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393A -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393A
KR20100083393A KR1020090002742A KR20090002742A KR20100083393A KR 20100083393 A KR20100083393 A KR 20100083393A KR 1020090002742 A KR1020090002742 A KR 1020090002742A KR 20090002742 A KR20090002742 A KR 20090002742A KR 20100083393 A KR20100083393 A KR 20100083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let
unit
control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127B1 (ko
Inventor
이인홍
Original Assignee
(주)엘스윈
이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스윈, 이인홍 filed Critical (주)엘스윈
Priority to KR1020090002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1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2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where the sensing device takes the initiative of sending data
    • H04Q2209/826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where the sensing device takes the initiative of sending data where the data is sent period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구비된 전원콘센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접속구별로 제어하는 전원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전원콘센트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 및 레벨을 검출하는 전원상태 검출부와; 상기 전원콘센트 접속구별로 인가되는 전원을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접속구별로 전원 인가상태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학습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 입력부와; 상기 전원콘센트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 또는 학습모드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PC 전원스위치와 연결되어 PC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PC 온/오프부와; PC의 USB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온/오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USB 전원 인터페이스부와; 원격제어기기로부터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네트워크 설정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로토콜을 내장하며, 원격접속이 가능하도록 제어용 펌웨어와 원격제어기기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입력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PC 및 전원콘센트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원 온/오프 제어부 또는 PC 온/오프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LAN 단자와 연결된 PC에 설치된 전용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된 PC의 온오프 상태정보 또는 상기 전원상태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상기 스위치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학습모드에 대응하면서 해당 대응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 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콘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제어, PC제어, 원격, 휴대폰, 웹페이지, 전원콘센트

Description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Power saving outlet device capable of remote power control}
본 발명은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격제어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전원콘센트의 제어 및 상태 파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PC 전원의 온/오프와 PC 전원이 꺼졌을 때 전원콘센트 각 접속구의 전원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전원제어 및 대기(낭비)전력 차단기능이 구비된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작업장 등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은 전원콘센트라는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는다. 예컨대, 전원콘센트에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게 되면 전원콘센트에 인가된 전원이 플러그를 통해 전자기기로 공급되어 전자기기가 작동하게 된다.
종래의 전원제어장치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AC 전원이 AC-DC 변환회로(110)에서 AC전원부, 정류회로 및 정전압회로(레귤레이터) 등을 거쳐 DC 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AC 전원이 릴레이(120), 비교기(130) 및 리모컨 수신부(140) 등에 공급된다. 여기서, AC 전원의 한쪽 라인은 전원콘센 트(150)의 한쪽 단자에 직접 연결되고, 다른쪽 라인은 릴레이(120)를 거쳐 전원콘센트(150)의 다른 쪽 단자에 연결된다. 따라서, 릴레이(120)를 제어함으로써 전원콘센트(150)에 인가되는 AC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120)는 소정의 리모컨(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리모컨 수신부(140)에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비교기(130)의 출력이 High 또는 Low로 바뀌면서 제어된다.
도 2는 국내등록실용 20-341470호인 절전형 전원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콘센트 모듈(211)은 무선제어를 통해 전원차단이 가능한 접속구 1(213)과 전자기기로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접속구 2(2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원콘센트(210)에는 리모컨(미도시)의 송신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온/오프 스위치를 스위칭함으로써 접속구 1(213)을 통해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차단을 제어하는 회로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무선신호 수신창(214)은 리모컨의 송신신호를 수신하고, 발광다이오드(215)는 접속구 1(213)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원제어장치는 단지 근거리인 집안 내부에서만 전원제어가 가능하였고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개의 전자기기가 복수개의 접속구를 구비한 전원콘센트에 꽂혀 있을 경우에는 개별 접속구의 전원 인가상태를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접속구의 개별적인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해당 접속구에 어떤 전자기기(피제어기기)가 꽂혀 있는지에 대한 정보도 원격에서 파악할 수 없고, 해당 전자기기의 온/오프 상태도 원격에서 알 수 없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전력용량을 갖는 전자기기가 수시로 접속구가 변경되어 꽂히더라도 정확하게 전원 인가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최근에 널리 시판되고 있는 컴퓨터용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의 경우는 PC 본체의 전원이 꽂히는 접속구를 지정해 놓고, 이 접속구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PC 본체가 꺼져 있다고 판단되면 주변의 다른 접속구도 모두 차단하여 다른 접속구에 꽂혀 있는 기기(예를 들면, 스캐너, 프린터, 모니터 등)의 전원도 차단하도록 하여 대기전력에 의한 전력낭비를 막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은 PC를 끄지 않을 경우는 계속 전원을 인가하고 있기 때문에 무용지물이다. 