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491B1 - 스마트 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491B1
KR101178491B1 KR1020120019154A KR20120019154A KR101178491B1 KR 101178491 B1 KR101178491 B1 KR 101178491B1 KR 1020120019154 A KR1020120019154 A KR 1020120019154A KR 20120019154 A KR20120019154 A KR 20120019154A KR 101178491 B1 KR101178491 B1 KR 101178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tection signal
plug
switch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철
김태호
김현수
정우정
김건욱
김정혁
강기병
한창우
이재현
조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콤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콤,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콤
Priority to KR102012001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센서,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하여 광원 및 전력기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을 최소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공간내에서의 움직임, 상기 공간내의 온도 및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간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절전 시스템{SMART POWER SAVING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센서,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하여 광원 및 전력기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을 최소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의 소비는 날로 늘어 가고 있고, 기존의 화력자원은 고갈되어 가고 있는 상태로, 새로운 에너지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뿐 아니라 그와 함께 에너지의 소비절약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의 소비가 급증하는 여름철, 전기 에너지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일정량의 에너지를 생산해 내고 있으나, 에너지 소비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수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발전소 등의 설비를 무한정 증가시킬 수 없는 현 상황에서 에너지의 소비를 감소시킬 방안에 대한 연구 또한 함께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 상황을 고려하여 에너지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스마트 스위치,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한 스마트 절전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공간내에서의 움직임, 상기 공간내의 온도 및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간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스위치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센서는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을 나타내는 조도감지신호를 더 출력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의 크기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 및 상기 동작감지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키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키며; 그리고,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스위치 및 광원은 각각 2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스위치들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센서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 및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센서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 및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센서는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을 나타내는 조도감지신호를 더 출력하며; 그리고,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의 크기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 및 상기 동작감지신호의 상태에 따라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 및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점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점등시키며;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은 2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스위치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센서는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을 나타내는 조도감지신호를 더 출력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의 크기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 및 상기 동작감지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들을 모두 점등시키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들을 모두 소등시키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들 중 일부를 소등시키고 나머지 일부를 점등시키며; 그리고,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들을 모두 소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센서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각 스마트 센서는 상기 공간을 적어도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움직임, 온도 및 조도를 감지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들 및 스마트 스위치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상기 스마트 센서들이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들로부터의 감지신호들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각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그리고, 각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각 스마트 센서는 해당 구역내의 조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을 나타내는 조도감지신호를 더 출력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들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의 크기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 및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며; 모든 동작감지신호들이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키며;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의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스위치, 스마트 센서 및 광원은 각각 2개 이상 구비되며; 각 스마트 센서는 상기 공간을 적어도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움직임, 온도 및 조도를 감지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들 및 스마트 센서들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센서들이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들로부터의 감지신호들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 및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각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그리고, 각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각 스마트 센서는 해당 구역내의 조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을 나타내는 조도감지신호를 더 출력하며; 그리고,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들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의 크기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 및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의 상태에 따라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 및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점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모든 동작감지신호들이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클 때,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의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점등시키며;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기기와 전원소켓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플러그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플러그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더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점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상기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상기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스위치와 스마트 플러그를 통해 상기 스마트 스위치의 상태, 상기 광원의 상태,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상태 및 상기 스마트 센서의 상태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이 수집된 정보들을 근거로 상기 스마트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 광원의 점등 여부, 스마트 플러그의 온/오프 여부, 상기 공간내의 사람의 존재 여부, 공간내의 전력기기의 소비전력, 상기 공간내의 온도, 상기 공간내의 조도 및 절전량을 파악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관리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관리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상기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부터 상기 전력기기의 전력 정보를 전송받고 이 전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관리제어부는, 중앙관리제어부가 모니터링하는 전력기기들의 순시 전력들을 합산한 피크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피크전력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력기기의 피크전력이 상기 기준 피크전력보다 클 때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차단제어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중앙관리제어부로부터의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상기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중앙관리제어부로부터의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상기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2개 이상의 전력기기와 2개 이상의 전원소켓들 사이에 접속된 2개 이상의 스마트 플러그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 스마트 센서 및 광원은 각각 2개 이상 구비되며; 각 스마트 센서는 상기 공간을 적어도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움직임, 온도 및 조도를 감지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들, 스마트 스위치들 및 스마트 플러그들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스위치, 스마트 센서들 및 스마트 플러그들이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들로부터의 감지신호들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더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각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그리고, 각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그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이 모두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점등시키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라도 비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키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며; 각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해당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각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해당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점등시키며;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기기와 전원소켓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플러그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플러그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더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부터의 센서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점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기기가 구동중인지를 파악한 후 이 전력기기가 오프된 상태일 때만 선택적으로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센서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기기가 구동중인지를 파악한 후 이 전력기기가 온 상태일 때만 선택적으로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센서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는 상기 토글출력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기기로 온/오프토글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온 상태일 때의 전력기기는 상기 온/오프토글제어신호에 의해 오프되며; 오프 상태일 때의 전력기기는 상기 온/오프토글제어신호에 의해 온되며; 그리고, 상기 차단제어신호를 공급받은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전력기기가 상기 온/오프토글제어신호에 의해 정상적인 종료 과정을 거쳐 완전히 오프된 이후,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상기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플러그를 통해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온도감지신호를 전송받고, 이 온도감지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값을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전송하는 중앙관리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온도감지신호의 크기와 상기 기준 온도의 크기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센서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교 결과 기준 온도값이 냉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온도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냉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된 기준 온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송풍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센서로 전송하며; 상기 비교 결과 기준 온도 값이 냉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온도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냉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된 기준 온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냉방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센서로 전송하며; 상기 비교 결과 기준 온도값이 난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온도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난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된 기준 온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난방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센서로 전송하며; 상기 비교 결과 기준 온도값이 난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온도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난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된 기준 온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송풍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센서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부터의 송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송풍신호를 생성하고, 이 송풍신호를 적외선 통신을 통해 전력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부터의 냉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냉방신호를 생성하고, 이 냉방신호를 적외선 통신을 통해 전력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부터의 난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난방신호를 생성하고, 이 난방신호를 적외선 통신을 통해 전력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전력기기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송풍신호, 냉방신호 및 난방신호에 응답하여 송풍모드, 냉방모드 및 난방모드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공간내에서의 움직임, 상기 공간내의 온도 및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센서; 상기 공간내에 설치되며, 적어도 2개의 전력기기와 적어도 2개의 전원소켓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스마트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플러그들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플러그 및 스마트 센서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그리고,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로의 전원 공급 여부 및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센서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각 스마트 센서는 상기 공간을 적어도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움직임, 온도 및 조도를 감지하며; 각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라도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이 모두 비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플러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가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소비 전력량을 파악하고, 이 전력기기에 의해 사용된 총 소비 전력과 미리 설정된 허용량을 비교하여 앞으로 이 전력기기에 의해 사용 가능한 잔여량을 산출하고, 상기 허용량 및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소비 전력량이 상기 허용량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소비 전력량이 상기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소비 전력량이 상기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고 메시지는 문자 또는 음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소비 전력량이 상기 허용량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1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소비 전력량이 상기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2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경고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이고, 상기 2차 경고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플러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가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사용시간을 파악하고, 이 전력기기의 총 사용시간과 미리 설정된 허용시간을 비교하여 앞으로 이 전력기기가 사용가능한 잔여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허용시간 및 잔여시간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사용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사용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사용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을 초과할 경우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고 메시지는 문자 또는 음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사용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1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사용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2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경고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이고, 상기 2차 경고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오프토글제어신호는 적외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신호, 냉방신호 및 난방신호는 모두 적외선 신호이며; 그리고,상기 스마트 센서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송풍신호, 냉방신호 및 난방신호를 상기 전력기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온도, 조도, 및 피크전력에 따라 광원 및 전력기기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스위치, 스마트 플러그 및 스마트 센서를 바인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도 3에서의 스마트 스위치와 스마트 센서간의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도 3에서의 스마트 센서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의 상태에 따라 광원의 동작을 판단하는 순서도
도 5b는 도 3에서의 스마트 센서로부터 발생된 조도감지신호의 값에 따라 광원의 동작을 판단하는 순서도
도 5c는 도 3에서의 스마트 센서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의 상태 및 조도감지신호 값에 따라 광원의 동작을 판단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9는 도 8에서의 스마트 스위치와 스마트 센서들간의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12는 도 11에서의 스마트 스위치와 스마트 센서간의 통신 과정 및 스마트 플러그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1에서의 스마트 센서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의 상태에 따라 광원의 동작 및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판단하는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19는 다수의 건물내에 다수의 공간들이 구비될 때 각 공간내의 라우터들과 중앙관리제어부간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스마트 절전 시스템에 대한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25는 도 1의 스마트 센서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6은 도 1의 스마트 스위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7은 도 1의 스마트 플러그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센서(SS), 스마트 플러그(PL), 무선통신중계기(JU) 및 중앙관리제어부(CMU)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에는 하나의 공간(RM)이 도시되어 있는 바, 예를 들어, 이 공간(RM)은 건물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방이 될 수 있다. 이 공간(RM)안에 위치한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플러그(PL) 및 스마트 센서(SS) 중 적어도 어느 두 종 이상은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플러그(PL) 및 스마트 센서(SS)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스마트 스위치(SW) 및 스마트 센서(SS)의 조합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망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스마트 플러그(PL) 및 스마트 센서(SS)의 조합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망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스위치(SW)가 다수 구비될 경우 이 스마트 스위치(SW)들만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망도 가능하다.
이러한 네트워크 망에 포함된 스마트 플러그(PL) 및 스마트 플러그(PL)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 감지된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 공간(RM)내의 온도 및 공간(RM)내의 조도에 따라 광원(LS) 및 전력기기(LD)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그 공간(RM)내에서의 광원(LS) 및 전력기기(LD)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의 소비를 최소화한다. 여기서, 광원(LS)은 광을 출사하는 소스(source)로서, 이 광원(LS)은 예를 들어 형광램프(fluorescent lamp) 및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기기들을 논리적으로 묶는 바인딩(binding)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플러그(PL) 및 스마트 센서(SS)를 바인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의 공간(RM)내에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SW), 하나의 스마트 센서(SS) 및 두 개의 스마트 플러그(PL)들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이들 4개의 기기들을 바인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고 가정하자. 이를 위해서, 먼저 이들 4개의 기기들 중 그 네트워크 망에서의 마스터가 될 하나의 기기를 설정한다. 만약,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스위치(SW)가 마스터로 설정된다면 나머지 기기들, 즉 1개의 스마트 센서(SS) 및 2개의 스마트 플러그(PL)들은 모두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이러한 마스터 및 슬레이브 설정은 이들 기기들 내에 위치한 마스터 및 슬레이브 버튼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기들이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설정되면, 슬레이브로 설정된 기기들은 마스터로 설정된 기기로 각각 바인딩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는 바인딩리퀘스트신호(BindReq)를 전송한 각 기기들로 바인딩응답신호(BindResp)를 전송한다. 이로써 상술된 4개의 기기들이 하나로 바인딩되어 상술된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이루게 된다.
한편, 스마트 센서(SS), 스마트 스위치(SW) 및 스마트 플러그(PL)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 센서(SS)는 통합 센서로서,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 이 공간(RM)내의 온도 및 이 공간(RM)내의 조도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이 스마트 센서(SS)는 움직임감지센서, 온도센서 및 조도센서를 포함한다. 동작감지센서는 공간(RM)내에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를 감지하며, 온도센서는 그 공간(RM)내의 온도를 검출하며, 그리고 조도센서는 그 공간(RM)내의 조도를 산출한다. 이 스마트 센서(SS)는 그 공간(RM)내에 위치한 스마트 스위치(SW) 및 스마트 플러그(PL)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이 스마트 센서(SS)로부터 감지된 감지정보들은 신호화되어 스마트 스위치(SW) 또는 스마트 플러그(PL)로 공급된다. 또한, 이 스마트 스위치(SW) 또는 스마트 플러그(PL)로 공급된 감지정보들은 신호화되어 무선통신중계기(JU)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에도 공급된다. 한편, 이 스마트 센서(SS)는 적외선신호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이 적외선송신부는 공간(RM)내에 위치한 전력기기(LD)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이 전력기기(LD)가 리모컨(remote controller)으로 동작 가능한 냉/난방기일 경우, 이 적외선송신부는 리모컨과 동일한 적외선제어신호를 이 냉/난방기로 송출하여 이 냉/난방기의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도 1에는 하나의 스마트 센서(SS)가 도시되어 있는 바, 공간(RM)이 넓은 경우 그 하나의 공간(RM)내에 2개 이상의 스마트 센서(SS)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각 스마트 센서(SS)는 그 공간(RM)을 적어도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움직임, 온도 및 조도를 각각 감지한다.
