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830B1 -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830B1
KR100798830B1 KR1020060075819A KR20060075819A KR100798830B1 KR 100798830 B1 KR100798830 B1 KR 100798830B1 KR 1020060075819 A KR1020060075819 A KR 1020060075819A KR 20060075819 A KR20060075819 A KR 20060075819A KR 100798830 B1 KR100798830 B1 KR 100798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electronic device
socket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영
Original Assignee
이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영 filed Critical 이효영
Priority to KR102006007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메인 콘센트에서 콘센트 장치로 전송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콘센트 장치에 연결된 전자장치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는 상기 메인 콘센트(200)와 소켓부(330) 사이에 설치되어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소켓부(330)의 소켓(331)(332)(333)(334)으로 전송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311)(312)(313)(314)가 구비된 스위치부(310)와; 상기 소켓부(330)의 소켓(331)(332)(333)(334)에 연결된 전자장치(410)(420)(430)(440)의 온/오프 신호를 감지하는 리모콘센서부(370)와; 상기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충전용 릴레이(341)와, 상기 충전용 릴레이(341)가 연결된 경우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충전용 릴레이(341)를 통하여 전송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343)와, 상기 정류부(343)를 통하여 정류된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344)가 구비된 전원부(340)와; 상기 전원부(340)의 배터리(344) 전원을 통하여 구동되어 상기 리모콘센서부(37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장치(410)(420)(430)(440)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해당 전자장치(410)(420)(430)(440)가 연결된 소켓(331)(332)(333)(334)과 대응되는 상기 스위치부(310)의 릴레이(311)(312)(313)(314)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소켓(331)(332)(333)(334)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센트, 멀티 콘센트, 절전, 대기전력, 메인 콘센트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Improved electric outlet apparatus for intercepting standby power}
도 1은 종래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종래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콘센트 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콘센트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콘센트 장치의 제어부에 구비된 메모리의 일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콘센트 장치와 전자장치의 연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콘센트 장치의 설치 일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콘센트 장치를 통하여 전자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차단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콘센트 장치의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메인 콘센트 300 : 콘센트
310 : 스위치부 311,312,313,314 : 릴레이
320 : 전류센서부 321,322,323,324 : 전류센서
330 : 소켓부 331,332,333,334 : 소켓
340 : 전원부 341 : 충전용 릴레이
342 : 비상스위치 343 : 정류부
344 : 배터리 350 : 제어부
351 : 메모리 360 : 등록부
361,362,363,364 : 스위치 370 : 리모콘센서부
371 : 등록 스위치 380 : 리모콘(Remote Controller)
400 : 전자장치
본 발명은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장치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메인 콘센트에서 콘센트 장치로 전송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 장치는 메인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다수의 소켓을 통하여 전원을 필요로 하는 TV, 오디오, DVD, 선풍기 등의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전자장치가 켜져 있는 콘센트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면 전자장치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대기전력이 지속적으로 소모되기 때문에 절전을 위하여 전자장치를 콘센트 장치로부터 제거하거나 콘센트 장치의 공급 전원 자체를 차단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통상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전자장치와 콘센트 장치를 계속 연결시켜 놓은 상태에서 전자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전자장치가 꺼지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콘센트 장치와 전자장치의 연결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절전형 콘센트 장치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개념도로서, 외부의 전원 인입선(10)은 가정이나 사무실의 벽에 설치된 메인 콘센트(20)와 연결되고, 이 메인 콘센트(20)에는 절전형 콘센트 장치(30)가 연결되어 전자장치(4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통상 절전형 