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834B1 -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834B1
KR101358834B1 KR1020130076810A KR20130076810A KR101358834B1 KR 101358834 B1 KR101358834 B1 KR 101358834B1 KR 1020130076810 A KR1020130076810 A KR 1020130076810A KR 20130076810 A KR20130076810 A KR 20130076810A KR 101358834 B1 KR101358834 B1 KR 101358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locking
unit
electric device
electr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완석
성규석
Original Assignee
(주)성진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엠케이 filed Critical (주)성진엠케이
Priority to KR102013007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comprising a separated limit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1차적으로 대기전력이 차단된 후 입력신호에 따른 2차적으로 대기전력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는 제1전기기기가 연결된 제1차단부 및 상기 제1전기기기에 종속되어 동작하는 제2전기기기가 연결된 제2차단부가 포함된 멀티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보정 값 이하일 때 대기전력으로 판단되어 제1차단부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제2차단부에서도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또는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상기 보정 값보다 크더라도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차단부에서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탭을 이루는 콘센트를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수행되는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로 나누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는 제1전기기기를 제1차단부에 연결하고 제1전기기기에 종속되는 제2전기기기를 제2차단부에 연결하여, 제1차단부에서 대기전력의 차단이 수행되거나 또는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제2차단부도 대기전력의 차단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Automatic Block System for Standby Power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소정 값 이하가 되어 1차적으로 대기전력이 차단된 후 입력신호에 따른 2차적으로 대기전력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한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다수의 가전제품이나 사무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의 (a)는 한국공개특허 제2008-0103193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의 구성도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103193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은 콘센트(11)와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를 통해 가정 기기로 유입되는 대기전력을 감지하여 대기전력값을 생성하는 대기전력 감지부(6)와; 상기 콘센트(11)에 플러그가 꼽혀 있는 가전제품들의 작동 시 이들 전류 값을 감지한 후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전류감지부(3)와; 스위치의 ON 작동에 의해 전원부로부터 전원공급 받으며, 대기전력 감지부(6)로부터 생성된 대기전력 값과 상기 전류감지부(3)로부터 생성된 전류 값을 비교하여 대기전력 값이 전류 값보다 클 경우 전원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콤(5)과; 상기 전원 차단 신호에 의해 상기 콘센트(11)로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릴레이(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부하 기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대기(Standby)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단락시켜 대기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도 1의 (b)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32637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의 구성도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2637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은 멀티탭에 형성된 복수의 콘센트와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를 통해 가전기기의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의 탈착 상태를 감지하여 접점의 상태에 따른 접점 탈착 신호를 생성하는 접점 연결 감지부; 멀티탭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접점 연결 감지부에서 생성된 접점 탈착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 및 마이콤의 전원 차단 신호에 기초하여 가전기기의 플러그로 전송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계전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 상태를 전력 값의 비교에 의해 판단하지 않고, 가전기기의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의 탈착 상태를 확인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전력과 대기전력을 갖는 다양한 가전기기 대기전원 및 전류 값 측정이 어려운 미세전류까지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예시한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부가된 멀티탭 콘센트는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가 가변 되어 이에 따라 소비하는 대기전력이 가변됨에도 불구하고 대기전력 차단 기준 값이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수에 따라 가변 되지 않게 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대기전력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10319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멀티탭을 이루는 복수의 콘센트를 각각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수행되는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로 나누고,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는 제1전기기기를 제1차단부에 연결하고 제1전기기기에 종속되어 작동되는 제2전기기기를 제2차단부에 연결하여, 제1차단부에서 대기전력의 차단이 수행되거나 또는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제2차단부도 대기전력의 차단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은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는 제1전기기기가 연결된 제1차단부 및 상기 제1전기기기에 종속되어 동작하는 제2전기기기가 연결된 제2차단부가 포함된 멀티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보정 값 이하일 때 대기전력으로 판단되어 제1차단부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제2차단부에서도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또는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상기 보정 값보다 크더라도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차단부에서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은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는 제1전기기기가 연결된 제1차단부 및 상기 제1전기기기에 종속되어 동작하는 제2전기기기가 연결된 제2차단부가 포함된 멀티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전기기기 또는 제2전기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보정 값 이하일 때 대기전력으로 판단되어 상기 제1차단부 및 제2차단부에서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대기전력으로 