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662A -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662A
KR20160032662A KR1020150063925A KR20150063925A KR20160032662A KR 20160032662 A KR20160032662 A KR 20160032662A KR 1020150063925 A KR1020150063925 A KR 1020150063925A KR 20150063925 A KR20150063925 A KR 20150063925A KR 20160032662 A KR20160032662 A KR 20160032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dule
switching module
smartphon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씨
Publication of KR2016003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13/007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3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콘센트 전단 또는 후단에 실치되는 것으로 입력 전원의 공급을 on하거나 off하는 스위칭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을 설치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ID를 부여하고 키 입력부에서 ID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폰과, 상기 스마트 폰에서 전송한 ID를 수신하여 수신부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ID를 수신하여 전원의 입력부에 구성된 스위칭 모듈의 on-off를 제어하는 수신부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스위칭 모듈에 연결되어 입력전원 AC를 DC로 변환하는 SMPS와, 상기 SMPS의 출력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수신부 블루투스 모듈에 연결되어 스위칭 모듈 off 시에 수신부 블루투스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캐패시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Blocking System of Standby Powewr of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전원을 연결하는 콘센트의 대기 전력을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콘센트에 전자기기의 코드를 삽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있으면 전자기기가 off되어 작동하지 아니하더라고 콘세트와 전자기기 사이에서 대기 전력이 소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전자기기에 코드로 연결되는 콘센트에 설치되어 콘센트와 전자기기 사이의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전자기기의 코드를 콘센트에서 제거하지 아니하더라도 전원이 차단되어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8778호(2011. 11. 01.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대기전력 자동차단 스위치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대기전력 자동차단 스위치(100)는 벽체의 일부에 고정 설치되거나, 이동형으로도 구성이 가능하고, 옥내 배선에 따라 TV, 냉장고, 세탁기, 전기 난로 같은 여러 가지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통해 접속하여 사용하는 콘센트장치와 연결구조를 갖지며, 상시전원 또는 대기전력 차단 여부를 스위치장치(100)에 의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도 1에서 도면번호 110은 제어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콘센트장치의 플러그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전자기기에 상시전원 공급상태, 미사용시 대기전력 차단상태를 설정하거나 상기 스위치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고, 도면번호 120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스위치장치(100)와 연동된 콘센트장치와 체결된 전자기기에 상시전원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전원스위치를 나타내는데, 이는 버튼형태 또는 ON/OFF의 스위치 형태로도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원스위치(120)의 버튼을 1회 누르면 하기에 기술될 상기 LED 구동부에 상시 LED가 구동되고 상기 스위치 장치(100)에 연결된 콘센트에 상시전원이 인가되고, 1회 더 누르면 상시전원이 차단되어 해당 콘센트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번호 130은 선택스위치를 나타내는데, 이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스위치장치(100)와 연동된 콘센트장치와 체결된 전자기기의 미사용에 따른 해당 콘센트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여부를 선택하게 되며, 이는 상기 전원스위치(120)와 같이 버튼형태 또는 ON/OFF의 스위치 형태로도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선택스위치(130)도 상기 전원스위치(120)의 원리와 같이 해당 버튼을 누르면 상기 스위치장치(100)에 연결된 콘센트에 대기전력 차단기능이 설정되고, 한번 더 누르면 콘센트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번호 140은 전류센서로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전원스위치(120)가 구동되고 상기 선택스위치(130)의 대기전력차단 설정에 따라 유입된 전력의 해당 전류량을 체크하거나, 해당 전자기기의 정격를 확인하여 설정된 대기전력 이하 시 자동 차단되도록 전자기기의 전류량을 체크하며, 150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센서(14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플러그삽입부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력량을 측정하여 해당 측정된 전력량의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한다. 