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719B1 -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719B1
KR101609719B1 KR1020150131238A KR20150131238A KR101609719B1 KR 101609719 B1 KR101609719 B1 KR 101609719B1 KR 1020150131238 A KR1020150131238 A KR 1020150131238A KR 20150131238 A KR20150131238 A KR 20150131238A KR 101609719 B1 KR101609719 B1 KR 101609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bile terminal
battery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102015013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719B1/ko
Priority to PCT/KR2016/009967 priority patent/WO20170479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02J2007/004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동 여부와 무관하게 모바일단말에 이용되는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와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 여부와 무관하게 모바일단말에 이용되는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와 차량의 배터리 방전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Apparatus for Sensing Full Charge of Mobile Terminal Battery connected to Vehicle Power Source}
본 발명은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동 여부와 무관하게 모바일단말에 이용되는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와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차량용 배터리 충전기는 차량 내 USB 단자나 시가잭 박스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식으로서, 차량의 시동을 끄거나 하차 후 차량 문을 잠그면 차량의 전원이 차단되어 배터리의 충전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중단되는 상황이다.
또한, 가정용 충전기는 가정의 밖, 즉 야외에서는 전원 공급원인 콘센트가 없이는 충전이 불가능하며, 충전이 완료된 후에도 전류가 흘러 전기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야외에서 핸드폰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시동을 켜놓거나, 시동예비단계로 차량운전상황을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은 본인이 주시할 수 있는 가시권내에 항상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차량 도난과 같은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어 편안히 모바일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게임이나 동영상 등 배터리 소모가 과다한 용도로 모바일단말을 사용하는 상황과 또한 신형 모바일단말을 구입한 후 6개월 정도만 지나도 배터리의 유효사용시간이 급격히 줄어드는 상황을 감안할 때, 차량 내에서 시동과 무관하게 배터리를 24시간 충전할 수 있다면 배터리 부족과 충전에 대한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에, 차량의 시동 여부와 무관하게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고,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전원 공급원인 차량 배터리의 전력 소모와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10-2004-007969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시동 여부와 무관하게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고,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전원 공급원인 차량 배터리의 전력 소모와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라인 및 모바일단말의 배터리로 연결되는 충전단자의 사이에 배치되고,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와 상기 충전단자와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연결감시부;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라인 및 상기 충전단자의 사이에 배치되고, 충전개시신호 및 충전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를 통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로 정전압을 공급 및 차단하는 충전부; 상기 연결감시부, 충전부 및 충전단자의 사이에 배치되고,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와 충전단자 간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라인과 충전단자 간의 연결을 전환하는 릴레이부; 상기 충전단자를 통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전압을 감시하되, 상기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전압이 완전충전전압에 도달하면 완충신호를 생성하는 전압감시부; 및 모바일단말 배터리가 접속되면 상기 제2 라인을 상기 충전단자와 연결시키도록 상기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충전을 개시하라는 상기 충전개시신호를 상기 충전부로 전달하고, 충전 모바일단말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라인을 상기 충전단자와 연결시키도록 릴레이부를 제어하되, 상기 완충신호를 수신하면 충전을 종료하라는 상기 충전종료신호를 상기 충전부로 전달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감시부와 충전부의 전단에 배치되고, 차량의 상시전원의 전압을 모바일단말의 전압에 맞춰 강하하여 상기 제1 및 제2라인으로 분기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단말을 거치하는 하우징; 상기 충전단자를 차량의 상시전원에 연결하는 한 쌍의 케이블; 및 상기 한 쌍의 케이블 중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과전류를 감지하면 전원 연결을 차단하는 퓨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되며, 모바일단말의 배터리가 충전단자에 접속되면 점등하되, 완전충전 여부에 따라 점등 색상을 변경하여 점등하는 충전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잇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 여부와 무관하게 모바일단말에 이용되는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와 차량의 배터리 방전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를 구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를 제작한 제품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를 구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를 구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회로의 연결 및 전자 부품의 구성은 도 2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는 연결감시부(130), 충전부(120), 릴레이부(140), 전압감시부(160), 및 충전제어부(150)를 포함하며, 추가로 전류조절부(115), 전류조절 스위치(116), 정전압부(110), 충전램프(170), 퓨즈(180), 충전단자(190), 하우징(195)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정전압부(110)는 연결감시부(130)와 충전부(120)의 전단에 배치되고, 차량의 상시전원(10)이 공급하는 전압을 모바일단말의 전압에 맞춰 강하하여 제1 라인(101) 및 제2 라인(102)으로 분기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라인(101)은 정전압부(110)에서 연결감시부(130)를 거쳐 릴레이부(140)까지 연결되며, 제2 라인(102)은 정전압부(110)에서 충전부(120)를 거처 릴레이부(140)로 연결된다. 릴레이부(140)에서 충전단자(190)까지는 공통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릴레이부(140)는 연결감시부(130), 충전부(120) 및 충전단자(190)의 사이에 배치되고,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와 충전단자(190) 간의 접속 여부에 따라 제1 라인(101) 및 제2 라인(102)과 충전단자 간의 연결을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릴레이부(140)는 도 1에서처럼 3개의 접점을 가지며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와 충전단자(190) 간의 접속 여부에 따라 제1 라인(101)에 연결된 접점과 제2 라인(102)에 연결된 접점 및 공통라인에 연결된 접점 간의 연결상태를 전환시킨다.