스마트 스위치(SW)는 공간(RM)내에 위치한 광원(LS)의 동작, 즉 이 광원(LS)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한다. 때에 따라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의 동작뿐만 아니라 스마트 플러그(PL)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상술된 스마트 센서(SS)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무선통신중계기(JU) 및 인터넷(IT)을 통해 무선으로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접속되는 바,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한다. 즉,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이 점등된 상태인지 아니면 소등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한다. 도 1에는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SW)가 도시되어 있는 바, 하나의 공간(RM)에는 이러한 스마트 스위치(SW)가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PL)는 전력기기(LD)가 사용하는 전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이 전력기기(LD)로부터 소비되는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이 수집된 전력기기(LD)의 전력 정보를 무선중계기 및 인터넷(IT)을 통해 무선으로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한다. 또한,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전력기기(LD)가 오프(off)될 때 이를 감지하여 이 전력기기(LD)와 전원소켓(SK)간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전력기기(LD)와 전원소켓(SK) 사이에 접속된다.
한편, 무선통신중계기(JU)는 적어도 하나의 라우터(R) 및 코디네이터(C)로 구성될 수 있다.
라우터(R)는 전파의 음역지역을 제거하기 위한 중계기로서, 이는 상술된 공간(RM)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건물에 여러 개의 방이 존재할 경우, 각 방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라우터(R)가 설치될 수 있다.
코디네이터(C)는 하나의 공간(RM) 또는 다수의 공간(RM)들에 설치된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플러그(PL) 및 스마트 센서(SS)들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각 공간(RM)내의 라우터(R)를 통해 수집하고, 이들 수집된 정보들을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한다. 또한, 이 코디네이터(C)는 중앙관리제어부(CMU)로부터의 각종 명령을 라우터(R)를 통해 해당 공간(RM)내의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플러그(PL) 및 스마트 센서(SS)로 전달한다. 건물이 여러 개일 경우 각 건물마다 하나의 코디네이터(C)가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코디네이터(C) 또는 다수의 코디네이터(C)들은 인터넷(IT)을 통해 하나의 중앙관리제어부(CMU)에 무선으로 접속된다.
한편,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하나의 코디네이터(C) 또는 다수의 코디네이터(C)들로부터 수집된 각종 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와, 그리고 이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정보를 가공 및 분석하여 해당 공간(RM)내의 절전량을 산출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각종 명령을 생성하는 서버(SV)를 포함한다. 이 서버(SV)로부터의 명령은 인터넷(IT), 코디네이터(C) 및 라우터(R)를 통해 해당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플러그(PL) 및 스마트 센서(SS)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스마트 스위치(SW) 및 스마트 플러그(PL)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시간대에 특정 공간(RM)의 광원(LS)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중앙관리제어부(CMU)가 모니터링 하는 전력기기들의 순시 전력들을 합산한 피크전력이 특정 수치를 넘어가는 순간 이 전력기기(LD)가 오프(off)되고, 이 피크전력이 이 특정 수치보다 떨어지면 다시 이 전력기기(LD)가 온(on)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스마트 플러그(PL)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수집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온도, 조도,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 전력기기(LD)들의 온/오프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서 사용되는 전력기기(LD)들의 전기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기기(광원(LS) 또는 전력기기(LD))가 상술된 일정 및 피크전력에 따라 오프되거나, 또는 움직임 또는 온도 등에 의해 오프되었을 때의 그 특정 기기의 소비전력과 상술된 제어가 없었을 때의 그 특정기기로부터의 소비전력을 각각 산출하고, 이 두 가지 경우에 발생된 소비전력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특정 기기에 대한 절전량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공간(RM)내의 모든 기기들에 대한 개별 절전량을 산출함으로써 해당 공간(RM)내에서의 총 절전량을 산출한다.
한편, 라우터(R)와 공간(RM)내의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플러그(PL) 및 스마트 센서(SS)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또한,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플러그(PL) 및 스마트 센서(SS)간도 무선으로 통신한다. 반면, 코디네이터(C)와 인터넷(IT)은 유선으로 접속되며, 그리고 중앙관리제어부(CMU)와 인터넷(IT)도 유선으로 연결된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센서(SS), 스마트 스위치(SW), 라우터(R) 및 중앙관리제어부(CMU)를 포함한다.
도 1에서의 스마트 센서(SS) 및 스마트 스위치(SW)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SW)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SS)가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이 네트워크 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인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스마트 센서(SS)는 미리 설정된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 이 공간(RM)내의 온도 및 이 공간(RM)내의 조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한다. 동작감지신호는 그 공간(RM)내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신호이며, 온도감지신호는 그 공간(RM)내의 온도를 알려주는 신호이며, 그리고 조도감지신호는 그 공간(RM)내의 조도를 알려주는 신호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센서(SS)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RM)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그 공간(RM)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이 스마트 센서(SS)는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RM)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그 공간(RM)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는 하이논리전압에 대응되는 디지털 값이고,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는 로우논리전압에 대응되는 디지털 값일 수 있다.
또한, 이 스마트 센서(SS)는 공간(RM)내의 조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을 나타내는 조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조도감지신호의 값은 그 공간(RM)내의 조도에 따라 달라지는 디지털 값이다.
또한, 이 스마트 센서(SS)는 공간(RM)내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을 나타내는 온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온도감지신호의 값은 그 공간(RM)내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디지털 값이다.
스마트 스위치(SW)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그 공간(RM)내에 설치된 광원(LS)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행되는 스마트 스위치(SW)와 스마트 센서(SS)간의 통신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에서의 스마트 스위치(SW)와 스마트 센서(SS)간의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러한 통신 과정에 앞서,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스마트 스위치(SW)와 스마트 센서(SS)는 바인딩 과정을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후,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마트 센서(SS)는 자신이 갖고 있는 시간 정보(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시간 정보)를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 시간 정보를 스마트 센서(SS)와 공유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이 스마트 스위치(SW)와 스마트 센서(SS)가 이 스마트 센서(SS)에 설정된 시간 정보를 근거로 서로 동기화된다. 이 시간 정보는 스마트 센서(SS)에 구비된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직접 조작하여 변경가능하다. 또한 이 시간 정보는 중앙관리제어부(CMU)를 이용하여 스마트 센서(SS)로 시간 정보 관련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변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스위치(SW)와 스마트 센서(SS)가 시간 정보를 근거로 동기화된 후, 스마트 센서(SS)는 그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그 공간(RM)내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한다. 만약, 그 시간 정보에 포함된 시간 동안 그 공간(RM)내에서 아무런 움직임이 관찰되지 않을 경우, 이 스마트 센서(SS)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NACTS)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러한 비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NACTS)에 응답하여 응답신호(Ack)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센서(SS)로 제공한다. 이때 이 응답신호에는 상술된 바와 같은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 비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NACTS)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을 소등시킨다. 반면, 그 시간 정보에 포함된 시간 동안 그 공간(RM)내에서 어떠한 움직임이 관찰될 경우, 이 스마트 센서(SS)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ACTS)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러한 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ACTS)에 응답하여 응답신호(Ack)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센서(SS)로 제공한다. 이때 이 응답신호(Ack)에는 상술된 바와 같은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 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ACTS)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을 점등시킨다.
도 5a는 도 3에서의 스마트 센서(SS)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의 상태에 따라 광원(LS)의 동작을 판단하는 순서도이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센서(SS)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때, 이에 응답하여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점등한다. 반면, 이 스마트 센서(SS)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일 때, 이에 응답하여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소등시킨다.
한편, 스마트 스위치(SW)는 조도감지신호에 따라 광원(LS)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b는 도 3에서의 스마트 센서(SS)로부터 발생된 조도감지신호의 값에 따라 광원(LS)의 동작을 판단하는 순서도이다.
즉, 스마트 스위치(SW)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 조도감지신호를 공급받고, 이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광원(LS)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그 비교 결과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점등시킨다. 반면, 그 비교 결과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크면,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소등시킨다.
한편, 스마트 스위치(SW)는 움직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의 조합 결과에 따라 광원(LS)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c는 도 3에서의 스마트 센서(SS)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의 상태 및 조도감지신호 값에 따라 광원(LS)의 동작을 판단하는 순서도이다.
즉, 스마트 스위치(SW)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 움직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공급받고, 이 움직임감지신호의 상태,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와 기준 조도값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광원(LS)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점등시킨다. 한편,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소등시킨다. 한편,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소등시킨다. 한편,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소등시킨다.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공간(RM)내의 각종 정보들을 제공받는다. 이 각종 정보들은, 예를 들어,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여기서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는,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와 관계가 있다. 즉,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점등할 때 자신의 스위치를 온시킴으로써 이러한 광원(LS)의 점등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그리고 광원(LS)을 소등할 때 자신의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이러한 광원(LS)의 소등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들은 마스터로 설정된 기기, 즉 도 3에서의 스마트 스위치(SW)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된다.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온도, 조도,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서 사용되는 광원(LS)의 전기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스마트 스위치(SW)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시간대에 이 공간(RM)의 광원(LS)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센서(SS), 다수의 스마트 스위치들(SW1, SW2), 라우터(R) 및 중앙관리제어부(CMU)를 포함한다.
도 1에서의 스마트 센서(SS) 및 스마트 스위치들(SW1, SW2)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SW1)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스위치(SW2) 및 스마트 센서(SS)가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이 네트워크 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인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한편, 도 6에는 두 개의 광원(LS)들이 도시되어 있는 바, 하나의 광원(LS1)은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1)에 접속되어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광원(LS2)은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2)에 접속되어 있다.
스마트 센서(SS)는 미리 설정된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 이 공간(RM)내의 온도 및 이 공간(RM)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이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한다. 도 6의 스마트 센서(SS)는, 앞서 설명된 도 3의 스마트 센서(SS)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1)(이하,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의 동작 및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2)(이하,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 및 스마트 센서(SS)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움직임감지신호에 따라 자신에 접속된 광원(LS1)의 동작 및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스마트 센서(SS)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때, 이에 응답하여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이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2)을 점등시킨다. 한편, 이 스마트 센서(SS)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일 때, 이에 응답하여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소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이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2)을 소등시킨다.
한편,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조도감지신호에 따라 자신에 접속된 광원(LS1)의 동작 및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 조도감지신호를 공급받고, 이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광원(LS)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그 비교 결과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이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2)을 점등시킨다. 반면, 그 비교 결과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크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소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이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2)을 소등시킨다.
한편,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움직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의 조합 결과에 따라 자신에 접속된 광원(LS1)의 동작 및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 움직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공급받고, 이 움직임감지신호의 상태,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와 기준 조도값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광원(LS1, LS2)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이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2)을 점등시킨다. 한편,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소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이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2)을 소등시킨다. 한편,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소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이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2)을 소등시킨다. 한편,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소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이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2)을 소등시킨다.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공간(RM)내의 각종 정보들을 제공받는다. 이 각종 정보들은, 예를 들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의 온/오프 여부,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의 온/오프 여부, 각 광원(LS1, LS2)의 점등/소등 여부,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보들은 마스터로 설정된 기기, 즉 도 6에서의 스마트 스위치(SW1)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된다.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온도, 조도,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서 사용되는 각 광원(LS1, LS2)의 전기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시간대에 이 공간(RM)의 특정 광원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로 전송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센서(SS), 3구 스마트 스위치(3SW), 라우터(R) 및 중앙관리제어부(CMU)를 포함한다.
도 7에서의 스마트 센서(SS) 및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 네트워크 망에서 3구 스마트 스위치(3SW)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SS)가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이 네트워크 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인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한편, 도 7에는 3개의 광원군들(LSG1 내지 LSG3)이 도시되어 있는 바, 각 광원군(LSG1 내지 LSG3)은 3구 스마트 스위치(3SW)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3개의 광원군들(LSG1 내지 LSG3) 중 제 1 광원군(LSG1)에 포함된 광원(LS1)들은 3구 스마트 스위치(3SW)의 제 1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며, 제 2 광원군(LSG2)에 포함된 광원(LS2)들은 3구 스마트 스위치(3SW)의 제 2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며, 그리고 제 3 광원군(LSG3)에 포함된 광원(LS3)들은 3구 스마트 스위치(3SW)의 제 3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스마트 센서(SS)는 미리 설정된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 이 공간(RM)내의 온도 및 이 공간(RM)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이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한다. 도 7의 스마트 센서(SS)는, 앞서 설명된 도 3의 스마트 센서(SS)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광원군들(LSG1 내지 LSG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3구 스마트 스위치(3SW) 및 스마트 센서(SS)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움직임감지신호에 따라 각 광원군(LSG1 내지 LSG3)내의 광원들(LS1 내지 LS3)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스마트 센서(SS)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때, 이에 응답하여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모든 광원군들(LSG1 내지 LSG3)의 광원들(LS1 내지 LS3)을 점등시킨다. 반면, 스마트 센서(SS)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일 때, 이에 응답하여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모든 광원군들(LSG1 내지 LSG3)의 광원들(LS1 내지 LS3)을 소등시킨다.