콘센트 장치(30)에는 전자장치(40)와 연결되는 소켓부(33)와, 상기 소켓부(33)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부(32)와, 이 스위치부(3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1)와, 전자장치(40)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Romote Comtroller ; 이하, 리모콘이라 약칭한다)의 온/오프 신호를 감지하는 리모콘센서부(3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1)는 전자장치(40)의 리모콘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리모콘센서부(34)를 통하여 전송받아 전자장치(40)가 켜지는 경우 스위치부(32)를 연결(Turn-On)하여 소켓부(33)에 전원을 공급하고, 반대로 전자장치(40)가 꺼지는 경우 스위치부(32)를 차단(Turn-Off)시켜 소켓부(33)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전자장치(40)가 꺼진 상태에서 불필요한 전원이 전자장치(4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는 이러한 개념이 적용된 등록특허공보 제426331호 "대기전력 차단용 다기능 멀티탭(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이하, "등록특허"라 한다)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특허는 전원부(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6)가 조건에 따라 릴레이를 구동하는 출력제어부(7)를 제어함으로써 전자장치를 대기상태 또는 절전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콘센트 장치에서 제어부가 전자장치의 동작환경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전원이 필요한데, 이러한 제어 전원은 메인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장치가 꺼져 콘센트 장치로부터 전자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콘센트 장치는 전자장치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메인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콘센트 장치에서는 대기전력이 지속적으로 1W 이상 소모되기 때문에 전력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콘센트 장치가 메인 콘센트와 직접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원 인입선 또는 메인 콘센트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적 잡음과 충격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특히 낙뢰 등이 발생하는 경우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종래 콘센트 장치는 리모콘 제어 기능이 부여되지 않은 전자장치를 이용함에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과 메인 콘센트와의 분리에 있어서 관리 에 어려움이 발생하였고 리모콘을 통한 원격제어가 지원되지 못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리모콘 제어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전자장치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며, 특히 전자장치의 전원이 꺼지면 메인 콘센트와 콘센트 장치의 연결을 차단하여 콘센트 장치에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동시에 메인 콘센트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적인 잡음이나 전기적충격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여 가정용 전자장치를 보호하며 전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는 메인 콘센트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소켓부에 연결된 전자장치에 공급하는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메인 콘센트와 소켓부 사이에 설치되어 메인 콘센트로부터 소켓부의 소켓으로 전송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가 구비된 스위치부와; 상기 소켓부의 소켓에 연결된 전자장치의 온/오프 신호를 감지하는 리모콘센서부와; 상기 메인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충전용 릴레이와, 상기 충전용 릴레이가 연결된 경우 메인 콘센트로부터 충전용 릴레이를 통하여 전송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를 통하여 정류된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가 구비된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배터리 전원을 통하여 구동되어 상기 리모콘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장치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해당 전자장치가 연결된 소켓과 대응되는 상기 스위치부의 릴레이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검사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 설정된 최소 전압 이하인 경우 충전용 릴레이를 연결하고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충전용 릴레이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부에는 충전용 릴레이를 강제로 단속하는 비상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부의 릴레이와 소켓부의 소켓 사이에는 상기 릴레이로부터 소켓으로 전송되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류센서가 구비된 전류센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센서를 통하여 전송되는 전류의 세기를 기 설정된 과부하 기준값과 비교하여 과부하 기준값보다 커지는 경우 해당 전류센서와 대응되는 스위치부의 릴레이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모콘센서부에는 전자장치의 온/오프 신호를 제어부의 메모리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에는 등록스위치 선택에 따라 리모콘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장치의 온/오프 신호를 식별하여 해당 전자장치가 연결된 소켓과 대응되도록 제어부의 메모리에 각각 등록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등록부가 구비된다.
