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048B1 -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048B1
KR101149048B1 KR1020100081070A KR20100081070A KR101149048B1 KR 101149048 B1 KR101149048 B1 KR 101149048B1 KR 1020100081070 A KR1020100081070 A KR 1020100081070A KR 20100081070 A KR20100081070 A KR 20100081070A KR 101149048 B1 KR101149048 B1 KR 10114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ower
controlling
standby powe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020A (ko
Inventor
김대기
Original Assignee
김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기 filed Critical 김대기
Priority to KR102010008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0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원격으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입력받은 상용 교류 전원을 연결된 전기기기에 공급하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소켓; 및 상기 소켓과 연동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켓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대기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직접 뽑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므로, 쉽고 간편하게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전력소모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A home network system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본 발명은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으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헤더소켓과 휴대용단말기가 직접 연동되게 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홈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 및 삶의 질에 대한 가치개념의 변화 등으로 인해 80년대 이전과는 달리 전기에너지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전기에너지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더 많은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다만,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한 유가상승으로 전기에너지의 생산비용이 현저히 상승하였고, 또한 화석연료등 에너지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기술개발과 에너지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일상생활에 가장 밀접한 전기에너지의 경우,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스마트그리드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불필요하게 소모되고 있는 전기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위한 방안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전기기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기 위한 준비상태에서 소모하는 대기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너지관리공단의 최근 보고자료에 의하면 비디오, 오디오, TV등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꽂아둔채로 24시간 방치함으로써 야기되는 전력낭비는 우리나라의 총 1300만 가구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연 약 3조 2500억원 규모에 이르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따라서, 전기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종래에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직접 뽑아 대기전력을 차단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의 경우 전기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플러그를 직접 뽑아야 하므로 상당히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용하지 않는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뽑지 않아 효율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정내에서 수많은 전기기기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직접 뽑아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정내의 전기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정내의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중계서버(50)를 구비하여 네트워크를 구현하여야 하였다. 즉, 전기기기와 휴대용단말기(40)는 중계서버(50)를 통해 연동되어 상기 휴대용단말기(40)로 상기 전기기기를 제어하였다.
다만, 상기 중계서버(5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홈 네트워크의 구성이 상당히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자기기와 휴대용단말기(40)를 연동시키기 위하여, 먼저 각각의 전기기기와 중계서버(50)를 연동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중계서버(50)와 휴대용단말기(40)를 연동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여야 하므로 네트워크의 구성이 상당히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중계서버(50)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내의 전기기기의 동작상태를 영상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어 상기 전기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원격으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하나의 소켓에 연결된 복수의 전기기기에서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한번에 차단하기 위한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복수개의 소켓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별도의 중계서버를 거치지 않고 직접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소켓과 전기기기의 동작상태를 영상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입력받은 상용 교류 전원을 연결된 전기기기에 공급하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소켓; 및 상기 소켓과 연동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켓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에서 전송받은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결과에 따라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부; 및 상기 릴레이부의 동작상태에 따른 전원의 단속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에는 하나의 전기기기가 연결되거나 복수의 전기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멀티탭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리모콘은 상기 소켓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은 헤더소켓 및 서브소켓으로 구성되어 센서네트워크를 구현하고, 상기 헤더소켓은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와 직접 연동되어 헤더소켓 및 서브소켓의 동작상태를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헤더소켓 및 서브소켓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헤더소켓, 서브소켓 및 전기기기의 동작상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모듈은 상기 헤더소켓과 연동되어 영상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헤더소켓은 전송된 영상정보를 휴대용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영상모듈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대기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직접 뽑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므로, 쉽고 간편하게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전력소모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켓에 멀티탭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멀티탭에 연결된 복수개의 전기기기에서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한번에 차단할 수 있어 더욱 쉽고 간편하게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소켓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소켓에 연결된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더소켓과 휴대용단말기가 직접 연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중계서버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이로 인해 적은 비용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단말기와 연동되는 영상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켓과 전기기기의 동작상태를 직접 확인하면서 대기전력을 차단하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소켓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종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본 발명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입력받은 상용 교류 전원을 연결된 전기기기에 공급하며, 리모콘(20)으로부터 전송된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소켓(10); 및 상기 소켓(10)과 연동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켓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10)은 입력받은 상용 교류 전원을 연결된 전기기기에 공급하며,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기 위해 소켓(10)의 일면에 플러그가 형성되고 타면에 콘센트가 형성되어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에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소켓(10)은 220V 전원을 입력받아 전기기기에 공급할 수 있으며, 110V 전원을 입력받아 전기기기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와 콘센트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형태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10)은 리모콘(20)으로부터 전송된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소켓(10)에 연결된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즉, 리모콘(20)으로부터 전원공급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연결된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공급의 중지를 요청하는 원격신호가 전송되면 연결된 전기기기에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소켓(10)에서 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대기전력도 차단되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20)은 소켓(10)과 연동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켓(1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리모콘(20)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리모콘(20)과 연동된 소켓(10)의 동작상태를 확인한다. 즉,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연동된 소켓(10)에 전기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전기기기가 연결된 경우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 또한 연결된 전기기기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만일,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전기기기가 대기전력을 소모하고 있다고 나타난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상기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또한, 소켓(10)으로부터 전기기기에 5W 이하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기기기가 대기전력을 소모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한다.
