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048A -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048A
KR20000012048A KR1019990030948A KR19990030948A KR20000012048A KR 20000012048 A KR20000012048 A KR 20000012048A KR 1019990030948 A KR1019990030948 A KR 1019990030948A KR 19990030948 A KR19990030948 A KR 19990030948A KR 20000012048 A KR20000012048 A KR 20000012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ug
control
remot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범
Original Assignee
이선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800298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80072121A/ko
Application filed by 이선범 filed Critical 이선범
Priority to KR101999003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048A/ko
Publication of KR2000001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0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고/저 부하기기에 대한 전원의 공급 및 공급차단 여부를 고/저 부하기기의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개인용 컴퓨터장치의 원격제어용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원격으로 전원제어할 수 있도록 된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용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고/저의 전기적 부하에 상기 상용전원을 급전하는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를 구비한 멀티콘센트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와 대응하는 개수로 이루어져서 상용전원을 각 플러그수납 포트에 순차적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스위칭을 행하는 다수의 스위칭수단과, 해당 멀티콘센트장치에 대해 별도로 설치되어 별도의 매트릭스스위치에 의한 전원공급명령의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중에 특정한 단일의 플러그수납 포트가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에 비해 상용전원의 최종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전원차단명령에 따라 특정의 플러그수납 포트가 최우선적으로 전원차단이 이루어지는 것으로부터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가 후속적으로 전원차단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스위칭수단을 제어하는 외부 순차전원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중에 특정의 플러그수납 포트는 상기 고부하기기로부터 인출된 전원플러그가 접속가능하게 할애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Sequential Power Control System for Multi-media Appliance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용 컴퓨터를 중심으로 구현되는 멀티미디어기기에 대한 전원 온/오프가 프로그램적으로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실행될 수 있도록 하면서, 휴지기간에는 멀티미디어기기에 대한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여 절전효과가 증대되도록 한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기술의 괄목할만한 발전추세에 부응하여 비디오테이프와 같은 영상기록매체에 수록된 영상/음성정보를 회전헤드를 통해 독취하여 재생시키도록 하는 비디오테이프레코더라던지, 주변의 화상을 촬상하여 비디오테이프에 기록하는 캠코더, 또는 전용의 튜너를 장착하고서 그 튜너를 통해 소정 방송규격의 방송채널신호를 선국하여 CRT와 스피커를 통해 영상/음성재생시키는 텔레비전 등과 같은 비디오재생기기가 개발되어 널리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비디오테이프레코더나 캠코더 또는 텔레비전 등과 같은 비디오재생기기는 예컨대 NTSC규격과 같은 소정 방송영상포맷에 기초하여 휘도신호와 색차신호(즉, R/G/B신호를 합성하여 얻어지는 I신호와 Q신호에 대한 색차신호) 및 동기신호가 혼재되어 합성된 형식을 갖는 복합영상신호(CVBS)를 통일된 비디오기록 및 재생방식의 신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바, 예컨대 비디오테이프레코더나 캠코더에 의한 비디오테이프로부터의 비디오신호는 그러한 CVBS신호의 형태로 수록되거나 독취되어 재생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그러한 각종의 영상신호에 대한 화면재현을 담당하는 영상표시장치에 대해서는 실제적인 현장감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텔레비전의 CRT화면에 대한 대형화가 실현됨과 더불어, 그 각종의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투사방식의 프로젝터기기를 통해 대형의 스크린상에 투사하여 재현시키도록 하는 대형화면의 구현도 현실화되고 있다.
