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476B1 -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0476B1 KR101820476B1 KR1020160163771A KR20160163771A KR101820476B1 KR 101820476 B1 KR101820476 B1 KR 101820476B1 KR 1020160163771 A KR1020160163771 A KR 1020160163771A KR 20160163771 A KR20160163771 A KR 20160163771A KR 101820476 B1 KR101820476 B1 KR 1018204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charging
- battery
- charg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 G01R31/3606—
-
- H02J2007/0037—
-
- H02J2007/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와 전원과의 연결 여부 및 충전 여부를 감시하고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예방하는 동시에 정상 배터리나 불량 배터리의 과충전을 미연에 방지하여 배터리의 과충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와 전원과의 연결 여부 및 충전 여부를 감시하고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예방하는 동시에 정상 배터리나 불량 배터리의 과충전을 미연에 방지하여 배터리의 과충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기는 가정의 콘센트나 차량 내 USB 단자 또는 시가잭 박스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식으로서, 충전이 완료된 후에도 전류가 흘러 전기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류를 공급하여 과충전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배터리를 오래 사용하거나, 배터리셀, 배터리 또는모바일단말에 장착된 보호회로가 오동작하여 이미 충전이 완료되었는데도 배터리를 계속 과충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배터리가 과충전되면 배터리셀의 수명 감소 및 폭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비록 배터리나 모바일단말에 보호회로가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과충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과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배터리나 모바일단말의 보호회로 구비 여부와는 무관하게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와 전원과의 연결 여부, 충전 여부 및 과충전 여부를 감지하여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와 전원과의 연결 여부 및 충전 여부를 감시하고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예방하는 동시에 정상 배터리나 불량 배터리의 과충전을 미연에 방지하여 배터리의 과충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는, 모바일단말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정도에 대한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는 충전상태 수신부; 및 상기 충전상태신호를 분석하여 외부로 직류전원의 공급을 개시 및 차단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충전상태신호의 배터리 충전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정도 미만이면 직류전원의 공급을 개시하고,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충전상태신호의 수신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충전상태신호의 배터리 충전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정도에 도달하면 직류전원의 공급을 즉시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충전상태신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한계시간 동안 배터리 충전 정도의 변경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직류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는, 모바일단말과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단말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는, 모바일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는, USB 케이블을 통해 무선충전부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충전부가 모바일단말로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는, 상기 충전상태신호를 상기 USB 케이블 및 블루투스 중의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수신할지를 선택받는 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와 전원과의 연결 여부 및 충전 여부를 감시하고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예방하는 동시에 정상 배터리나 불량 배터리의 과충전을 미연에 방지하여 배터리의 과충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와 연결되는 모바일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에서 정류부 및충전제어부를 구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에서 유선수신부 및 충전제어부를 구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에서 무선수신부를 구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와 연결되는 모바일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에서 정류부 및충전제어부를 구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에서 유선수신부 및 충전제어부를 구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에서 무선수신부를 구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는 모바일단말(2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모바일단말(200) 내에 장착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모바일단말(200)로 충전전류 또는 충전전압을 공급하며, 모바일단말(200)로부터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한다.