상기 리모콘센서부는 등록부의 스위치와 대응되는 소켓의 전원 공급을 제어 하기 위하여 스위치별로 각각 서로 다른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용 리모콘의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콘센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장치(300)는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부(310)와, 상기 스위치부(310)를 통하여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전자장치(400)에 공급하는 소켓부(330)와, 상기 스위치부(310)를 통하여 소켓부(330)로 전송되는 전류의 세기를 검출하는 전류센서부(320)와, 전자장치(400)의 온/오프 신호 등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310)를 제어하는 제어부(350)와, 상기 제어부(3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40)와, 상기 전자장치(400)의 온/오프 동작을 감지하는 리모콘센서부(370)와, 상기 제어부(350)에 리모콘센서부(370)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등록하는 등록부(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부(310)는 메인 콘센트(200)에 직접 연결되어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소켓부(330)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소켓부(330)는 전자장치(400)의 전원 코드와 결합되어 전자장치(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치부(310)에는 소켓부(330)에 구비된 다수의 소켓(331)(332)(333)(334)과 각각 연결되어 소켓(331)(332)(333)(334)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다수의 릴레이(311)(312)(313)(314)가 구비되는데, 이 릴레이(311)(312)(313)(314)는 제어부(350)에 의해 그 동작이 각각 제어된다. 상기 스위치부(310)와 연결되는 메인 콘센트(200)는 벽 콘센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콘센트 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든 전원 콘센트를 의미하는데, 상기 스위치부(310)의 릴레이(311)(312)(313)(314) 및 소켓부(330)의 소켓(331)(332)(333)(334) 개수는 콘센트 장치(300)가 멀티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다수 개가, 단일 콘센트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한 개가 형성되는 등 그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류센서부(320)는 스위치부(310)를 통하여 소켓부(330)에 전송되는 전류의 세기를 검출하는 장치로서, 이 전류센서부(320)에는 스위치부(310)의 릴레이(311)(312)(313)(314) 및 소켓부(330)의 소켓(331)(332)(333)(334)과 각각 대응되도록 다수의 전류센서(321)(322)(323)(324)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류센서(321)(322)(323)(324)는 릴레이(311)(312)(313)(314)와 소켓(331)(332)(333)(334)을 연결하는 전원라인에 설치되어 전류 세기를 감지하는 CT 센서로 이루어져 감지하는 전류 세기 신호를 제어부(35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340)는 배터리(344) 전원을 통하여 제어부(350)에 제어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 전원부(340)에는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충전용 릴레이(341)와, 상기 충전용 릴레이(341)가 턴온되어 연결되는 경우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배터리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343)와, 상기 정류부(34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제어부(350)에 공급하는 배터리(344)가 구비된다.
상기 충전용 릴레이(341)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 충전용 릴레이(341)가 연결되는 경우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통하여 배터리(344)가 충전되고 충전용 릴레이(341)가 차단되는 경우 메인 콘센트(200)와 전원부(340) 및 제어부(350)의 연결이 차단되어 메인 콘센트(200)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이나 충격에 의해 전원부(340)나 제어부(350)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부(340)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충전용 릴레이(341)를 구동시켜 배터리(344)에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 스위치(342)가 더 구비되는데, 이 비상 스위치(342)는 배터리(344)가 완전 방전되어 제어부(3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 등의 비상 시에 메인 콘센트(200)와 정류부(343) 및 배터리(344)를 연결시켜 배터리(344)에 전원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원부(340)에는 배터리(344)가 방전된 경우 외부 충전 전원을 통하여 배터리(344)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단자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리모콘센서부(370)는 전자장치(400)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콘의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350)에 전송하는 장치로서, 통상 전자장치(400)의 리모콘은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모콘센서부(370)에는 적외선 센서가 구비되는데, 만약 전자장치(400)의 리모콘이 적외선 신호가 아닌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리모콘센서 부(370)에는 적외선 센서를 대신하여 RF 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리모콘센서부(37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감지된 리모콘의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제어부(35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리모콘센서부(370)에는 리모콘의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제어부(350)에 최초 등록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록 스위치(37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소켓(331)(332)(333)(334)에 연결되는 전자장치(410)(420)(430)(440)에 따라 리모콘센서부(37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온/오프 신호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를 식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한편, 리모콘이 없는 전자장치(410)(420)(430)(440)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모콘센서부(370)와 대응되는 별도의 전자장치 온/오프 전용 리모콘(380)을 제공하여 상기 리모콘센서부(370)와 세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리모콘(380)에는 전자장치(410)(420)(430)(440)가 결합되는 소켓(331)(332)(333)(334)에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 단속하기 위하여 소켓(331)(332)(333)(334)의 개수만큼 서로 다른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리모콘센서부(37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등록부(360)는 리모콘센서부(370)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제어부(350)가 식별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제어부(350)의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 등록 위치를 지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 등록부(360)에는 소켓(331)(332)(333)(334)에 대응되는 다수의 스위치(361)(362)(363)(364)가 구비된다. 