판단되고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대기전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차단부에서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멀티탭은 제1차단부는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제1전류검출부와 제1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구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제2차단부는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제2전류검출부와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2차단구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의 유무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류검출부 및 제2전류검출부를 통해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각각 전달받고,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대기전력으로 판단되면 제1차단구동부 및 제2차단구동부를 각각 구동시켜 제1차단부 및 제2차단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며,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제1전기기기의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2차단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는 상기 제1전기기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제1전류검출부 및 제2전류검출부는 홀 센서가 포함되어 구비되거나, 또는 Shunt 저항과 전압검출부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차단구동부 및 제2차단구동부는 래치 릴레이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차단시스템을 통한 절전 제어방법은 멀티탭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1차단부 및 제2차단부의 대기전력 차단이 해제되는 활성화단계; 상기 제1차단부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의 대기전력 값이 감지되어 대기전력 차단 기준 값인 보정 값이 설정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 이후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상기 보정 값 이하일 때 대기전력으로 판단되어 제1차단부 및 제2차단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또는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상기 보정 값보다 크더라도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차단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차단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차단시스템을 통한 절전 제어방법은 멀티탭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1차단부 및 제2차단부의 대기전력 차단이 해제되는 활성화단계; 상기 제1차단부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차단부에 연결된 제2전기기기의 대기전력 값이 감지되어 대기전력 차단 기준 값인 보정 값이 각각 설정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 이후 상기 제1전기기기 또는 제2전기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보정 값 이하일 때 대기전력으로 판단되어 상기 제1차단부 및 제2차단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차단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단계에서는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대기전력으로 판단되고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대기전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차단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럽트 신호는 상기 제1전기기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단계 이후에는 제1차단부의 대기전력 차단이 해제된 후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있다는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아 제2차단부의 대기전력 차단이 해제되는 해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에 따르면, 멀티탭을 이루는 복수의 콘센트를 각각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수행되는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로 나누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는 제1전기기기를 제1차단부에 연결하고 제1전기기기에 종속되어 작동되는 제2전기기기를 제2차단부에 연결하여, 제1차단부에서 대기전력의 차단이 수행되거나 또는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제2차단부도 대기전력의 차단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류검출부의 사용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을 통한 절전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자동 차단 멀티탭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개별 대기전력 구동부의 예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류검출부의 사용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을 통한 절전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자동 차단 멀티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 제1전류검출부(210), 제1차단구동부(250), 신호입력부(300), 제2전류검출부(510), 제2차단구동부(550) 및 저장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콘센트가 구비된 멀티탭(M)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차단부(200)와 제2차단부(500)로 나눌 수가 있다.
상기 제1차단부(200)는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제1전류검출부(210)와 제1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구동부(2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차단부(200)에는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 유무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는 제1전기기기가 연결된다.
제1전기기기로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가 구비된 PC 본체가 될 수 있으며,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사용 후 움직이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용 중단에 따른 입력 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고, 다시 사용을 위해 움직이면 사용 개시에 따른 입력 신호가 있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된다.
제2차단부(200)는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제2전류검출부(510)와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2차단구동부(5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제2차단부(200)에는 상기 제1전기기기에 종속되어 동작하는 제2전기기기가 연결된다.
제2전기기기로는 PC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복합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류검출부(210) 및 제2전류검출부(5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Hall) 센서가 포함되어 구비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Shunt 저항과 전압검출부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구동부(250) 및 제2차단구동부(5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릴레이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신호입력부(300)는 멀티탭(M)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전기기기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받는다.
