된 콘센트 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부 간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연결 제어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대기차단전력 이하의 상기 소비전류에 상응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기기가 접속된 콘센트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부 간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연결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콘센트 내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제어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제어 장치는,
    전류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제어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전류가 설정된 과부하 기준 값을 넘어선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단자 간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연결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제어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동글(Dongle) 타입 센서기기로 상기 직류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별로 각각 대응 접속된 동글 타입 센서기기에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해당 USB 포트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장치 또는 상기 유무선 중계기를 통해 연결된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제어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센서기기에 의해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장치 또는 상기 유무선 중계기를 통해 연결된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제어 장치.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은,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 WiFi, 447MHz 대역 RF 통신, 900MHz 대역 RF 통신, 2.4GHz 대역 RF 통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제어 장치.
KR1020110139873A 2011-12-22 2011-12-22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 KR20130072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873A KR20130072450A (ko) 2011-12-22 2011-12-22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873A KR20130072450A (ko) 2011-12-22 2011-12-22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450A true KR20130072450A (ko) 2013-07-02

Family

ID=4898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873A KR20130072450A (ko) 2011-12-22 2011-12-22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245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1887A (zh) * 2014-03-26 2016-04-27 易助株式会 电子设备的操作控制装置
CN106532367A (zh) * 2016-12-19 2017-03-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插座用电警告的方法和装置
KR20190015941A (ko) * 2017-08-07 2019-02-15 이순복 IoT 기반의 유무선 공유기 기능을 갖는 멀티탭 장치
US11763940B2 (en) 2016-09-14 2023-09-19 Olympus Winter & Ibe Gmbh Medical data communication system, tracking system for medical devices,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KR102615233B1 (ko) * 2023-06-20 2023-12-19 한국철도공사 자동제어 보조전원장치를 이용한 철도차량 객실용 스마트 멀티 콘센트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1887A (zh) * 2014-03-26 2016-04-27 易助株式会 电子设备的操作控制装置
US10019051B2 (en) 2014-03-26 2018-07-10 Easysaver Co., Ltd.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US11763940B2 (en) 2016-09-14 2023-09-19 Olympus Winter & Ibe Gmbh Medical data communication system, tracking system for medical devices,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CN106532367A (zh) * 2016-12-19 2017-03-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插座用电警告的方法和装置
CN106532367B (zh) * 2016-12-19 2019-04-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插座用电警告的方法和装置
KR20190015941A (ko) * 2017-08-07 2019-02-15 이순복 IoT 기반의 유무선 공유기 기능을 갖는 멀티탭 장치
KR102615233B1 (ko) * 2023-06-20 2023-12-19 한국철도공사 자동제어 보조전원장치를 이용한 철도차량 객실용 스마트 멀티 콘센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679467U (zh) 一种智能手机控制的电源插座系统
KR100927337B1 (ko) Rfid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KR100909598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및 소비전력 표시장치
CN102868581A (zh) 智能开关及应用该智能开关的智能家居系统
KR20130072450A (ko)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
WO2019045206A1 (ko) 도플러 센서를 사용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KR100909790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장치
WO2017131371A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콘센트
CN105118268A (zh) 一种智能滤波节电遥控器
KR200464008Y1 (ko)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KR20140062809A (ko) 지능형 플러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식
CN205247614U (zh) 一种基于红外转发的控制系统
KR101448695B1 (ko) 인공지능형 절전제어 콘센트
CN203368520U (zh) 家电监控设备和系统
TWI482385B (zh) 電源控制系統
KR20160032662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20220105404A (ko) 고전력 시스템 저장, 통신, 제어장치
CN102800181B (zh) 无线遥控插座组件、遥控插座及用于控制插座的遥控器
KR20100116268A (ko)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133995B1 (ko) 전력량 계측 및 제어장치
CN213341673U (zh) 电源控制装置、电源和交通监控装置
CN102109843B (zh) 智能电源控制装置及智能电源控制方法
KR101110960B1 (ko)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및 대기전력 차단장치.
US11750022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