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802B1 -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 Google Patents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802B1
KR101957802B1 KR1020170156429A KR20170156429A KR101957802B1 KR 101957802 B1 KR101957802 B1 KR 101957802B1 KR 1020170156429 A KR1020170156429 A KR 1020170156429A KR 20170156429 A KR20170156429 A KR 20170156429A KR 101957802 B1 KR101957802 B1 KR 101957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value
unit
terminal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331A (ko
Inventor
이동석
Original Assignee
(주)제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디 filed Critical (주)제이디
Priority to KR102017015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80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전 방지, 대기전력 저감 및 화재 방지를 위한 안전기능을 가지면서 충전 중 미디어 재생 기능도 가지는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온 동작 시에 입력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차단 스위치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가 인체 접촉 상태와 전도체 접촉 상태와 대기전력 상태와 과부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값의 범위로 감지됨에 따라 상기 차단 스위치를 온 동작시키는 안전 콘센트부와, 상기 입력 전원을 사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를 충전하는 유무선 충전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한 미디어파일이나 미리 저장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재생부와, 상기 안전 콘센트부와 상기 충전부와 상기 미디어재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발명이다.

Description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electronic socket of supporting media playback}
본 발명은 전자식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전 방지, 대기전력 저감 및 화재 방지를 위한 안전기능을 가지면서 충전 중 미디어 재생 기능도 가지는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수용하여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콘센트의 형태는 플러그 삽입구의 개수에 따라 단구형, 2구형 또는 멀티형 등이 있으며, 설치 형태에 따라 매립형과 이동형 등이 있다.
콘센트는 전원 공급원인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이 직접 공급되게 설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분전반과 콘센트 사이에 별도로 전원차단장치를 옥내에 설치하여 콘센트에서의 긴급 상황에 따라 분전반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그러나, 분전반, 전원차단장치 및 콘센트로 구성되는 구조에서는 콘센트에서 긴급 상황 즉, 인체 접촉이나 전도체 접촉이나 과부하나 과전류 상황이 발생할 시에 전원이 차단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이 어느 정도 존재하기 때문에, 긴급 상황 즉시 차단하는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콘센트를 커버하는 여러 보호 기구나 전원을 차단하는 콘센트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여전히 감전사고 예방을 위한 민감도에 문제를 안고 있으며,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과부하나 과전류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시적으로 전원이 필요한 장소에 전원을 차단하는 콘센트가 설치되는 경우, 그 콘센트의 오작동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가 콘센트에 연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도 발생함에 따라, 긴급 상황에서 맹점을 드러내고 있다.
한편,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각종 콘센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때, 기기까지의 배선 상에는 이른바 대기전력(STANDBY POWER)의 손실이 발생한다. 그 대기전력은 전기를 낭비하는 요인이다.
대기전력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원 플러그를 뽑아야 하지만 사용상 번거로움이나 불편으로 인해 대부분 전원 플러그를 각종 콘센트에 연결된 상태로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에서는 에너지 절감 차원에서 지속적인 홍보와 관련 법규를 마련하고는 있으나 그 또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어서 대기전력 저감 제품의 개발 또는 대기전력 표시의 의무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방안도 기존에 이미 사용 중인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를 전면적으로 교체하거나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없는 한 현실적인 실효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콘센트는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수용하여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일반적인 기능과, 긴급 상황 시에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만을 지원한다. 그러나, 최근 IoT(Internet of Things) 기술과 스마트 홈어플라이언스 기술이 소개되면서 융합된 멀티 기능을 가지는 제품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감전사고 예방, 대기전력 차단 및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 기능은 물론 단말기의 충전 및 충전 중 미디어 재생까지 가능한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옥내에서 전기에 관련하여 발생하는 긴급 상황 즉, 감전이나 과부하나 과전류 상황에 보다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으면서도 IoT(Internet of Things) 기술과 스마트 홈어플라이언스 기술에 기반한 융합된 멀티 기능으로서 충전 기능과 미디어 재생 기능을 가지는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의 특징은, 온 동작 시에 입력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차단 스위치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가 인체 접촉 상태와 전도체 접촉 상태와 대기전력 상태와 과부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값의 범위로 감지됨에 따라 상기 차단 스위치를 온 동작시키는 안전 콘센트부와, 상기 입력 전원을 사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를 충전하는 유무선 