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268A -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268A
KR20100116268A KR1020090034889A KR20090034889A KR20100116268A KR 20100116268 A KR20100116268 A KR 20100116268A KR 1020090034889 A KR1020090034889 A KR 1020090034889A KR 20090034889 A KR20090034889 A KR 20090034889A KR 20100116268 A KR20100116268 A KR 20100116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p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410B1 (ko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필
Priority to KR1020090034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41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 AC 전원을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기 기기로 제공하며, 전자제품의 대기상태 소비 전력을 감지하여 기설정된 대기 전력에 상응하면,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대기 전원 차단 상태에서 차단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전원을 온(ON)시키는 멀티 콘센트 장치와, 상기 각 전기 기기의 음성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로 상기 차단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기기로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음성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을 개시하여, 대기 전력 차단 기능이 구현된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특정 장치를 이용하여 복잡한 과정 없이 전기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 electric device in system for cut off function of waiting power supply}
본 발명은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음성 신호만으로 멀티 콘센트 장치의 대기 전력 차단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전기 기기의 전원을 온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제어 장치 조작없이 전기 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멀티 콘센트 장치와 통신하는 음성 제어 장치를 통해 대기 전력 차단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통신 거리를 확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적외선 통신 방식 이외에 근거리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과 같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 가능한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전기/전자 기기(이하 '전기 기기'로 통칭함)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아웃렛(outlet) 장치, 즉 콘센트 장치의 플러그 소켓에서 전기 기기의 플러그를 분리시켜야 한다.
즉, 전기 기기는 전원 스위치가 오프(off)되더라도 플러그 소켓의 전류가 플 러그를 통하여 전기 기기에 시간당 대략 5-12W 정도의 미세한 대기 전력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대기 전력의 소모로 인하여 연간 수천억원의 전력 손실이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기기의 플러그가 플러그 소켓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전기 기기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발생되기도 하며, 전기 기기가 대기 상태로 작동되면서 관련구동부품들의 열화(劣化)가 발생되기도 하고, 낙뢰시 고압의 전류가 전기 기기로 유입되어 뇌전피해(雷電被害)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벽체의 콘센트로부터 연장되면서 다수의 플러그 소켓을 갖추고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에 전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멀티 콘센트 장치에 대기 전력 차단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대기 전력 차단 기능이란, 멀티 콘센트 장치에 연결된 여러개의 전기 기기에서 소모되는 소모 전력을 기반으로 전기 기기의 대기 상태를 판단하고, 모든 전기 기기가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켜 전원을 차단함에 의해 대기 전력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현재 대기 전력 차단 방식의 기술 발전으로, 멀티 콘센트 장치의 대기 전력 차단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전기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대기 전력 차단 상태를 해제한 이후에 전기 기기의 전원을 켜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댁내 텔레비전(television)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는 먼저 멀티 콘센트 장치의 대기 전력 차단 상태를 해제하는 제1 동작과, 텔레비전의 전원을 켜는 제2 동작을 통해서만 텔레비전의 전원을 온 시켜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전력 차단 기능이 구현된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특정 장치를 이용하여 복잡한 과정 없이 전기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제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멀티 콘센트 장치, 즉 대기 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콘센트 장치에서 원격 제어하는 방식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멀티 콘센트 장치에서 이격 설치하여, 전기 기기 또는 기타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무선 신호의 수신부를 멀티 콘센트 장치에 이격 설치하고 케이블 등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이격 거리에 한계가 있음은 물론, 실치 및 미관상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수신부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분실 및 파손의 가능성이 농후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 대기 전력 차단 기능이 구현된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특정 장치를 이용하여 복잡한 과정 없이 전기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은, 상용 AC 전원을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기 기기로 제공하며, 전자제품의 대기상태 소비 전력을 감지하여 기설정된 대기 전력에 상응하면,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대기 전원 차단 상태에서 차단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전원을 온(ON)시키는 멀티 콘센트 장치와, 상기 각 전기 기기의 음성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로 상기 차단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기기로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음성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제어 장치는, 적외선 통신 방식,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 또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상기 차단 