충전상태신호는 모바일단말(200)의 배터리 충전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신호로서, 후술하겠지만 모바일단말(200)에 본 발명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로 충전상태신호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단말(200)은 내부의 프로세서 및 OS(operating system)를 통해 장착된 배터리의 충전 정도를 체크하고 관리한다. 모바일단말(20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OS 차원에서 제공하는 배터리의 충전 정도를 모니터링하며 주기적으로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로 배터리의 충전 정도에 대한 충전상태신호를 제공한다. 충전 정도는 완전충전을 기준으로 백분율 단위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는 모바일단말(200)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모바일단말(200)로부터 충전상태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연결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가 이용될 수 있으며, 무선 연결로는 블루투스가 이용될 수 있다. 다만, USB 및 블루투스는 전원 또는 정보 교환의 인터페이스 규격이므로, USB 외에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규격을 통해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는 충전제어부(110), 연결감시부(120), 충전상태 수신부(130), 전환스위치(140) 및 충전단자(150)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추가로 정류부(160), 모바일단말(200) 및 무선충전부(300)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정류부(160)는 110V~220V의 교류전원을 모바일단말(200)로 공급하기 위한 정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변환된 정전압의 직류전원은 충전단자(150)로 제공된다. 정류부(160)는 교류전원과 모바일단말(200)을 연결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요하지만, 차량의 시거잭이나 USB 단자 또는 컴퓨터의 USB 단자를 통해 모바일단말(20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충전단자(150)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휴대전화, 컴퓨터 등에 주로 사용되는 USB 규격의 단자로서, 모바일단말(200)과 직접 연결되거나 혹은 무선충전부(300)로 연결되어 정전압의 직류전원을 모바일단말(200) 또는 무선충전부(300)로 공급한다.
USB 인터페이스 규격의 경우, 전원 공급 외에도 연결된 장치간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모바일단말(200)이 충전단자(150)를 통해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 모바일단말(200)은 충전단자(15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동시에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로 충전상태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모바일단말(200)이 충전단자(150)를 통해 직접 연결되지 않고 무선충전부(300)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는 충전단자(150)를 통해 무선충전부(300)와 연결되어 무선충전부(300)로 전원을 공급하고, 무선충전부(300)는 모바일단말(200)로 무선충전방식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모바일단말(200)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무선충전의 경우, 모바일단말(200)은 블루투스를 통해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로 충전상태신호를 전송한다.
충전상태 수신부(130)는 모바일단말(200)로부터 모바일단말(200)의 배터리의 의 충전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충전상태신호를 후술할 충전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이러한 충전상태 수신부(130)는 유선수신부(131) 및 무선수신부(132)를 포함한다.
유선수신부(131)는 USB 규격의 충전단자(150)를 통해 모바일단말(200)로부터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무선수신부(132)는 블루투스로 연결된 모바일단말(20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통해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어느 방식으로 충전상태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충전상태 수신부(130)는 수신한 충전상태신호를 충전제어부(110)로 전달하지만,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는 충전상태신호를 유선수신부(131) 및 무선수신부(133) 중의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수신할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전환스위치(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환스위치(140)는 딥스위치나 기능선택버튼 등 다양한 방식의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전환스위치(140)가 조작되면 조작된 대로의 전환신호를 생성하여 충전상태 수신부(130) 및/또는 충전제어부(110)로 전달한다. 물론, 전환스위치(140)의 구성이 없이 유선수신부(131) 및 무선수신부(133)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감시부(120)는 충전상태 수신부(130)에서 모바일단말(200)로부터 충전상태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그 충전상태신호의 수신 여부에 대한 결과를 충전제어부(110)로 알려주는 역할을 수신한다.
