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820B1 -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3820B1 KR101843820B1 KR1020160060868A KR20160060868A KR101843820B1 KR 101843820 B1 KR101843820 B1 KR 101843820B1 KR 1020160060868 A KR1020160060868 A KR 1020160060868A KR 20160060868 A KR20160060868 A KR 20160060868A KR 101843820 B1 KR101843820 B1 KR 1018438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p
- user
- smart
- power
- remote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하여 스마트홈(Smart Home)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2. 제어보드 13. 전류제어부
14. IR(적외선) 다이오드 15. 온도센서
16. 조도센서 20.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21. 스마트 멀티탭 22. 원격제어부
Claims (12)
- 삭제
- 삭제
- 스마트홈(Smart Home)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에 복수의 전원플러그 소켓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외부와 연결 가능한 통신수단 및 복수의 가전제품에 대한 리모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외선 송신수단을 내장하여 일반적인 멀티탭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멀티탭부; 및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멀티탭부와 연동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멀티탭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멀티탭부 및 상기 멀티탭부가 설치된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들의 동작을 각각 제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멀티탭부가 설치된 실내 공간에 설치된 각종 기기들의 리모콘 기능을 구현하는 리모콘 기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멀티탭부에 내장된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리모콘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리모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일의 단말기로 실내에 설치된 다양한 기기들의 리모콘 기능을 제공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은,
상기 멀티탭부의 각 소켓에 연결된 기기들의 전류와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 및 전압측정센서와, 상기 전류측정센서 및 상기 전압측정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전류와 전압에 근거하여 각 소켓별로 소비전력을 계산하고 전력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각 소켓별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력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멀티탭부의 각 소켓에 연결된 기기들의 전력소비 패턴을 측정 및 분석한 결과에 따라 각각의 소켓에 연결된 기기에 적합한 전력제어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 및 절전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데 더하여,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전력제어부에 의해 각 소켓별로 분석된 전력소비 패턴을 표시하며 각 소켓별로 전력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각 소켓별로 측정된 전력소비량에 따른 전기요금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상기 전력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멀티탭부가 설치된 실내 공간에 설치된 각종 기기들에 대한 전력소비를 상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가속도센서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수면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멀티탭부가 설치된 실내 공간에 설치된 기기들을 취침모드나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동시에, 실내조명을 어둡게 하거나 소등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이나 스마트홈(Smart Hom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부는,
복수의 전원플러그를 동시에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의 전원플러그 소켓이 구비되는 소켓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외부와 연결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부;
각 소켓에 흐르는 전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류제어부;
주위에 설치된 각종 가전제품에 대한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IR(적외선) 다이오드;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밝기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멀티탭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Wi-Fi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멀티탭부의 각 소켓에 연결된 기기들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원격에서 온오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전원스위치를 조작하거나 플러그를 뽑을 필요 없이 원거리에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각종 기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멀티탭부가 설치된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멀티탭부에 내장된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조도센서를 통하여 실내온도나 조도를 포함하는 실내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에 근거하여 실내의 온도 및 조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실내의 온도 및 조도가 제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이나 스마트홈(Smart Home)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을 통해 각종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 청구항 3항, 청구항 4항, 청구항 7항, 청구항 10항 및 청구항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내환경 및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0868A KR101843820B1 (ko) | 2016-05-18 | 2016-05-18 |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0868A KR101843820B1 (ko) | 2016-05-18 | 2016-05-18 |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0664A KR20170130664A (ko) | 2017-11-29 |
KR101843820B1 true KR101843820B1 (ko) | 2018-04-02 |
Family
ID=6081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08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3820B1 (ko) | 2016-05-18 | 2016-05-18 |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382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9190A (ko) | 2021-05-25 | 2022-12-02 | 이재우 | 스마트 콘센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9993B1 (ko) * | 2017-06-01 | 2019-01-18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실내환경을 기반으로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환경제어시스템 |
KR101995664B1 (ko) * | 2018-02-21 | 2019-07-02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 콘센트 멀티탭 |
KR102138629B1 (ko) * | 2018-12-20 | 2020-07-28 |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센트 관리 장치 |
KR102147644B1 (ko) * | 2019-01-21 | 2020-08-25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각장애인용 멀티탭의 제어방법 |
CN109737686A (zh) * | 2019-01-28 | 2019-05-10 |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 一种冰箱开门控制方法 |
KR102293921B1 (ko) * | 2019-11-01 | 2021-08-26 | 주식회사 블루비즈 | Ups 기능을 구비하며 모바일 제어가 가능한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
CN115327936B (zh) * | 2022-07-25 | 2024-08-06 | 北京卡特加特智能科技有限公司 | 终端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2016
- 2016-05-18 KR KR1020160060868A patent/KR10184382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9190A (ko) | 2021-05-25 | 2022-12-02 | 이재우 | 스마트 콘센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0664A (ko) | 2017-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3820B1 (ko) |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 |
US11402861B2 (en) | Wireless load control system | |
KR101035127B1 (ko) |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 |
KR100909598B1 (ko) |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및 소비전력 표시장치 | |
CN107148603A (zh) | 具有通信中继的多功能穿墙电源插头及相关方法 | |
CN204045865U (zh) | 多功能智能遥控排插 | |
JP2010213367A (ja) | ユビキタスセンサとインテリジェントテーブルタップによる省エネシステム | |
CN106450985A (zh) | 一种智能插座 | |
CN211238622U (zh) | 一种温控器 | |
KR100909790B1 (ko) |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장치 | |
KR101143758B1 (ko) | 지능형소켓과 리모컨을 사용한 절전시스템 | |
KR20140062809A (ko) | 지능형 플러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식 | |
KR101448695B1 (ko) | 인공지능형 절전제어 콘센트 | |
CN105529576A (zh) | 基于红外识别的电源插座自动控制系统及智能电源插座 | |
CN204720712U (zh) | 一种智能插排的控制电路及智能插排 | |
CN205429324U (zh) | 基于红外识别的电源插座自动控制系统及智能电源插座 | |
KR100634448B1 (ko) | 원격 전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
KR101510409B1 (ko) | 무선통신기능을 가진 인체감지센서와 플러그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제어 시스템 | |
CN208209981U (zh) | 一种节能用电系统 | |
KR20210081202A (ko) |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시스템 | |
CN103781244A (zh) | Led照明装置、led照明控制系统及控制方法 | |
KR101178599B1 (ko) | 외부기기 제어를 위한 콘센트 | |
CN209131095U (zh) | 一种空调控制器 | |
KR101055995B1 (ko) | 지능형 전원연결구 | |
KR20170013441A (ko) | 전기용품 원격 제어용 콘센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2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