도면 번호 170은 입력설정부로서, 상기 플러그삽입부와 체결된 전자기기와 상기 스위치장치(100)의 대기전력 차단을 설정하거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해 전자기기의 사용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버튼으로 구성되며, 한편, 상기의 입력설정부(170)은 다수개의 key pad로 구성되어 key pad의 입력창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을 위해 콘센트장치(200)에 체결된 전자기기의 사용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선택스위치(120)의 구동에 따라 해당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여부를 구동하거나, 1개의 입력 버튼으로 구성되어 5초 이상 누르면 대기전력 차단기능 해제 또는 10초 이상 누르면 대기전력차단 동작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번호 160은 LED 구동부로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전원스위치(120)의 전원인가에 따라 상시전원이 공급될 때 상시전원 설정 여부를 표시하거나, 상기 선택스위치(130)의 대기전력 차단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설정부(170)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여부를 표시하거나, 구동상태가 점등신호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 LED 구동부(160)는 대기, 리모콘, 상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적절한 색상의 LED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면번호 190은 무선수신부로서 상기 선택스위치(120)의 버튼 구동중 전자기기의 리모콘 송신기(도면 미도시)와 연동되어 리모콘 송신기의 전송(ON)신호에 따라 외부 리모콘 구동상태로 설정되거나, 리모콘 송신기의 신호 미전송(OFF)시 대기전력 차단 설정을 위해 리모콘 송신기의 전송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무선수신부(190)는 스위치장치(100)의 내부에 모듈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번호 180은 디스플레이부로서 상기 스위치장치(100)의 상기 전류센서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의 측정된 전력량이 A/D 컨버터를 통해 변환되어 해당 측정된 전력량을 표시하거나, 상기 입력설정부(170)의 구동신호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여부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기 전력 차단 장치는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기전력 차단장치는 리모콘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서 리모콘을 사용하여 전자기기를 off하여도 또 다른 과정을 거쳐야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다수의 사람들이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콘센트에 흐를 수 있는 대기 전력을 용이하게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콘센트 전단 또는 후단에 실치되는 것으로 입력 전원의 공급을 on하거나 off하는 스위칭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을 설치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ID를 부여하고 키 입력부에서 ID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폰과, 상기 스마트 폰에서 전송한 ID를 수신하여 수신부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ID를 수신하여 전원의 입력부에 구성된 스위칭 모듈의 on-off를 제어하는 수신부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스위칭 모듈에 연결되어 입력 전원 AC를 DC로 변환하는 SMPS와, 상기 SMPS의 출력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수신부 블루투스 모듈에 연결되어 스위칭 모듈 off 시에 수신부 블루투스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캐패시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구성이 간단하여 구축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기존 콘센트에 적용하여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현재 다수가 소지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대기전력 자동차단 스위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제1실시 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제2실시 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 제어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1)은 콘센트(10) 전단 또는 후단에 실치되는 것으로 콘센트의 입력 전원의 공급을 on하거나 off하는 스위칭 모듈(20)과, 스위칭 모듈 후단에 연결되는 콘센트(10)와, 근거리 통신 모듈인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ID를 부여하고 키 입력부에서 ID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폰(70)과, 상기 스마트 폰(70)에서 전송한 ID를 수신하여 수신부 모듈(60)로 전송하는 수신부(50)와, 상기 수신부(50)에서 수신한 ID를 수신하여 전원의 입력부에 구성된 스위칭 모듈(20)의 on-off를 제어하는 수신부 모듈(60)과, 