해제 신호 및 전원 제업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음성 제어 장치는, 키 코드 값에 상응하는 전기 기기의 음성 식별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키패드부와, 상기 음성 제어 장치의 운영 프로그램 정보와, 상 기 키 코드 값에 상응하는 전기 기기의 음성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상기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로 상기 차단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 식별 정보의 키 코드 값에 상응하는 전기 기기로 상기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차단 해제 신호 및 전원 제어 신호를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 및 해당 전기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는, 전원이 온되면, 해제 완료 신호를 상기 음성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음성 제어 장치는, 상기 차단 해제 신호를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로 전송한 이후에 소정 시간이내에 상기 해제 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차단 해제 신호 및 원격 제어 신호를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은, 음성 제어 장치에 전기 기기별 음성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제어 장치가 멀티 콘센트 장치가 대기 전력 차단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전원 온 시키고자 하는 전기 기기에 상응하는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제어 장치가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상기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로 차단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제어 장치가 상기 음성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기기로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멀티 콘센 트 장치가 상기 차단 해제 신호에 따라 전원 온되면, 해제 완료 신호를 상기 음성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제어 장치가 상기 차단 해제 신호를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로 전송한 이후에 소정 시간이내에 상기 해제 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차단 해제 신호 및 원격 제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음성 신호만으로 멀티 콘센트 장치의 대기 전력 차단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전기 기기의 전원을 온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제어 장치 조작없이 전기 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멀티 콘센트 장치와 통신하는 음성 제어 장치를 통해 대기 전력 차단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통신 거리를 확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적외선 통신 방식 이외에 근거리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과 같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설명하며, 본 발명의 주된 기술 요지를 흐리거나, 주지된 기술 내용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은, 대기 전력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멀티 콘센트 장치(100)와, 멀티 콘센트 장치(100)의 전기 기기 접 속부(플러그 소켓)(도 3의 108)에 플러그가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다수개의 전기 기기(300)(예를 들어, 텔레비전, 에어컨 등)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음성 정보)에 따라 멀티 콘센트 장치(100)의 대기 전력 차단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전기 기기(300)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는 음성 제어 장치(200)를 포함한다.
음성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음성 신호에 키 코드 값이 포함되어 있으면, 멀티 콘센트 장치(100)의 대기 전력 차단 상태를 해제하는 차단 해제 신호를 전송한 이후에 원격 제어 신호에 포함된 키 코드 값에 상응하는 전기 기기(300)로 전원 제어 신호(가령,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제어 장치(200)는, 음성 인식부(240)와, 제어 신호 송신부(250)와, 신호 제어부(220)와, 저장부(230)와, 키패드부(210)를 포함한다.
키패드부(210)는 터치 스크린 방식 또는 3×4 키 배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키 코드 값에 상응하는 전기 기기(300)의 음성 식별 정보를 음성 인식부(240)와 연계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키패드부(210)를 통해 '1' 값은 음성 정보 '텔레비전'이고, '2' 값은 음성 정보 '에어컨' 등과 같이 키 코드 값에 상응하는 전기 기기(300)의 음성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설 정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음성 제어 장치(200)의 운영 프로그램 정보와, 키 코드 값에 상응하는 전기 기기(300)의 음성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음성 인식부(240)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제어부(220)로 제공한다.
신호 제어부(220)는 음성 인식부(24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저장부(230)에 음성 신호에 상응하는 음성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차단 해제 신호를 멀티 콘센트 장치(100)로 전송하면서 전원 제어 신호를 해당 음성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해당 전기 기기(300)로 전송한다.
한편, 음성 제어 장치(200)는 멀티 콘센트 장치(100)로부터 해제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신호 제어부(220)는 차단 해제 신호를 멀티 콘센트 장치(100)로 전송한 이후에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이내에 제어 신호 수신부(240)를 통해 해제 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원격 제어 신호 및 전원 제어 신호를 재송신한다.
또한, 신호 제어부(220)는 멀티 콘센트 장치(100)로부터 차단 해제 신호를 기설정 횟수만큼 재송신한 이후에도 해제 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제어 신호 송신부(250)는 신호 제어부(220)가 생성하는 차단 해제 신호와, 전원 제어 신호를 멀티 콘센트 장치(100)와 전기 기기(300)로 송신한다.
이때, 신호 제어부(220)는 차단 해제 신호와 전원 제어 신호를 각기 다른 근 거리 통신 방식, 예를 들어, 차단 해제 신호를 RF 통신 방식, 전원 제어 신호는 적외선 통신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제어 신호 송신부(250)를 각기 다른 통신 방식의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방식은 근거리 통신 방식, 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 방식,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 콘센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 장치(100)는 상용 전원 입력부(102), 소비전력 감지부(104), 다수개의 스위치(106), 각 스위치(106)에 연결되는 전기 기기 접속부(108), 콘센트 제어부(110), 무선신호 수신부(240)(112), 구동전원 변환부(114)로 구성된다.