한편,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조도감지신호에 따라 각 광원군(LSG1 내지 LSG3)내의 광원들(LS1 내지 LS3)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 조도감지신호를 공급받고, 이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광원들(LS1 내지 LS3)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그 비교 결과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모든 광원군들(LSG1 내지 LSG3)의 광원들(LS1 내지 LS3)을 점등시킨다. 반면, 그 비교 결과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면,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3개의 광원군들(LSG1 내지 LSG3) 중 일부 광원군내의 광원들을 소등시키고, 나머지 일부 광원군내의 광원들을 점등시킨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RM)내의 어느 측면에 창문(W)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면,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면 이 창문(W)에 근접하여 설치된 제 3 광원군(LSG3)에 포함된 광원(LS3)들이 모두 소등될 수 있다. 반면, 이 창문(W)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제 1 및 제 2 광원군(LSG1, LSG2)내의 광원들(LS1, LS2)은 점등될 수 있다.
한편,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움직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의 조합 결과에 따라 각 광원군(LSG1 내지 LSG3)내의 광원들(LS1 내지 LS3)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 움직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공급받고, 이 움직임감지신호의 상태,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와 기준 조도값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광원들(LS1 내지 LS3)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제 1 내지 제 3 광원군(LSG1 내지 LSG3)내의 광원들(LS1 내지 LS3)을 모두 점등시킨다. 한편,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제 1 내지 제 3 광원군(LSG1 내지 LSG3)내의 광원들(LS1 내지 LS3)을 모두 소등시킨다. 한편,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3구 스마트 스위치(3SW)는 3개의 광원군들(LSG1 내지 LSG3) 중 일부 광원군내의 광원들을 소등시키고, 나머지 일부 광원군내의 광원들을 점등시킨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RM)내의 어느 측면에 창문(W)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면,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면 이 창문(W)에 근접하여 설치된 제 3 광원군(LSG3)에 포함된 광원들(LS3)이 모두 소등될 수 있다. 반면, 이 창문(W)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제 1 및 제 2 광원군(LSG1, LSG2)내의 광원들(LS1, LS2)은 점등될 수 있다. 한편,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3구 스마트 스위치(2SW)는 제 1 내지 제 3 광원군(LSG1 내지 LSG3)내의 광원들(LS1 내지 LS3)을 모두 소등시킨다.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공간(RM)내의 각종 정보들을 제공받는다. 이 각종 정보들은, 예를 들어, 3구 스마트 스위치(3SW)의 온/오프 여부, 각 광원군(LSG1 내지 LSG3)내의 광원들(LS1 내지 LS3)의 점등/소등 여부,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보들은 마스터로 설정된 기기, 즉 도 7에서의 3구 스마트 스위치(3SW)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된다.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온도, 조도,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서 사용되는 각 광원(LS1 내지 LS3)의 전기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3구 스마트 스위치(3SW)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시간대에 이 공간(RM)의 특정 광원군내의 광원들이 모두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3구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 스마트 스위치(SW), 라우터(R) 및 중앙관리제어부(CMU)를 포함한다.
도 8에서의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 및 스마트 스위치(SW)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SW)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은 각각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이 네트워크 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인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한편, 도 8에는 3개의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이 도시되어 있는 바, 각 스마트 센서(SS)는 공간(RM)을 3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움직임, 온도 및 조도를 감지한다.
각 스마트 센서(SS1 내지 SS3)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각 스마트 센서(SS1 내지 SS3)로부터의 각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한다. 도 8의 각 스마트 센서(SS1 내지 SS3)는, 앞서 설명된 도 3의 스마트 센서(SS)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여기서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행되는 스마트 스위치(SW)와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간의 통신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8에서의 스마트 스위치(SW)와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간의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러한 통신 과정에 앞서,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스마트 스위치(SW)와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은 바인딩 과정을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후,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 중 메인으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센서는 자신이 갖고 있는 시간 정보(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시간 정보)를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 시간 정보를 나머지 스마트 센서들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 1 스마트 센서(SS1)가 메인으로 설정된 스마트 센서(SS1)라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 제 1 스마트 센서(SS1)로부터 시간 정보를 전송받고, 이 전송받은 시간 정보를 제 2 및 제 3 스마트 센서(SS2, SS2)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 스마트 스위치(SW) 및 3개의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은 이 시간 정보를 서로 공유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이 스마트 스위치(SW) 및 3개의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이 제 1 스마트 센서(SS1)에 설정된 시간 정보를 근거로 서로 동기화된다. 이 시간 정보는 제 1 스마트 센서(SS1)에 구비된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직접 조작하여 변경가능하다. 또한 이 시간 정보는 중앙관리제어부(CMU)를 이용하여 제 1 스마트 센서(SS1)로 시간 정보 관련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변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스위치(SW) 및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이 시간 정보를 근거로 동기화된 후, 각 스마트 센서(SS1 내지 SS3)는 그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그 공간(RM)내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한다. 만약, 그 시간 정보에 포함된 시간 동안 그 공간(RM)내에서 아무런 움직임이 관찰되지 않을 경우, 각 스마트 센서(SS1 내지 SS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NACTS)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러한 비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NACTS)에 응답하여 응답신호(Ack)를 생성하여 이를 각 스마트 센서(SS1 내지 SS3)로 제공한다. 이때 이 응답신호(Ack)에는 상술된 바와 같은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반면, 그 시간 정보에 포함된 시간 동안 그 공간(RM)내에서 어떠한 움직임이 관찰될 경우, 각 스마트 센서(SS1 내지 SS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ACTS)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러한 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ACTS)에 응답하여 응답신호(Ack)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센서(SS)로 제공한다. 이때 이 응답신호에는 상술된 바와 같은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스마트 스위치(SW)는 움직임감지신호들에 따라 광원(LS)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라도 액티브 상태일 때, 이에 응답하여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점등한다. 반면, 이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들이 모두 비액티브 상태일 때, 이에 응답하여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소등시킨다.
한편, 스마트 스위치(SW)는 조도감지신호에 따라 광원(LS)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 스위치(SW)는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로부터 제공된 조도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광원(LS)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그 비교 결과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점등시킨다. 반면, 그 비교 결과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크면,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소등시킨다.
한편, 스마트 스위치(SW)는 움직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의 조합 결과에 따라 광원(LS)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 스위치(SW)는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로부터 움직임감지신호들 및 조도감지신호들을 공급받고, 이 움직임감지신호의 상태, 그리고 어느 하나의 조도감지신호와 기준 조도값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광원(LS)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점등시킨다. 한편, 모든 동작감지신호들이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소등시킨다. 한편,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동작감지신호들의 상태에 관계없이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소등시킨다.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스마트 스위치(SW)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제공받는다. 이 각종 정보들은, 예를 들어,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보들은 마스터로 설정된 기기, 즉 도 8에서의 스마트 스위치(SW)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된다.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온도, 조도,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서 사용되는 광원(LS)의 전기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스마트 스위치(SW)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시간대에 이 공간(RM)의 광원(LS)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 다수의 스마트 스위치들(SW1 내지 SW3), 라우터(R) 및 중앙관리제어부(CMU)를 포함한다.
도 10에서의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 및 스마트 스위치들(SW1 내지 SW3)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SW1)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및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이 각각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이 네트워크 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인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한편, 도 10에는 3개의 광원(LS1 내지 LS3)들이 도시되어 있는 바, 하나의 광원(LS1)은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1)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광원(LS2)은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2)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광원(LS3)은 슬레이브로 설정된 또 다른 스마트 스위치(SW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3개의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이 도시되어 있는 바, 각 스마트 센서(SS1 내지 SS3)는 공간(RM)을 3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움직임, 온도 및 조도를 감지한다.
각 스마트 센서(SS1 내지 SS3)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각 스마트 센서(SS1 내지 SS3)로부터의 각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한다. 도 10의 각 스마트 센서(SS1 내지 SS3)는, 앞서 설명된 도 3의 스마트 센서(SS)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1)(이하,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는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의 동작 및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이하,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은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들(LS2, LS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및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움직임감지신호에 따라 광원들(LS1 내지 LS3)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라도 액티브 상태일 때, 이에 응답하여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으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은 이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들(LS2, SL3)을 점등시킨다. 예를 들어,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라도 액티브 상태일 때, 제 1 스마트 스위치(SW1)는 제 1 광원(LS1)을 점등시키고, 제 2 스마트 스위치(SW2)는 제 2 광원(LS2)을 점등시키고, 그리고 제 3 스마트 스위치(SW3)는 제 3 광원(LS3)을 점등시킨다. 한편, 이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들이 모두 비액티브 상태일 때, 이에 응답하여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소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으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은 이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들(LS2, LS3)을 소등시킨다. 예를 들어,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들이 모두 비액티브 상태일 때, 제 1 스마트 스위치(SW1)는 제 1 광원(LS1)을 소등시키고, 제 2 스마트 스위치(SW2)는 제 2 광원(LS2)을 소등시키고, 그리고 제 3 스마트 스위치(SW3)는 제 3 광원(LS3)을 소등시킨다.
한편,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조도감지신호에 따라 광원들(LS1 내지 LS3)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로부터 조도감지신호를 공급받고, 이 조도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광원들(LS1 내지 LS3)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그 비교 결과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으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은 이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들(LS2, LS3)을 점등시킨다. 반면, 그 비교 결과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크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소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으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은 이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들(LS2, LS3)을 소등시킨다.
한편,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움직임감지신호들 및 조도감지신호의 조합 결과에 따라 광원들(LS1 내지 LS3)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스마트 센서들(SS1 내지 SS3)로부터 움직임감지신호들 및 조도감지신호들을 공급받고, 이 움직임감지신호의 상태, 그리고 어느 하나의 조도감지신호와 기준 조도값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광원(LS)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어느 하나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때,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으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은 이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들(LS2, LS3)을 점등시킨다. 한편, 모든 동작감지신호들이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어느 하나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소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으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은 이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들(LS2, LS3)을 소등시킨다. 한편,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의 상태에 관계없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소등시킴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으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은 이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들(LS2, LS3)을 소등시킨다.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공간(RM)내의 각종 정보들을 제공받는다. 이 각종 정보들은, 예를 들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들(SW2, SW3) 각각의 온/오프 여부, 각 광원(LS1 내지 LS3)의 점등/소등 여부,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보들은 마스터로 설정된 기기, 즉 도 10에서의 제 1 스마트 스위치(SW1)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된다.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온도, 조도,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서 사용되는 각 광원(LS1 내지 LS3)의 전기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시간대에 이 공간(RM)의 특정 광원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로 전송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센서(SS),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플러그(PL), 라우터(R) 및 중앙관리제어부(CMU)를 포함한다.
도 11에서의 스마트 센서(SS), 스마트 스위치(SW) 및 스마트 플러그(PL)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SW)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SS) 및 스마트 플러그(PL)가 각각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이 네트워크 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인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스마트 센서(SS)는 미리 설정된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 이 공간(RM)내의 온도 및 이 공간(RM)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이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한다. 도 11의 스마트 센서(SS)는, 앞서 설명된 도 3의 스마트 센서(SS)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스마트 스위치(SW)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그 공간(RM)내에 설치된 광원(LS)의 동작 및 스마트 플러그(PL)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행되는 스마트 스위치(SW)와 스마트 센서(SS)간의 통신 과정 및 스마트 플러그(PL)의 제어방법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도 11에서의 스마트 스위치(SW)와 스마트 센서(SS)간의 통신 과정 및 스마트 플러그(PL)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러한 통신 과정에 앞서,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센서(SS) 및 스마트 플러그(PL)는 바인딩 과정을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후,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마트 센서(SS)는 자신이 갖고 있는 시간 정보(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시간 정보)를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 시간 정보를 스마트 센서(SS)와 공유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이 스마트 스위치(SW)와 스마트 센서(SS)가 이 스마트 센서(SS)에 설정된 시간 정보를 근거로 서로 동기화된다. 이 시간 정보는 스마트 센서(SS)에 구비된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직접 조작하여 변경가능하다. 또한 이 시간 정보는 중앙관리제어부(CMU)를 이용하여 스마트 센서(SS)로 시간 정보 관련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변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스위치(SW)와 스마트 센서(SS)가 시간 정보를 근거로 동기화된 후, 스마트 센서(SS)는 그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그 공간(RM)내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한다. 만약, 그 시간 정보에 포함된 시간 동안 그 공간(RM)내에서 아무런 움직임이 관찰되지 않을 경우, 이 스마트 센서(SS)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NACTS)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러한 비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NACTS)에 응답하여 응답신호(Ack)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센서(SS)로 제공한다. 이때 이 응답신호에는 상술된 바와 같은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 비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NACTS)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을 소등시킨다. 또한,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 비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NACTS)에 응답하여, 스마트 플러그(PL)로 차단제어신호(BRS)를 전송한다. 이 차단제어신호(BRS)를 전송받은 스마트 플러그(PL)는 내부의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와 전원소켓(SK)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이 연결이 차단되면, 전원소켓(SK)으로부터의 전원이 더 이상 전력기기(LD)로 공급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력기기(LD)는 강제적으로 오프(Off)된다. 또한, 이 차단제어신호(BRS)를 공급받은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의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신호(Ack)를 스마트 스위치(SW) 및 라우터(R)로 전송한다. 그러면, 라우터는 그 응답신호(Ack)를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한다. 반면, 그 시간 정보에 포함된 시간 동안 그 공간(RM)내에서 어떠한 움직임이 관찰될 경우, 이 스마트 센서(SS)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ACTS)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러한 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ACTS)에 응답하여 응답신호(Ack)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센서(SS)로 제공한다. 이때 이 응답신호(Ack)에는 상술된 바와 같은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 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ACTS)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을 점등시킨다. 또한, 이 스마트 스위치(SW)는 이 액티브 상태의 움직임감지신호(ACTS)에 응답하여, 스마트 플러그(PL)로 접속제어신호(CNS)를 전송한다. 이 접속제어신호(CNS)를 전송받은 스마트 플러그(PL)는 내부의 릴레이 스위치를 온 시킴으로써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와 전원소켓(SK)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에 의해, 전원소켓(SK)으로부터의 전원이 전력기기(LD)로 공급된다. 또한, 이 접속제어신호(CNS)를 공급받은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의 릴레이 스위치를 온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신호(Ack)를 스마트 스위치(SW) 및 라우터(R)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 라우터는 그 응답신호(Ack)를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한다.