한편, 연결감시부(120)는 충전단자(150)에서 모바일단말(200)이나 무선충전부(300)로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체크하는 전원감지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모바일단말(200)의 현재 충전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연결감시부(120)는 충전단자(150)를 통해 모바일단말(200)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현재 모바일단말(200)이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충전제어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모바일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충전상태신호를 분석하여 모바일단말로 전원(직류 정전압)의 공급을 개시 및 차단하되, 충전상태신호의 배터리 충전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정도 미만이면 직류전원의 공급을 개시하고,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충전상태신호의 수신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충전상태신호의 배터리 충전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정도에 도달하면 직류전원의 공급을 즉시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충전제어부(110)는 배터리 충전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정도에 도달하여 정전압의 공급을 즉시 차단한 후에 시간 경과로 배터리 충전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정도 미만으로 떨어지면 다시 전원의 공급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한계정도는 배터리의 충전 정도를 설정한 것으로서 적절한 정도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그 정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단말(20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한계정도를 95%로 설정한 경우, 충전제어부(110)는 충전상태신호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모바일단말(200)의 배터리의 충전 정도가 95%에 도달하는 경우 충전종료신호를 생성하고 충전단자(150)를 통한 정전압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물론 그 한계정도는 배터리 완충상태인 100%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충전제어부(110)는 타이머(112)와 충전종료부(1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리셋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리셋부는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를 리셋시키는 리셋스위치 또는 리셋버튼(미도시)를 포함하되, 리셋스위치가 작동되면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대기한 후 동작을 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대기시간은 5초 내지 20초 범위 내에서 미리 적절한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그 대기시간이 조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는 모바일단말(200)의 제조사나 그 스펙에 따라 충전전압의 체크, 블루투스 연결, 및 충전상태 신호를 수신하기 까지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동작시간 및 회로 구현에 따른 각 회로소자의 리셋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는 모바일단말(200)로 직접 연결이 개시되거나 무선충전부(300)를 통하여 연결이 개시되는 경우 사용자가 리셋스위치 또는 리셋버튼을 조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을 감시하는 동작을 개시하도록 한다.
타이머(112)는 전술한 대시시간이나 후술할 한계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모바일단말(200)과의 연결 시간이나 배터리 충전 시간을 대기시간 및 한계시간의 흐름과 비교 분석하여 그 비교 분석 결과를 충전제어부(110) 및 충전종료부(114)로 제공할 수 있다.
충전종료부(114)는 충전상태신호를 분석하여 직류전원의 공급을 개시하거나 즉시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충전종료부(114)는, 충전상태신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한계시간 동안 배터리 충전 정도의 변경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직류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충전종료부(114)는, 미리 설정된 한계시간 동안 연결감시부(120)에서 체크된 전압의 변경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직류전원의 공급을 즉시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충전상태신호의 변경이 감지되지 않거나 체크된 전압의 변경이 감지되지 않는 한계시간은 환경에 따라 적절한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적절한 시간으로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와 연결되는 모바일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는 모바일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충전상태신호를 분석하여 모바일단말의 충전 연결 여부, 완전 충전 여부, 및 배터리 충전 전압을 체크하여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는 모바일단말(20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모바일단말(200)은 충전상태 감시부(210), 충전상태 송신부(220) 및 동작개시부(230)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동작개시부(230)는 모바일단말(200)에서 충전상태 감시부(210) 및 충전상태 송신부(220)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동작 개시는 모바일단말(20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조작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항상 충전상태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하게 되면 모바일단말(200)의 배터리 소모가 많아지므로, 사용자가 충전을 개시하기 전에 동작개시부(230)를 조작하여 충전상태신호의 생성 및 송신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상태 감시부(210)는 모바일단말(200)에 장착된 배터리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 배터리로 충전중인 경우 배터리로 충전되고 있는 충전전압, 및 배터리의 충전 정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감시한다.