한편, 전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대용량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및 데이터기록용 메모리 등을 각각 장착하고서 고속의 연산처리라던지 소정 항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관리 또는 문자의 입력 및 저장처리 등을 수행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의 경우에는 시스템아키텍쳐의 발전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데이터처리속도의 고속화에 부응하여 화상(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이나 그래픽 또는 음성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변형하거나 저장하는 처리기능도 채용되고 있는 추세인 바, 그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표시용 모니터측으로 공급되는 문자나 화상 또는 그래픽에 대한 비디오신호는 VGA방식이나 S-VGA(Super-VGA)방식의 비디오카드에 의한 신호처리를 거쳐서 3색의 R/G/B신호의 형태로서 발생되어 VGA나 S-VGA용의 표시용 모니터를 통해 재현되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비디오테이프레코더나 캠코더 또는 텔레비전 등과 같은 각종의 비디오재생기기와, 라디오방송의 수신재생과 더불어 오디오수록매체에 수록된 오디오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재생기기 및, 다양한 연산처리와 더불어 각종 멀티미디어정보의 통합적인 정보처리 및 표시가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장치를 통합적으로 이용하여 다수의 인원에 대해 문자/영상/음성적으로 복합화된 교육정보를 학습시키거나 강습시킬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교육용 멀티미디어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용 멀티미디어시스템에 있어서는 각각의 교육용 멀티미디어정보에 대한 재생을 담당하는 다수의 비디오재생기기 및 오디오재생기기와 개인용 컴퓨터장치가 각각 별도로 전원공급장치를 내장하고서 전용으로 제공되는 전원플러그를 통해 전원콘센트로부터의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바, 그러한 다수의 비디오재생기기 및 오디오재생기기와 개인용 컴퓨터장치를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의 동시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각각의 비디오재생기기 및 오디오재생기기와 개인용 컴퓨터장치로부터 인출되는 전원플러그를 전체적으로 수용하는 콘센트장치의 추가가 요구된다.
그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상기한 다수의 비디오재생기기 및 오디오재생기기와 개인용 컴퓨터장치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출되는 전원플러그를 통합적으로 수용가능하도록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를 갖춘 소위 "멀티콘센트"라는 다중포트형 콘센트장치가 실용화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멀티콘센트장치에 있어서는 해당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메인콘센트와 접속되는 메인플러그가 갖추어지는 한편 그 몸체에는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가 설치되어 다수의 비디오재생기기 및 오디오재생기기와 개인용 컴퓨터장치로부터 인출되는 전원플러그를 모두 수용하여 상용전원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그 개인용 컴퓨터장치와 다수의 비디오재생기기 및 오디오재생기기를 모두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몸체상에 설치된 메인스위치를 조작하여 각각의 플러그수납 포트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공급경로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한편, 상기 개인용 컴퓨터장치는 그 내부에 내장된 고속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데이터처리에 기초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장치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관련데이터의 로딩 및 멀티태스킹처리 등의 데이터운용을 위한 구동동작과, 다수의 주변기기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장치를 구동하거나 랜(LAN) 또는 전용의 데이터 변복조용 모뎀을 통한 데이터송수신 처리를 총괄해야 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높은 고전력부하기기로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고부하기기를 위시로 하는 다수의 저부하기기로서의 비디오재생기기나 오디오재생기기의 경우에는 그 처리효율면이나 전력의 사용특성상 저전력을 필요로 하는 저부하기기에 대한 기동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고 나서 후속으로 고전력을 사용하는 고부하기기에 대한 기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최적일 뿐만 아니라, 해당 기기들의 사용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고부하기기의 동작종료가 여타의 주변처리기기의 기능종료보다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종래의 멀티콘센트장치에서는 고부하기기나 저부하기기의 사용효율이나 전력특성과 무관하게 상용전원의 공급여부에 대한 조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전력을 사용하는 고부하기기가 저부하기기와 동일하게 초기 기동되거나 우선적으로 기동되는 경우에는 급작스런 고전력의 유입에 의해 불필요한 서지전류나 전원노이즈가 발생되면서 그 저부하기기에 대응하는 제어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로딩하기 위한 처리동작상에서 그 개인용 컴퓨터장치와 같은 고부하기기와 소정 저부하기기와의 불화가 조장되어 기기간의 오동작이나 