도 13은 도 11에서의 스마트 센서(SS)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의 상태에 따라 광원(LS)의 동작 및 스마트 플러그(PL)의 동작을 판단하는 순서도이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센서(SS)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때, 이에 응답하여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점등함과 아울러, 전력기기(LD)와 전원소켓(SK)간이 연결되도록 스마트 플러그(PL)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반면, 이 스마트 센서(SS)로부터 발생된 움직임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일 때, 이에 응답하여 스마트 스위치(SW)는 광원(LS)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전력기기(LD)와 전원소켓(SK)간의 접속이 끊어지도록 스마트 플러그(PL)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공간(RM)내의 각종 정보들을 제공받는다. 이 각종 정보들은, 예를 들어,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스마트 플러그(PL)의 온/오프 여부,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 전력기기(LD)의 온/오프 여부, 전력기기(LD)의 전력 사용량,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여기서,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은 마스터로 설정된 기기, 즉, 도 11의 스마트 스위치(SW)를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그리고, 스마트 플러그(PL)의 온/오프 여부, 전력기기(LD)의 온/오프 여부 및 그 전력기기(LD)의 전력량은 스마트 플러그(PL)를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PL)의 온/오프 여부 및 스마트 플러그(PL)에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는 이 스마트 플러그(PL)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스마트 플러그(PL)의 온/오프 여부,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 전력기기(LD)의 온/오프 여부, 전력기기(LD)의 전력 사용량,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스마트 스위치(SW)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시간대에 이 공간(RM)의 광원(LS)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중앙관리제어부(CMU)가 모니터링하는 전력기기들의 순시 전력들을 합산한 피크전력이 특정 수치를 넘어가는 순간 이 전력기기(LD)가 오프(off)되고, 이 피크전력이 이 특정 수치보다 떨어지면 다시 이 전력기기(LD)가 온(on)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스마트 플러그(PL)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기기(광원(LS) 또는 전력기기(LD))가 상술된 일정 및 피크전력에 따라 오프되거나, 또는 움직임 또는 온도 등에 의해 오프되었을 때의 그 특정 기기의 소비전력과 상술된 제어가 없었을 때의 그 특정기기로부터의 소비전력을 각각 산출하고, 이 두 가지 경우에 발생된 소비전력들을 서로 비교하여 이 특정 기기에 대한 절전량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공간(RM)내의 모든 기기들에 대한 개별 절전량을 산출함으로써 해당 공간(RM)내에서의 총 절전량을 산출한다.
제 7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센서(SS),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플러그(PL), 라우터(R) 및 중앙관리제어부(CMU)를 포함한다.
도 14에서의 스마트 센서(SS), 스마트 스위치(SW) 및 스마트 플러그(PL)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SW)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SS) 및 스마트 플러그(PL)가 각각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이 네트워크 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인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스마트 센서(SS)는 미리 설정된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 이 공간(RM)내의 온도 및 이 공간(RM)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이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한다. 도 14의 스마트 센서(SS)는, 앞서 설명된 도 3의 스마트 센서(SS)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스마트 스위치(SW)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그 공간(RM)내에 설치된 광원(LS)의 동작 및 스마트 플러그(PL)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4에서의 스마트 스위치(SW)의 동작은 상술된 도 11의 스마트 스위치(SW)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1을 참조한다.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스마트 스위치(SW)를 통해 스마트 스위치(SW)의 상태, 광원(LS)의 상태, 스마트 플러그(PL)의 상태 및 스마트 센서(SS)의 상태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이 수집된 정보들을 근거로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광원(LS)의 점등 여부, 스마트 플러그(PL)의 온/오프 여부, 공간(RM)내의 사람의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전력기기(LD)의 소비전력, 상기 공간(RM)내의 온도, 상기 공간(RM)내의 조도 및 절전량을 파악한다. 또한,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스마트 스위치(SW) 및 스마트 플러그(PL)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스마트 스위치(SW) 및 스마트 플러그(PL)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스마트 플러그(PL)로부터 전력기기(LD)의 전력 정보를 전송받고 이 전력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플러그(PL)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중앙관리제어부(CMU)가 모니터링하는 전력기기들의 순시 전력들을 합산한 피크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피크전력보다 작거나 같을 때 스마트 플러그(PL)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접속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와 전원소켓(SK)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반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상기 피크전력이 상기 기준 피크전력보다 클 때 상기 스마트 플러그(PL)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차단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와 상기 전원소켓(SK)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제 8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마트 센서들(SS1, SS2), 다수의 스마트 스위치들(SW1, SW2), 다수의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 라우터(R) 및 중앙관리제어부(CMU)를 포함한다.
도 15에서의 스마트 센서들(SS1, SS2), 스마트 스위치(SW1, SW2)들 및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SW1)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스위치(SW2), 스마트 센서들(SS1, SS2) 및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이 각각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이 네트워크 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인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한편, 도 15에는 2개의 광원들(LS1, LS2)이 도시되어 있는 바, 하나의 광원(LS1)은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1)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광원(LS2)은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는 2개의 스마트 센서들(SS1, SS2)이 도시되어 있는 바, 각 스마트 센서(SS1, SS2)는 공간(RM)을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움직임, 온도 및 조도를 감지한다. 또한, 도 15에는 2개의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이 도시되어 있는 바,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PL1)는 하나의 전력기기(LD1)와 어느 하나의 전원소켓(SK1)간에 접속되어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PL2)는 또 다른 하나의 전력기기(LD2)와 또 다른 어느 하나의 전원소켓(SK2)간에 접속되어 있다.
각 스마트 센서(SS1, SS2)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각 스마트 센서(SS1, SS2)로부터의 각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한다. 도 15의 각 스마트 센서(SS1, SS2)는, 앞서 설명된 도 3의 스마트 센서(SS)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마트 센서들(SS1, SS2) 중 메인으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센서는 자신이 갖고 있는 시간 정보(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시간 정보)를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1)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이 시간 정보를 나머지 스마트 센서들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 1 스마트 센서(SS1)가 메인으로 설정된 스마트 센서라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이 제 1 스마트 센서(SS1)로부터 시간 정보를 전송받고, 이 전송받은 시간 정보를 제 2 스마트 센서(SS2)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 및 2개의 스마트 센서들(SS1, SS2)은 이 시간 정보를 서로 공유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 및 2개의 스마트 센서들(SS1, SS2)이 제 1 스마트 센서(SS1)에 설정된 시간 정보를 근거로 서로 동기화된다. 이 시간 정보는 제 1 스마트 센서(SS1)에 구비된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직접 조작하여 변경가능하다. 또한 이 시간 정보는 중앙관리제어부(CMU)를 이용하여 제 1 스마트 센서(SS1)로 시간 정보 관련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변경할 수도 있다.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1)(이하,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는 스마트 센서들(SS1, SS2)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의 동작 및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SW2)(이하,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2)의 동작을 제어한다.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스마트 센서들(SS1, SS2)로부터의 감지신호들에 근거하여 그 공간(RM)내에 설치된 광원들(LS1, LS2)의 동작 및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이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스마트 센서들(SS1, SS2)로부터의 감지신호들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의 동작,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의 동작 및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동작감지신호들이 모두 액티브 상태일 때,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점등시키고,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 각각으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반면, 동작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라도 비액티브 상태일 때,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1)을 소등시키고,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 각각으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각 스마트 플러그(PL)는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로부터의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의 릴레이 스위치를 온킴으로써 자신에게 접속된 해당 전력기기(LD1, LD2)와 해당 전원소켓(SK1, SK2)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와 동시에, 이 접속제어신호를 공급받은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 각각은, 자신의 릴레이 스위치가 온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 및 라우터(R) 각각 전송한다. 그러면, 라우터(R)는 그 응답신호들을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한다. 반면, 각 스마트 플러그(PL1, PL2)는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로부터의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의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자신에게 접속된 해당 전력기기(LD1, LD2)와 해당 전원소켓(SK1, SK2)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이와 동시에, 이 차단제어신호를 공급받은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 각각은, 자신의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 및 라우터(R)로 각각 전송한다. 그러면, 라우터(R)는 그 응답신호들을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한다.
그리고,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로부터의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2)을 점등시킨다. 이와 동시에, 이 점등제어신호를 공급받은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해당 광원(LS2)이 점등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로 전송한다.
그리고,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로부터의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2)을 소등시킨다. 이와 동시에, 이 소등제어신호를 공급받은 슬레이브 스마트 스위치(SW2)는 해당 광원(LS2)이 소등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1)로 전송한다.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공간(RM)내의 각종 정보들을 제공받는다. 이 각종 정보들은, 예를 들어, 각 스마트 스위치(SW1, SW2)의 온/오프 여부, 각 스마트 플러그(PL1, PL2)의 온/오프 여부, 각 광원(LS1, LS2)의 점등/소등 여부, 각 전력기기(LD1, LD2)의 온/오프 여부, 각 전력기기(LD1, LD2)의 전력 사용량,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여기서, 각 스마트 스위치(SW1, SW2)의 온/오프 여부, 각 광원(LS1, LS2)의 점등/소등 여부,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은 마스터로 설정된 기기, 즉, 도 15의 제 1 스마트 스위치(SW1)를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그리고, 각 전력기기(LD1, LD2)의 온/오프 여부 및 그 각 전력기기(LD1, LD2)의 전력량은 각 스마트 플러그(PL1, PL2)를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의 온/오프 여부 및 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에 접속된 제 1 전력기기(LD1)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는 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스마트 플러그(PL2)의 온/오프 여부 및 이 제 2 스마트 플러그(PL2)에 접속된 제 2 전력기기(LD2)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는 이 제 2 스마트 플러그(PL2)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각 스마트 스위치(SW1, SW2)의 온/오프 여부, 각 스마트 플러그(PL1, PL2)의 온/오프 여부, 각 광원(LS1, LS2)의 점등/소등 여부, 각 전력기기(LD1, LD2)의 온/오프 여부, 각 전력기기(LD1, LD2)의 전력 사용량,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스마트 스위치(SW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시간대에 이 공간(RM)의 특정 광원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스마트 스위치(SW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중앙관리제어부(CMU)가 모니터링하는 전력기기들의 순시 전력들을 합산한 피크전력이 특정 수치를 넘어가는 순간 이 전력기기가 오프(off)되고, 이 피크전력이 이 특정 수치보다 떨어지면 다시 이 전력기기가 온(on)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특정 스마트 플러그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기기(광원 또는 전력기기)가 상술된 일정 및 피크전력에 따라 오프되거나, 또는 움직임 또는 온도 등에 의해 오프되었을 때의 그 특정 기기의 소비전력과 상술된 제어가 없었을 때의 그 특정기기로부터의 소비전력을 각각 산출하고, 이 두 가지 경우에 발생된 소비전력들을 서로 비교하여 이 특정 기기에 대한 절전량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공간(RM)내의 모든 기기들에 대한 개별 절전량을 산출함으로써 해당 공간(RM)내에서의 총 절전량을 산출한다.
제 9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센서(SS),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플러그(PL), 라우터(R) 및 중앙관리제어부(CMU)를 포함한다.