상기 스위칭 모듈(20)에 연결되어 입력전원 AC를 DC로 변환하는 SMPS(30)와, 상기 SMPS(30)의 출력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수신부 모듈에 연결되어 스위칭 모듈 off 시에 수신부 모듈(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캐패시턴스(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스마트 폰(70)에서 등록된 ID를 전송하면 수신부(50)가 수신하여 수신부 모듈(60)로 전송하고 수신부 모듈(60)은 스위칭 모듈(20)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스위칭 모듈(20)이 on 상태에서는 캐패시턴스(40)가 충전되며 수신부 모듈(6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되므로 스마트 폰(70)에서 전송한 ID를 수신부(50)를 통하여 수신한 수신부 모듈(60)이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스마트 폰(70)에서 다시 ID를 전송하면 수신부 모듈(60)은 스위칭 모듈(20)을 off하여 콘센트로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off하도록 제어하는 것이고 이때 수신부 모듈은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므로 스위칭 모듈(20) on 시에 충전된 캐패시턴스(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 폰과 통신할 수 있는 수신부의 수신 신호에 따라 수신부 모듈이 콘센트 전단에 구축된 스위칭 모듈을 on, off 하도록 제어하면 콘센트와 전자기기 사이에 존재하는 대기 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SMPS(30)는 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AC/DC 컨버터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수신부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제2실시 예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제2실시 예는 콘센트(10) 전단 또는 후단에 실치되는 것으로 콘센트의 입력 전원의 공급을 on하거나 off하는 스위칭 모듈(20)과, 근거리 통신 모듈인 와이파이(WiFi) 모듈을 설치하여 와이파이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ID를 부여하고 키 입력부에서 ID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폰(70)과, 상기 스마트 폰(70)에서 전송한 ID를 수신하여 MCU(60-1)로 전송하는 와이파이 수신부(50-1)와, 상기 와이파이 수신부(50-1)에서 수신한 ID를 수신하여 전원의 입력부에 구성된 스위칭 모듈(20)의 on-off를 제어하는 MCU(60-1)와, 상기 스위칭 모듈(20)에 연결되어 입력전원 AC를 DC로 변환하는 SMPS(30)와, 상기 SMPS(30)의 출력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MCU(60-1)에 연결되어 스위칭 모듈 off 시에 MCU에 전원을 공급하는 캐패시턴스(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제2실시 예는 스마트 폰(70)에서 등록된 ID를 전송하면 와이파이 수신부(50-1)가 수신하여 MCU(60-1)로 전송하고 MCU는 스위칭 모듈(20)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스위칭 모듈(20)이 on 상태에서는 캐패시턴스(40)가 충전되며 MCU(60-1)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되므로 스마트 폰(70)에서 전송한 ID를 와이파이 수신부(50-1)를 통하여 수신한 MCU(60-1)는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스마트 폰(70)에서 다시 ID를 전송하면 MCU(60-1)는 스위칭 모듈(20)을 off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위칭 모듈이 off 되면 off되기 전 동안에 캐패시턴스(40)에 충전된 전력이 MCU(60-1)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 폰과 통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수신부의 수신 신호에 따라 MCU가 콘센트 전단에 구축된 스위칭 모듈을 on, off 하도록 제어하면 콘센트와 전자기기 사이에 존재하는 대기 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SMPS는 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AC/DC 컨버터일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 제어흐름도이다. 상기도 4에서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은 스마트 폰이 사용자의 ID를 등록받고 ID를 MCU로 전송하는 단계(S11)와, 초기 전원 공급에 의하여 MCU가 수신한 ID를 기초로 하여 스위칭 모듈을 on하는 단계(S12)와, 스위칭 모듈이 on 되어 캐패시턴스에 전력이 충전되는 단계(S13)와,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ID를 MCU로 다시 전송하는 단계(S14)와, 상기 MCU가 스위칭 모듈을 off 하여 콘센트로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15) 및 스마트 폰이 ID를 다시 전송하여 캐패시턴스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MCU가 스위칭 모듈을 on하여 콘센트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단계(S16)로 구성되고 이하에서는 단계 S13 내지 단계 16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MCU에서 수신한 ID를 기초로 하여 스위칭 모듈을 on하는 단계는 초기에 MCU 전원을 공급하고 이후에서는 스위칭 모듈 off 시에 캐패시턴스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스위칭 모듈을 on 하는 것이다.
10 : 콘센트, 20 : 스위칭 모듈,
30 : SMPS, 40 : 캐패시턴스,
50 : 수신부, 60 : MCU,
70 : 스마트 폰, 100 : 자동차단 스위치,
110 : 제어부, 120 : 전원스위치.