또한, 리모콘(2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별도의 입력부(미도시) 없이도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소켓(10)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소켓(10)은 리모콘(2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는 통신모듈(11); 상기 통신모듈(11)에서 전송받은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 상기 신호처리부(12)에서 처리된 결과에 따라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부(13); 및 상기 릴레이부(13)의 동작상태에 따른 전원의 단속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모듈(11)은 리모콘(2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는다. 통신모듈(11)은 리모콘(20)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12)는 통신모듈(11)에서 전송받은 제어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부(13)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분석된 제어신호가 소켓(10)에 연결된 전기기기에 전원공급을 요청하는 신호이면 릴레이부(13)가 닫히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분석된 제어신호가 소켓(10)에 연결된 전기기기에 전원공급의 중지를 요청하는 신호이면 릴레이부(13)를 열리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릴레이부(13)는 신호처리부(12)에서 처리된 결과에 따라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한다. 신호처리부(12)에서 전원공급의 신호를 릴레이부(13)에 전송하면, 상기 릴레이부(13)는 닫히도록 구동되어 전기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신호처리부(12)에서 전원공급을 중지하는 신호를 릴레이부(13)에 전송하면, 상기 릴레이부(13)는 열리도록 구동되어 전기기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전기기기에 전원의 공급이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상기 전기기기가 소모하는 대기전력이 차단된다.
상기 표시부(14)는 릴레이부(13)의 동작상태에 따른 전원의 단속여부를 표시한다. 표시부(14)는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원의 단속여부에 따라 LED가 동작한다. 즉, 릴레이부(13)의 동작에 의해 전기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ON 부분의 LED가 동작하고, 릴레이부(13)의 동작에 의해 전기기기에 전원의 공급이 중지되면 OFF 부분의 LED가 동작한다.
또한, 표시부(14)는 전원이 공급되면 LED가 동작하고 전원의 공급이 중지되면 LED가 동작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기기기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경우, 이를 표시부(14)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소켓(10)은 전기기기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상기 과부하를 차단하기 위한 과부하 차단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기기의 노후 및 이상이 발생할 경우 과다한 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정격전류 이상의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에는 전기화재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과부하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소켓(10)에 과부하 차단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일반적인 소켓은 낙뢰의 역전압 발생으로 인하여 전기화재 및 전기기기의 손상 등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역전압 발생을 차단하기 위하여 소켓(10)에 낙뢰방지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켓(10)에는 하나의 전기기기가 연결되거나 복수의 전기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멀티탭(6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소켓(10)에 멀티탭(60)이 연결되고, 멀티탭(60)에는 복수개의 콘센트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멀티탭(60)에 복수개의 전기기기가 연결된다. 즉, 소켓(10)에 멀티탭(60)을 연결함으로써, 소켓(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멀티탭(60)에 연결된 모든 전기기기의 전원공급을 한번에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번의 리모콘(20) 조작을 통하여 복수의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켓(10)은 복수개 구비되며, 리모콘(20)은 상기 소켓(10)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가정내에 수 많은 전기기기들이 존재하며 상기 전기기기는 서로 다른 장소에 구비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켓(10)도 상기 전기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된다. 이때, 복수개의 소켓(10)은 하나의 리모콘(20)과 연동되어 동작한다.
즉, 각각의 소켓(10)에는 식별코드가 있으므로, 상기 식별코드를 리모콘(20)에 등록하여 소정의 소켓(10)와 리모콘(20)이 연동되도록 한다. 리모콘(20)에 소켓(10)의 식별코드를 등록하여 연동되면, 사용자는 복수개의 소켓(10)을 개별적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가정내부에 복수개의 소켓(10)이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먼저 사용자는 각각의 소켓(10)과 리모콘(20)이 연동되도록 상기 소켓(10)의 식별코드를 상기 리모콘(20)에 등록한다. 그 후, 사용자는 리모콘(20)에서 전원공급을 제어하고자 하는 소켓(10)을 선택하여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켓(10)은 헤더소켓(10a) 및 서브소켓(10b)으로 구성되어 센서네트워크를 구현하고, 상기 헤더소켓(10a)은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40)와 직접 연동되어 헤더소켓(10a) 및 서브소켓(10b)의 동작상태를 상기 휴대용단말기(40)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단말기(40)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헤더소켓(10a) 및 서브소켓(10b)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소켓(10)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복수개의 소켓(10)은 센세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즉, 복수개의 소켓(10) 중 어느 하나가 헤더소켓(10a)이 되고 나머지 소켓(10)은 서브소켓(10b)이 된다. 또한, 상기 헤더소켓(10a)은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단말기(40)와 직접 연동된다.