상용 전원 입력부(102)는 콘센트의 형상으로 상용 AC 전원(AC 220V)을 입력받아, 소비전력 감지부(104) 및 구동전원 변환부(114)로 제공한다.
소비전력 감지부(104)는 상용전원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 AC 전원이 스위치(106) 및 전기 기기 접속부(108)를 통해 연결되는 전기 기기(300)의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소비전력을 측정하여 콘센트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스위치(106)는 온(ON)시에 상용 전원 입력부(102)와 전기 기기 접속부(108)를 연결하여 상용전원 입력부(102)를 통해 제공되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전기 기기 접속부(108)로 제공하고, 오프(OFF)시에 상용전원 입력부(102)와 전기 기기 접 속부(108)를 차단하여, 상용전원 입력부(102)를 통해 제공되는 상용전원이 대기 상태인 전기 기기(300)로 제공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106)는 제어부(110)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된다.
제어부(110)는 무선 신호 수신부(112)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제어 장치(200)로부터의 차단 해제 신호에 따라 스위치(106)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소비전력 감지부(104)를 통해 측정된 소비전력이 기설정된 대기 전력에 상응하면, 스위치(106)를 오프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차단 해제 신호에 따라 스위치(106)를 온시키는 경우에 해제 완료 신호를 음성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무선 신호 수신부(240)(112)는 적외선 통신 또는 RF 통신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른 차단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콘센트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구동전원 변환부(114)는 상용전원 입력부(102)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 AC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멀티 콘센트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로 제공한다.
또한, 멀티 콘센트 장치(100)는 스위치(106)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램프 등의 표시장치(116)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음성 제어 장치(200)에 전기 기기(300)별 음성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키 코드 값을 설정한다(S 100).
그리고, 사용자는 멀티 콘센트 장치(100)가 대기 전력 차단 상태에서 전원 온 시키고자 하는 전기 기기(300)에 상응하는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 110).
음성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분석한다(S 120).
그리고, 음성 제어 장치(200)는 음성 신호에 상응하는 음성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차단 해제 신호를 멀티 콘센트 장치(100)로 전송한다(S 130).
멀티 콘센트 장치(100)는 차단 해제 신호에 따라 스위치(106)를 온시키면, 해제 완료 신호를 음성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 140).
음성 제어 장치(200)는 멀티 콘센트 장치(100)로 차단 해제 신호를 전송한 이후에 음성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키 코드 값에 상응하는 전기 기기(300)로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 150).
한편, 음성 제어 장치(200)는 차단 해제 신호를 멀티 콘센트 장치(100)로 전송한 이후에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이내에 멀티 콘센트 장치(100)로부터 해제 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원격 제어 신호 및 전원 제어 신호를 재송신한다.
또한, 음성 제어 장치(200)는 멀티 콘센트 장치(100)로부터 차단 해제 신호를 기설정 횟수만큼 재송신한 이후에도 해제 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음성 제어 장치(200)는 차단 해제 신호와 전원 제어 신호를 각기 다른 통신 방식, 예를 들어, 차단 해제 신호를 RF 통신 방식, 전원 제어 신호는 적외선 통신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제어 신호 송신부(250)를 각기 다른 통신 방식의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음성 신호만으로 멀티 콘센트 장치(100)의 대기 전력 차단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전기 기기(300)의 전원을 온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제어 장치 조작없이 전기 기기(30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 콘센트 장치(100)와 통신하는 음성 제어 장치(200)를 통해 대기 전력 차단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통신 거리를 확대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 방식 이외에 근거리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과 같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 콘센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멀티 콘센트 장치 102 : 상용 전원 입력부
104 : 소비 전력 감지부 106 : 스위치
108 : 전기 기기 접속부 110 : 콘센트 제어부
112 : 무선 신호 수신부 114 : 구동 전원 변환부
116 : 램프 200 : 음성 제어 장치
210 : 키패드부 220 : 신호 제어부
230 : 저장부 240 : 제어 신호 수신부
250 : 제어 신호 송신부 300 : 전기 기기

Claims (7)

  1.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용 AC 전원을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기 기기로 제공하며, 소비 전력을 감지하여 기설정된 대기 전력에 상응하면,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대기 전원 차단 상태에서 차단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전원을 온(ON)시키는 멀티 콘센트 장치와,
    상기 각 전기 기기의 음성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로 상기 차단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기기로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음성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제어 장치는,
    적외선 통신 방식,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 또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상기 차단 해제 신호 및 전원 제업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제어 장치는,
    키 코드 값에 상응하는 전기 기기의 음성 식별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키패드부와,