따라서 사무실 등에서 PC를 끄지 않고 퇴근할 경우에는 전혀 효과를 볼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동으로 전원콘센트의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 원격 PC나 휴대폰 등과 같은 원격제어기기를 통해 접속한 후 전원콘센트 접속구나 전원콘센트 접속구에 꽂혀있는 전자기기의 개별적인 제어 및 전원 온/오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PC 전원의 온/오프와 PC 전원이 꺼졌을 때 전원콘센트 각 접속구의 전원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전원제어 및 대기(낭비)전력 차단기능이 구비된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1)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구비된 전원콘센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접속구별로 제어하는 전원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전원콘센트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 및 레벨을 검출하는 전원상태 검출부와; 상기 전원콘센트 접속구별로 인가되는 전원을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접속구별로 전원 인가상태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학습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 입력부와; 상기 전원콘센트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 또는 학습모드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PC 전원스위치와 연결되어 PC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PC 온/오프부와; PC의 USB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온/오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USB 전원 인터페이스부와; 원격제어기기로부터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 이스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네트워크 설정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로토콜을 내장하며, 원격접속이 가능하도록 제어용 펌웨어와 원격제어기기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입력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PC 및 전원콘센트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원 온/오프 제어부 또는 PC 온/오프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LAN 단자와 연결된 PC에 설치된 전용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된 PC의 온오프 상태정보 또는 상기 전원상태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상기 스위치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학습모드에 대응하면서 해당 대응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콘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제1실시예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2)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구비된 전원콘센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접속구별로 제어하는 전원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전원콘센트의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원 온/오프 제어부에 전달하는 신호입력부와, 하기 원격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감지하는 접속감지부와, 전원콘센트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LED 표시부, 및 PC의 USB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온/오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USB 전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멀티콘센트와; 원격제어기기로부터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 크(LAN)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PC 전원스위치와 연결되어 PC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PC 온/오프부와, 상기 멀티콘센트의 접속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와 하기 제어부에서 멀티콘센트로 출력되는 전원콘센트 온/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설정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로토콜을 내장하며, 원격접속이 가능하도록 제어용 펌웨어와 원격제어기기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원콘센트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멀티콘센트의 신호 입력부를 거쳐 상기 전원 온/오프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원콘센트의 접속구에 전원이 인가되면 해당 LED가 자동으로 켜지도록 LED 표시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에 해당 LED 표시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LAN 단자와 연결된 PC에 설치된 전용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된 PC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로 이루어진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제2실시예에 의해 달성된다.
(3) 본 발명의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원콘센트 접속구별로 연결된 피제어기기 정보 및 전원콘센트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에 더 제공하여 원격제어기기의 화면 또는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의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에 PC 전원 및 전원콘센트 접속구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더 내장하여 정해진 시간에 켜고 끌 수 있는 전원 스케쥴관리, 일정시간만 켜거나 또는 끄는 타이머 기능, 끄고 다시 켜는 리셋 기능, 일정기간을 지정하여 제어하는 일정관리 기능, 일출/일몰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해 놓고 자동으로 켜고 끄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본 발명의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학습모드를 스위치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전원콘센트 접속구별로 접속되는 피제어기기의 전원 인가상태 레벨 측정모드로 설정하여, 해당 접속구에 꽂혀 있는 피제어기기가 온(on) 또는 오프(off)일 때의 각각의 측정값을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각 접속구의 전원 인가상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전력용량을 갖는 피제어기기가 수시로 접속구가 변경되어 꽂히더라도 정확하게 전원 인가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본 발명의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원격제어콘센트는 AC 코드가 있거나 없는 노출형 또는 매립형 