관련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훼손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개인용 컴퓨터장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구동이나 그 개인용 컴퓨터장치에 직접 연결되는 시디롬드라이브나 별도의 인터페이스카드를 매개로 연결되는 각종의 외부기기에 대한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인 바, 그러한 원격제어장치를 통해서 그 개인용 컴퓨터장치와 다수의 비디오재생기기 및 오디오재생기기의 전원공급상태를 원격제어할 필요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장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다수의 작업용 메뉴창을 열고서 작업을 진행하다가 작업자가 급작스런 사정으로 그 컴퓨터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작업용 메뉴창을 일일이 닫고 작업하던 데이터를 저장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전력을 사용하는 고부하기기와 저전력을 사용하는 다수의 저부하기기에 상용전원이 동시에 인가되도록 각각의 전원플러그가 접속가능한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를 갖춘 멀티콘센트에서, 그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중에 특정의 플러그수납 포트를 할당하여 상용전원의 공급개시의 경우에 할당된 특정한 플러그수납 포트가 여타의 플러그수납 포트에 비해 최종적으로 상용전원을 공급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용전원의 공급차단시에 그 특정한 플러그수납 포트가 여타의 플러그수납 포트에 비해 우선적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도록 된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용 컴퓨터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부하기기에 대한 전원의 공급 및 공급차단 여부를 부하기기의 사용효율과 전력특성에 수반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원격제어용 원격키제어장치를 통해 원격으로 전원제어할 수 있도록 된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용 컴퓨터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부하기기에 대한 순차적인 전원공급/차단상태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용 원격키제어장치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장치의 전원제어에 수반하여 전원이 오프되면 작업내용을 자동저장하고 재차의 전원투입시 저장된 내용을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된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용 컴퓨터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부하기기에 대한 순차적인 전원공급/차단상태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용 원격키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그 개인용 컴퓨터장치에 대한 스크린세이버기능의 실행이 감지되면, 작업내용의 자동저장 및 무용한 전원의 순차적인 차단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상용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고/저의 전기적 부하에 상기 상용전원을 급전하기 위한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를 구비한 멀티콘센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이루어져서 상용전원을 각 플러그수납 포트에 순차적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스위칭을 행하는 다수의 스위칭수단과, 해당 멀티콘센트장치에 대해 별도로 설치되어 별도의 매트릭스스위치에 의한 전원공급명령의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플러그수납포트중에 특정한 단일의 플러그수납 포트가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에 비해 상용 전원의 최종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공급전원의 차단명령에 따라 상기 특정의 플러그수납 포트가 최우선적으로 전원차단이 이루어지는 것으로부터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가 후속적으로 전원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다수의 스위칭수단을 제어하는 외부 순차전원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중에 특정의 플러그수납 포트는 상기 고부하기기로부터 인출된 전원플러그가 접속가능하게 할애되도록 이루어진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고부하기기로서의 개인용 메인 컴퓨터장치와, 영상/음성의 멀티미디어정보를 녹화 또는 재생하는 다수의 저부하기기로서의 멀티미디어기기에 대해 전반적으로 전원공급을 수행하는 멀티콘센트로서의 전원분배제어장치에 대해, 그 고부하기기와 다수의 저부하기기의 전원플러그가 수용되는 플러그수납 포트에 대한 전원공급 또는 전원차단 여부가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별도의 원격제어용 원격키제어장치에 의한 키조작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초기 전원공급시 고부하기기의 전원플러그가 수용된 특정의 플러그수납 포트에 최종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면에, 전원차단시 그 특정의 플러그수납 포트가 최우선적으로 전원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그러한 원격키제어장치에 포함된 전원제어기능을 이용하여 메인 컴퓨터장치의 전원오프시 작업내용이 포함된 프로그램창에 대한 자동적인 저장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전원 재투입시 자동저장된 작업내용의 프로그램창이 모니터상에 재표시되어 