즉, 이 등록부(360)에는 소켓 1(331)에 연결된 전자장치 1(410)의 온/오프 제 어 신호를 제어부(350)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1(361)과, 소켓 2(332) 내지 소켓 4(334)에 연결된 전자장치 2(420) 내지 전자장치 4(440)의 온/오프 제어 신호를 제어부(350)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2(362) 내지 스위치 4(364)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제어부(350)에 등록하고자 하는 전자장치(410)(420)(430)(440)가 연결된 소켓(331)(332)(333)(334)에 해당되는 등록부(360)의 스위치(361)(362)(363)(364)를 선택한 후 리모콘센서부(370)의 등록 스위치(371)를 선택하고 리모콘(380)의 온/오프 버튼을 눌러 해당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제어부(350)에 등록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50)에는 리모콘센서부(370)를 통하여 전송되는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등록하여 식별하고 스위치부(310)의 릴레이(311)(312)(313)(314) 및 전원부(340)의 충전용 릴레이(341)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등록된 메모리(351)와,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352)와, 전류센서부(320)의 각 전류센서(321)(322)(323)(324)를 통하여 전송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tal Converter) 등이 구비된 CPU로 구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장치의 제어부에 구비된 메모리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351)에는 등록부(360)의 스위치(361)(362)(363)(364) 설정에 따라 리모콘센서부(37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가 등록되고, 이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등록하고 식별하여 스위치부(310)의 릴레이(311)(312)(313)(314)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프로그램이 등록된다. 상기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는 실질적으로 온/오프 하고자 하는 전자장치(410)(420)(430)(440)가 연결된 소켓(331)(332)(333)(334)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로서, 이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는 소켓 온/오프 신호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는 리모콘센서부(370)의 등록 스위치(371)가 선택된 상태에서 수신되는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등록부(360)의 스위치(361)(362)(363)(364)를 통하여 설정된 위치에 저장하는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 등록모듈과, 리모콘센서부(37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기 등록된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와 비교하여 해당 전자장치(410)(420)(430)(440)가 연결된 소켓(331)(332)(333)(334)의 위치를 식별하여 해당 소켓(331)(332)(333)(334)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부(310)의 릴레이(311)(312)(313)(314)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온/오프 제어모듈과, 전류센서부(320)의 각 전류센서(321)(322)(323)(324)를 통하여 전송되는 전류의 세기를 검출하여 검출된 전류의 세기가 기 설정된 과전류 기준값보다 큰 경우 스위치부(310)의 해당 릴레이(311)(312)(313)(314)를 제어하여 소켓(331)(332)(333)(334)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부하 차단모듈과, 전류센서(321)(322)(323)(324)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류의 세기가 기 설정된 최소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스위치부(310)의 해당 릴레이(311)(312)(3113)(314)를 제어하여 소켓(331)(332)(333)(334)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모듈과, 배터리(344)의 충전 전압을 검사하여 충전 전압이 기 설정된 최소 전압보다 작게 되면 충전용 릴레이(341)를 연결시켜 배터리(344)를 충전하고 배터리(344)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용 릴레이(341)를 차단하는 충전용 릴레이 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한 편, 상기 과부하 차단모듈은 과부하에 따라 전원을 차단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과부하 원인이 제거되면 해당 릴레이(311)(312)(313)(314)를 연결하여 소켓(331)(332)(333)(334)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가 설치되어 동작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와 전자장치의 연결도이고, 도 7은 콘센트 장치의 설치 일례이며, 도 8은 콘센트 장치를 통하여 전자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차단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110 : 사용자는 콘센트 장치(300)의 사용에 앞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다수의 전자장치(410)(420)(430)(440)를 소켓부(330)의 각 소켓(331)(332)(333)(334)에 연결하고, 전자장치(400)의 일측에 리모콘센서부(370)를 설치한다. 이 후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등록하고자 하는 전자장치(410)(420)(430)(440)가 연결된 소켓(331)(332)(333)(334)과 대응되도록 등록부(360)의 스위치(361)(362)(363)(364)를 설정한 후, 리모콘센서부(370)의 등록 스위치(371)을 누른 상태에서 전자장치(410)(420)(430)(440)에서 제공하는 리모콘 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용 리모콘(380)(이하, 리모콘(380)으로 총칭한다)에서 등록부(360)의 선택 스위치(361)(362)(363)(364)에 대응하는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신호를 제어부(350)의 메모리(351)에 등록하게 된다. 상기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제어부(350)에 등록하는 과정은 각 전자장치별로 진행된다.