콘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본 발명의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온/오프 제어부는 PC의 USB단자와 연결된 USB 전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PC 전원이 꺼졌을 때 전원콘센트의 각 접속구에 인가되는 전원도 모두 차단함으로써 각 접속구에 꽂혀 있는 전자기기(피제어기기)들의 대기전력을 차 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본 발명의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PC 온/오프부는 전용케이블에 의해 PC와 연결되며, 제어부로부터 PC 켜기, 끄기, 또는 강제종료 동작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전용케이블을 통해 PC에 설치된 전용프로그램에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하며, 상기 제어신호의 펄스폭 조정에 의해 PC 켜기, 끄기, 또는 강제종료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상기 전용케이블은 일단이 PC의 마더보드와 연결되고, 타단이 PC 전원스위치와 접속된 전원케이블과 연결되는 전용케이블이거나 또는 일단이 PC의 마더보드와 연결되고, 타단이 PC 전원스위치,LED,리셋스위치가 통합되어 있는 통합콘넥터에 접속되는 어댑터보드를 포함하는 전용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본 발명의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각각 다른 IP를 보유하고 있는 상기 원격제어콘센트 또는 원격제어장치 복수개를 동일 네트워크에 설치하여, 원격제어기기의 화면 또는 동일 네트워크의 컴퓨터 화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원격제어콘센트 또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및 상태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되, 하나의 화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원격제어콘센트 또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시제어 또는 개별제어, 및 상태파악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원격제어콘센트 또는 원격제어장치 복수개를 그룹화하여 동시제어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지에서 원격제어기기를 통해 전원콘센트 접속구나 전원콘센트 접속구에 꽂혀있는 전자기기의 개별적인 제어 및 전원 온/오프 상태의 파악이 가능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형태의 원격 전원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전원콘센트에 어떤 전자기기가 꽂혀 있는지 쉽게 알 수 있고, 전원콘센트를 독립적으로 컴퓨터용 대기전력차단 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PC의 전원을 원격에서 온/오프할 수가 있어 PC의 대기(낭비)전력도 절감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전원콘센트 및 전자기기의 개별적인 제어를 통한 절전효과, 전열기기의 제어를 통한 화재예방 효과, 및 조명기기의 제어를 통한 방범효과 등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산업용 장치의 원격제어, 네트워크 장비의 원격유지보수(원격 리셋), 관공서 및 대형 건물의 에너지 절전 및 그룹관리, 디지털 타이머 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제1실시예인 원격제어콘센트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ID 및 인증번호의 확인, 각 전원콘센트 전원의 제어 및 전원상태 파악, PC 온/오프 제어 및 온/오프 상태 파악 등을 포함하는 웹 프로그램이 설치된 관리서버(330)와 이 관리서버(330)에서 다운로드 받아 저장 되는 전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원격 PC 또는 휴대폰 등의 원격제어기기(310)가 인터넷망(WAN)(320)에 접속되어 연동된다. 여기서, 제어 웹페이지는 원격제어콘센트(350)에 내장되거나 관리서버(330)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관리서버(330)는 각 세대의 유동 IP 사용을 고려하여 IP가 변경되어도 원격제어기기(310)에서 상시 제어가 가능하도록 원격제어기기(310)와 원격제어콘센트(350) 상호간을 링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웹페이지는 텍스트 형태 또는 그래픽 형태로 원격제어콘센트(35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가 원격제어기기(310)가 원격제어콘센트(350)에 접속한 후, 원격제어기기(310)의 화면에서 해당 웹사이트 주소를 치게 되면 원격제어콘센트(350)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웹페이지가 원격제어기기(310)의 화면에 나타난다. 또한 제어 웹페이지는 텍스트 형태 또는 그래픽 형태로 관리서버(330)에 저장되어 있다가 원격제어기기(310)가 원격제어콘센트(350)에 접속한 후, 원격제어기기(310)의 화면에서 해당 웹사이트 주소를 치게 되면 관리서버에 있는 제어 웹페이지가 원격제어기기(310)의 화면에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네트워킹을 통해 원격지에서 소정의 원격제어기기(310)로 인터넷망(320)을 통해 원격제어콘센트(350)에 접속한 후, 원격제어콘센트 접속구에 꽂혀있는 다양한 전자기기인 피제어기기를 개별적으로 제어 또는 접속구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콘센트(350)는 PC(340) 전원의 원격 온/오프 제어를 위해서, 전용케이블에 의해 PC 마더보드의 해당 컨넥터와 연결되며, PC(340) 전원의 원격 온/오프 제어 및 온/오프 상태파악을 위해서는, 원격제어콘센트(350)의 LAN 단자와 PC(340)의 LAN 단자와 연결되고, PC(340)의 온/오프 제어 및 온/오프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PC에 설치되는 전용프로그램(360)은 원격제어콘센트(350)로부터 PC 켜기, 끄기, 또는 강제종료 등의 동작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거나 인터넷망을 통하여 원격제어기기로 PC의 온/오프 상태를 알려주는 기능 등을 담당하게 된다. 전용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PC 켜기, 끄기, 또는 강제종료에 대응하도록 신호의 펄스폭(시간)도 조정이 가능하다.
원격제어콘센트(350)를 원격제어장치가 아닌 대기전력 차단콘센트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단지 PC의 USB 단자로 부터의 전원(+5V, GND)과 상기 원격제어콘센트(350)의 USB 단자만을 일반 USB 케이블로 연결하여, PC 본체의 전원이 꺼졌을 때 상기 원격제어콘센트(350) 각각의 접속구의 전원도 모두 차단되는 컴퓨터용 대기전력 차단기능도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원격제어콘센트의 구성블록도로서, 원격지에서 소정의 원격제어기기로 인터넷망(WAN)을 통해 접속한 후, 원격제어콘센트 접속구나 원격제어콘센트 접속구에 꽂혀있는 전자기기(피제어기기)의 개별적인 제어 및 각 접속구 전원의 온/오프 상태와 PC의 온/오프 제어 및 온/오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형태의 절전형 콘센트 장치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콘센트(3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자면, 휴즈(401)는 정격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자동으로 끊어지게 되고, 온/오프 스위치(402)는 전원콘센트(403)에 인가되는 AC 전원을 기계적으로 온/오프시킨다. AC-DC 변환부(404)는 AC 전원을 AC 전원부, 정류회로, 정전압회로(레귤레이터) 등을 거쳐 필요한 DC 전압을 출력한다.
전원 온/오프 제어부(405)는 릴레이, 트라이악, SSR 등으로 구성되는데, AC 전원의 한쪽 라인에 접속되어 제어부(410)의 명령에 의해 AC 라인을 단선 또는 단락시켜 전원콘센트(403)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구별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전원상태 검출부(406)는 전원콘센트(403)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구별로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부(410)로 전달한다. 예컨대, 전원콘센트(403)의 접속구에 소정의 전자기기가 꽂혀 있을 경우, 스탠바이시 전류와 동작시 전류 또는 전압을 검출하여 High/Low 레벨의 신호 또는 A-D 변환된 디지털화된 값으로 제어부(410)에 알려줄 수 있다.