상기 신호입력부(3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기기기와 USB 케이블 등을 통하여 유선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받거나 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동글(Dongle) 등을 통하여 무선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1전류검출부(210) 및 제2전류검출부(510)를 통해 검출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저장부(400)에 각각 저장시키고,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각각 전달받아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대기전력으로 판단되면 제1차단구동부(250) 및 제2차단구동부(550)를 각각 구동시켜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입력부(300)를 통해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제1전기기기와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제1방법으로 동작한다.
먼저, 전기기기가 멀티탭(M)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멀티탭(M)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를 이루는 콘센트들을 활성화시켜 대기전력 차단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S110).
멀티탭(M)에는 검출용 스위치인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멀티탭(M)에 연결시키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이를 감지하여 멀티탭(M)을 활성화시켜 멀티탭(M) 내부의 전자기기 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가 구비된 콘센트에 각각 연결되면, 약 1초 내지 2초 정도의 시간이 카운트 된 후, 멀티탭(M)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대기전력 값이 감지되어 저장부(400)에 저장된 후 대기전력 차단 기준 값인 보정 값이 설정된다(S120).
이어서, 보정 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가 연결되기만 하고 작동을 하지 않으면, 소비전력과 대기전력은 동일한 상태가 되므로 대기전력 상태로 판단되어 30초 정도의 시간이 카운트 된 후 제1차단부(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S160).
상기 제1차단부(200)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력도 차단이 된다(S170).
이어서, 멀티탭(M)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를 작동시킨다.
제1전기기기에서는 마우스 및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PC 상에서 작업이 진행되면서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제2전기기기에서는 마우스 및 키보드를 통하여 작업하는 화면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고,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가 발생되며, 프린터 또는 복합기 등을 통하여 문서 인쇄 등의 작업이 진행되면서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이때, 멀티탭(M)에서는 상기 보정 값을 기준으로 하여, 연결된 제1전기기기가 보정 값 이상으로 전력이 소비되면 소비모드라고 판단을 한다(S130).
예를 들어, 보정 값이 2T 와트라고 하면, PC 본체가 작동되어 2T 와트 이상의 전력이 소비되면 소비모드라고 판단을 한다.
이어서, 제1전기기기인 PC 본체를 통한 작업이 완료되고, 일정 시간 키보드 및 마우스를 통한 입력 신호가 없으면, 이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신호입력부(300)로 전달된다(S140).
이어서, 상기 멀티탭(M)의 제어부(100)에서는 제1전기기기의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고, 30초 정도의 일정 시간 카운트가 진행된 후(S150),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S170).
상기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제2전기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도 차단이 된다.
한편,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의 대기전력 차단 상태가 해제되려면, 먼저 제1차단부(200)가 대기전력에 대한 차단 해제가 되어 있어야 한다(S310).
이어서, 제2차단부(500)는 대기전력 차단이 된 상태에서(S320), 제1차단부(200)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로부터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사용으로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있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 하면(S330), 제2차단부(500)는 대기전력 차단 해제 상태가 된다(S340).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제2방법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먼저, 전기기기가 멀티탭(M)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멀티탭(M)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를 이루는 콘센트들을 활성화시켜 대기전력 차단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S210).
멀티탭(M)에는 검출용 스위치인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멀티탭(M)에 연결시키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이를 감지하여 멀티탭(M)을 활성화시켜 멀티탭(M) 내부의 전자기기 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가 구비된 콘센트에 각각 연결되면, 약 1초 내지 2초 정도의 시간이 카운트 된 후, 멀티탭(M)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대기전력 값이 각각 감지되어 저장부(400)에 저장된 후 대기전력 차단 기준 값인 보정 값이 각각 설정된다(S220).
이어서, 보정 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가 연결되기만 하고 작동을 하지 않으면, 소비전력과 대기전력은 동일한 상태가 되므로 대기전력 상태로 판단된다(S230).
여기서, 상기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각각에 대한 소비전력과 대전력을 비교한다.
이어서, 제1전기기기 또는 제2전기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보정 값 이하일 때 대기전력으로 판단되어 30초 정도의 시간이 카운트 된 후 제1차단부(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S280).
상기 제1차단부(200)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력도 차단이 된다(S290).