후술하겠지만, 릴레이부(140)의 접점 전환은 연결감시부(130)의 감시 결과 및 그에 따른 충전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연결감시부(130)는 제1 라인(101) 및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로 연결되는 충전단자(190)의 사이에 배치되고,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와 충전단자(190)와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에서처럼, 연결감시부(130)는 포토커플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충전단자(190)에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가 연결되면, 그 연결 여부에 따라 광다이오드에 전류가 흘러 결과적으로 충전제어부(150)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그 충전제어부(150)는 전류 흐름의 변화를 감시함으로써, 충전단자(190)에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충전제어부(150)는 연결감시부(130), 릴레이부(140), 전압감시부(160), 충전부(120), 및 충전램프(170)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감시부(130)에서 감지된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와 충전단자(190)와의 접속 여부에 따라 릴레이부(140)와 충전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전압감시부(160)의 감시 결과에 따라 충전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충전제어부(150)는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가 충전단자(190)에 접속되는 것이 감지되면 제2 라인(102)을 충전단자(190)와 연결시키도록 릴레이부(140)를 제어하는 동시에 충전을 개시하라는 충전개시신호를 생성하여 충전부(120)로 전달하고, 충전단자(190)에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감지되면 제1 라인(101)을 충전단자(190)와 연결시키도록 릴레이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충전제어부(150)는 전압감시부(160)로부터 완충신호를 수신하면 충전을 종료하라는 충전종료신호를 생성하여 충전부(120)로 전달한다.
한편, 충전제어부(150)는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와 충전단자(190)의 접속 상태 및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충전램프(170)의 점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충전램프(170)는 전술한 충전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점등하되,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가 충전단자(190)에 접속되면 점등하되, 완전충전 여부에 따라 점등 색상을 변경하여 점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램프(170)는 충전단자(190)에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가 연결되는 경우 녹색 램프를 점등하되, 배터리가 완전 충전이 되면 붉은색 램프르를 점등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완전 충전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램프의 점등 조건 및 램프 색상은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과 상황에 맞게 변경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전압감시부(160)는 충전단자(190)를 통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의 전압을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의 전압이 완전충전전압에 도달하면 완충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완충신호는 충전제어부(150)로 전달된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배터리가 완전충전되는 경우 충전부(120)의 동작이 정지됨으로써 완전충전되는 경우에도 충전부(120)를 통해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로 과충전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충전부(120)는 제2 라인(102) 및 충전단자(190)의 사이에 배치되고, 충전개시신호 및 충전종료신호에 따라 충전단자(190)를 통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로 정전압을 공급 및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충전부(120)는 충전제어부(150)로부터 충전개시신호를 수신하면 동작을 개시하여 정전압의 공급을 개시하고, 충전제어부(150)로부터 충전종료신호를 수신하면 동작을 중단하여 정전압의 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정전압부(110)는 연결감시부(130)와 충전부(120)의 전단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차량의 상시전원(10)의 전압을 모바일단말의 전압에 맞춰 강하하여 제1 라인(101) 및 제2 라인(102)으로 분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정전압부(110) 및 충전부(120)는 모두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로 정전압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퓨즈(180)는 상시전원(10)과 정전압부, 도는 상시전원(10)과 연결감시부(130) 및 충전부(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시전원의 연결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내부 회로, 모바일단말(20),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100)의 내부 회로나 전자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100)는 추가로 전류조절부(115) 및 전류조절 스위치(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조절 스위치(116)는 충전부(120)에서 모바일단말(20)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위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되는 노브 스위치나 전환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류조절부(115)는 충전부(120)와 연결되며, 전류조절 스위치(116)의 접점 위치에 따라 충전부(1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크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모바일단말(20)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이 많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모바일단말(20)은 충전 시의 정격입력전압은 거의 유사하지만 그 모바일단말에 따라 정격입력전류가 상이할 수 있다. 이처럼, 모바일단말 별로 필요한 전류 크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전류조절부(115)는 사용자의 전류조절 스위치(116) 조작에 대응하도록 전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각 모바일단말(20)의 규격에 맞는 전류를 배터리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충전단자(19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100)와 모바일단말(20)을 접속하는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바람직하게는 USB(Universal Serial Bus)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를 제작한 제품을 예시한 도면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는 도 3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는 하우징(195), 충전단자(190), 한 쌍의 케이블(192), 및 차량의 상시전원과 연결되는 연결부(1921, 1922)가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95)은 외부 케이스로서, 도 1 내지 도 2의 각 구성요소를 내장하는 동시에 각 구성요소를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한다.