Claims (6)

  1. 전자기기의 코드가 삽입되어 전원을 연결하는 콘센트의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콘센트(10) 전단 또는 후단에 실치되는 것으로 입력 전원의 공급을 on하거나 off하는 스위칭 모듈(20)과;
    상기 스위칭 모듈 후단에 연결되는 콘센트(10)와;
    내부에 근거리 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ID를 부여하고 키 입력부에서 ID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폰(70)과;
    상기 스마트 폰(70)에서 전송한 ID를 수신하여 수신부 모듈(60)로 전송하는 수신부(50)와;
    상기 수신부(50)에서 수신한 ID를 수신하여 전원의 입력부에 구성된 스위칭 모듈(20)의 on-off를 제어하는 수신부 모듈(60)과;
    상기 스위칭 모듈(20)에 연결되어 입력전원 AC를 DC로 변환하는 SMPS(30);
    및 상기 SMPS(30)의 출력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수신부 모듈(60)에 연결되어 스위칭 모듈 off 시에 수신부 모듈(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캐패시턴스(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MPS는,
    AC/DC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5.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은,
    스마트 폰이 사용자의 ID를 등록받고 ID를 MCU로 전송하는 단계(S11)와;
    초기 전원 공급에 의하여 MCU가 수신한 ID를 기초로 하여 스위칭 모듈을 on하는 단계(S12)와;
    스위칭 모듈이 on 되어 캐패시턴스에 전력이 충전되는 단계(S13)와;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ID를 MCU로 다시 전송하는 단계(S14)와;
    상기 MCU가 스위칭 모듈을 off 하여 콘센트에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15);
    및 스마트 폰이 ID를 다시 전송하여 캐패시턴스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MCU가 스위칭 모듈을 on하여 콘센트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은,
    S16 단계 이후에는 단계 S13 내지 단계 16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1020150063925A 2014-09-05 2015-05-07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201600326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9420 2014-09-05
KR1020140119420 2014-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662A true KR20160032662A (ko) 2016-03-24

Family

ID=5565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925A KR20160032662A (ko) 2014-09-05 2015-05-07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26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079B1 (ko) * 2019-09-17 2020-04-29 조현희 대기전력 차단 전기공사 시공방법
WO2020105853A1 (ko) * 2018-11-23 2020-05-28 주식회사 삼호테크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
CN112837494A (zh) * 2020-12-30 2021-05-25 华南农业大学 一种校园宿舍用电安全隐患排查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853A1 (ko) * 2018-11-23 2020-05-28 주식회사 삼호테크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
KR102106079B1 (ko) * 2019-09-17 2020-04-29 조현희 대기전력 차단 전기공사 시공방법
CN112837494A (zh) * 2020-12-30 2021-05-25 华南农业大学 一种校园宿舍用电安全隐患排查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011Y1 (ko)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US9519939B2 (en)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RU2419932C1 (ru) Штепс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TWI483580B (zh) 智慧插排及應用該智慧插排的智慧家居系統
KR101425211B1 (ko)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CN203745876U (zh) 一种智能家居控制装置
KR20160032662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CN201947375U (zh) 用于数字电视接收设备的遥控系统
CN105610011A (zh) 一种通过终端设备蓝牙控制的智能节能插座及方法
KR200464008Y1 (ko)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CN105118268A (zh) 一种智能滤波节电遥控器
KR101846740B1 (ko)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CN204720712U (zh) 一种智能插排的控制电路及智能插排
TWM455163U (zh) 智慧插排及應用該智慧插排的智慧家居系統
CN102880096A (zh) 一种家电智慧电源
CN206790748U (zh) 一种具有红外和无线电通讯功能的自发电式灯具无线控制装置
KR101820476B1 (ko)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KR20160019794A (ko)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CN205123937U (zh) 电视机遥控系统
KR20160066384A (ko) 비콘과 스마트 단말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자동 차단 복구 시스템
US20110304209A1 (en) Electric receptacle module
KR20100116268A (ko)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204012947U (zh) 能量传输平台、无线电能传输系统及具有其的烹饪系统
KR101156738B1 (ko) 대기전력콘센트 제어시스템
CN205249420U (zh) 信号转换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