이어서, 멀티탭(M)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를 작동시킨다.
제1전기기기에서는 마우스 및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PC 상에서 작업이 진행되면서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제2전기기기에서는 마우스 및 키보드를 통하여 작업하는 화면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고,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가 발생되며, 프린터 또는 복합기 등을 통하여 문서 인쇄 등의 작업이 진행되면서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이때, 멀티탭(M)에서는 상기 보정 값을 기준으로 하여,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가 보정 값 이상으로 각각 전력이 소비되면 소비모드라고 판단을 한다(S230).
예를 들어, 제1전기기기에 대한 보정 값이 2T 와트라고 하고 제2전기기기에 대한 보정 값이 3T 와트라고 하면, PC 본체가 가동되어 2T 와트 이상의 전력이 소비되면 제1전기기기에 대한 소비모드라고 판단을 하고, 모니터, 프린터 등이 작동되어 3T 와트 이상의 전력이 소비되면 제2전기기기에 대한 소비모드라고 판단을 한다.
이어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사용량에 따라 기준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멀티탭(M)에서는 상기 기준 값을 기준으로 하여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가 기준 값을 초과하여 전력이 소비되는지 이하로 소비되는지 감지를 한다(S250).
예를 들어, 제1전기기기의 기준 값이 2.5T 와트, 제2전기기기의 기준 값이 3.5T 와트로 설정될 수 있으며, 멀티탭(M)에서는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2.5T를 초과하는지 이하인지, 상기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3.5T를 초과하는지 이하인지 감지를 한다.
이어서, 상기 멀티탭(M)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가 각각 기준 값을 초과하여 전력이 소비되면 대기 상태가 아닌 소비모드가 계속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멀티탭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기준 값 이하로 소비되면 제1차단부(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이때, 제1전기기기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제2전기기기는 계속 작동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제2전기기기가 복합기인 경우, 제1전기기기인 PC 본체에서 작업이 완료되더라도, 복합기에서 복사 등의 독립적인 기능이 수행되면서 전력을 소비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로 인해, 제1전기기기인 PC 본체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은 바로 차단시키지 않고, 일정 시간 키보드 및 마우스를 통한 입력 신호가 없으면,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신호입력부(300)로 전달시킨다.
이어서, 상기 멀티탭(M)의 제어부(100)에서는 입력 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고, 30초 정도의 일정 시간 카운트가 진행된 후(S270),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S290).
상기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제2전기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도 차단이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자동 차단 멀티탭은 대기전력 차단 모드에서 TV 또는 일반 적외선 송신장치(리모컨)의 신호를 받아 대기전력 차단 모드를 해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V 리모컨으로 전원 버튼을 눌렀을 때 TV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먼저 멀티탭의 대기전력 차단 모드를 해제하고 TV 리모컨의 전원 버튼을 눌러 TV를 Turn On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설정 버튼 또는 기능키를 길게 누르면 리모컨 학습 기능 설정 모드로 들어 가게 되고 설정하고자 하는 리모컨(TV리모컨, 에어컨 리모컨 등등)의 버튼을 누르면 본 기기의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해당 적외선 코드값을 저장하고 부저음(음성출력)이나 LED(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저장 완료를 표시해주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설정된 리모컨 버튼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차단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과부하 차단 기준 값을 초과하면 30초 정도의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은 개별 대기전력 구동부의 예시를 도시한 블록도로써, 리모컨(미도시)을 이용하여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을 원격 조종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전력 차단용 멀티탭은 전원부(601), 정류부(602), 전류감지부(603), 누전감지부(604), 마이콤(605), 대기전력 감지부(606), 스위치(607), 표시부(608), RF수신부(609), 릴레이(610), 콘센트(611), DIP스위치(612)로 구성되어 있다.