도 16에서의 스마트 센서(SS), 스마트 스위치(SW) 및 스마트 플러그(PL)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SW)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SS) 및 스마트 플러그(PL)는 각각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이 네트워크 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인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네트워크 망내에서 스마트 플러그(PL)와 스마트 센서(SS)가 서로 페어링(pairing)되어 있다. 이 페어링에 의해 스마트 플러그(PL)와 스마트 센서(SS)간이 서로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센서(SS)는 미리 설정된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 이 공간(RM)내의 온도 및 이 공간(RM)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이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한다. 도 16의 스마트 센서(SS)는, 앞서 설명된 도 3의 스마트 센서(SS)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단, 제 9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SS)는 적외선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적외선신호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스마트 센서(SS)는 적외선신호를 전력기기(LD)로 전송하여 이 전력기기(LD)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이 전력기기(LD)가 리모컨으로 동작 가능한 냉/난방기일 경우, 스마트 센서(SS)는 리모컨과 동일한 적외선제어신호를 이 냉/난방기로 송출하여 이 냉/난방기의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냉/난방기(LD)의 내부에는 컴프레서(compressor) 및 팬(fan)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러한 냉/난방기(LD)가 냉방 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때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이 냉/난방기(LD)는 내부의 컴프레서를 구동하여 내부의 찬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 후에서야 완전히 오프된다. 또한, 이 냉/난방기(LD)가 난방 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때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이 냉/난방기(LD)는 내부의 팬을 구동하여 내부 전연패널의 식힌 후에서야 완전히 오프된다. 따라서, 이러한 냉/난방기(LD)가 리모컨에 의해 정상적으로 오프되지 않고, 스마트 플러그(PL)에 의해 바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비정상적으로 오프되면 냉/난방기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스마트 플러그(PL)가 차단 동작을 수행할 때 이 스마트 플러그(PL) 내부의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면서 전원소켓(SK)과 냉/난방기(LD)간의 전기적 연결이 바로 차단되므로, 이와 같은 경우 냉/난방기(LD)의 컴프레서 및 팬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시간적 여유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바, 이는 냉/난방기(LD)의 고장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리모컨과 동일한 적외선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적외선송신부가 내장된 스마트 센서(SS)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냉/난방기(LD)가 오프되어야 하는 상황이 되면, 스마트 센서(SS)는 적외선제어신호를 냉/난방기로 송출하여 이 냉/난방기(LD)가 정상적인 종료 절차를 거쳐 완전히 오프되도록 한다. 이후 스마트 플러그(PL)는 이 냉/난방기(LD)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여 이 전력이 대기전력 수준으로 떨어지면 그 때 이 냉/난방기(LD)와 전원소켓(SK)간의 연결을 끊어 이 냉/난방기(LD)로의 전력 공급을 완전히 차단시킨다. 이러한 방식의 전력 차단 방법은 컴퓨터와 같은 정상적인 종료를 요구하는 전력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때, 스마트 스위치(SW)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스마트 플러그(PL)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스마트 플러그(PL)는 스마트 스위치(SW)로부터의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력기기(LD)가 구동중인지를 파악한 후 이 전력기기(LD)가 오프된 상태일 때만 선택적으로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생성된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스마트 센서(SS)로 전송한다.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전력기기(LD)로부터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를 감지함으로써 이 전력기기(LD)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센서(SS)는 토글출력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력기기(LD)로 온/오프토글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이 온/오프토글제어신호는 상술된 적외선제어신호로서, 전력기기(LD)의 온/오프 동작과 관련된 적외선제어신호이다. 특히, 이 온/오프토글제어신호는 전력기기(LD)가 온 상태일 때 이 전력기기(LD)를 오프 상태로 변경하는 반면, 이 전력기기(LD)가 오프 상태일 때 이 전력기기(LD)를 온 상태로 변경하는 토글신호이다. 따라서, 스마트 플러그(PL)는 전력기기(LD)가 온 상태인지 아니면 오프 상태인지를 먼저 파악한 후, 그에 따라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력기기(LD)를 온시켜야할 상황에 이 전력기기(LD)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스마트 센서(SS)로 전송한다. 반면, 이 전력기기(LD)를 온시켜야할 상황에 이 전력기기(LD)가 이미 온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 토글출력제어신호가 스마트 센서(SS)로 공급되면 이 스마트 센서(SS)는 온/오프토글제어신호를 전력기기(LD)로 공급한다. 그러나, 토글출력제어신호가 스마트 센서(SS)로 제공되지 않으면, 이 스마트 센서(SS)는 온/오프토글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후, 만약 전력기기(LD)가 오프된 상태라면, 스마트 플러그(PL)는 전력기기(LD)와 전원소켓(SK)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전력기기(LD)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이미 전력기기(LD)가 온 상태라면, 스마트 플러그(PL)는 전력기기(LD)와 전원소켓(SK)간의 연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일 때, 스마트 스위치(SW)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LS)을 소등시킴과 동시에, 스마트 플러그(PL)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스마트 플러그(PL)는 스마트 스위치(SW)로부터의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력기기(LD)가 구동중인지를 파악한 후 이 전력기기(LD)가 온 상태일 때만 선택적으로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생성된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스마트 센서(SS)로 전송한다.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전력기기(LD)로부터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를 감지함으로써 이 전력기기(LD)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센서(SS)는 토글출력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력기기(LD)로 온/오프토글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이 온/오프토글제어신호는 상술된 적외선제어신호로서, 전력기기(LD)의 온/오프 동작과 관련된 적외선제어신호이다. 특히, 이 온/오프토글제어신호는 전력기기(LD)가 온 상태일 때 이 전력기기(LD)를 오프 상태로 변경하는 반면, 이 전력기기(LD)가 오프 상태일 때 이 전력기기(LD)를 온 상태로 변경하는 토글신호이다. 따라서, 스마트 플러그(PL)는 전력기기(LD)가 온 상태인지 아니면 오프 상태인지를 먼저 파악한 후, 그에 따라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력기기(LD)를 오프시켜야할 상황에 이 전력기기(LD)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스마트 센서(SS)로 전송한다. 반면, 이 전력기기(LD)를 오프시켜야할 상황에 이 전력기기(LD)가 이미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 토글출력제어신호가 스마트 센서(SS)로 공급되면 이 스마트 센서(SS)는 온/오프토글제어신호를 전력기기(LD)로 공급한다. 그러나, 토글출력제어신호가 스마트 센서(SS)로 제공되지 않으면, 이 스마트 센서(SS)는 온/오프토글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후, 스마트 플러그(PL)는 전력기기(LD)가 온/오프토글제어신호에 의해 정상적인 종료 과정을 거쳐 완전히 오프된 이후,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와 전원소켓(SK)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즉, 전력기기(LD)가 온/오프토글제어신호에 의해 정상적인 종료 과정을 거쳐 오프되는 순간 이 전력기기(LD)로의 소비 전력이 대기전력 수준으로 떨어지게 되는 바,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이를 감지하여 이 순간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와 전원소켓(SK)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만약, 이미 전력기기(LD)가 오프된 상태로 유지되었던 상황이라면,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그 차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상술된 움직임 감지에 따른 제어 방법 외에,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중앙관리제어부(CMU)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온도에 의해서 스마트 스위치(SW) 및 스마트 플러그(PL)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스마트 플러그(PL)를 통해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온도감지신호를 전송받고, 이 온도감지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값을 스마트 플러그(PL)로 전송한다. 여기서, 이 기준 온도값은 냉방기 온도값과 난방기 온도값으로 구분될 수 있는 바, 이 기준 온도값은 여름에는 냉방기 온도값으로, 그리고 겨울에는 난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된다. 이 중앙관리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 온도값(즉, 냉방기 온도값 또는 난방기 온도값)은 스마트 플러그(PL)로 전송된다.
그 비교 결과 기준 온도값이 냉방기 온도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온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온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스마트 플러그(PL)는 송풍제어신호를 스마트 센서로(SS)로 전송한다. 반면, 그 비교 결과 기준 온도값이 냉방기 온도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온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온도값보다 클 경우, 스마트 플러그(PL)는 냉방제어신호를 스마트 센서(SS)로 전송한다. 또한 그 비교 결과 기준 온도값이 난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온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온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스마트 플러그(PL)는 난방제어신호를 스마트 센서(SS)로 전송한다. 반면, 그 비교 결과 기준 온도값이 난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온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온도값보다 클 경우, 스마트 플러그(PL)는 송풍제어신호를 스마트 센서(SS)로 전송한다.
스마트 센서(SS)는 스마트 플러그(PL)로부터의 송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송풍신호를 전력기기(LD)로 전송한다. 반면, 이 스마트 센서(SS)는 스마트 플러그(PL)로부터의 냉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냉방신호를 전력기기(LD)로 전송한다. 또한, 이 스마트 센서(SS)는 스마트 플러그(PL)로부터의 난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난방신호를 전력기기(LD)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술된 송풍신호, 냉방신호 및 난방신호는 모두 적외선 신호로서, 스마트 플러그는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여 이러한 송풍신호, 냉방신호 및 난방신호를 해당 전력기기(LD)로 전송한다.
이때, 해당 전력기기(LD)는 상술된 송풍신호, 냉방신호 및 난방신호를 공급받아 송풍모드, 냉방모드 및 난방모드로 동작한다.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공간(RM)내의 각종 정보들을 제공받는다. 이 각종 정보들은, 예를 들어,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스마트 플러그(PL)의 온/오프 여부,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 전력기기(LD)의 온/오프 여부, 전력기기(LD)의 전력 사용량,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여기서,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은 마스터로 설정된 기기, 즉, 도 16의 스마트 스위치(SW)를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그리고, 전력기기(LD)의 온/오프 여부 및 그 전력기기(LD)의 전력량은 스마트 플러그(PL)를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PL)의 온/오프 여부 및 이 스마트 플러그(PL)에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는 이 스마트 플러그(PL)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스마트 플러그(PL)의 온/오프 여부,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 전력기기(LD)의 온/오프 여부, 전력기기(LD)의 전력 사용량,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스마트 스위치(SW)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시간대에 이 공간(RM)의 광원(LS)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스마트 스위치(SW)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중앙관리제어부(CMU)가 모니터링하는 전력기기들의 순시 전력들을 합산한 피크전력이 특정 수치를 넘어가는 순간 이 전력기기(LD)가 오프(off)되고, 이 피크전력이 이 특정 수치보다 떨어지면 다시 이 전력기기(LD)가 온(on)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스마트 플러그(PL)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기기(광원(LS) 또는 전력기기(LD))가 상술된 일정 및 피크전력에 따라 오프되거나, 또는 움직임 또는 온도 등에 의해 오프되었을 때의 그 특정 기기의 소비전력과 상술된 제어가 없었을 때의 그 특정 기기로부터의 소비전력을 각각 산출하고, 이 두 가지 경우에 발생된 소비전력들을 서로 비교하여 이 특정 기기에 대한 절전량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공간(RM)내의 모든 기기들에 대한 개별 절전량을 산출함으로써 해당 공간(RM)내에서의 총 절전량을 산출한다.
제 10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센서(SS) 및 다수의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 라우터(R) 및 중앙관리제어부(CMU)를 포함한다.
도 17에서의 스마트 센서(SS) 및 스마트 플러그(PL)들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PL1)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PL2) 및 스마트 센서(SS)는 각각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이 네트워크 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인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스마트 센서(SS)는 미리 설정된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 이 공간(RM)내의 온도 및 이 공간(RM)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이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한다. 도 17의 스마트 센서(SS)는, 앞서 설명된 도 3의 스마트 센서(SS)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PL1)(이하, 마스터 스마트 플러그)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PL2)(이하, 슬레이브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때, 마스터 스마트 플러그(PL1)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1)와 해당 전원소켓(SK1)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플러그(PL2)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플러그(PL2)는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2)와 해당 전원소켓(SK2)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는 제 1 전력기기(LD1)(예를 들어, 텔레비전)와 제 1 전원소켓(SK1)간을 접속시키며, 그리고 제 2 스마트 플러그(PL2)는 제 2 전력기기(LD2)(예를 들어, 프린터)와 제 2 전원소켓(SK2)간을 접속시킨다.