이러한 하우징(195)은 모바일단말(20)을 거치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95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지대(1955)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충전단자(190)는 모바일단말(20)과 접속하여 모바일단말의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며, 모바일단말(20)과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195)의 외부로 돌출된다.
한편, 한 쌍의 케이블(192)은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100)로 상시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으로서, 충전을 위해 (+) 및 (-) 극 케이블로 구성된다.
각 케이블(192)의 단부에는 차량의 상시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921, 1922)를 구비하여, 각 연결부 또는 어느 하나의 연결부에는 퓨즈가 추가되어 과전류로부터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를 보호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2에서 설명한 전류조절을 위한 전류조절 스위치가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차량 대다수의 전기관련 부분들은 전력소모방지와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하차 후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하차 후 차량의 문을 잠그면 차량 내의 전등 및 시거잭 등 모든 전기제품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차량 내에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든 아니든 즉 시동 여부와 무관하게 휴대폰 및 태블릿 등의 모바일단말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게임이나 동영상 등 배터리 소모가 과다한 용도로 모바일단말을 사용하는 상황과 또한 신형 모바일단말을 구입한 후 6개월 정도만 지나도 배터리의 유효사용시간이 급격히 줄어드는 상황을 감안할 때, 차량 내에서 시동과 무관하게 배터리를 24시간 충전할 수 있다면 배터리 부족과 충전에 대한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다.
야외에서 핸드폰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시동을 켜놓거나, 시동예비단계로 차량운전상황을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은 본인이 주시할 수 있는 가시권내에 항상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차량 도난과 같은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어 편안히 모바일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은 차량 내 배터리 방전, 차량 도난등 안전상의 문제 없이 시동을 꺼놓은 상태에서 마음 편하게 모바일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또한 배터리 내에 내장된 과충전방지 시스템의 노후나 고장 및 오작동 등의 불량으로 배터리가 과충전되어 폭발할 위험이 있는데, 본 거치대에 내장된 충전시스템은 이러한 폭발을 방지하는 이중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상시전원 20: 모바일단말
100: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101: 제1 라인 102: 제2 라인
110: 정전압부 115: 전류조절부
116: 전류조절 스위치 120: 충전부
130: 연결감시부 140: 릴레이부
150: 충전제어부 160: 전압감시부
170: 충전램프 180: 퓨즈
190: 충전단자 192: 케이블
195: 하우징 1955: 지지대
1921, 1922: 연결부

Claims (5)

  1. 모바일단말의 배터리로 연결되는 충전단자와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와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되,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라인과 상기 충전단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감시부;
    충전개시신호 및 충전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를 통해 모바일단말의 배터리로 정전압을 공급 및 차단하되,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라인과 상기 충전단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충전부;
    상기 연결감시부와 상기 충전단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충전부와 상기 충전단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모바일단말의 배터리와 상기 충전단자 간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가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 중의 어느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되도록 연결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부;
    상기 충전단자를 통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전압을 감시하되, 상기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전압이 완전충전전압에 도달하면 완충신호를 생성하는 전압감시부; 및
    상기 충전단자와 모바일단말의 배터리가 접속되면 상기 제2 라인을 상기 충전단자와 연결시키도록 상기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충전을 개시하라는 상기 충전개시신호를 상기 충전부로 전달하고, 상기 충전단자와 모바일단말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라인을 상기 충전단자와 연결시키도록 상기 릴레이부를 제어하되, 상기 완충신호를 수신하면 충전을 종료하라는 상기 충전종료신호를 상기 충전부로 전달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감시부와 충전부의 전단에 배치되고, 차량의 상시전원의 전압을 모바일단말의 전압에 맞춰 강하하여 상기 제1 및 제2라인으로 분기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모바일단말을 거치하는 하우징;
    상기 충전단자를 차량의 상시전원에 연결하는 한 쌍의 케이블; 및
    상기 한 쌍의 케이블 중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과전류를 감지하면 전원 연결을 차단하는 퓨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되며, 모바일단말의 배터리가 충전단자에 접속되면 점등하되, 완전충전 여부에 따라 점등 색상을 변경하여 점등하는 충전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조절 스위치; 및