    상기 음성 제어 장치의 운영 프로그램 정보와, 상기 키 코드 값에 상응하는 전기 기기의 음성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상기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로 상기 차단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 식별 정보의 키 코드 값에 상응하는 전기 기기로 상기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차단 해제 신호 및 전원 제어 신호를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 및 해당 전기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는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는,
    전원이 온되면, 해제 완료 신호를 상기 음성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5.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제어 장치는,
    상기 차단 해제 신호를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로 전송한 이후에 소정 시간이내에 상기 해제 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차단 해제 신호 및 원격 제어 신호를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6.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음성 제어 장치에 전기 기기별 음성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제어 장치가 멀티 콘센트 장치가 대기 전력 차단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전원 온 시키고자 하는 전기 기기에 상응하는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제어 장치가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상기 음성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로 차단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제어 장치가 상기 음성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기기로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가 상기 차단 해제 신호에 따라 전원 온되면, 해제 완료 신호를 상기 음성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제어 장치가 상기 차단 해제 신호를 상기 멀티 콘센트 장치로 전송한 이후에 소정 시간이내에 상기 해제 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차단 해제 신호 및 원격 제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090034889A 2009-04-22 2009-04-22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04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889A KR101041410B1 (ko) 2009-04-22 2009-04-22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889A KR101041410B1 (ko) 2009-04-22 2009-04-22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268A true KR20100116268A (ko) 2010-11-01
KR101041410B1 KR101041410B1 (ko) 2011-06-14

Family

ID=4340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889A KR101041410B1 (ko) 2009-04-22 2009-04-22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011A (ko) * 2012-03-15 201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전원 제어 방법
CN110207320A (zh) * 2019-05-31 2019-09-06 南京荟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挂壁式空调零功耗待机的智能插座及其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374B1 (ko) * 2013-11-01 2015-01-15 박수균 음성인식을 이용하는 대기전력 차단 전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251A (ko) * 1997-11-17 1999-06-05 윤종용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
JP2003042948A (ja) * 2001-08-03 2003-02-13 Univ Waseda グルコース濃度測定装置
KR20030071975A (ko) * 2002-03-05 2003-09-13 에스엘투(주) 음성인식을 이용한 가정용 기기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방법
KR200312791Y1 (ko) * 2003-02-10 2003-05-13 주식회사 케이맥 음성인식장치가 내장된 멀티 콘센트
KR100789915B1 (ko) * 2006-03-06 2008-01-02 주식회사 에너테크 멀티 탭에서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011A (ko) * 2012-03-15 201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전원 제어 방법
CN110207320A (zh) * 2019-05-31 2019-09-06 南京荟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挂壁式空调零功耗待机的智能插座及其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410B1 (ko) 201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011Y1 (ko)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EP3047494B1 (en) Easy-install home automation light switch
CN102299548B (zh) 电子装置及其供电方法以及无线供电系统
CN101930660A (zh) 一种能遥控多种ir设备的rf遥控装置及其遥控方法
KR101041410B1 (ko)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87257A (ko)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소전력 원격 제어관리시스템
CN108427309A (zh) 智能家居控制系统
KR20130072450A (ko)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
KR20160032662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JP2002044752A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1846740B1 (ko)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KR20100060178A (ko) 비접촉 충전 리모콘 및 그 충전 제어 방법
CN205123937U (zh) 电视机遥控系统
CN105635816B (zh) 媒体设备的供电与信道接口信息获取系统及获取方法
CN202308641U (zh) 智能插头和家庭网络系统
CN201919011U (zh) 智能电源控制装置
KR101156738B1 (ko) 대기전력콘센트 제어시스템
CN205249420U (zh) 信号转换设备
CN205334722U (zh) 基于wifi的智能遥控装置
CN210691576U (zh) 无线遥控开关控制系统
CN103592864A (zh) 一种电器开关控制系统
KR100970279B1 (ko) 원격 전력제어장치
CN202712617U (zh) 墙壁插座的遥控开关系统
JP7043473B2 (ja) スイッチ装置
CN106548614A (zh) 一种遥控器搜索方法、装置和中继放大方法、装置及遥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