반면,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일 때, 마스터 스마트 플러그(PL1)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1)와 해당 전원소켓(SK1)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플러그(PL2)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플러그(PL2)는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2)와 해당 전원소켓(SK2)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해당 공간(RM)내의 각종 정보들을 제공받는다. 이 각종 정보들은, 예를 들어, 각 스마트 플러그(PL1, PL2)의 온/오프 여부, 각 전력기기(LD1, LD2)의 온/오프 여부, 각 전력기기(LD1, LD2)의 전력량,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여기서,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은 마스터로 설정된 기기, 즉, 도 17의 마스터 스마트 플러그(PL1)를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그리고, 각 전력기기(LD1, LD2)의 온/오프 여부 및 각 전력기기(LD1, LD2)의 전력량은 해당 스마트 플러그를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의 온/오프 여부 및 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에 접속된 제 1 전력기기(LD1)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는 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스마트 플러그(PL2)의 온/오프 여부 및 이 제 2 스마트 플러그(PL2)에 접속된 제 2 전력기기(LD2)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는 이 제 2 스마트 플러그(PL2)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온도, 조도, 각 스마트 플러그(PL1, PL2)의 온/오프 여부, 각 전력기기(LD1, LD2)의 온/오프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서 사용되는 각 전력기기(LD1, LD2)의 전기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시간대에 이 공간(RM)의 특정 전력기기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특정 스마트 플러그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중앙관리제어부(CMU)가 모니터링하는 전력기기들의 순시 전력들을 합산한 피크전력이 특정 수치를 넘어가는 순간 특정 전력기기가 오프(off)되고, 이 피크전력이 이 특정 수치보다 떨어지면 다시 이 전력기기가 온(on)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스마트 플러그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 전력기기가 정상적인 종료 과정을 요구하는 냉/난방기일 경우, 이러한 전력기기의 오프 동작은 상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적외선제어신호에 의해 먼저 수행된다.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기기(광원 또는 전력기기)가 상술된 일정 및 피크전력에 따라 오프되거나, 또는 움직임 또는 온도 등에 의해 오프되었을 때의 그 특정 기기의 소비전력과 상술된 제어가 없었을 때의 그 특정기기로부터의 소비전력을 각각 산출하고, 이 두 가지 경우에 발생된 소비전력들을 서로 비교하여 이 특정 기기에 대한 절전량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공간(RM)내의 모든 기기들에 대한 개별 절전량을 산출함으로써 해당 공간(RM)내에서의 총 절전량을 산출한다.
제 11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마트 센서들(SS1, SS2) 및 다수의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 라우터(R) 및 중앙관리제어부(CMU)를 포함한다.
도 17에서의 스마트 센서들(SS1, SS2) 및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한다. 이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PL1)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플러그(PL2) 및 스마트 센서들(SS1, SS2)은 각각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이 네트워크 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인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각 스마트 센서(SS1, SS2)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각 스마트 센서(SS1, SS2)로부터의 각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한다. 도 18의 각 스마트 센서(SS1, SS2)는, 앞서 설명된 도 3의 스마트 센서(SS)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PL1)(이하, 마스터 스마트 플러그)는 스마트 센서들(SS1, SS2)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1)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PL2)(이하, 슬레이브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 센서들(SS1, SS2)로부터의 동작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라도 액티브 상태일 때, 마스터 스마트 플러그(PL1)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1)와 해당 전원소켓(SK1)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플러그(PL2)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플러그(PL2)는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2)와 해당 전원소켓(SK2)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는 제 1 전력기기(LD1)(예를 들어, 텔레비전)와 제 1 전원소켓(SK1)간을 접속시키며, 그리고 제 2 스마트 플러그(PL2)는 제 2 전력기기(LD2)(예를 들어, 프린터)와 제 2 전원소켓(SK2)간을 접속시킨다.
반면, 스마트 센서들(SS1, SS2)로부터의 동작감지신호들이 모두 비액티브 상태일 때, 마스터 스마트 플러그(PL1)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1)와 해당 전원소켓(SK1)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과 동시에, 슬레이브 스마트 플러그(PL2)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슬레이브 스마트 플러그(PL2)는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2)와 해당 전원소켓(SK2)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해당 공간(RM)내의 각종 정보들을 제공받는다. 이 각종 정보들은, 예를 들어, 각 스마트 플러그(PL1, PL2)의 온/오프 여부, 각 전력기기(LD1, LD2)의 온/오프 여부, 각 전력기기(LD1, LD2)의 전력량,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여기서,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은 마스터로 설정된 기기, 즉, 도 18의 마스터 스마트 플러그(PL1)를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그리고, 각 전력기기(LD)의 온/오프 여부 및 각 전력기기(LD1, LD2)의 전력량은 해당 스마트 플러그를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의 온/오프 여부 및 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에 접속된 제 1 전력기기(LD1)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는 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스마트 플러그(PL2)의 온/오프 여부 및 이 제 2 스마트 플러그(PL2)에 접속된 제 2 전력기기(LD2)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는 이 제 2 스마트 플러그(PL2)에 의해 획득된 후, 라우터(R), 코디네이터(C) 및 인터넷(IT)을 통해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제공된다.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온도, 조도, 각 스마트 플러그(PL1, PL2)의 온/오프 여부, 각 전력기기(LD1, LD2)의 온/오프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해당 공간(RM)내에서 사용되는 각 전력기기(LD1, LD2)의 전기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제어부(CMU)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시간대에 이 공간(RM)의 특정 전력기기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스마트 플러그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중앙관리제어부(CMU)가 모니터링하는 전력기기들의 순시 전력들을 합산한 피크전력이 특정 수치를 넘어가는 순간 이 전력기기가 오프(off)되고, 이 피크전력이 이 특정 수치보다 떨어지면 다시 이 전력기기가 온(on)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그 특정 공간(RM)내의 특정 스마트 플러그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 전력기기가 정상적인 종료 과정을 요구하는 냉/난방기일 경우, 이러한 전력기기의 오프 동작은 상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 센서(SS)로부터의 적외선제어신호에 의해 먼저 수행된다.
이 중앙관리제어부(CMU)는 특정 기기(광원 또는 전력기기)가 상술된 일정 및 피크전력에 따라 오프되거나, 또는 움직임 또는 온도 등에 의해 오프되었을 때의 그 특정 기기의 소비전력과 상술된 제어가 없었을 때의 그 특정기기로부터의 소비전력을 각각 산출하고, 이 두 가지 경우에 발생된 소비전력들을 서로 비교하여 이 특정 기기에 대한 절전량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공간(RM)내의 모든 기기들에 대한 개별 절전량을 산출함으로써 해당 공간(RM)내에서의 총 절전량을 산출한다.
도 19는 다수의 건물내에 다수의 공간(RM)들이 구비될 때 각 공간(RM)내의 스마트 스위치(SW)들 및 스마트 플러그(PL)들 그리고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라우터(R)들과 중앙관리제어부(CMU)간의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건물(A, B)에는 다수의 서로 구분된 다수의 공간들(RM1 내지 RM8)이 존재한다. 하나의 건물당 하나의 코디네이터(C1, C2)가 구비되며, 각 공간(RM1 내지 RM8)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 혹은 스마트 플러그(SW1 내지 SW8, PL1 내지 PL8)가 설치된다. 그리고 공간들과 공간의 통신 거리를 넓히기 위하여 라우터(R1 내지 R6)이 설치될 수 있다. 코디네이터는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직접 근방의 공간(RM1,RM5)내에 있는 스마트 스위치(SW1,SW5)혹은 스마트 플러그(PL1, PL5)로부터 정보들을 수집 할 수 있다. 각 코디네이터에 연결되어 있는 라우터(R1, R4)는 각 공간(RM2, RM6)내의 정보들을 수집한 후, 이들을 각각 해당 코디네이터(C1, C2)로 전송한다. 또한 각 라우터는 다른 라우터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을 코디네이터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A건물(A)내에 위치한 2개의 공간(RM3, RM4)들의 정보들을 각각에 위치한 라우터(R2 내지 R3)가 수집하여 코디네이터로 전송하기 위해서 접속해 있는 라우터(R1)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정보들은 상술된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스마트 플러그(PL)의 온/오프 여부,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 전력기기(LD)의 온/오프 여부, 전력기기(LD)의 전력 사용량,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19에서의 각 공간(RM)내에는 상술된 제 1 실시예 내지 제 11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스마트 절전 시스템에 대한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센서(SS), 스마트 플러그(PL), 게이트웨이 및 스마트 폰(SP)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센서(SS), 스마트 플러그(PL) 및 게이트웨이(G)는 하나의 공간(RM)내에 설치된다.
여기서, 게이트웨이(G)는 무선통신으로 수집된 데이터들을 인터넷(IT)으로 연결하여 스마트 폰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이 게이트웨이(G)는 인터넷 패킷을 무선 패킷으로 바꾸어서 전달하고 무선 패킷을 인터넷 패킷으로 바꾸어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도 20에 도시된 스마트 스위치(SW), 스마트 센서(SS), 스마트 플러그(PL), 광원(LS), 전력기기(LD), 전원소켓(SK) 및 인터넷(IT)은 상술된 도 1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한다.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중앙관리제어부(CMU) 대신 스마트 폰(SP)을 이용하여 스마트 스위치(SW) 및 스마트 플러그(PL)로 특정 명령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명령들은 상술된 제 1 내지 제 11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종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이 스마트 폰(SP)을 이용하여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스마트 플러그(PL)의 온/오프 여부, 광원(LS)의 점등/소등 여부, 전력기기(LD)의 온/오프 여부, 전력기기(LD)의 전력 사용량, 공간(RM)내의 사람 존재 여부, 공간(RM)내의 온도, 그리고 공간(RM)내의 조도에 대한 정보들을 전송받을 수 있다.
제 12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중계기(JU) 및 스마트 플러그(PL)를 포함한다. 이 제 12 실시예에 도시된 스마트 플러그(PL)는 도 17에 도시된 제 10 실시예의 공간(RM)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1의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소비 전력량을 파악하고, 이 전력기기(LD)에 의해 사용된 총 소비 전력과 미리 설정된 허용량을 비교하여 앞으로 이 전력기기(LD)에 의해 사용 가능한 잔여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허용량 및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SP)로 전송한다.
허용량은 사용자의 단말기(SP)를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SP)상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전력기기(LD)의 허용량의 크기를 설정한 후, 이 허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와이파이 (또는 랜(LAN), 또는 인터넷) 및 무선통신중계기(JU)를 통해 스마트 플러그(PL)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이 무선신호를 전송받아 그 허용량이 셋팅된 시점부터,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이 전력기기(LD)로부터 소비되는 총 소비 전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과 허용량을 비교한다. 그리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잔여량의 수치를 갱신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단말기(SP)로부터 조회 요청이 있을 때,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에 대한 허용량 정보 및 잔여량 정보를 무선통신중계기(JU) 및 와이파이(또는 랜(LAN), 또는 인터넷)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SP)로 송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플러그(PL)에 접속된 전력기기(LD)를 앞으로 얼마간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는 10kWh의 허용량과 3kWh의 잔여량이 나타나 있는 바, 이로부터 그 전력기기(LD)가 그 셋팅 시점부터 조회 시점까지 총 7kWh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었으며, 앞으로 이 전력기기(LD)가 3kWh까지의 전력을 더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총 소비 전력량이 허용량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소비 전력량이 허용량의 90%에 도달했을 때 상술된 경고 메시지가 사용자의 단말기(SP)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고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수치는 사용자의 단말기(SP)에 의해 셋팅될 수 있다. 이때, 이 경고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 음성 메시지에는 경고음이 동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총 소비 전력량이 그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총 소비 전력량이 그 허용량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1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이후 이 총 소비 전력량이 증가하여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2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1차 경고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이고, 2차 경고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일 수 있다. 이 음성 메시지에는 경고음이 동반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총 소비 전력량이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와 해당 전원소켓(SK)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 전력기기(LD)가 리모컨(remote controller)으로 동작 가능한 냉/난방기일 경우,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기에 앞서 스마트 센서로 하여금 이 전력기기(LD)를 먼저 정상적인 과정을 거쳐 오프시키도록 명령 한다. 그 이후,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그 전력기기(LD)의 소비 전력이 대기전력 수준으로 떨어지면 그 때 전력기기(LD)와 해당 전원소켓(SK)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한편, 사용자는 단말기(SP)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PL)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 스마트 플러그(PL)가 강제적으로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스마트 플러그(PL)가 오프되면 전원소켓(SK)과 전력기기(LD)간의 연결이 끊어진다.
한편, 단말기(SP)는 스마트 폰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단말기(SP) 대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앙관리제어부(CMU)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중계기(JU)는 앞서 설명된 라우터(R) 및 코디네이터(C)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3 실시예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중계기(JU) 및 다수의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을 포함한다. 이 제 13 실시예에 도시된 스마트 플러그(PL)는 도 17에 도시된 제 10 실시예의 공간(RM)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는 상술된 제 12 실시예와 동일한 개념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다만, 이 제 13 실시예에는 다수의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을 포함한다. 도 22에는 2개의 스마트 플러그들(PL1, PL2)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된 하나의 예일 뿐 3개 이상의 스마트 플러그를 사용하는 예도 가능하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는 제 1 전원소켓(SK1)과 제 1 전력기기(LD1) 사이에 접속되어 제 1 전력기기(LD1)의 총 소비 전력량을 파악한다. 그리고, 제 2 스마트 플러그(PL2)는 제 2 전원소켓(SK2)과 제 2 전력기기(LD2) 사이에 접속되어 제 2 전력기기(LD2)의 총 소비 전력량을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스마트 플러그(PL1)는 자신에게 접속된 제 1 전력기기(LD1)의 소비 전력량을 파악하고, 이 제 1 전력기기(LD1)에 의해 사용된 총 소비 전력과 미리 설정된 허용량을 비교하여 앞으로 이 제 1 전력기기(LD1)에 의해 사용 가능한 잔여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단말기(SP)로부터의 조회 요청일 있을 때, 이 제 1 전력기기(LD1)에 대한 허용량 및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SP)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스마트 플러그(PL2)는 자신에게 접속된 제 2 전력기기(LD2)의 소비 전력량을 파악하고, 이 제 2 전력기기(LD2)에 의해 사용된 총 소비 전력과 미리 설정된 허용량을 비교하여 앞으로 이 제 2 전력기기(LD2)에 의해 사용 가능한 잔여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단말기(SP)로부터의 조회 요청일 있을 때, 이 제 2 전력기기(LD2)에 대한 허용량 및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SP)로 전송한다.