연계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이 주변기기를 갖춘 개인용 컴퓨터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순차전원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기능의 실행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원격키제어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원격키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메인컴퓨터장치의 내부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9a∼도 9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라 메인모니터장치에 표시되는 원격키제어 표시창을 통해 원격전원제어기능과 프로그램창의 자동저장기능이 실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전원분배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회로 구성도,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키패드, 4:키입력인터페이스,
6,24:프로그램메모리, 8,26:데이터메모리,
10,28:CPU, 12,14,22:송수신 인터페이스,
32:키보드, 36:위치좌표입력장치,
42:하드디스크 드라이브장치, 44:메모리모듈,
46:전원공급모듈, 52:마이크로 프로세서,
76:전원제어 프로세서, 78:스위칭릴레이,
100:전원분배제어장치, C1∼C6:플러그수납 포트,
COM:메인 컴퓨터장치, SK:원격키제어장치,
M:메인 모니터장치, S1∼S4:부하장치,
DL1,DL2:송수신 컨넥터.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이 주변기기를 갖춘 개인용 컴퓨터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동 도면에 따른 멀티콘센트(200)에서는 해당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메인콘센트(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되는 메인플러그(P0)가 연장되고서 그 몸체의 전면으로 다수의 전원플러그가 동시에 접속가능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진 제 1∼제 4플러그수납 포트(C1∼C4)가 설치되고, 그 측면의 소정부에 후술하는 원격기능제어기(SK)로부터 인출되는 데이터라인(DL)과의 연결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멀티콘센트(200)는 제 1∼제 4플러그수납 포트(C1∼C4)중에서 제1콘센트(C1)를 고부하기기와 연결되는 특정의 플러그수납 포트로서 할당하게 되고, 후술하는 원격기능제어기(SK)의 상용전원의 조작을 위한 원격제어에 의해 상용전원의 초기공급 개시가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C2∼C4)로부터 시작하여 제 1플러그수납 포트(C1)에서 최종적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면에, 공급중인 상용전원의 공급차단이 제 1플러그수납 포트(C1)로부터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C2∼C4)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콘센트(200)에 설치된 제 1∼제 4플러그수납 포트(C1∼C4)는 4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증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 도면에서는 각종의 입력데이터에 대한 처리나 연산이 가능한 고부하기기로서의 개인용 컴퓨터(COM)는 그 제 1전원플러그(P1)가 연장되어 상기 멀티콘센트(200)의 제 1플러그수납 포트(C1)와 접속되도록 하는 동시에, 그 데이터포트가 예컨대 RS-232C와 같은 데이터컨넥터(SP)를 통해 원격기능제어기(SK)의 데이터입출력포트와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기능제어기(SK)는 그 전면에 다수의 관련 기능버튼이 설치되고서, 해당 고부하기기로서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대한 단축실행기능과, 인터넷통신에 사용되는 웹브라우저프로그램의 개시기능(즉, 인터넷콜기능), 프로그램의 실행상태에 대한 백업 및 이동기능, 특정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사용을 위한 허여절차로서의 비밀번호의 입력기능, 특정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대한 등록(Registration)과 등록번호이전 및 등록프로그램의 인덱스기능, 초기화를 위한 리세트기능, 모니터에 나타난 최종화면의 기억기능 및,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순차 전원인가방식의 PIPC(Phase-In Power Circuit)기능이 부여되고서 상기 데이터컨넥터(SP)와 데이터라인(DL)을 통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COM)와 멀티콘센트(200)에 대해 원격으로 제어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C0M)에서 수행가능한 여러 가지 특정한 기능들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치된 원격제어기(SK)를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해당 원격제어기(SK)에 설치된 다수의 관련 기능버튼을 그 개인용 컴퓨터(COM)의 본체 소정부에 설치하고서 상기한 기능들(즉, 프로그램의 단축실행기능과, 인터넷콜기능, 비밀번호의 입력기능, 프로그램의 등록/등록번호이전/인덱스기능, 최종화면의 기억기능 및, PIPC기능)을 통합적으로 관리처리하는 전용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이 내장되도록 하게 되면, 해당 개인용 컴퓨터(COM)를 통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200)에 대한 순차적인 전원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동 도면에 따르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COM)의 각종 처리동작을 보조하는 주변기기 즉, 저부하기기로서의 표시용 모니터(S1)와 프린터기기(S2) 및 스캐너기기(S3)가 소정의 컨넥터수단을 통해 그 개인용 