충전상태 송신부(220)는 충전상태 감시부(210)를 통해 체크된 정보로부터 충전상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상태신호를 USB 케이블 및/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여기서, 충선상태신호는 배터리 충전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그 외에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 및 배터리로 충전중인 경우 배터리로 충전되고 있는 충전전압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충전상태 송신부(220)는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와의 연결상태에 따라 충전상태신호를 각각 연결상태에 맞는 방식으로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바일단말(200)이 예를 들어 USB 케이블과 같은 유선 케이블을 통해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충전상태 송신부(220)는 연결된 USB 단자를 통해 충전상태신호를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로 송신한다. 한편, 모바일단말(200)이 무선충전부(3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충전상태 송신부(220)는 블루투스를 통해 충전상태신호를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로 송신한다. 비록 블루투스 페어링 단계는 기술하진 않았지만, 최초로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100)가 모바일단말(200)과 블루투스로 연결될 때 페어링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각 장치에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이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의 충전상태 감시부(210), 충전상태 송신부(220) 및 동작개시부(23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모바일단말(2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에서 정류부 및충전제어부를 구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에서 유선수신부 및 충전제어부를 구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에서 무선수신부를 구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은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하는 정류부(160)를 구현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으며, 우측은 충전단자(150)로 직류전원의 공급을 개시 및 차단하되 충전종료신호를 수신하면 직류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4의 우측 하단의 충전종료신호를 수신하는 접점에서 신호되는 신호에 다라 우측 상단의 충전단자 측에서의 전원 공급을 개시 및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단말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와 미연결되어 있거나 배터리 충전 정도가 한계정도에 도달하면 충전종료신호에 대응하는 Low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우측 상단의 충전단자 측에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모바일단말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배터리 충전 정도가 한계정도 미만이면 Hi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우측 상단의 충전단자 측에서의 전원 공급을 개시하고 계속 전원 공급이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는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되 배터리 충전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정도에 도달하면 직류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충전종료신호를 생성하여 도 4의 회로로 송신하는 기능을 구현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으며, 하부는 USB 단자를 통해 모바일단말(200)로 직접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USB 단자를 통해 모바일단말(200)로부터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현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의 우측 최상부의 '충전상태신호 수신' 접점은 도 6에서 수신한 충전상태신호를 전달받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5의 우측의 중간부분의 '충전종료신호 송신' 접점은 모바일단말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와 미연결되어 있거나 배터리 충전 정도가 한계정도에 도달하면 관련 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된 충전종료신호에 대응하는 Low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고, 모바일단말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되 충전상태신호의 배터리 충전 정도가 한계정도 미만인 경우 전원을 공급하여 계속 충전시킬 수 있도록 관련 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된 Hi 신호를 외부로 전달한다. Low 신호와 Hi 신호는 도 4의 '충전종료신호 수신' 접점으로 전달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회로는 블루투스를 통해 모바일단말(200)로부터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현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 구현한 회로도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 및 다양한 회로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충전 감시 장치
110: 충전제어부
112: 타이머
114: 충전종료부
120: 연결감시부
130: 충전상태 수신부
131: 유선수신부
132: 무선수신부
133: 및 무선수신부
140: 전환스위치
150: 충전단자
160: 정류부
200: 모바일단말
210: 충전상태 감시부
220: 충전상태 송신부
230: 동작개시부
300: 무선충전부
110: 충전제어부
112: 타이머
114: 충전종료부
120: 연결감시부
130: 충전상태 수신부
131: 유선수신부
132: 무선수신부
133: 및 무선수신부
140: 전환스위치
150: 충전단자
160: 정류부
200: 모바일단말
210: 충전상태 감시부
220: 충전상태 송신부
230: 동작개시부
300: 무선충전부
Claims (5)
-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로서,
USB 케이블을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무선충전방식을 통해 모바일단말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무선충전부;
모바일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정도에 대한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되, 모바일단말과 USB 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는 유선수신부 및 모바일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를 포함하는 충전상태 수신부;