스위치 입력부(409)는 전원콘센트(403) 접속구별로 인가되는 전원을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학습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 입력부(409)는 전원콘센트(403) 접속구에 대응하는 해당 갯수만큼의 버튼이 구비된 일종의 소프트웨어 스위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버튼에 압력이 가해져서 눌러지면 제어부(410)로 전원 온/오프 제어부(405)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학습모드와 관련하여, 전원 인가상태 레벨 학습모드는 전원콘센트(403) 접속구별로 접속되는 피제어기기의 전원 인가상태 레벨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스위치 입력부(409)의 소정의 버튼(예컨대, 버튼 1번 및 3번)을 눌러 전원콘센트(403) 접속구에 접속되는 전자기기의 온/오프, 스탠바이, 및 동작시의 전압 레벨 등을 파악하기 위해 전원콘센트(403) 접속구의 해당 버튼을 눌러 전원을 인가한 후, 레벨 학습을 행하게 된다.
해당 접속구에 꽂혀 있는 전자기기가 온(on) 또는 오프(off)일 때의 각각의 측정값을 제어부(410)의 메모리(SDRAM,Flash Memory)에 기억해 두고, 각 접속구의 전원 인가상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전력용량을 갖는 피제어기기가 수시로 접속구가 변경되어 꽂히더라도 정확하게 전원 인가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408)는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원콘센트(403)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 또는 학습모드 설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2)는 내부 네트워크(LAN) 또는 인터넷망(WNA)에 접속되어 규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원격 PC 또는 관리서버의 웹페이지 또는 휴대폰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410)에 전달한다.
제어부(410)는 네트워크 설정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로토콜을 내장하면서 원격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제어용 펌웨어와 휴대폰 및 웹서비스를 위한 웹페이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만약에 스위치 입력부(409)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2)로부터 전원콘센트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전원 온/오프 제어부(405)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원상태 검출부(406)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스위치 입력부(409)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학습모드에 대응하면서 해당 정보를 표시부(408) 에 제공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2)를 통해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확인토록 내부 네트워크 또는 원격제어기기에서 확인토록 인터넷망에 제공한다.
또, 상기 웹페이지 또는 휴대폰으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2)를 통해 PC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410)는 PC 온/오프부(411)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PC(340)의 온/오프 제어 및 온/오프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PC에 설치되어 있는 전용프로그램(360)으로부터 LAN을 통해 수신된 온/오프 상태정보를 제어부(410)에서 해석하여 다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2)를 통해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확인토록 내부 네트워크 또는 원격제어기기에서 확인토록 인터넷망에 제공한다.
한편, 제어부(410)는 도 8과 같이 전원콘센트(403) 접속구별로 연결된 소정의 피제어기기 정보, 예를 들면 해당 접속구에 어떤 기기가 꽂혀 있는지의 기기명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2)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망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웹페이지 또는 전용프로그램 상에서 소정의 과정을 거쳐 등록된 전원콘센트(403) 접속구별 피제어기기 정보와 전원콘센트(403)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2)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망에 제공하여 휴대폰 또는 웹페이지 화면 또는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 표시할 수 있다.
원격제어콘센트(350)는 대기전력차단 콘센트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전원(+5V, GND)이 입력되는 PC의 USB 단자와 원격제어콘센트(350)의 USB 단자를 일반 USB 케이블로 연결하고, USB 전원 인터페이스(I/F)부(407)를 통해 전원 온/오프 제어부(405)에 인가되는 전원을 별도로 구성하여 PC 본체의 전원이 꺼졌을 때 전원 콘센트(403)의 각 접속구의 전원도 모두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각 접속구에 꽂혀 있는 전자기기(피제어기기)들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컴퓨터용 대기전력 차단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원격제어콘센트는 AC 코드가 붙은 콘센트, AC 코드가 없는 콘센트, 노출형 콘센트, 천정이나 벽, 바닥에의 매립형 콘센트, 또는 1구나 다수개의 멀티콘센트 형태중 가능한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절전형 콘센트 장치의 제2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도 3의 원격제어콘센트(350)와 달리 원격제어장치(550)와 멀티콘센트(570)로 분리구성된다.