콘센트(611)는 복수로 구비되어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꼽기 위한 일반적인 규격의 삽입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콘센트(611)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전원공급용 스위치(607), 전원공급 상태확인용 표시부(608)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콘센트(611) 후면은 벽면 콘센트에 꼽을 수 있는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스위치(607) 혹은 리모컨의 ON 작동에 따라 삽입부에 꼽혀 있는 플러그를 통해 가전기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OFF 작동에 따라 상기 삽입부로부터 플러그로의 전력을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표시부(608)는 전원 공급 상태인지 대기전력 차단 상태인지를 표시해주는 것으로, 동작 상태를 알려주는 발광다이오드 부분을 하우징 내부에 내장하고 있어, 전원 공급 상태일 경우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키고 대기전력차단 상태일 경우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시킨다.
상기 표시부(608)는 과부하시에 발광 다이오드를 통하여 과부하 상태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스피커, 부저 등을 통해 음향으로도 전원 공급 상태인지, 대기전력 차단 상태 또는 과부하 상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01)는 상기 릴레이(610)를 통해 콘센트(611)에 전원을 공급시킨다.
상기 전원부(601)는 마이컴 부분(605)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하도록 교류전원을 정류부(602)로 전송하며 상기 정류부(602)는 전송된 전원을 정류시킨 후 마이콤(605)으로 전달한다.
상기 누전감지부(604)는 상기 전원부(601)로부터의 누설 전류 여부를 감지하며, 이에 따라 누설 전류가 발생 되었을 경우 누전신호를 상기 마이콤(605)으로 전송한다.
상기 전류감지부(603)는 상기 콘센트(611)에 플러그가 꼽혀 있는 가전제품들의 사용 시 이들 전류 값을 감지한 후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마이콤(605)에 전달한다.
상기 대기전력 감지부(606)는 콘센트(611)에 가전제품의 플러그가 꽂혀진 초기 상태에서 발생하는 대기전력을 감지하고 그 대기전력 값을 마이콤(605)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대기전력 감지부와 전류감지부는 동일한 구성으로써, 단지 콘센트로부터 마이콤에 전달되는 전류 중에서 대기전력 값과 전류 값을 차별되게 분류하여 인식시키기 위하여 달리 표현하여 기재한 것이다.
즉, 전류감지부 및 대기전력 감지부(606)는 전류센서용 변류기(CT)와 다이오드, 평활 콘덴서, 제너다이오드 및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감지부로써, 변류기(CT)가 콘센트에 연결된 가전기기들에 공급되는 전원에 비례하여 부하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기능을 하고, 다이오드 및 평활 콘덴서가 검출된 부하들의 전류를 직류 신호로 정류 및 변환하여 저항을 통해 검출된 부하들의 전류들이 전압으로 변환되어 마이컴의 AD 컨버터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AD 컨버터로 입력되는 전압은 최대 5V를 넘지않도록 제너다이오드를 통해 마이컴을 보호한다.
즉, 변류기(CT)를 통해 들어오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마이컴에서 비교를 하도록 되어있으며, 이때 전류 값이 작으면 마이컴의 AD에 들어오는 전압 값이 낮기 때문에 가전기기의 대기전력 또는 오프모드라고 판단하고 전류 값이 크면 마이컴의 AD에 들어오는 전압 값이 높기 때문에 가전기기가 사용중임을 판단하는 것이며, 사용자의 이해를 위해 전력 값과 전류 값을 비교한다고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부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압이 낮기 때문에 대기전력으로 판단하고, 부하를 사용할 경우 전압이 높기 때문에 부하전력으로 판단하여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
마이컴에서는 변류기(CT)를 거쳐 AD에 들어오는 전압을 비교하여 가전기기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지만 원리는 변류기(CT)가 전류를 검출하기 때문에 전류를 비교하여 판단한다고 할 수 있으며, 혹은 전류의 크기에 따라 대기전력인지 부하전력인지를 판단하기 때문에 대기전력을 비교하여 판단한다고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607)는 자체적으로 메인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 부분이며, 상기 콘센트(611)에 전원 220V를 ON/OFF 하도록 마이콤(605)에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RF 수신부(609)는 RF 방식의 리모콘으로부터 ON/OFF 신호를 방향에 상관없이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RF수신부(609)로 전송된 신호는 마이콤(605)으로 전송되어 상기 스위치부(607)의 신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 수신부(609)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받는 적외선 수신부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610)는 상기 마이콤(605)으로부터의 명령을 받아 ON/OFF 되며 ON 상태가 됨에 따라 콘센트(611)에 전원 220V를 인가해 준다.