충전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한 미디어파일이나 미리 저장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재생부와, 상기 안전 콘센트부와 상기 충전부와 상기 미디어재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 스위치의 출력단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 전원을 상기 소켓으로 인출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용 입력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 전원을 상기 소켓으로 인출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원격 제어명령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전 콘센트부는 상기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측정회로와, 상기 전압 값을 측정하는 전압측정회로와, 상기 저항 값을 측정하는 저항측정회로와, 상기 공진 값 또는 상기 주파수를 측정하는 공진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른 온 또는 오프 상태를 빛으로 표시하거나 소리로 출력하는 온오프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접촉 상태와 상기 전도체 접촉 상태와 상기 대기전력 상태와 상기 과부하 상태를 구분하고, 상기 나열되는 각 상태에 해당하는 전류 값의 범위와 전압 값의 범위와 저항 값의 범위와 공진 값의 범위와 주파수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무선 충전부가 상기 단말기를 충전 중일 때, 상기 미디어재생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무선 충전부가 상기 단말기의 충전을 완료한 시에, 상기 충전을 완료한 시점 이후에 상기 미디어재생부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디어재생부의 미디어파일 재생 동작, 재생 중지 동작 및 미디어파일 선택 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재생부의 미디어파일 재생 동작, 재생 중지 동작 및 미디어파일 선택 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생성된 제어명령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미디어재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디어재생부에서 재생되는 미디어파일을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미디어재생부에서 재생되는 미디어파일을 소리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차단 스위치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체 접촉 상태와 상기 전도체 접촉 상태와 상기 대기전력 상태와 상기 과부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태와, 상기 차단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 감지 기능을 통해 감전사고를 예방하고, 전원 차단 기능을 통해 대기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또한 과전류 감지 기능을 통해 과부하로 인한 과열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전사고 예방, 대기전력 차단 및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 기능은 물론 단말기 충전 기능과 단말기 충전 중 미디어 재생 기능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IoT(Internet of Things) 기술과 스마트 홈어플라이언스 기술에 기반한 융합된 멀티 기능을 충족시킨다. 특히, 단말기 충전 중 미디어 재생 기능으로 인해 사용자가 충전 중에 지루하게 기다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는 옥내 또는 옥외에 설치되는 콘센트 자체일 수 있으며, 또는 이미 옥내나 옥외에 설치된 콘센트에 부가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의 콘센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의 개수에 따른 단구형, 2구형 또는 멀티형 등의 다양한 형태에 적용 가능하며, 매립형과 이동형 등의 설치 형태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기기기나 전자기기는 일종의 전자제품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전원 플러그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동작하는 모든 기기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는 안전 콘센트부(10)와 유무선 충전부(20)와 미디어재생부(30)와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안전 콘센트부(10)는 온 동작 시에 입력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11)를 구비하며, 차단 스위치(11)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차단 스위칭(11)의 입력 전원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
안전 콘센트부(10)에 구비되는 차단 스위치(11)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분전반(1)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출력단을 통해 인출하거나 분전반(1)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차단 스위치(11)의 스위칭은 온 동작 시에 입력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 콘센트부(10)는 차단 스위치(11)의 출력단에서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한 여러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안전 콘센트부(10)는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측정회로(12)와, 전압 값을 측정하는 전압측정회로(13)와, 저항 값을 측정하는 저항측정회로(14)와,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 성분을 포함하는 공진 값 또는 주파수를 측정하는 공진회로(15)를 구비할 수 있다.
안전 콘센트부(10)는 차단 스위치(11)의 출력단에서 전술된 회로들(12~15)에 의해 측정된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가 인체 접촉 상태와 전도체 접촉 상태와 대기전력 상태와 과부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값의 범위로 감지됨에 따라 차단 스위치(11)를 온 동작시킨다. 특히, 안전 콘센트부(1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차단 스위치(11)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옥내 또는 옥외 전원라인이 2개의 전선으로 구성되는 복선인 점을 감안하여 안전 콘센트부(10)에 구비되는 회로들(12~15)은 차단 스위치(11) 출력단의 2개 전선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안전 콘센트부(10)에 구비되는 회로들(12~15)이 차단 스위치(11) 출력단의 2개 전선 중 하나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40)는 안전 콘센트부(10)에 구비되는 회로들(12~15)에서 측정된 값을 토대로 차단 스위치(11) 출력단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차단 스위치(11)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전 콘센트부(10)로 출력한다.