상기 충전상태신호를 분석하여 외부로 직류전원의 공급을 개시 및 차단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충전상태신호의 배터리 충전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정도 미만이면 직류전원의 공급을 개시하고,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충전상태신호의 수신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충전상태신호의 배터리 충전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정도에 도달하면 직류전원의 공급을 즉시 차단하도록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한계시간 동안 배터리 충전 정도의 변경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전원 공급을 차단한 후에 시간 경과로 배터리 충전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정도 미만으로 떨어지면 다시 전원 공급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충전제어부; 및
상기 충전상태 수신부에서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충전상태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상기 충전제어부로 제공하고, 상기 무선충전부로 공급되는 전류나 전압을 감지하여 모바일단말이 충전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감시부; 및
상기 충전상태신호를 USB 케이블 및 블루투스 중의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수신할지를 선택받는 전환스위치를 포함하되,
모바일단말이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충전상태신호를 USB 케이블을 통해 수신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 USB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단말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USB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한계시간 동안 상기 연결감시부에서 체크된 전류나 전압의 변경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직류전원의 공급을 즉시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바일단말로 하여금 상기 충전상태신호의 생성 및 송신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동작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3771A KR101820476B1 (ko) | 2016-12-02 | 2016-12-02 |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3771A KR101820476B1 (ko) | 2016-12-02 | 2016-12-02 |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0476B1 true KR101820476B1 (ko) | 2018-02-28 |
Family
ID=6140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3771A KR101820476B1 (ko) | 2016-12-02 | 2016-12-02 |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047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5515A (ko) * | 2020-12-30 | 2022-07-07 | 주식회사 솔루엠 | 배터리셀의 선택적 충전 방법 |
KR20220095513A (ko) * | 2020-12-30 | 2022-07-07 | 주식회사 솔루엠 | 배터리팩의 충전 관리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5537Y1 (ko) * | 2006-01-31 | 2006-05-03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유선 충전부를 구비하는 무접점 충전장치 |
JP2015177671A (ja) * | 2014-03-17 | 2015-10-05 |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 ルータ装置およびルータ制御方法 |
-
2016
- 2016-12-02 KR KR1020160163771A patent/KR1018204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5537Y1 (ko) * | 2006-01-31 | 2006-05-03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유선 충전부를 구비하는 무접점 충전장치 |
JP2015177671A (ja) * | 2014-03-17 | 2015-10-05 |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 ルータ装置およびルータ制御方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5515A (ko) * | 2020-12-30 | 2022-07-07 | 주식회사 솔루엠 | 배터리셀의 선택적 충전 방법 |
KR20220095513A (ko) * | 2020-12-30 | 2022-07-07 | 주식회사 솔루엠 | 배터리팩의 충전 관리 방법 |
KR102659302B1 (ko) * | 2020-12-30 | 2024-04-22 | 주식회사 솔루엠 | 배터리팩의 충전 관리 방법 |
KR102659303B1 (ko) * | 2020-12-30 | 2024-04-22 | 주식회사 솔루엠 | 배터리셀의 선택적 충전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25183B2 (en) | Charging system and vehicle and charge controller for the charging system | |
CN103296705B (zh) | 终端的充放电方法以及充放电终端 | |
JP4777155B2 (ja) | 電子機器、非接触型充電器及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 |
CN104967200A (zh) | 一种快速充电方法及移动终端 | |
KR102359911B1 (ko) | 전기 차량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차량 충전 방법 | |
KR20070106912A (ko) |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 | |
CN106655423A (zh) | 一种无线充电方法及设备 | |
KR100798830B1 (ko) |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 |
CN205355893U (zh) | 移动终端与充电器 | |
CN105576723A (zh) | 智能终端电池充电管理装置和方法 | |
CN105762898A (zh) | 一种智能手机充电器 | |
KR101820476B1 (ko) |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 |
KR20160026404A (ko) |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 |
WO2018086143A1 (zh) | 电池、电池管理系统、移动平台以及用电设备 | |
EP3410562A1 (en) | Non-contact power receiving device and non-contact power receiving method | |
CN110303933A (zh) | 一种自动导引车的电池自动充电方法 | |
KR101609719B1 (ko) |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 |
EP1086521B1 (en) | Two-wire multi-rate battery charger | |
CN105490355A (zh) | 移动终端与充电器 | |
KR20210089529A (ko) | 무선 충전 중에 이물질을 검출하는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 |
TW201735494A (zh) | 無線輸入裝置、充電板及其充電方法 | |
KR101765128B1 (ko) |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서 노이즈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
CN109274159A (zh) | 一种充电系统 | |
CN107203284B (zh) | 无线输入装置、充电板及充电板的充电方法 | |
US20150033046A1 (en) | Method of power management, portable system and portable power ba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