컴퓨터(COM)와 연결된 상태에서, 그 각각의 제 2∼제 4전원플러그(P2∼P4)가 연장되어 제 1플러그수납 포트(C1; 즉, 상용전원 "온"시 최종적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상용전원의 "오프"시 최선(最先)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측의 플러그수납 포트)를 제외한 여타의 제 2∼제 4플러그수납 포트(C2∼C4)에 각각 접속되어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동 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매트릭스스위치(120)와, 클럭발생기(122), 제어프로세서(124),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126) 및,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28)의 구성은 상기 원격기능제어기(SK)에 내장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상기 매트릭스스위치(120)는 해당 원격기능제어기(SK)에 부여되어 있는 각종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기능조작이 가능한 다수의 매트릭스버튼이 구성되어 있고, 클럭발생기(122)에서는 그 원격기능제어기(SK)의 각종 기능에 대한 데이터처리가 동기되도록 하는 동작클럭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프로세서(124)는 해당 원격기능제어기(SK)에 부여되어 있는 각종 기능들(즉, 프로그램의 단축실행기능과, 인터넷콜기능, 비밀번호의 입력기능, 프로그램의 등록/등록번호이전/인덱스기능, 최종화면의 기억기능 및, PIPC기능)의 처리제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특히 순차적인 전원인가방식으로 상기 멀티콘센트(200)의 제 1∼제 4플러그수납 포트(C1∼C4)에 대한 순차적인 상용전원의 공급 또는 공급차단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126)는 상기 제어프로세서(124)의 제어처리결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여 데이터컨넥터(SP)를 매개로 상기 개인용 컴퓨터(COM)측으로 출력하게 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28)는 상기 데이터컨넥터(SP)를 매개로 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COM)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기능들에 대한 결과정보를 디지털변환하여 상기 제어프로세서(124)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동 도면에 나타난 멀티콘센트(200)의 내부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 1∼제 4플러그수납 포트(C1∼C4)의 설치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이루어져서 상기 원격기능제어기(SK)를 구성하는 제어프로세서(124)로부터의 제어처리에 의해 동작가능하게 되어 소정 시간의 지연처리를 거쳐서 각각 대응하는 제 1∼제4릴레이접점(R1∼R4)을 스위칭조작시키는 제 1∼제 4타이머릴레이(TR1∼TR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제 4릴레이접점(R1∼R4)은 상기 메인플러그(P0)로부터 상기 제 1∼제 4플러그수납 포트(C1∼C4)와 접속되는 2개의 전원경로중에 특정한 1개의 전원경로단간에 개재되어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제 4타이머릴레이(TR1∼TR4)와 그 제 1∼제4릴레이접점(R1∼R4)중 제 1타이머릴레이(TR1)와 그 제 1릴레이접점(R1)은 상기 제어프로세서(124)에 의한 순차 전원인가방식에 의한 제어에 따라, 상용전원의 초기기동시 그 메인플러그(P0)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전원을 상기 제 2∼제 4타이머릴레이(TR2∼TR4)와 그 제 2∼제 4릴레이접점(R2∼TR4)의 스위칭접속을 통해 제 2∼제 4플러그수납 포트(C2∼C4)에 순차적으로 공급시킨 다음에 최종적으로 제 1타이머릴레이(TR1)와 릴레이접점(R1)을 스위칭접속시켜서 그에 대응하는 제 1플러그수납 포트(C1)를 통해 최종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원공급의 종료시 상기 제 1플러그수납 포트(C1)측에 대응하는 제 1타이머릴레이(TR1)와 그 릴레이접점(R1)을 우선적으로 접속해제 한 다음에 상기 제 2∼제 4타이머릴레이(TR2∼TR4)와 그 제 2∼제 4릴레이접점(R2∼TR4)을 순차적으로 스위칭개방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고부하기기로서의 개인용 컴퓨터장치(COM) 및 저부하기기로서의 표시용 모니터(S1)와 프린터기기(S2) 및 스캐너기기(S3)로부터 각각 인출된 전원플러그(P1∼P4)가 해당 멀티콘센트(200)의 제 1∼제 4플러그수납 포트(C1∼C4)와 각각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장치(COM)에 할당된 다양한 기능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원격기능제어기(SK)가 데이터컨넥터(SP)를 매개로 그 개인용 컴퓨터장치(COM)와 연결됨과 동시에 데이터라인(DL)을 매개로 상기 멀티콘센트(200)의 제어입력단측과 접속되어 있다.
그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라인(DL)을 통해 연결된 원격기능제어기(SK)의 매트릭스스위치(120)에 의한 기능버튼조작에 의해 상용전원의 공급을 개시시키기 위한 기능입력이 행해지는 경우에, 그 원격기능제어기(SK)의 제어프로세서(124)는 상기 매트릭스스위치(120)의 키입력에 따라 해당 멀티콘센트(200)의 제 1∼제 4플러그수납 포트(C1∼C4)에 각각 대응하는 타이머릴레이(TR1∼TR4)중에 제 2∼제 4타이머릴레이(TR2∼TR4)에 대해 미리 결정된 소정 시간단위로 순차적인 조작이 이루어지고 나서 상기 고부하기기로서의 개인용 컴퓨터장치(COM)의 전원플러그가 접속된 측의 제 1플러그수납 포트(C1)에 대응하는 제 1타이머릴레이(TR1)를 최종적으로 조작제어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제 4타이머릴레이(TR2∼TR4)에 대한 순차적인 조작에 이어서 상기 제 1타이머릴레이(TR1)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에 대응하여 그 제 2∼제 4릴레이접점(R2∼R4)의 