제어부(40)는 안전 콘센트부(10)에 구비되는 회로들(12~15)로부터 입력되는 측정 값을 사용하여 차단 스위치(11)의 출력단에서 소켓(50)까지의 전력라인 상태를 감지한다.
제어부(40)는 차단 스위치(11) 출력단의 상태를 인체 접촉 상태, 전도체 접촉 상태, 대기전력 상태 및 과부하 상태로 구분하면서, 각 상태의 전류 값, 전압 값, 저항 값, 공진 값, 그리고 주파수를 정의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40)는 입력되는 측정 값이 각 상태 별로 정의되는 기준 값의 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차단 스위치(11)의 스위칭(온 또는 오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전 콘센트부(10)에 인가하여 차단 스위치(11)를 온 동작시켜 분전반(1)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자동 차단한다. 여기서, 정상 상태는 전자기기나 전기기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 후 그 기기들이 정상 동작하는 상태이며, 비정상 상태는 인체 접촉 상태, 전도체 접촉 상태, 대기전력 상태 및 과부하나 과전류 상태이다. 인체 접촉 상태는 사람이나 동물 등 생명체가 차단 스위치(11)의 출력단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이며, 전도체 접촉 상태는 금속과 같은 물체가 차단 스위치(11)의 출력단에 삽입되어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40)는 회로들(12~15)에 의해 차단 스위치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가 인체 접촉 상태와 전도체 접촉 상태와 대기전력 상태와 과부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값의 범위인지를 감지하기 위해, 인체 접촉 상태와 전도체 접촉 상태와 대기전력 상태와 과부하 상태에 각각 해당하는 전류 값의 범위, 전압 값의 범위, 저항 값의 범위, 공진 값의 범위 및 주파수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는 제어부(4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는다.
즉, 제어부(40)에 구비되는 메모리는 인체 접촉 상태와 전도체 접촉 상태와 대기전력 상태와 과부하 상태를 구분하고, 그 구분되는 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전류 값의 범위와 전압 값의 범위와 저항 값의 범위와 공진 값의 범위와 주파수 범위를 저장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40)는 회로들(12~15)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에 저장된 각 상태별 범위 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차단 스위치(11) 출력단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감지하거나, 인체 접촉 상태, 전도체 접촉 상태, 대기전력 상태 및 과부하 상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비정상 상태로 감지한다.
제어부(40)는 감지 결과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차단 스위치(11)를 온 동작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전 콘센트부(10)에 인가하여 분전반(1)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자동 차단한다.
별도의 예로써, 제어부(40)는 전자기기나 전기기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할 시의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를 기준으로 차단 스위치(11) 출력단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0)는 기기 별로 정상적인 연결상태에서 동작할 시의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며, 그 보유 정보를 차단 스위치(11) 출력단의 상태 감지를 위한 기준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기기 별 정상 상태일 때의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며, 기기 별 비정상 상태일 때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가 변화하는 범위에 대한 정보를 보유한다. 예로써, A 기기의 정상 상태일 때 저항 값에서 +1Ω을 초과하면, 제어부(40)는 비정상 상태로 감지한다.
소켓(50)는 차단 스위치(11)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구적인 수단으로, 전자기기나 전기기기에 마련되는 플러그가 기구적으로 삽입 체결되는 수단이다.
또다른 예로써, 제어부(40)는 차단 스위치(11) 출력단의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차단 스위치(11)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동작에 부가적으로 수동 스위칭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40)는 외부 입력수단을 통해 차단 스위치(11)의 강제 구동을 요청하는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차단 스위치(11) 출력단의 감지된 상태보다 우선하여 그 입력신호에 의해 차단 스위치(11)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입력 전원을 차단하는 온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는 전자기기나 전기기기가 정상적인 연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전술된 회로들(12~15)에서 측정된 값이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값임에 따라 차단 스위치(11) 출력단의 상태를 오판하는 경우에 대비한 것이다.
유무선 충전부(20)는 분전반(1)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사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2)를 충전한다.
유무선 충전부(20)는 단말기(2)에 유선전력신호 또는 무선전력신호를 생성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2)를 충전한다.
제어부(40)는 충전대상인 단말기(2)로부터 충전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충전상태정보에 따라 유무선 충전부(20)의 충전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0)는 단말기(2)로부터 수신된 충전상태정보에 기반하여 유무선 충전부(20)를 온 상태와 오프 상태와 수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40)는 수신된 충전상태정보가 만충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유무선 충전부(20)의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40)는 수신된 충전상태정보가 만충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유무선 충전부(20)의 동작을 온 상태에서 수면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면 상태는 유무선 충전부(20)가 단말기(2)로부터 충전상태정보만을 수신하는 상태이다.