단계 S120 : 전자장치(410)(420)(430)(440)가 꺼진 상태에서는 릴레이 부(310)의 각 릴레이(311)(312)(313)(314)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에는 배터리(344) 전원이 제어부(350)에 공급되어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단계 S130 : 리모콘(380)을 통하여 턴온 신호가 발생하면 리모콘센서부(37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50)에 전송하게 된다.
단계 S140 : 제어부(350)는 리모콘센서부(37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장치 턴온 신호를 메모리(351)에 등록된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와 비교하여 어느 소켓(331)(332)(333)(334)에 연결된 전자장치(410)(420)(430)(440)를 턴온하기 위한 신호인지를 식별하게 된다.
단계 S150, S151 : 턴온하고자 하는 전자장치(410)(420)(430)(440)가 연결된 소켓(331)(332)(333)(334)이 파악되면, 제어부(350)는 해당 소켓(331)(332)(333)(334)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부(310)의 릴레이(311)(312)(313)(314)를 연결하여 해당 소켓(331)(332)(333)(334)에 연결된 전자장치(410)(420)(430)(44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단계 S160 : 한편, 전류센서부(320)의 각 전류센서(321)(322)(323)(324)는 각 소켓(331)(332)(333)(334)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검출하여 제어부(350)에 전송하게 된다.
단계 S170 : 제어부(350)는 전류센서(321)(322)(323)(324)로부터 전송되는 전류의 세기를 기 설정된 과부하 기준값과 비교하여 과부하 기준값보다 커지는 경우 해당 전자장치(410)(420)(430)(440)의 보호를 위하여 단계 S200에서 해당 전류센서(321)(322)(323)(324)와 연결된 릴레이(311)(312)(313)(314)를 차단하게 된다.
단계 S180 : 또한, 제어부(350)는 전류의 세기를 기 설정된 최소 기준값과 비교하여 최소 기준값보다 작아지는 경우 해당 전자장치(410)(420)(430)(440)가 꺼진 것으로 판단하여 대기전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계 S200에서 해당 릴레이(311)(312)(313)(314)를 차단하게 된다.
단계 S190, S200 : 한편, 리모콘(380)을 통하여 발생된 전자장치 턴오프 신호가 리모콘센서부(370)로부터 수신되면 제어부(350)는 턴온하고자 하는 전자장치(410)(420)(430)(440)에 대응하는 릴레이(311)(312)(313)(314)를 차단하고 상기 단계 S120으로 돌아가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의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300 : 제어부(350)는 전원부(340)의 배터리(344)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344)에 충전된 전원이 기 설정된 최소 전원보다 큰지를 검사하게 된다.
단계 S310 : 배터리(344)의 충전 전원이 최소 전원보다 작게 되면, 제어부(350)는 전원부(340)의 충전용 릴레이(341)를 연결하게 된다.
단계 S320, S330 : 충전용 릴레이(341)가 연결됨에 따라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정류부(343)에 전원이 공급되고, 정류부(343)를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배터리(344)로 공급하며, 이에 따라 배터리(344)가 충전되게 된다.
단계 S340 : 제어부(350)는 충전되는 배터리(344) 전원을 검사하여 배터리(344) 충전이 완료되는 시점을 감지하게 된다.