    상기 충전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류조절 스위치의 접점에 따라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크기를 제어하는 전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KR1020150131238A 2015-09-16 2015-09-16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KR101609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238A KR101609719B1 (ko) 2015-09-16 2015-09-16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PCT/KR2016/009967 WO2017047963A1 (ko) 2015-09-16 2016-09-06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238A KR101609719B1 (ko) 2015-09-16 2015-09-16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719B1 true KR101609719B1 (ko) 2016-04-06

Family

ID=5579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238A KR101609719B1 (ko) 2015-09-16 2015-09-16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9719B1 (ko)
WO (1) WO201704796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6816B2 (en) 2016-08-22 2020-02-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charging method with mutiple constant voltages and battery charg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10923935B2 (en) 2017-09-13 2021-02-16 Hyundai Motor Company Charging apparatus, a vehicle including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apparatus
KR20220002505U (ko) *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이젠 차량용 전자장치
KR102642838B1 (ko) * 2022-08-22 2024-02-29 이규영 차량용 usb 타입 충전단자 통합제어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48B1 (ko) 2013-02-22 2013-08-28 덕일산업 주식회사 배터리 방전 방지용 휴대기기 충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235B1 (ko) * 1994-10-10 1998-04-21 한승준 자동차의 과방전 방지장치
US7952322B2 (en) * 2006-01-31 2011-05-31 Mojo Mobility, Inc. Inductive power source and charging system
KR101388388B1 (ko) * 2012-04-03 2014-04-23 주식회사 올레브 전기자동차 및 그의 보조 배터리 충전방법
KR101451709B1 (ko) * 2013-01-10 2014-10-23 양호용 배터리 과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48B1 (ko) 2013-02-22 2013-08-28 덕일산업 주식회사 배터리 방전 방지용 휴대기기 충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6816B2 (en) 2016-08-22 2020-02-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charging method with mutiple constant voltages and battery charg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10923935B2 (en) 2017-09-13 2021-02-16 Hyundai Motor Company Charging apparatus, a vehicle including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apparatus
KR20220002505U (ko) *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이젠 차량용 전자장치
KR200496378Y1 (ko) 2021-04-12 2023-01-13 주식회사 이젠 차량용 전자장치
KR102642838B1 (ko) * 2022-08-22 2024-02-29 이규영 차량용 usb 타입 충전단자 통합제어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7963A1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4123A1 (en) Multi-functional portable power charger
CN112564200B (zh) 多功能大容量移动电源充电器
KR101609719B1 (ko)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CN202817860U (zh) 智能型便携式移动电源充电器
EP2533348B1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KR101512478B1 (ko)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US8816644B2 (en) Interrupting the charging status of a rechargeable battery
CN105150963B (zh) 一种稳定的汽车电源系统
KR20130114619A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579583B (zh) 多功能便携式电源充电器
WO2009066859A1 (en) Portable charger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 charger
CN107863792B (zh) 充电控制方法及充电器
CN105762898A (zh) 一种智能手机充电器
EP2782201B1 (en) Storage battery unit
WO2013147489A1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086521B1 (en) Two-wire multi-rate battery charger
KR101483374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하는 대기전력 차단 전기장치
KR101820476B1 (ko)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US10714957B1 (en) Charge state control system and device
KR20190031392A (ko) 통신 단 절연 기능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21065094A (ja) 携帯端末
KR101807761B1 (ko)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CN111327101A (zh) 一种腕带设备
CN206293718U (zh) 具有电流及温度保护机制的连接器接头结构
US11398742B2 (en) Charge state control system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