만충 후 유무선 충전부(20)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경우는 단말기(2)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자기방전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제어부(40)의 처리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만충 후 유무선 충전부(20)를 온 상태에서 수면 상태로 전환시키는 경우는 단말기(2)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만충 후 자기방전을 고려한 것으로, 제어부(40)가 해당 배터리의 만충 후 기준 시간 대비 자기방전 비율이나 만충 후 기준 충전량에 이르는 자기방전 시간을 산정하고, 자기방전 비율이나 자기방전 시간에 따라 유무선 충전부(20)를 수면 상태에서 온 상태로 재전환시킨다. 그에 따라, 단말기(2)의 배터리가 항상 만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부가적으로, 제어부(40)는 산정한 자기방전 비율이나 자기방전 시간에 근거하여 단말기 별 충전능력 및 배터리 수명 등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미디어재생부(30)는 단말기(2)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한 미디어파일이나 미리 저장된 미디어파일을 재생한다.
제어부(40)는 유무선 충전부(20)가 단말기(2)를 충전 중일 때, 미디어재생부(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40)는 미디어재생부(30)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시점을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첫 째, 제어부(40)는 유무선 충전부(20)가 단말기(2)의 충전을 완료한 시에, 충전을 완료한 시점 이후에 미디어재생부(3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충전을 완료한 시점 이후의 의미는 충전을 완료한 즉시이거나 충전을 완료한 시점에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일 수 있다.
둘 째, 제어부(40)는 충전의 완료 시점과 상관 없이 충전을 위한 단말기(2)와의 유무선 연결이 끊어지는 시점 이후에 미디어재생부(3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충전을 위한 유무선 연결이 끊어지는 시점 이후의 의미는 유무선 연결이 끊어진 즉시이거나 유무선 연결이 끊어진 시점에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일 수 있다. 충전을 위한 무선 연결의 경우에는 단말기(2)가 공간적으로 본 발명의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는 미디어재생부(30)의 미디어파일 재생 동작, 재생 중지 동작 및 미디어파일 선택 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입력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40)는 입력부(80)를 통해 생성된 제어명령에 따라 미디어재생부(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본 발명의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는 제어부(40)가 미디어재생부(30)의 미디어파일 재생 동작, 재생 중지 동작 및 미디어파일 선택 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을 단말기(2)로부터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미디어재생부(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단말기(2)에 미디어재생부(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는데, 그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재생부(30)가 단말기(2)로부터 실시간 수신하여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미디어파일을 임시 저장한 후 재생하는 스트리밍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는 미디어재생부(30)에서 재생되는 미디어파일을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90)와, 미디어재생부(30)에서 재생되는 미디어파일을 소리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에서 구동용 입력버튼(60)과 온오프 인디케이터(70)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대한 설명에서는 구동용 입력버튼(60)과 온오프 인디케이터(70)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구동용 입력버튼(60)은 분전반(1)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차단 스위치(11)의 출력단 즉, 소켓(50)으로 인출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한다. 보다 상세하게, 구동용 입력버튼(60)이 온일 때, 분전반(1)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소켓(50)으로 인출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을 온시킨다.
특히, 구동용 입력버튼(60)은 2구형 또는 멀티형의 형태에서 다수 개의 소켓이 구비됨에 따라, 소켓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각 소켓 별로 전기적 연결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부(40)는 차단 스위치(11) 출력단의 상태에 따라 차단 스위치(11)의 스위칭을 자동 제어하고, 또한 구동용 입력버튼(60)에서 출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차단 스위치(11)의 스위칭을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온오프 인디케이터(70)는 차단 스위치(11)의 스위칭에 따른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출한다. 이를 위해, 온오프 인디케이터(70)는 차단 스위치(11)의 온 상태(차단)를 붉은 빛으로 나타내는 램프와 오프 상태(도통)를 초록 빛으로 나타내는 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온오프 인디케이터(70)는 차단 스위치(11)의 스위칭에 따른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소리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온오프 인디케이터(70)는 음성출력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온 상태를 나타내는 소리를 일정 시간 동안 출력하거나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소리를 일정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차단 스위치(11)의 스위칭을 제어하면서 차단 스위치(1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온오프 인디케이터(70)에 인가한다. 그에 따라 온오프 인디케이터(70)는 차단 스위치(11)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표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으로, 2구형 전자식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예는 도 1 및 2의 확장된 구성으로, 2구형 전자식 콘센트임에 따라 2개의 차단 스위치(11a,11b)가 구비되며, 2개의 차단 스위치(11a,11b)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소켓(51,52)가 구비된다.