상기 DIP 스위치(612) 대기전력이 흐를 시 콘센트(611)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시간을 조절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마이콤(605)은 정류부(60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전류감지부(603)로부터의 전류값, 누전감지부(604)로 부터의 누전신호, 대기전력 감지부(606)로부터의 대기전력 값, 스위치(607)와 RF수신부(609)로부터의 ON/OFF신호를 전달 받는다.
상기의 신호들을 전달받은 마이콤(605)은 그 값에 따라 릴레이(610)를 제어하여 콘센트(611)의 전원 공급 회로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누전감지부(604)의 누전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릴레이(610)를 통해 전원부(601)의 전원이 콘센트(611)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전류감지부(603)로부터의 전류 값을 전달받게 되면 릴레이(610)를 ON 시켜 전원부(601)의 전원이 콘센트(611)에 전달되도록 하여 가전제품이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대기전력 감지부(606)로부터의 대기전력 값을 전달받아 저장해 두었다가, 상기 전류감지부(603)로부터의 전류 값보다 크거나 동일할 경우, 릴레이(610)를 OFF 시켜 콘센트(611)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의 전원 공급 시 표시부(608)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며 대기전력 차단 상태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를 소등시키도록 한다.
이때, 개별 콘센트를 사용할 경우 즉, 한 구에 한 제품만 사용할 경우에는 가전기기의 제품 사용 여부를 판단하여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게 되며, 대기전력차단 콘서트에 멀티탭을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즉, 멀티탭을 사용할 경우에는 복수 개의 전자제품들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각각의 가전기기가 가지는 대기전력은 알 수 없다.
그러나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출력에 전원이 공급되었을 경우에는 초기에 마이컴에서 AD에 들어오는 전압 값을 기억하고 있다가 TV, 오디오, DVD 등 가전제품을 사용하면 AD의 전압 값이 높아서 부하를 사용하고 있음을 마이컴에서 판단하고, 부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AD에 들어오는 전압 값이 초기에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와 동등하기 때문에 부하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마이컴에서 판단하여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출력에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콘센트를 통해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되었을 경우 각각의 가전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은 알 수 없으나 전체적인 대기전력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류감지부(603)가 고장나면, 릴레이가 오프되도록 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예방을 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표시부를 통해 나타내도록 하여 사용자가 제품 불량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류감지부를 통해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2가지로 나타날 수가 있는데, 첫번째는 과부하시의 경우와 동일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로 전류감지부의 AD 출력 값이 최대로 나타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전류감지부의 AD 출력 값이 없는 경우이다.