제2실시예의 원격제어장치를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멀티콘센트(570)와 함께 사용하면 종래와 달리 PC를 켜놓고 퇴근을 하였더라도, 원격에서 PC의 온/오프상태를 파악하여 웹페이지 및 휴대폰을 이용하여 PC를 끌 수 있으므로 대기전력 차단기능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제어장치와 멀티콘센트의 분리형으로 절전형 콘센트 장치를 구성하면 다양한 제품 라인업 및 파급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ID 및 인증번호의 확인, 각 전원콘센트 전원의 제어 및 전원상태 파악, PC 온/오프 제어 및 온/오프 상태 파악 등을 포함하는 웹 프로그램이 설치된 관리서버(530)와 이 관리서버(530)에서 다운로드 받아 저장되는 전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원격 PC 또는 휴대폰 등의 원격제어기기(510)가 인터넷망(520)에 접속되어 연동된다. 여기서, 제어 웹페이지는 관리서버(5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관리서버(530)는 각 세대의 유동 IP 사용을 고려하여 IP가 변경되어도 원격제어기기(510)에서 상시 제어가 가능하도록 원격제어기기(510)와 원격제어장치(550) 상호간을 링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 웹페이지는 텍스트 형태 또는 그래픽 형태로 관리서버(530)에 저장되어 원격제어기기(510)가 원격제어장치(550)에 접속된 후 원격제어기기(510)의 화면에서 해당 웹사이트 주소를 치게 되면 관리서버에 있는 제어 웹페이지가 원격제어기기(510)의 화면에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네트워킹을 통해 원격지에서 소정의 원격제어기기(510)로 인터넷망(520)을 통해 원격제어장치(550)에 접속한 후, 원격제어장치(550)와 멀티콘센트(570)의 통신을 통해 전원콘센트 접속구에 꽂혀있는 다양한 전자기기인 피제어기기를 개별적으로 제어 또는 전원콘센트 접속구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550)는 PC(540) 전원의 원격 온/오프 제어를 위해서, 전용케이블에 의해 PC 마더보드의 해당 컨넥터와 연결되며, PC(540) 전원의 원격 온/오프 제어 및 온/오프 상태 파악을 위해서는 원격제어장치(550)의 LAN 단자와 PC(540)의 LAN 단자가 연결되고, PC(540)의 온/오프 제어 및 온/오프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PC에 설치되는 전용프로그램(560)은 원격제어장치(550)부터의 PC 켜기, 끄기, 또는 강제종료 등의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을 수행하거나 인터넷망을 통하여 원격제어기기로 PC의 온/오프 상태를 알려주는 기능 등을 담당하게 된다. 전용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PC 켜기, 끄기, 또는 강제종료에 대응하도록 신호의 펄 스폭(시간)도 조정이 가능하다.
원격제어장치(550)에는 전원(+5V, GND)이 입력되는 PC의 USB 단자와 멀티콘센트(570)의 USB 단자를 일반 USB 케이블로 연결하여 PC 본체의 전원이 꺼졌을 때 상기 멀티콘센트(570) 각각의 접속구의 전원을 모두 차단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원격제어장치와 멀티콘센트의 구성블록도로서, 원격지에서 소정의 원격제어기기(510)로 인터넷망(520)을 통해 원격제어장치에 접속한 후, 멀티콘센트 접속구나 멀티콘센트 접속구에 꽂혀있는 전자기기(피제어기기)의 개별적인 제어 및 각 접속구 전원의 온/오프 상태와 PC의 온오프 제어 및 온오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형태의 절전형 콘센트 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멀티콘센트(57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AC-DC 변환부(604)는 AC 전원을 AC 전원부, 정류회로, 정전압회로(레귤레이터) 등을 통해 필요한 DC 전압으로 출력한다.
전원 온/오프 제어부(605)는 릴레이, 트라이악, SSR 등으로 구성되는데, AC 전원의 한쪽 라인에 접속되어 원격제어장치(550)의 제어부(610)의 명령에 의해 AC 라인을 단선 또는 단락시켜 전원콘센트(603)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구별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신호입력부(609)는 제어부(610)에서 전송되는 전원콘센트(603)의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전원 온/오프 제어부(605)에 전달 해준다.
접속감지부(606)는 원격제어장치(550)에 멀티콘센트(570)가 올바르게 접속되 어 있는지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제어부(610)는 이 신호를 감지하여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PC 원격제어장치만의 동작을 수행하든지 또는 멀티콘센트(57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웹페이지 또는 휴대폰에 알릴 수 있도록 되어있다.
LED 표시부(608)는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원콘센트(603)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멀티콘센트(570)를 대기전력차단 콘센트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전원(+5V, GND)이 입력되는 PC의 USB단자와 멀티콘센트(570)의 USB 단자를 일반 USB 케이블로 연결하고, USB 전원 인터페이스(I/F)부(607)를 통해 전원 온/오프 제어부(605)에 인가되는 전원을 별도로 구성하여 PC 본체의 전원이 꺼졌을 때 멀티콘센트(570)의 각 접속구의 전원도 모두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각 접속구에 꽂혀 있는 전자기기(피제어기기)들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컴퓨터용 대기전력 차단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콘센트(350)와 멀티콘센트(570)를 독립적인 컴퓨터용 대기전력차단 콘센트로 사용시의 접속구성을 나타낸다.
원격제어장치(550)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신호 입출력부(614)는 멀티콘센트(570)의 접속감지부(606)로부터의 감지신호와 제어부(610)에서 멀티콘센트(570)로 출력되는 전원콘센트 온/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해주는 부분이며, 표시부(613)는 원격제어장치(550)의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의 상태 정보 및 기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2)는 내부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규 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외부의 웹페이지 또는 휴대폰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610)에 전달한다.