즉, 헤더소켓(10a)이 중심이 되어 네트워크를 구현하며, 서브소켓(10b)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는 최종적으로 헤더소켓(10a)에게 전송되며, 헤더소켓(10a)은 자신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와 서브소켓(10b)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40)에 전송한다.
또한, 헤더소켓(10a)은 휴대용단말기(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으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소켓(10)이 동작하도록 해당 소켓(10)에게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휴대용단말기(40)는 컴퓨터, 노트북, PDA, 스마트폰 등 모든 휴대용통신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헤더소켓(10a), 서브소켓(10b) 및 전기기기의 동작상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모듈(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모듈(30)은 헤더소켓(10a)과 연동되어 상기 헤더소켓(10a)에 영상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헤더소켓(10a)은 전송된 영상정보를 휴대용단말기(40)에 전송한다. 또한, 헤더소켓(10a)은 휴대용단말기(4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모듈(30)의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모듈(3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헤더소켓(10a), 서브소켓(10b) 및 영상모듈(30)은 센서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헤더소켓(10a)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따라서, 영상모듈(30)에서 획득된 헤더소켓(10a), 서브소켓(10b) 및 전기기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영상은 헤더소켓(10a)으로 전송되고, 상기 헤더소켓(10a)은 상기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단말기(4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용단말기(40)를 이용하여 영상모듈(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휴대용단말기(40)와 영상모듈(30)은 헤더소켓(10a)을 통해 연동되므로, 사용자가 휴대용단말기(40)에서 영상모듈(3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어신호는 헤더소켓(10a)을 거쳐 영상모듈(3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영상모듈(30)은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즉, 사용자는 영상모듈(30)을 구동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헤더소켓(10a), 서브소켓(10b) 또는 전기기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일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10… 소켓
10a… 헤더소켓
10b… 서브소켓
11… 통신모듈
12… 신호처리부
13… 릴레이부
14… 표시부
20… 리모콘
30… 영상모듈
40… 휴대용단말기
50… 중계서버

Claims (7)

  1. 입력받은 상용 교류 전원을 연결된 전기기기에 공급하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소켓; 및
    상기 소켓과 연동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켓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헤더 소켓 및 서브소켓으로 구성되어 센서네트워크를 구현하고,
    상기 헤더 소켓은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와 직접 연동되어 헤더 소켓 및 서브소켓의 동작상태를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헤더 소켓 및 서브소켓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며,
    상기 헤더 소켓, 서브소켓 및 전기기기의 동작상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에서 전송받은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결과에 따라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부; 및
    상기 릴레이부의 동작상태에 따른 전원의 단속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는 하나의 전기기기가 연결되거나 복수의 전기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멀티탭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리모콘은 상기 소켓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모듈은 상기 헤더소켓과 연동되어 영상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헤더소켓은 전송된 영상정보를 휴대용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영상모듈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00081070A 2010-08-20 2010-08-20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14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070A KR101149048B1 (ko) 2010-08-20 2010-08-20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070A KR101149048B1 (ko) 2010-08-20 2010-08-20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020A KR20120018020A (ko) 2012-02-29
KR101149048B1 true KR101149048B1 (ko) 2012-05-24

Family

ID=4583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070A KR101149048B1 (ko) 2010-08-20 2010-08-20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0810A1 (fr) * 2012-05-16 2013-11-22 France Telecom Dispositif limitant la consommation de courant pour des appareils electriques en veil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011Y1 (ko) 2006-07-05 2006-10-04 임재근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20090071456A (ko) * 2007-12-27 2009-07-01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011Y1 (ko) 2006-07-05 2006-10-04 임재근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20090071456A (ko) * 2007-12-27 2009-07-01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020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6099B2 (en) Power monitoring system
KR101035127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US8415826B2 (en) Power outlet apparatus with multiple sockets detection,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US9705330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usage
EP3125374B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WO2014052193A4 (en) Automatic local electric management system
KR101745702B1 (ko)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한 전력 소비 비교 분석 방법 및 전력 소비 비교 분석을 제공하는 스마트 플러그 시스템
CN204045864U (zh) 墙壁电源插座
KR100909598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및 소비전력 표시장치
CN106125709A (zh) 一种智能插座及其智能家居系统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AU2016204730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CN203119224U (zh) 多功能遥控插线板
JP5134359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機器、アウトレット
WO2016144638A1 (en) Light harvesting power supply with power management and load identification capability
CN101819417A (zh) 节能监控插座
KR20180000538A (ko) 스마트 플러그
TW201539919A (zh) 可攜式能源管理裝置、能源管理模組,以及能源管理方法
Rokonuzzaman et al. IoT-based distribution and control system for smart home applications
US20160370833A1 (en) Electrical Appliance Administration System
KR2014011825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
KR101149048B1 (ko)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CN206098953U (zh) 一种带智能计量的节能插排
CN104269697A (zh) 一种节能电源插座控制系统
TW201448401A (zh) 智慧型家庭用電監控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