허용량은 사용자의 단말기(SP)를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SP)상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전력기기의 허용량의 크기를 설정한 후, 이 허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와이파이 (또는 랜(LAN), 또는 인터넷) 및 무선통신중계기(JU)를 통해 제 1 및 제 2 스마트 플러그(PL1, PL2)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이 제 1 및 제 2 스마트 플러그(PL1, PL2)는 이 무선신호를 전송받아 그 허용량이 셋팅된 시점부터, 자신에게 접속된 해당 전력기기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해당 전력기기로부터 소비되는 총 소비 전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과 허용량을 비교한다. 그리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잔여량의 수치를 갱신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단말기(SP)로부터 조회 요청이 있을 때, 제 1 및 제 2 스마트 플러그(PL1, PL2)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1, LD2)에 대한 허용량 정보 및 잔여량 정보를 무선통신중계기(JU) 및 와이파이(또는 랜(LAN), 또는 인터넷)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SP)로 송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스마트 플러그(PL1, PL2)에 접속된 전력기기(LD1, LD2)를 앞으로 얼마간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는 제 1 전력기기(LD1)(예를 들어 TV)에 대하여 30kWh의 허용량과 15kWh의 잔여량이 나타나 있는 바, 이로부터 제 1 전력기기(LD1)가 그 셋팅 시점부터 조회 시점까지 총 15kWh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었으며, 앞으로 이 제 1 전력기기(LD1)가 15kWh까지의 전력을 더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2에는 제 2 전력기기(LD2)(예를 들어 프린터)에 대하여 20kWh의 허용량과 1kWh의 잔여량이 나타나 있는 바, 이로부터 제 2 전력기기(LD2)가 그 셋팅 시점부터 조회 시점까지 총 19kWh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었으며, 앞으로 이 제 1 전력기기(LD1)가 1kWh까지의 전력을 더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제 1 및 제 2 스마트 플러그(PL1, PL2) 각각은,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소비 전력량이 허용량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소비 전력량이 허용량의 90%에 도달했을 때 상술된 경고 메시지가 사용자의 단말기(SP)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고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수치는 사용자의 단말기(SP)에 의해 셋팅될 수 있다. 이때, 이 경고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 음성 메시지에는 경고음이 동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 제 1 및 제 2 스마트 플러그(PL1, PL2) 각각은,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1, LD2)의 총 소비 전력량이 그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 제 1 및 제 2 스마트 플러그(PL1, PL2) 각각은,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총 소비 전력량이 그 허용량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1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이후 이 총 소비 전력량이 증가하여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2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1차 경고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이고, 2차 경고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일 수 있다. 이 음성 메시지에는 경고음이 동반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스마트 플러그(PL1, PL2) 각각은,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1, LD2)의 총 소비 전력량이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1, LD2)와 해당 전원소켓(SK1, SK2)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들 중 제 1 전력기기(LD1)가 리모컨(remote controller)으로 동작 가능한 냉/난방기일 경우,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는 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기에 앞서 스마트 센서로 하여금 이 제 1 전력기기(LD1)를 먼저 정상적인 과정을 거쳐 오프시키도록 명령 한다. 그 이후, 이 제 1 스마트 플러그(PL1)는 제 1 전력기기(LD1)의 소비 전력이 대기전력 수준으로 떨어지면 그 때 제 1 전력기기(LD1)와 제 1 전원소켓(SK1)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한편, 사용자는 단말기(SP)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PL)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특정 스마트 플러그(PL)가 강제적으로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특정 스마트 플러그(PL)가 오프되면 해당 전원소켓(SK)과 해당 전력기기(LD)간의 연결이 끊어진다.
한편, 단말기(SP)는 스마트 폰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단말기(SP) 대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앙관리제어부(CMU)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중계기(JU)는 앞서 설명된 라우터(R) 및 코디네이터(C)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4 실시예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중계기(JU) 및 스마트 플러그(PL)를 포함한다. 이 제 14 실시예에 도시된 멀티 스마트 플러그(PL)는 도 17에 도시된 제 10 실시예의 공간(RM)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전원소켓(SK)과 멀티탭 플러그(MTP)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멀티탭 플러그(MTP)에는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가 접속된다.
도 23의 스마트 플러그(PL)는 멀티탭 플러그(MTP)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에 의해 소비된 총 소비 전력량을 파악하고, 이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에 의해 사용된 총 소비 전력과 미리 설정된 허용량을 비교하여 앞으로 이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에 의해 사용 가능한 잔여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허용량 및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SP)로 전송한다.
허용량은 사용자의 단말기(SP)를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SP)상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의 허용량의 크기를 설정한 후, 이 허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와이파이 (또는 랜(LAN), 또는 인터넷) 및 무선통신중계기(JU)를 통해 스마트 플러그(PL)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이 무선신호를 전송받아 그 허용량이 셋팅된 시점부터, 멀티탭 플러그(MTP)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이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로부터 소비되는 총 소비 전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과 허용량을 비교한다. 그리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잔여량의 수치를 갱신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단말기(SP)로부터 조회 요청이 있을 때,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에 대한 허용량 정보 및 잔여량 정보를 무선통신중계기(JU) 및 와이파이(또는 랜(LAN), 또는 인터넷)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SP)로 송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플러그(PL)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를 앞으로 얼마간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에는 10kWh의 허용량과 3kWh의 잔여량이 나타나 있는 바, 이로부터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가 그 셋팅 시점부터 조회 시점까지 총 7kWh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었으며, 앞으로 이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가 3kWh까지의 전력을 더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멀티탭 플러그(MTP)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의 총 소비 전력량이 허용량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소비 전력량이 허용량의 90%에 도달했을 때 상술된 경고 메시지가 사용자의 단말기(SP)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고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수치는 사용자의 단말기(SP)에 의해 셋팅될 수 있다. 이때, 이 경고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 음성 메시지에는 경고음이 동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멀티탭 플러그(MTP)에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총 소비 전력량이 그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멀티탭 플러그(MTP)에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총 소비 전력량이 허용량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1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이후 이 총 소비 전력량이 증가하여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2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1차 경고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이고, 2차 경고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일 수 있다. 이 음성 메시지에는 경고음이 동반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플러그(PL)는 멀티탭 플러그(MTP)에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총 소비 전력량이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멀티탭 플러그(MTP)와 해당 전원소켓(SK)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 멀티탭 플러그(MTP)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결국 이 멀티탭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전력기기(LD1, LD2)가 모두 오프된다. 이때, 이 전력기기(LD)가 리모컨(remote controller)으로 동작 가능한 냉/난방기일 경우,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기에 앞서 스마트 센서로 하여금 이 전력기기들(LD1, LD2)을 먼저 정상적인 과정을 거쳐 오프시키도록 명령 한다. 그 이후,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그 전력기기들(LD1, LD2)의 소비 전력이 대기전력 수준으로 떨어지면 그 때 멀티탭 플러그(MTP)와 전원소켓(SK)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한편, 사용자는 단말기(SP)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PL)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 스마트 플러그(PL)가 강제적으로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스마트 플러그(PL)가 오프되면 전원소켓(SK)과 전력기기(LD1, LD2)들간의 연결이 끊어진다.
한편, 단말기(SP)는 스마트 폰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단말기(SP) 대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앙관리제어부(CMU)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중계기(JU)는 앞서 설명된 라우터(R) 및 코디네이터(C)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5 실시예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시스템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중계기(JU) 및 스마트 플러그(PL)를 포함한다. 이 제 15 실시예에 도시된 스마트 플러그(PL)는 도 17에 도시된 제 10 실시예의 공간(RM)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4의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사용시간을 파악하고, 이 전력기기(LD)의 총 사용시간과 미리 설정된 허용시간을 비교하여 앞으로 이 전력기기(LD)의 사용가능한 잔여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허용시간 및 잔여시간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SP)로 전송한다.
허용시간은 사용자의 단말기(SP)를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SP)상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전력기기(LD)의 허용시간의 크기를 설정한 후, 이 허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와이파이 (또는 랜(LAN), 또는 인터넷) 및 무선통신중계기(JU)를 통해 스마트 플러그(PL)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이 무선신호를 전송받아 그 허용시간이 셋팅된 시점부터,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사용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이 전력기기(LD)의 총 사용시간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과 허용시간을 비교한다. 그리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잔여시간의 수치를 갱신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단말기(SP)로부터 조회 요청이 있을 때,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에 대한 허용시간 정보 및 잔여시간 정보를 무선통신중계기(JU) 및 와이파이(또는 랜(LAN), 또는 인터넷)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SP)로 송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플러그(PL)에 접속된 전력기기(LD)를 앞으로 얼마의 시간 동안 더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는 3시간의 허용시간과 42분의 잔여시간이 나타나 있는 바, 이로부터 그 전력기기(LD)가 그 셋팅 시점부터 조회 시점까지 총 2시간 18분 동안 사용되고 있었으며, 앞으로 이 전력기기(LD)가 42분 동안 더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총 사용시간이 허용시간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사용시간이 허용시간의 90%에 도달했을 때 상술된 경고 메시지가 사용자의 단말기(SP)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고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수치는 사용자의 단말기(SP)에 의해 셋팅될 수 있다. 이때, 이 경고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 음성 메시지에는 경고음이 동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총 사용시간이 그 허용시간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총 사용시간이 그 허용시간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1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이후 이 총 사용시간이 증가하여 허용시간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SP)로 2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1차 경고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이고, 2차 경고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일 수 있다. 이 음성 메시지에는 경고음이 동반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플러그(PL)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의 총 사용시간이 허용시간을 초과할 경우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LD)와 해당 전원소켓(SK)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 전력기기(LD)가 리모컨(remote controller)으로 동작 가능한 냉/난방기일 경우,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기에 앞서 스마트 센서로 하여금 이 전력기기(LD)를 먼저 정상적인 과정을 거쳐 오프시키도록 명령 한다. 그 이후, 이 스마트 플러그(PL)는 그 전력기기(LD)의 소비 전력이 대기전력 수준으로 떨어지면 그 때 전력기기(LD)와 해당 전원소켓(SK)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한편, 사용자는 단말기(SP)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PL)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 스마트 플러그(PL)가 강제적으로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스마트 플러그(PL)가 오프되면 전원소켓(SK)과 전력기기(LD)간의 연결이 끊어진다.
한편, 단말기(SP)는 스마트 폰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단말기(SP) 대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앙관리제어부(CMU)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중계기(JU)는 앞서 설명된 라우터(R) 및 코디네이터(C)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스마트 플러그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 대신에 시간으로 해당 전력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 내지 제 15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전력량을 설정하여 계획적으로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또한, 자녀들이 주어진 시간만큼만 컴퓨터를 사용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도 스마트 폰을 통해 해당 전력기기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원치 않는 시간에 전력기기가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는 도 1의 스마트 센서(SS)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스마트 센서(SS)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감지센서(103), 온도센서(101), 조도센서(105), 적외선신호송신부(102), DC변환기(106) 및 중앙처리장치(104)를 포함한다.
동작감지센서(103)는 공간(RM)내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온도센서(101)는 공간(RM)내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조도센서(105)는 공간(RM)내의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적외선신호송신부(102)는 냉/난방기의 제어에 사용되는 적외선제어신호를 출력한다.
DC변환기(106)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중앙처리장치(104)는 DC변환기(106)로부터의 직류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술된 동작감지센서(103), 온도센서(101), 조도센서(105) 및 적외선신호생성부(102)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동작감지센서(103), 온도센서(101) 및 조도센서(105)로부터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전송받고, 이들 신호들을 마스터로 설정된 기기(마스터 스마트 스위치(SW) 또는 마스터 스마트 플러그(PL))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DC변환기(106)로 제공되는 교류전원이 상전위가 아닐 경우, 이 스마트 센서(SS)는 충전(107)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충전부(107)는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DC변환기(106)로부터 발생된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을 시작하며, 이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될 때 이를 감지하여 자신에게 충전된 직류전원을 DC변환기(106)로 제공한다.