제어부(610)는 네트워크 설정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로토콜을 내장하면서 원격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제어용 펌웨어와 휴대폰 및 웹서비스를 위한 웹페이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만약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2)로부터 전원콘센트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신호 입출력부(614)를 통해 멀티콘센트(570)의 신호입력부(609)를 거쳐 전원 온/오프 제어부(605)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전원콘센트의 접속구에 전원이 인가되면 해당 LED가 자동으로 켜지도록 LED 표시부(608)를 제어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2)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망에 해당 LED 표시정보를 제공한다.
또, 상기 웹페이지 또는 휴대폰으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2)를 통해 PC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610)는 PC 온/오프부(611)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PC(540)의 온/오프 제어 및 온/오프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PC에 설치되어 있는 전용프로그램(560)으로부터 내부 네트워크(LAN)를 통해 수신된 온/오프 상태정보를 해석하여 다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2)를 통해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확인토록 내부 네트워크 또는 원격제어기기에서 확인토록 인터넷망에 제공한다.
한편, 제어부(610)는 도 8과 같이 전원콘센트(603) 접속구별로 연결된 소정의 전자기기(피제어기기) 정보, 예를 들면 해당 접속구에 어떤 전자기기가 꽂혀 있 는지의 기기명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2)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망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웹페이지 또는 전용프로그램 상에서 소정의 과정을 거쳐 등록된 전원콘센트(603) 접속구별 전자기기(피제어기기) 정보와 전원콘센트(603)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2)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망에 제공하여 휴대폰 또는 웹페이지 화면 또는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PC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격제어콘센트(350) 및 원격제어장치(550)와 PC(340,540)의 마더보드에 연결되는 전용케이블의 접속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기존 구성은 PC 본체(900)의 앞면에 위치한 PC 전원스위치 버튼에 연결된 전원케이블(901)이 마더보드(902)의 정해진 2핀 콘넥터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전원스위치를 직접 수동으로 눌러야 PC를 켜고 끌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마더보드(902)에 꽂혀 있는 기존의 전원케이블(901)을 뽑아 전용케이블(903)의 male(숫놈) 콘넥터와 연결하고, 전용케이블(903)의 분기되어 있는 female(암놈) 콘넥터를 마더보드(902)의 정해진 2핀 콘넥터에 접속하고, 전용케이블(903)의 맞은 편 콘넥터를 원격제어콘센트(350) 또는 원격제어장치(550)에 연결해 놓으면, 본 발명처럼 원격에서 PC를 온/오프할 수 있으며, 또한 직접 수동으로 PC를 온/오프할 수도 있다.
도 10은 PC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격제어콘센트(350) 및 원격제어장치(550)와 PC(340,540)의 마더보드에 연결되는 PC의 전원스위치,LED,리 셋스위치 등이 통합되어 있는 통합 콘넥터에 대응하는 어댑터보드를 포함한 전용케이블의 접속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기존 구성은 PC 본체(1000)의 앞면에 위치한 PC 전원스위치 버튼에 연결된 전원케이블(Flat 케이블)(1001)이 마더보드(1002)의 10핀~20핀(5×2 ~ 10×2)으로 구성된 지정된 콘넥터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도 전원스위치를 직접 수동으로 눌러야 PC를 켜고 끌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마더보드(1002)에 꽂혀 있는 기존의 전원케이블(Flat 케이블)(1001)을 뽑아 본 발명의 기존 전원케이블(Flat 케이블)(1001)과 동일한 전원케이블을 가진 어댑터보드(1003)의 한쪽 콘넥터에 접속하고, 어댑터보드(1003)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한쪽을 마더보드(1002)의 10핀~20핀으로 구성된 지정된 콘넥터에 접속한다. 그런 다음 어댑터보드의 중간에 위치한 최대 2×10(총 20핀) 배열된 핀 헤더에서 PC를 온/오프하는 두 핀을 찾아 전용케이블(903)의 female(암놈) 콘넥터를 해당 핀 헤더에 접속한다. 그리고, 전용케이블(903)의 맞은 편 콘넥터를 원격제어콘센트(350) 또는 원격제어장치(550)에 연결해 놓으면, 본 발명처럼 원격에서 PC를 온/오프할 수 있으며, 또한 직접 수동으로 PC를 온/오프할 수도 있다.