제어부(40)는 2개의 차단 스위치(11a,11b)의 스위칭을 각각 제어한다.
안전 콘센트부(10)에 구비되는 회로들(12~15)은 2개의 차단 스위치(11a,11b)의 출력단에서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측정한다.
온오프 인디케이터(70)는 2개의 차단 스위치(11a,11b)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각각 구분하여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40)는 온오프 인디케이터(70)에 2개의 차단 스위치(11a,11b)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각각 구분하도록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40)는 제1 차단 스위치(11a)의 스위칭 제어와 제2 차단 스위치(11b)의 스위칭 제어를 구분하기 위해, 스위칭 제어를 위해 제1 차단 스위치(11a)에 인가하는 제1 제어신호와 제2 차단 스위치(11b)에 인가하는 제2 제어신호에 서로 다른 식별자(identifier)를 사용하여 각 제어신호를 구성한다.
또한, 안전 콘센트부(10)에 구비되는 회로들(12~15)도 제어부(40)에 제공하는 측정 값에 제1 차단 스위치(11a)의 측정 값을 나타내는 제1 식별자와 제2 차단 스위치(11b)의 측정 값을 나타내는 제2 식별자를 사용하여, 제어부(40)가 측정 값을 구분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의 동작을 단말기(2)로부터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구동용 입력버튼(60)에 의한 동작을 대신하는 원격 제어명령을 단말기(2)로부터 수신하여 소켓 별로 전기적 연결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40)는 단말기(2)로부터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분전반(1)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차단 스위치(11)의 출력단 즉, 소켓(50)으로 인출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한다. 특히, 2구형 또는 멀티형의 형태에서 다수 개의 소켓이 구비되는 경우에, 제어부(40)는 단말기(2)로부터 각 소켓 별로 전기적 연결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각 소켓 별로 전기적 연결을 온 또는 오프시킨다.
또한, 제어부(40)는 단말기(2)로부터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전술된 회로들(12~15)에 의해 측정된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고, 각 측정 값에 따른 차단 스위치(11) 출력단의 상태들 즉, 인체 접촉 상태와 전도체 접촉 상태와 대기전력 상태와 과부하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켓 별로 차단 스위치(11)의 동작 상태를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단말기(2)를 통해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의 동작 상태를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안전 콘센트부
11: 차단 스위치
12: 전류측정회로
13: 전압측정회로
14: 저항측정회로
15: 공진회로
20: 유무선 충전부
30: 미디어재생부
40: 제어부
50: 소켓
60: 구동용 입력버튼
70: 온오프 인디케이터
80: 입력부
90: 디스플레이부
100: 음성출력부

Claims (10)

  1. 온 동작 시에 입력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차단 스위치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가 인체 접촉 상태와 전도체 접촉 상태와 대기전력 상태와 과부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값의 범위로 감지됨에 따라 상기 차단 스위치를 온 동작시키는 안전 콘센트부;
    상기 차단 스위치의 출력단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
    상기 입력 전원을 사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를 충전하는 유무선 충전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한 미디어파일이나 미리 저장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재생부;
    상기 안전 콘센트부와 상기 충전부와 상기 미디어재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차단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른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빛으로 표시하는 램프를 구비하거나 상기 차단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른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소리로 출력하는 음성출력소자를 구비하는 온오프 인디케이터로 구성되되,
    상기 안전 콘센트부는,
    상기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측정회로와, 상기 전압 값을 측정하는 전압측정회로와, 상기 저항 값을 측정하는 저항측정회로와,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공진 값 또는 상기 주파수를 측정하는 공진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접촉 상태와 상기 전도체 접촉 상태와 상기 대기전력 상태와 상기 과부하 상태를 구분하고, 상기 인체 접촉 상태와 상기 전도체 접촉 상태와 상기 대기전력 상태와 상기 과부하 상태의 각 상태에 해당하는 전류 값의 범위와 전압 값의 범위와 저항 값의 범위와 공진 값의 범위와 주파수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 콘센트부에 구비되는 상기 전류측정회로와 상기 전압측정회로와 상기 저항측정회로와 상기 공진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 값을 사용하여 상기 차단 스위치의 출력단에서 상기 소켓까지의 전력라인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 콘센트부에 연결되는 기기 별 정상 상태일 때의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에 대한 정보(A)를 보유하며, 상기 안전 콘센트부에 연결되는 기기 별 비정상 상태일 때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가 변화하는 범위에 대한 정보(B)를 보유하되, 상기 정보(A)와 상기 정보(B)를 사용하여 상기 안전 콘센트부에 연결되는 기기의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안전 콘센트부에 인가하여 상기 차단 스위치가 온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차단 스위치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전류 값과 전압 값과 저항 값과 공진 