도 26은 도 1의 스마트 스위치(SW)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스마트 스위치(SW)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위치(202), 스위치모듈(201), DC변환기(204) 및 중앙처리장치(203)를 포함한다.
터치스위치(202)는 외부로부터의 사용자의 터치에 반응하여 터치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치모듈(201)은 외부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받고,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이 교류전원을 광원(LS)으로 공급한다.
DC변환기(204)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중앙처리장치(204)는 DC변환기(204)로부터의 직류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터치스위치(202) 및 스위치모듈(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이 중앙처리장치는 터치스위치(202)로부터의 터치감지신호에 반응하여 스위치모듈(201)을 온시킴으로써 광원(LS)으로 교류전원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는 스마트 센서(SS)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제공받아 처리함과 아울러 상술된 점등제어신호, 소등제어신호, 접속제어신호 및 차단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들을 다른 스마트 스위치(SW) 또는 스마트 플러그(PL)로 전송한다. 또한, 이 중앙처리장치(204)는 중앙관리제어부(CMU)로부터의 명령을 전송받아 처리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이 중앙처리장치(204)는 스마트 스위치(SW)의 온/오프 여부, 이 스마트 스위치(SW)에 접속된 광원(LS)의 온/오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하는 역할도 한다.
도 27은 도 1의 스마트 플러그(PL)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스마트 플러그(PL)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센서(304), 중앙처리장치(303), 인-러쉬 스위치모듈(302) 및 전기소켓(301)을 포함한다.
전류센서(304)는 전원소켓(SK)을 통해 외부로터 입력된 교류전원의 크기를 감지 및 측정하여 이 교류전원의 크기를 나타내는 전류감지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생성된 전류감지신호를 중앙처리장치(303)로 제공한다. 또한, 이 전류센서(304)는 전원소켓(SK)을 통해 입력된 교류전원을 인-러쉬 스위치모듈(302)로 전달한다.
중앙처리장치(303)는 전류센서(304)로부터 전류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인-러쉬 스위치모듈(302)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이 중앙처리장치(303)는 전류감지신호가 대기전력보다 클 경우 인-러쉬 스위치모듈(302)을 온시켜 전류센서(304)로부터의 교류전원이 전기소켓(301)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전류감지신호가 대기전력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인-러쉬 스위치모듈(302)을 오프시켜 전류센서(304)로부터의 교류전원이 전기소켓(301)으로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 중앙처리장치(303)는 전류감지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전력기기(LD)의 전력량을 산출하고, 이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중앙관리제어부(CMU)로 전송한다.
인-러쉬 스위치모듈(302)은 중앙처리장치(303)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된다. 이 인-러쉬 스위치모듈(302)은 온 될 때 전류센서(304)로부터의 교류전원을 전기소켓(301)으로 전달한다. 이때, 이 인-러쉬 스위치모듈(302)은 온 될 때 발생되는 인-러쉬 전류를 방지한다.
전기소켓(301)은 인-러쉬 스위치모듈(302)로부터의 교류전원 및 전원소켓(SK)으로부터의 교류전원을 해당 전력기기(LD)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DB: 데이터베이스 SV: 서버
CMU: 중앙관리제어부 IT: 인터넷
JU: 무선통신중계기 C: 코디네이터
R: 라우터 LS: 광원
SS: 스마트 센서 SW: 스마트 스위치
PL: 스마트 플러그 LD: 전력기기
SK: 전원소켓 RM: 공간

Claims (46)

  1. 미리 설정된 공간내에서의 움직임, 상기 공간내의 온도 및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간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스위치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의 크기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 및 상기 동작감지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키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키며; 그리고,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미리 설정된 공간내에서의 움직임, 상기 공간내의 온도 및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간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 및 광원은 각각 2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스위치들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센서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 및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의 크기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 및 상기 동작감지신호의 상태에 따라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 및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점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점등시키며;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미리 설정된 공간내에서의 움직임, 상기 공간내의 온도 및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간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2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스위치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의 크기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 및 상기 동작감지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들을 모두 점등시키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들을 모두 소등시키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들 중 일부를 소등시키고 나머지 일부를 점등시키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들을 모두 소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미리 설정된 공간내에서의 움직임, 상기 공간내의 온도 및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간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각 스마트 센서는 상기 공간을 적어도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움직임, 온도 및 조도를 감지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들 및 스마트 스위치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상기 스마트 센서들이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들로부터의 감지신호들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각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각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들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의 크기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 및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며;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며;
    모든 동작감지신호들이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키며;
    상기 어느 하나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보다 클 때,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의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미리 설정된 공간내에서의 움직임, 상기 공간내의 온도 및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간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 스마트 센서 및 광원은 각각 2개 이상 구비되며;
    각 스마트 센서는 상기 공간을 적어도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움직임, 온도 및 조도를 감지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들 및 스마트 센서들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센서들이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들로부터의 감지신호들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 및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각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각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들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의 크기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 및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의 상태에 따라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의 동작 및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점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모든 동작감지신호들이 비액티브 상태이고,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조도값의 크기보다 클 때,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의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점등시키며;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미리 설정된 공간내에서의 움직임, 상기 공간내의 온도 및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센서;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간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 및,
    전력기기와 전원소켓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플러그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플러그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더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점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상기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상기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와 스마트 플러그를 통해 상기 스마트 스위치의 상태, 상기 광원의 상태,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상태 및 상기 스마트 센서의 상태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이 수집된 정보들을 근거로 상기 스마트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 광원의 점등 여부, 스마트 플러그의 온/오프 여부, 상기 공간내의 사람의 존재 여부, 공간내의 전력기기의 소비전력, 상기 공간내의 온도, 상기 공간내의 조도 및 절전량을 파악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관리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상기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부터 상기 전력기기의 전력 정보를 전송받고 이 전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제어부는, 상기 중앙관리제어부가 모니터링하는 전력기기들의 순시 전력들을 합산한 피크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피크전력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피크전력이 상기 기준 피크전력보다 클 때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차단제어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중앙관리제어부로부터의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상기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중앙관리제어부로부터의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상기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22. 미리 설정된 공간내에서의 움직임, 상기 공간내의 온도 및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센서;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간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
    2개 이상의 전력기기와 2개 이상의 전원소켓들 사이에 접속된 2개 이상의 스마트 플러그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 스마트 센서 및 광원은 각각 2개 이상 구비되며;
    각 스마트 센서는 상기 공간을 적어도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움직임, 온도 및 조도를 감지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들, 스마트 스위치들 및 스마트 플러그들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스위치, 스마트 센서들 및 스마트 플러그들이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들로부터의 감지신호들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더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각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그리고,
    각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그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이 모두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점등시키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라도 비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키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 소등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며;
    각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해당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각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해당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점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점등시키며;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소등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광원을 소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24. 미리 설정된 공간내에서의 움직임, 상기 공간내의 온도 및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센서;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간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스위치;
    전력기기와 전원소켓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플러그는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스마트 스위치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플러그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더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는 동작감지신호, 온도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부터의 센서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점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광원을 소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기기가 구동중인지를 파악한 후 이 전력기기가 오프된 상태일 때만 선택적으로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센서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의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기기가 구동중인지를 파악한 후 이 전력기기가 온 상태일 때만 선택적으로 토글출력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센서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는 상기 토글출력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기기로 온/오프토글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온 상태일 때의 전력기기는 상기 온/오프토글제어신호에 의해 오프되며;
    오프 상태일 때의 전력기기는 상기 온/오프토글제어신호에 의해 온되며; 그리고,
    상기 차단제어신호를 공급받은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전력기기가 상기 온/오프토글제어신호에 의해 정상적인 종료 과정을 거쳐 완전히 오프된 이후,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상기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플러그를 통해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온도감지신호를 전송받고, 이 온도감지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값을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 전송하는 중앙관리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온도감지신호의 크기와 상기 기준 온도의 크기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센서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기준 온도값이 냉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온도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냉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된 기준 온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송풍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센서로 전송하며;
    상기 비교 결과 기준 온도 값이 냉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온도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냉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된 기준 온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냉방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센서로 전송하며;
    상기 비교 결과 기준 온도값이 난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온도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난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된 기준 온도값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난방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센서로 전송하며;
    상기 비교 결과 기준 온도값이 난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온도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난방기 온도값으로 설정된 기준 온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송풍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센서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부터의 송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송풍신호를 생성하고, 이 송풍신호를 전력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부터의 냉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냉방신호를 생성하고, 이 냉방신호를 전력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부터의 난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난방신호를 생성하고, 이 난방신호를 전력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전력기기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송풍신호, 냉방신호 및 난방신호에 응답하여 송풍모드, 냉방모드 및 난방모드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28. 미리 설정된 공간내에서의 움직임, 상기 공간내의 온도 및 상기 공간내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센서;
    상기 공간내에 설치되며, 적어도 2개의 전력기기와 적어도 2개의 전원소켓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스마트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플러그들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며;
    상기 네트워크 망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스마트 플러그 및 스마트 센서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그리고,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스마트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로의 전원 공급 여부 및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공간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비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센서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각 스마트 센서는 상기 공간을 적어도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움직임, 온도 및 조도를 감지하며;
    각 스마트 센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구역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일정 시간동안 그 구역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을 경우 비액티브 상태의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라도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로 접속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동작감지신호들이 모두 비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접속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플러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가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소비 전력량을 파악하고, 이 전력기기에 의해 사용된 총 소비 전력과 미리 설정된 허용량을 비교하여 앞으로 이 전력기기에 의해 사용 가능한 잔여량을 산출하고, 상기 허용량 및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소비 전력량이 상기 허용량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소비 전력량이 상기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소비 전력량이 상기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35. 제 32 항 및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문자 또는 음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소비 전력량이 상기 허용량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1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소비 전력량이 상기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2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경고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이고, 상기 2차 경고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38.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플러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가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사용시간을 파악하고, 이 전력기기의 총 사용시간과 미리 설정된 허용시간을 비교하여 앞으로 이 전력기기가 사용가능한 잔여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허용시간 및 잔여시간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사용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사용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사용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을 초과할 경우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와 해당 전원소켓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42. 제 39 항 및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문자 또는 음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43.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사용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의 n%(n은 100이하의 자연수)에 도달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1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는 자신에게 접속된 전력기기의 총 사용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단말기로 2차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경고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이고, 상기 2차 경고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45.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토글제어신호는 적외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46.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신호, 냉방신호 및 난방신호는 모두 적외선 신호이며; 그리고, 상기 스마트 센서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송풍신호, 냉방신호 및 난방신호를 상기 전력기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시스템.
KR1020120019154A 2012-02-24 2012-02-24 스마트 절전 시스템 KR101178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154A KR101178491B1 (ko) 2012-02-24 2012-02-24 스마트 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154A KR101178491B1 (ko) 2012-02-24 2012-02-24 스마트 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491B1 true KR101178491B1 (ko) 2012-09-06

Family

ID=4707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154A KR101178491B1 (ko) 2012-02-24 2012-02-24 스마트 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4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192B1 (ko) 2012-09-19 2014-02-04 주식회사 유비콤 스마트 절전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464568B1 (ko) * 2013-10-22 2014-11-2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스마트 절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19122A (ko) * 2013-08-12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제어 장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192B1 (ko) 2012-09-19 2014-02-04 주식회사 유비콤 스마트 절전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019122A (ko) * 2013-08-12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제어 장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KR102086347B1 (ko) * 2013-08-12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제어 장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KR101464568B1 (ko) * 2013-10-22 2014-11-2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스마트 절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7763B2 (ja) 分岐プロセッサハザード検出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1002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management in a sensor network
US10148088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232276B1 (ko)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KR101631094B1 (ko) 건물의 설비, 전력 및 조명 통합 제어 시스템
US10254747B2 (en) Device cooperation control system,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of device cooperation control system, and program thereof
EP2903216B1 (e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US20120091801A1 (en) Power supply apparatus
US20110153111A1 (en) Standby powe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11813A (ko)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JP2009159734A (ja) 直流配電システム
JP2009153336A (ja) 配電システム
KR102016652B1 (ko)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한 IoT 조명 스위치 모듈
US20120221164A1 (en) Power controller for electric devices, and telephone
KR101077016B1 (ko) 절전형 멀티 탭 및 그 제어 시스템
WO2011055192A1 (ja) 配電システム
KR101183388B1 (ko) 전력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플러그 모듈
KR101178491B1 (ko) 스마트 절전 시스템
US10595381B2 (en) Controlling power usage in appliances
CN108303905B (zh) 一种家居设备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20190072250A1 (en) Emergency light bulb
KR20200002712A (ko)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한 IoT 조명 스위치 모듈
KR20200028696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led 조명 관제 시스템
KR20150111804A (ko) 지능형 전원 플러그 및 전원 어댑터
KR101515131B1 (ko) 적응적 전력 공급 시스템 및 그 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