단계 S350 : 배터리(344) 충전이 완료되면 제어부(350)는 충전용 릴레 이(341)를 차단하여 메인 콘센트(200)와 전원부(340)의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메인 콘센트(200)에서 발생하는 잡음이나 충격으로부터 전원부(340) 및 제어부(35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배터리(344)가 완전 방전되어 제어부(35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전원부(340)에 구비된 비상스위치(342)를 선택하여 배터리(344)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전자장치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 메인 콘센트와 콘센트 장치의 연결을 차단하여 대기전력 손실을 방지하고 메인 콘센트에서 발생하는 잡음이나 충격으로부터 콘센트 장치를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는 콘센트 장치에 연결된 전자장치가 꺼지는 경우 배터리 전원을 통하여 구동되는 제어부를 통하여 메인 콘센트와 콘센트 장치의 연결을 릴레이를 통하여 차단함으로써 메인 콘센트에서 콘센트 장치로 전송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인 콘센트에서 발생하는 잡음이나 충격 등이 콘센트 장치에 전달되지 않아 전자장치 등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제어부는 배터리 전원을 검사하여 배터리 전원이 최소 전원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메인 콘센트의 전원을 통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충전이 완료되면 배터리로 공급되는 메인 콘센트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의 전원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메인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기 때문에 전력의 낭비가 줄고 전기에 의한 사고의 위험 부담도 줄어들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리모트 컨트롤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전자장치에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메인 콘센트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소켓부에 연결된 전자장치에 공급하는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센트(200)와 소켓부(330) 사이에 설치되어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소켓부(330)의 소켓(331)(332)(333)(334)으로 전송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311)(312)(313)(314)가 구비된 스위치부(310)와;
    상기 소켓부(330)의 소켓(331)(332)(333)(334)에 연결된 전자장치(410)(420)(430)(440)의 온/오프 신호를 감지하는 리모콘센서부(370)와;
    상기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충전용 릴레이(341)와, 상기 충전용 릴레이(341)가 연결된 경우 메인 콘센트(200)로부터 충전용 릴레이(341)를 통하여 전송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343)와, 상기 정류부(343)를 통하여 정류된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344)가 구비된 전원부(340)와;
    상기 전원부(340)의 배터리(344) 전원을 통하여 구동되어 상기 리모콘센서부(37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장치(410)(420)(430)(440)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해당 전자장치(410)(420)(430)(440)가 연결된 소켓(331)(332)(333)(334)과 대응되는 상기 스위치부(310)의 릴레이(311)(312)(313)(314)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소켓(331)(332)(333)(334)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부(340)에는 충전용 릴레이(341)를 강제로 단속하는 비상스위치(3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배터리(344)의 충전 상태를 검사하여 배터리(344)의 충전 상태가 기 설정된 최소 전압 이하인 경우 충전용 릴레이(341)를 연결하고, 배터리(344)의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충전용 릴레이(341)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310)의 릴레이(311)(312)(313)(314)와 소켓부(330)의 소켓(331)(332)(333)(334) 사이에는 상기 릴레이(311)(312)(313)(314)로부터 소켓(331)(332)(333)(334)으로 전송되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하는 전류센서(321)(322)(323)(324)가 구비된 전류센서부(320)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전류센서(321)(322)(323)(324)를 통하여 전송되는 전류의 세기를 기 설정된 과부하 기준값과 비교하여 과부하 기준값보다 커지는 경우 해당 전류센서(321)(322)(323)(324)와 대응되는 스위치부(310)의 릴레이(311)(312)(313)(314)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센서부(370)에는 전자장치(410)(420)(430)(440)의 온/오프 신호를 제어부(350)의 메모리(351)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스위치(371)가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300)에는 상기 등록스위치(371) 선택에 따라 리모콘센서부(37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장치(410)(420)(430)(440)의 온/오프 신호를 식별하여 해당 전자장치(410)(420)(430)(440)가 연결된 소켓(331)(332)(333)(334)과 대응되도록 제어부(350)의 메모리(351)에 등록하는 스위치(361)(362)(363)(364)를 포함하는 등록부(3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센서부(370)는 상기 등록부(360)의 스위치(361)(362)(363)(364)와 대응되는 소켓(331)(332)(333)(334)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스위치(361)(362)(363)(364)별로 각각 서로 다른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용 리모콘(380)의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5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용 리모콘(380)을 통하여 발생되어 리모콘센서부(370)에서 감지하는 전자장치 온/오프 신호는 적외선 또는 RF 무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KR1020060075819A 2006-08-10 2006-08-10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KR100798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819A KR100798830B1 (ko) 2006-08-10 2006-08-10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819A KR100798830B1 (ko) 2006-08-10 2006-08-10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830B1 true KR100798830B1 (ko) 2008-01-28

Family

ID=3921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819A KR100798830B1 (ko) 2006-08-10 2006-08-10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83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553A2 (ko) * 2008-05-28 2009-12-03 Yeo Un Nam 파워메터 겸용 콘센트 장치