값과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체 접촉 상태와 상기 전도체 접촉 상태와 상기 대기전력 상태와 상기 과부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태와, 상기 차단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무선 충전부가 상기 단말기를 충전 중일 때 상기 미디어재생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유무선 충전부가 상기 단말기의 충전을 완료한 시에 상기 충전을 완료한 시점 이후에 상기 미디어재생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을 상기 소켓으로 인출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용 입력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을 상기 소켓으로 인출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원격 제어명령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재생부의 미디어파일 재생 동작, 재생 중지 동작 및 미디어파일 선택 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생성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미디어재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재생부의 미디어파일 재생 동작, 재생 중지 동작 및 미디어파일 선택 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미디어재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재생부에서 재생되는 미디어파일을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미디어재생부에서 재생되는 미디어파일을 소리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10. 삭제
KR1020170156429A 2017-11-22 2017-11-22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KR101957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29A KR101957802B1 (ko) 2017-11-22 2017-11-22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29A KR101957802B1 (ko) 2017-11-22 2017-11-22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209A Division KR20170041580A (ko) 2015-10-07 2015-10-07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331A KR20170131331A (ko) 2017-11-29
KR101957802B1 true KR101957802B1 (ko) 2019-03-13

Family

ID=6081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429A KR101957802B1 (ko) 2017-11-22 2017-11-22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8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5229A (ja) * 2008-12-05 2010-06-1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配線接続器具およびそれを用いる配線接続器具探索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343A (ko) * 2002-01-08 2003-07-16 주식회사 다원기술 다기능멀티탭
KR20040040057A (ko) * 2002-11-06 2004-05-12 이근우 레벨미터를 구비한 콘센트 장치
KR100760279B1 (ko) * 2006-03-17 2007-09-20 임성규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KR100904853B1 (ko) * 2007-06-29 2009-06-26 삼성물산 주식회사 벽부형 멀티미디어 콘센트
KR101233411B1 (ko) * 2010-07-13 2013-02-15 (주)마이크로디지탈 전력 제어형 콘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5229A (ja) * 2008-12-05 2010-06-1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配線接続器具およびそれを用いる配線接続器具探索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331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2852B (zh) 恆溫器電池再充電
US8093753B2 (en) Sequential control master-slave socket device
CN104167720B (zh) 自动检测用电装置和电网状态并可延时断电的节电控制器
EP1451668A2 (en) Sensing socket assembly
CA2651548A1 (en)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JP2009109501A (ja) 電流表示装置
US7804255B2 (en) Dimming system powered by two current sources and having an operation indicator module
US20240168103A1 (en) Motor leakage current detector, devices using same and related methods
KR20130042933A (ko) 누전, 과부하 및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US105540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 operating status of a connector
KR101957802B1 (ko)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KR20170041580A (ko)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전자식 콘센트
KR101606085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483374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하는 대기전력 차단 전기장치
JP4191983B2 (ja) 電流表示装置
KR101370530B1 (ko) 전자식 콘센트
KR100373452B1 (ko) 전원차단장치
KR102455053B1 (ko) 스마트 누전 차단기
CN217115603U (zh) 自动感知和漏电检测保护电路
KR100975916B1 (ko) 홀센서를 이용한 그린 콘센트
JP2010086791A (ja) 配線器具
KR101175954B1 (ko) 반자동 스위치를 이용한 스마트 탭
CN112769092A (zh) 自动感知和漏电检测保护电路及应用
CN117639017A (zh) 配电设备、配电系统及配电设备的配电方法
WO2009015148A2 (en) Dimming system powered by two current sources and having an operation indicato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