상술한 2가지의 경우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발생되면 마이컴에서 이를 감지하여 표시부를 통해 발광다이오드, 부저 또는 스피커 등으로 알림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차단부에서 대기전력의 차단이 수행되거나 또는 제1전기기기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제2차단부도 대기전력의 차단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제1차단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 시간 제2차단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유지시켜 제2차단부에 연결된 제2전기기기를 통해 수행되던 작업에 완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200: 제1차단부 500: 제2차단부
M: 멀티탭

Claims (11)

  1.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는 제1전기기기가 연결된 제1차단부(200) 및
    상기 제1전기기기에 종속되어 동작하는 제2전기기기가 연결된 제2차단부(500)가 포함된 멀티탭(M)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상기 제1전기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기준 값인 미리 설정된 보정 값보다 커서 상기 제1전기기기가 소비모드라고 판단이 되더라도 제1전기기기로부터 제1전기기기에 연결된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차단부(500)에서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M)은
    제1차단부(200)는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제1전류검출부(210)와 제1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구동부(25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제2차단부(200)는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제2전류검출부(510)와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2차단구동부(55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전기기기로부터 제1전기기기에 연결된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의 유무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입력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류검출부(210) 및 제2전류검출부(510)를 통해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각각 전달받고,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대기전력으로 판단되면 제1차단구동부(250) 및 제2차단구동부(550)를 각각 구동시켜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며, 상기 신호입력부(300)를 통해 제1전기기기에 연결된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어부(100)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력부(300)는 상기 제1전기기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검출부(210) 및 제2전류검출부(510)는 홀 센서가 포함되어 구비되거나, 또는 Shunt 저항과 전압검출부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차단구동부(250) 및 제2차단구동부(550)는 래치 릴레이가 포함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7. 멀티탭(M)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의 대기전력 차단이 해제되는 활성화단계;
    상기 제1차단부(200)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의 대기전력 값이 감지되어 대기전력 차단 기준 값인 보정 값이 설정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 이후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상기 보정 값보다 커서 상기 제1전기기기가 소비모드라고 판단이 되더라도 제1전기기기로부터 제1전기기기에 연결된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차단부(5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차단단계
    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을 통한 절전 제어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는 상기 제1전기기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을 통한 절전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단계 이후에는
    제1차단부(200)의 대기전력 차단이 해제된 후 제1전기기기로부터 제1전기기기에 연결된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있다는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아 제2차단부(200)의 대기전력 차단이 해제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을 통한 절전 제어방법.
KR1020130076810A 2013-07-02 2013-07-02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 KR101358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810A KR101358834B1 (ko) 2013-07-02 2013-07-02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810A KR101358834B1 (ko) 2013-07-02 2013-07-02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834B1 true KR101358834B1 (ko) 2014-02-05

Family

ID=5026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810A KR101358834B1 (ko) 2013-07-02 2013-07-02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893A (ko) * 2014-09-04 2016-03-14 최병민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6849B2 (en) 2001-12-04 2003-07-01 Morton Tarr Electrical power strip for use with a computer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KR200351353Y1 (ko) * 2004-03-05 2004-05-20 오우석 멀티탭 장치
US20050030680A1 (en) 2002-01-22 2005-02-10 Eun-Su Lee Electric outlet for stanby power interruption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thereof, and power saving system
KR20120055484A (ko) * 2010-11-23 2012-05-31 김창호 전자제품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6849B2 (en) 2001-12-04 2003-07-01 Morton Tarr Electrical power strip for use with a computer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US20050030680A1 (en) 2002-01-22 2005-02-10 Eun-Su Lee Electric outlet for stanby power interruption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thereof, and power saving system
KR200351353Y1 (ko) * 2004-03-05 2004-05-20 오우석 멀티탭 장치
KR20120055484A (ko) * 2010-11-23 2012-05-31 김창호 전자제품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893A (ko) * 2014-09-04 2016-03-14 최병민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KR102239636B1 (ko) * 2014-09-04 2021-04-12 최병민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004B1 (ko)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KR100980626B1 (ko)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KR101685062B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매입형 콘센트
KR100798830B1 (ko)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KR101389897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KR100929818B1 (ko)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매입 콘센트
KR20070106912A (ko)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
WO2008062174A2 (en) An energy saving device
WO2010097580A2 (en) Electrical power management device
KR100970843B1 (ko) 적응형 그린 콘센트
US2018036477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electric outlet having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and restoration function
KR101298082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02677B1 (ko) 셋톱박스의 전력 제어장치
KR101302056B1 (ko) 지능형 대기전력 차단방법
KR101358834B1 (ko)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
KR20130042933A (ko) 누전, 과부하 및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KR101606085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201787B1 (ko) 인공지능 자동 절전시스템
KR101448695B1 (ko) 인공지능형 절전제어 콘센트
KR20110017949A (ko)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0979259B1 (ko) 지능형 대기전력 자동 차단 방법
KR20160141699A (ko)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
KR101433710B1 (ko) 절전 기능을 갖는 멀티 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18977A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KR20120046847A (ko)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