순차적인 스위칭접속으로부터 제 1릴레이접점(R1)의 최종적인 스위칭접속에 의해서, 상기 제1∼제 4플러그수납포트(C1∼C4)를 통해 저부하기기로서의 표시용 모니터(S1)와 프린터기기(S2) 및 스캐너기기(S3)로의 전원공급이 순차적으로 행해진 이후에 상기 개인용 컴퓨터장치(COM)로의 전원공급이 최종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순차적인 상용전원의 공급에 의해 각 기기에 대한 정상적인 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원격기능제어기(SK)의 매트릭스스위치(120)가 공급중인 상용전원의 차단을 위한 버튼조작을 행하게 되면, 상기 제어프로세서(124)는 미리 결정된 제어논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 1∼제 4타이머릴레이(TR1∼TR4)와 제 1∼제 4릴레이접점(R1∼R4)중에 상기 고부하기기로서의 개인용 컴퓨터장치(COM)와 접속된 측의 제 1타이머릴레이(TR1)를 우선적으로 스위칭차단시키도록 한 다음에, 예컨대 제 4타이머릴레이(TR4)를 기점으로 소정 시간단위로 제 3타이머릴레이(TR3)와 제 2타이머릴레이(TR2)를 순차적으로 조작시키면서 제 2 ∼ 제 4릴레이접점(R2 ∼R4)을 후속적으로 스위칭차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장치(COM)에 대한 전원공급의 차단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진 이후에, 저부하기기로서의 표시용 모니터(S1)와 프린터기기(S2) 및 스캐너기기(S3)에 대한 상용전원의 공급차단이 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동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나타난 원격기능제어기(SK)와 같은 별도의 기능제어수단에 의한 순차 전원인가방식의 제어처리(또는 개인용 컴퓨터(COM)에 설치된 기능버튼과 특정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의한 전원인가상태의 순차제어처리)와는 무관한 단독적인 순차 전원인가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해당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절환스위치(130)와, 절환제어부(132), 타이머릴레이부(134) 및, 직류변환부(136)는 해당 멀티콘센트(300)내에 팩키지화되어 통합적으로 내장되어 있도록 되어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절환스위치(130)는 해당 멀티콘센트의 전면 소정부에 설치되고서 상용전원의 순차공급 또는 순차 차단 여부를 스위칭하기 위한 단일의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절환제어부(132)는 상기 절환스위치(130)의 상용전원 순차공급처리를 위한 스위칭동작에 따라 타이머릴레이부(134)의 접속동작을 순차제어처리하여 그 제 1∼제 4플러그수납 포트(C1∼C4)중에서 제 2∼제 4플러그수납 포트(C2∼C4)의 전원공급을 위한 "온"상태로부터 최종적으로 상기 제 1플러그수납 포트(C1)에서 전원공급의 개시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처리하게 되고, 상용전원의 공급차단을 위한 스위칭에 따라 제 1플러그수납 포트(C1)로부터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C2∼C4)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전원공급이 "오프"처리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릴레이부(134)는 상기 제 1∼제 4플러그수납 포트(C1~C4)의 설치개수와 동일한 개수에 대응하는 제 1 ∼ 제 4타이머릴레이(TR1∼TR4)와, 그 제 1∼제 4타이머릴레이(TR1∼TR4)에 각각 대응하는 개수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메인플러그(P0)로부터 상기 제 1∼제 4서브플러그(C1∼C4)와 접속되는 2개의 전원경로중에 특정한 1개의 전원경로단간에 각각 개재되고서 그 대응하는 타이머릴레이(TR1∼TR4)의 시간지연처리의 결과에 따라 스위칭접점을 지연된 시간만큼 순차적으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직류변환부(136)는 상기 메인플러그(P0)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절환스위치(130)의 스위칭처리를 위한 전원과 상기 절환제어부(132)의 제어처리를 위한 동작전원으로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해당 멀티콘센트(300)의 제 1플러그수납 포트(C1)에 고부하기기로서의 개인용 컴퓨터장치로부터 인출된 전원플러그가 접속되고, 그 제 2∼제 4플러그수납 포트(C2∼C4)에 저부하기기로서의 표시용 모니터와 프린터기기 및 스캐너기기로부터 각각 인출된 전원플러그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직류변환부(136)에서는 메인플러그(P0)를 통해 인가받는 상용전원을 직류변환하여 동작전원으로서 절환스위치(130)와 절환제어부(132)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절환스위치(130)가 그 고부하기기와 저부하기기측으로의 상용전원의 공급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위칭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절환제어부(132)는 상기 절환스위치(130)의 스위칭절환상태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제어논리에 의해 제 2∼제 4타이머릴레이(TR22∼TR44)와 그 제 2∼제 4릴레이접점(R22∼R44)을 순차적인 소정 시간단위의 스위칭접속에 의해 우선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나서, 상기 고부하기기로서의 개인용 컴퓨터장치의 전원플러그와 접속된 제 1플러그수납 포트(C1)와 대응하는 제 1타이머릴레이(TR11)와 그 제 1릴레이접점(R11)을 최종적으로 스위칭접속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제 4플러그수납 포트(C2∼C4)에 각각 접속된 표시용모니터와 프린터기기 및 스캐너기기에 순차적으로 상용전원이 공급된 이후에, 최종적으로 제 1플러그수납 포트(C1)측으로 상용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한 순차적인 상용전원의 공급에 따라 각 기기에 대한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절환스위치(130)가 