WO2011030970A1 (ko) * 2009-09-10 2011-03-17 ㈜신영에쓰엔티 부하 자동 감지 기능이 있는 대기 전력 차단 장치, 이를 갖는 전원 콘센트 및 전원 코드 플러그
KR101124155B1 (ko) 2009-10-01 2012-03-22 정재덕 대기 전력 자동 차단 기능을 가지는 멀티탭
KR101153133B1 (ko) * 2010-10-19 2012-06-07 유시형 소비전력 패턴분석시스템용 지능형 콘센트
KR101196695B1 (ko) 2012-04-30 2012-11-08 세계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원격 제어 가능한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101376132B1 (ko) * 2012-07-19 2014-03-19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101387350B1 (ko) 2012-11-14 2014-04-21 김문일 절전용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101425211B1 (ko) * 2012-11-15 2014-08-01 김문일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102562911B1 (ko) * 2023-01-09 2023-08-03 이창수 연동콘센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380A (ja) * 1985-07-29 1987-02-06 凸版印刷株式会社 収納ケ−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70003358A (ko) * 1995-06-28 1997-01-28 배순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텔레비젼용 수평 위치 조정 장치
KR20020071704A (ko) * 2001-03-06 2002-09-13 (주) 잉카 시스템스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JP2008004005A (ja) * 2006-06-26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情報送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380A (ja) * 1985-07-29 1987-02-06 凸版印刷株式会社 収納ケ−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70003358A (ko) * 1995-06-28 1997-01-28 배순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텔레비젼용 수평 위치 조정 장치
KR20020071704A (ko) * 2001-03-06 2002-09-13 (주) 잉카 시스템스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JP2008004005A (ja) * 2006-06-26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情報送信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7-0003358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1704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4-0055738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2-028380호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553A2 (ko) * 2008-05-28 2009-12-03 Yeo Un Nam 파워메터 겸용 콘센트 장치
WO2009145553A3 (ko) * 2008-05-28 2010-02-25 Yeo Un Nam 파워메터 겸용 콘센트 장치
CN102047508A (zh) * 2008-05-28 2011-05-04 吕运南 具有功率计的插座装置
US8373958B2 (en) 2008-05-28 2013-02-12 Un Nam Yeo Combined power meter and outlet device
WO2011030970A1 (ko) * 2009-09-10 2011-03-17 ㈜신영에쓰엔티 부하 자동 감지 기능이 있는 대기 전력 차단 장치, 이를 갖는 전원 콘센트 및 전원 코드 플러그
KR101124155B1 (ko) 2009-10-01 2012-03-22 정재덕 대기 전력 자동 차단 기능을 가지는 멀티탭
KR101153133B1 (ko) * 2010-10-19 2012-06-07 유시형 소비전력 패턴분석시스템용 지능형 콘센트
KR101196695B1 (ko) 2012-04-30 2012-11-08 세계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원격 제어 가능한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101376132B1 (ko) * 2012-07-19 2014-03-19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101387350B1 (ko) 2012-11-14 2014-04-21 김문일 절전용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101425211B1 (ko) * 2012-11-15 2014-08-01 김문일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102562911B1 (ko) * 2023-01-09 2023-08-03 이창수 연동콘센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830B1 (ko)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KR20070106912A (ko)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
KR101084109B1 (ko)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멀티콘센트
US7504745B2 (en) Multifunctional multi-outlet of saving electric power and a control method employing the same
KR100929818B1 (ko)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매입 콘센트
KR20090093569A (ko) 콘센트
CA2437377A1 (en) Aircraft applicable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O2008062174A2 (en) An energy saving device
KR101221727B1 (ko) 절전형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WO2019045206A1 (ko) 도플러 센서를 사용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US2018036477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electric outlet having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and restoration function
KR20150137429A (ko) 멀티 콘센트 및 그 제어 방법
JP2005228732A (ja) 故障検出装置
KR101389897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KR20130042933A (ko) 누전, 과부하 및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KR100862640B1 (ko) 전원 제어 기능 내장형 셋탑박스
KR20110071397A (ko)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및 대기전력 차단 방법
US20120236455A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building and protection method for main line thereof
KR20130040538A (ko) 셋톱박스의 전력 제어장치
KR101358834B1 (ko)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
KR101592464B1 (ko)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의 제어 방법
KR101820476B1 (ko)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KR20110017949A (ko)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1072489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123735B1 (ko)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