제1실시예의 원격제어콘센트(350)와 제2실시예의 원격제어장치(550)의 제어부(410)(610)에 PC 전원 및 전원콘센트 접속구를 다양하게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더 포함하여, 도 12의 제어화면과 같이 정해진 시간에 켜고 끌 수 있는 전원 스케쥴관리, 일정시간만 켜거나 또는 끄는 타이머 기능, 끄고 다시 켜는 리셋 기능, 일정 기간을 지정하여 제어하는 일정관리 기능, 일출/일몰 시간들을 메모리에 저장 해 놓고, 자동으로 켜고 끄는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각 다른 IP를 보유하고 있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절전형 콘센트 장치 다수를 도 11의 구성과 같이 동일한 네트워크에 설치하여, 원격 PC 화면, 휴대폰 화면, 또는 동일 네트워크의 컴퓨터 화면(관리서버의 웹페이지 화면, Local 관리자 PC 화면)에서 제어 및 상태파악이 가능하도록 하고, 하나의 화면에서 절전형 콘센트 장치 다수개의 동시제어 또는 개별제어, 및 상태파악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절전형 콘센트 장치를 그룹화하여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를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거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원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절전형 전원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콘센트 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콘센트 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대기전력차단 콘센트로 사용시의 접속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기기에 표시되는 표시화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PC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용케이블의 접속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PC 전원 온/오프를 위한 어댑터를 포함한 전용케이블의 접속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수개의 콘센트 장치를 동일 네트워크에 설치한 시스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어화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510 : 원격제어기기 320,520 : 인터넷망
330,530 : 관리서버 340,540 : PC(컴퓨터)
350 : 원격제어콘센트 360,560 : PC 전용 프로그램
401 : 휴즈 402 : 온/오프 스위치
403,603 : 전원콘센트 404,604 : AC-DC 변환부
405,605 : 전원 온/오프 제어부 406 : 전원상태 검출부
407,607 : USB 전원 인터페이스부 408,613 : 표시부
409 : 스위치 입력부 410,610 : 제어부
411,611 : PC 온오프부 412,612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550 : 원격제어장치 570 : 멀티콘센트
606 : 접속감지부 608 : LED 표시부
609 : 신호입력부 614 : 신호 입출력부
900,1000 : PC 본체 901,1001 : 기존 케이블
902,1002 : 마더보드 903 : 전용케이블
1003 : 어댑터보드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구비된 전원콘센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접속구별로 제어하는 전원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전원콘센트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 및 레벨을 검출하는 전원상태 검출부와; 상기 전원콘센트 접속구별로 인가되는 전원을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접속구별로 전원 인가상태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학습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 입력부와; 상기 전원콘센트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 또는 학습모드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PC 전원스위치와 연결되어 PC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PC 온/오프부와; PC의 USB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온/오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USB 전원 인터페이스부와; 원격제어기기로부터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네트워크 설정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로토콜을 내장하며, 원격접속이 가능하도록 제어용 펌웨어와 원격제어기기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입력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PC 및 전원콘센트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원 온/오프 제어부 또는 PC 온/오프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LAN 단자와 연결된 PC에 설치된 전용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된 PC의 온오프 상태정보 또는 상기 전원상태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상기 스위치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학습모드에 대응하면서 해당 대응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콘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2.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구비된 전원콘센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접속구별로 제어하는 전원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전원콘센트의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원 온/오프 제어부에 전달하는 신호입력부와, 하기 원격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감지하는 접속감지부와, 전원콘센트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LED 표시부, 및 PC의 USB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온/오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USB 전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멀티콘센트와;
    원격제어기기로부터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PC 전원스위치와 연결되어 PC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PC 온/오프부와, 상기 멀티콘센트의 접속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와 하기 제어부에서 멀티콘센트로 출력되는 전원콘센트 온/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설정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로토콜을 내장하며, 원격접속이 가능하도록 제어용 펌웨어와 원격제어기기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원콘센트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멀티콘센트의 신호 입력부를 거쳐 상기 전원 온/오프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원콘센트의 접속구에 전원이 인가되면 해당 LED가 자동으로 켜지도록 LED 표시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에 해당 LED 표시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LAN 단자와 연결된 PC에 설치된 전용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된 PC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로 이루어진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원콘센트 접속구별로 연결된 피제어기기 정보 및 전원콘센트 접속구별 전원 인가상태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WAN) 또는 내부 네트워크(LAN)에 더 제공하여 원격제어기기의 화면 또는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제어부에 PC 전원 및 전원콘센트 접속구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더 내장하여 정해진 시간에 켜고 끌 수 있는 전원 스케쥴관리, 일정시간만 켜거나 또는 끄는 타이머 기능, 끄고 다시 켜는 리셋 기능, 일정기간을 지정하여 제어하는 일정관리 기능, 일출/일몰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해 놓고 자동으로 켜고 끄는 기능을 제 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학습모드를 스위치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전원콘센트 접속구별로 접속되는 피제어기기의 전원 인가상태 레벨 측정모드로 설정하여, 해당 접속구에 꽂혀 있는 피제어기기가 온(on) 또는 오프(off)일 때의 각각의 