공급중인 상용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스위칭절환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절환제어부(132)는 제 1타이머릴레이(TR11)와 그 제 1릴레이접점(R11)을 우선적으로 스위칭차단시킴에 따라 상기 제 1플러그수납포트(C1)측으로의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고 나서, 제 2∼제 4타이머릴레이(TR22∼TR44)와 그 릴레이접점(R22∼R44)을 소정 시간단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접속해제시킴에 따라 상기 제 2∼제 4플러그수납 포트(C2∼C4)로부터의 상용전원의 공급이 후속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저부하기기로서의 표시용 모니터와 프린터기기 및 스캐너기기는 고부하기기로서의 개인용 컴퓨터장치에 대한 전원차단이 완료된 이후에 최종적이고 순차적으로 상용전원의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일의 고부하기기와 다수의 저부하기기의 전원접속이 멀티콘센트에 대해서 차별적으로 접속되면서 그 단일한 고부하기기가 다수의 저부하기기에 비하여 최종적으로 상용전원의 공급이 개시되도록 하는 반면에, 공급중인 전원의 차단시 최우선적인 차단처리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장치와 같은 고부하기기와 그에 종속되는 다수의 저부하기기에 대한 초기기동시와 기능종료시의 전원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됨과 더불어, 서지전류나 노이즈의 혼입이 미연에 방지되면서 보다 안정된 기능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상기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대해 채용되는 멀티콘센트가 자체적으로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를 순차적으로 전원공급시키거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방식에 더하여 그 멀티콘센트에 의한 주변 부하기기의 전원공급 또는 전원차단 여부를 프로그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프로그램적인 제어방식에 따라 각각의 플러그수납 포트를 개별적으로 전원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개인용 컴퓨터장치를 통한 스크린세이브기능이나 전원차단기능시에도 소프트웨어프로그램 작업데이터의 저장 및 재호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동 도면에 있어서 멀티콘센트의 형태로 이루어진 전원분배제어장치(100)는 해당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메인콘센트(도시되지 않음)의 플러그단자와 접속되는 메인플러그(P0)를 갖추고서 그 몸체의 전면으로 다수의 전원플러그가 동시에 접속가능하도록 다수개의 플러그수납 포트(본 발명에서는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가 설치되고, 그 측면의 소정부에 후술하는 원격키제어장치(SK)와 접속된 송수신 컨넥터(DL2)와의 연결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는 그 몸체 전면 일측에 상기 메인플러그(P0)를 통해 공급된 상용전원이 상기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에 전체적으로 인가되거나 차단되도록 스위칭절환시키기 위한 절환스위치(72)가 설치되고, 해당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중에서 예컨대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를 고부하기기로서의 메인 컴퓨터장치와 연결되는 특정의 플러그수납 포트로서 할당하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원격키제어장치(SK)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해 상용전원의 초기공급 개시가 이루어지면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C1∼C5)로부터 순차적으로 개시되어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에 대해 최종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순차적인 절환을 수행하는 반면에, 상기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에 전체적으로 공급중인 상용전원을 차단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그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공급용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로부터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C1∼C5)의 순서로 순차적인 전원의 차단이 행해지게 된다.
단, 후술하는 원격키제어장치(SK)에 의해 특정의 플러그수납 포트에 대한 단독적인 전원공급의 개시나 차단명령이 이루어지면, 지정된 플러그수납 포트에 대해서만 독립적으로 전원공급의 개시 또는 공급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 설치된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는 그 몸체에 6개가 설치되어 있는 세트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6개 미만 또는 7개 이상으로 그 수를 자유롭게 증감하여 세트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동 도면에서는 각종의 입력데이터에 대한 처리나 연산이 가능한 고부하기기로서의 개인용 메인 컴퓨터장치(COM)는 그 전원플러그(P6)를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특정한 고부하기기용 플러그수납 포트로서 지정된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와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전원제어기능에 기반한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제 1송수신 컨넥터(DL1)를 통해 후술하는 원격키제어장치(SK)의 데이터입출력포트와 연결되도록 한다.