측정값을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각 접속구의 전원 인가상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전력용량을 갖는 피제어기기가 수시로 접속구가 변경되어 꽂히더라도 정확하게 전원 인가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원격제어콘센트는 AC 코드가 있거나 없는 노출형 또는 매립형 콘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전원 온/오프 제어부는 PC의 USB단자와 연결된 USB 전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PC 전원이 꺼졌을 때 전원콘센트의 각 접속구에 인가되는 전원도 모두 차단함으로써 각 접속구에 꽂혀 있는 전자기기(피제어기기)들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PC 온/오프부는 전용케이블에 의해 PC와 연결되며, 제어부로부터 PC 켜기, 끄기, 또는 강제종료 동작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전용케이블을 통해 PC에 설치된 전용프로그램에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하며, 상기 제어신호의 펄스폭 조정에 의해 PC 켜기, 끄기, 또는 강제종료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용케이블은 일단이 PC의 마더보드와 연결되고, 타단이 PC 전원스위치와 접속된 전원케이블과 연결되는 전용케이블이거나 또는 일단이 PC의 마더보드와 연결되고, 타단이 PC 전원스위치,LED,리셋스위치가 통합되어 있는 통합콘넥터에 접속되는 어댑터보드를 포함하는 전용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각각 다른 IP를 보유하고 있는 상기 원격제어콘센트 또는 원격제어장치 복수개를 동일 네트워크에 설치하여, 원격제어기기의 화면 또는 동일 네트워크의 컴퓨터 화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원격제어콘센트 또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및 상태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되, 하나의 화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원격제어콘센트 또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시제어 또는 개별제어, 및 상태파악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원격 제어콘센트 또는 원격제어장치 복수개를 그룹화하여 동시제어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KR1020090002742A 2009-01-13 2009-01-13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KR101035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42A KR101035127B1 (ko) 2009-01-13 2009-01-13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42A KR101035127B1 (ko) 2009-01-13 2009-01-13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393A true KR20100083393A (ko) 2010-07-22
KR101035127B1 KR101035127B1 (ko) 2011-05-19

Family

ID=4264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742A KR101035127B1 (ko) 2009-01-13 2009-01-13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1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511B1 (ko) * 2010-07-27 2011-03-09 고해용 대기전력 차단용 전원 자동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10061054A1 (de) 2010-08-27 2012-03-01 Hyundai Motor Co. Antriebsstrang für ein Hybridfahrzeug
KR101432058B1 (ko) * 2013-03-08 2014-08-2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전원연결장치, 대기 전력 차단 방법 및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KR20180063779A (ko) * 2016-12-02 2018-06-12 최대권 안전 덮개가 구비된 절전 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871B1 (ko) * 2013-04-24 2014-12-10 주식회사 케이원전자 사용전력량 확인 기능을 포함하는 유에스비가 구비된 멀티탭
KR101608968B1 (ko) * 2013-06-28 2016-04-04 (주)성광유니텍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시스템
KR101921306B1 (ko) 2017-05-24 2018-11-22 주식회사 에이텍 퍼스널컴퓨터 원격 컨트롤러
KR20190063981A (ko) 2017-11-30 2019-06-10 유한회사 스마트21 멀티 콘센트의 부하전력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101950348B1 (ko) * 2018-08-20 2019-02-20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방열 기능이 우수한 전원 원격제어 함체
KR20200079138A (ko)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엔엑스테크놀로지 실시간 전력 데이터 수집을 통한 최적화 수요 반응 시스템
KR20200079142A (ko)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엔엑스테크놀로지 실시간 정보 수집을 통한 에너지 정책 수립 및 피드백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448B1 (ko) * 2004-09-04 2006-10-13 (주)엘스윈 원격 전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511B1 (ko) * 2010-07-27 2011-03-09 고해용 대기전력 차단용 전원 자동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2015244A2 (ko) * 2010-07-27 2012-02-02 Ko Ha Yong 대기전력 차단용 전원 자동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2015244A3 (ko) * 2010-07-27 2012-04-19 Ko Ha Yong 대기전력 차단용 전원 자동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10061054A1 (de) 2010-08-27 2012-03-01 Hyundai Motor Co. Antriebsstrang für ein Hybridfahrzeug
KR101432058B1 (ko) * 2013-03-08 2014-08-2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전원연결장치, 대기 전력 차단 방법 및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KR20180063779A (ko) * 2016-12-02 2018-06-12 최대권 안전 덮개가 구비된 절전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127B1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127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US20090307505A1 (en) Sensing Socket Assembly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EP3125374B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CA2714355C (en) Load condition controlled power circuit
WO2012075165A2 (en) Load condition controlled inline power controller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WO2016013842A1 (ko) 대기전력 낭비를 차단하는 멀티텝 콘센트와 그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100920992B1 (ko) 원격 제어 멀티탭/콘센트 장치
KR100634448B1 (ko) 원격 전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204376110U (zh) 一种带有无线通讯的智能插座
JP2008219957A (ja) 家電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
KR20150111804A (ko) 지능형 전원 플러그 및 전원 어댑터
KR20110017949A (ko)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20080112781A (ko) 타임설정이 가능한 그린 콘센트
KR20160041027A (ko)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JP2011526036A (ja) 負荷状態により制御される電源回路
JP2007329781A (ja) 監視装置
KR101149048B1 (ko)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CN215527998U (zh) 一种排插插座
KR20060115113A (ko)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홈게이트웨이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063981A (ko) 멀티 콘센트의 부하전력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TW201505313A (zh) 固定式供電座之供電結構
CN113161790A (zh) 一种排插插座
KR20170063502A (ko)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