또,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 구비된 특정한 제 6플러그수납 포트(P6)를 제외한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C1∼C5)에 대해서는 상기 메인컴퓨터장치(COM)의 각종 데이터처리 및 출력동작을 보조하는 주변의 부하기기나, 영상 및 음성정보와 같은 멀티미디어정보를 처리하는 저부하기기, 즉 표시용 메인 모니터장치(M)와 비디오테이프레코더(S1), 프린터장치(S2), 오디오장치(S3), 대형 화면표시장치(S4)가 메인 표시수단 및 제 1∼제 4부하장치로서 소정의 컨넥터수단을 통해 그 메인컴퓨터장치(COM)와 연결되거나 단독적으로 동작가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그 각각의 전원플러그(P1∼P5)가 연장되어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 즉, 상용전원의 "온"동작이 개시되면 최종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반면에 상용전원의 "오프"시 최우선적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측의 플러그수납 포트)를 제외한 여타의 플러그수납 포트(C1∼C5)중 소정의 플러그수납 포트에 각각 수용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기능의 실행상태를 전반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블록구성도로서, 동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 대해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가 각각 메인플러그(P0)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서 메인 컴퓨터장치(COM)와 메인 모니터장치(M) 및 제 1∼제 4부하장치(S1∼S4)가 전원공급을 받지 못하고 있는 초기의 상태에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전원제어버튼(PW)이 버튼조작되면 그에 따른 전원공급의 개시명령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 공급됨에 따라, 그 전원분배제어장치(200)가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플러그(P6)가 결합된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를 제외한 제 1∼제 5플러그수납 포트(C1∼C5)에 대해 상용전원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다음에, 최종적으로 상기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에 상용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로부터의 전원제어정보가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에 입력됨에 따라,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에서는 그 제어정보처리에 의해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에 의한 전원공급의 개시제어상태가 메인 모니터장치(M)의 영상화면상에 초기화면으로서 표시될 수 있도록 데이터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에 의한 전원제어 또는 메인 모니터장치(M)의 화면상에서 전원제어가 선택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된다.
이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원격키제어장치의 키버튼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따른 원격키제어장치(SK)에 있어서는 그 일측의 송수신포트에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와 연결되는 제 1송수신 컨넥터(DL1)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그 다른 측의 송수신포트에 대해서는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와 연결된 제 2송수신 컨넥터(DL2)가 전원제어에 관련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는 그 몸체의 전면 소정측에 메인 전원제어버튼(PW)이 설치되어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와 같은 특정한 플러그수납 포트에 대해서 여타의 플러그수납 포트(C1∼C5)에 비해 최종적인 전원공급의 개시나 전원오프시의 최우선적인 전원공급의 중단에 대한 전원제어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그 메인 전원제어버튼(PW)의 부근에 잠금버튼(SPW)을 별도로 설치하여 해당 메인 전원제어버튼(PW)에 대한 잠금조작을 수행함에 의해 부주의한 메인 전원제어버튼(PW)의 오조작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는 그 메인 전원제어버튼(PW)의 주변에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 할애된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C1∼C6)에 대응하는 수의 제 1∼제 6전원버튼(SW1∼SW6)이 설치되고서, 우선순위에 따른 전원공급/차단의 순차적인 제어기능과 무관하게 각 전원버튼의 조작상태에 따라 각각 지정된 플러그수납 포트에 대한 개별적인 전원공급의 개시 또는 차단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에는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의한 작업시 그 작업의 실행을 위한 엔터(Enter)기능이나 새로운 프로그램창의 생성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제 1프로그램제어버튼(PGB1)과,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에서 작업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창을 자동적으로 저장시키는 동작을 선행적으로 수행함과 더불어 그 메인 컴퓨터장치(COM)를 포함한 메인 모니터장치(M)와 제 1∼제 4부하장치(S1∼S4)를 전원"오프"시키기 위해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에 대한 전원공급이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원차단되도록 키입력되는 제 2프로그램제어버튼(PGB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는 개인용 컴퓨터장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마우스장치의 형상과 유사하게 설계되도록 하고 있지만, 소형화와 키조작상의 간편화를 염두하여 여러 가지 형상으로 변형하여 설계하여도 무방하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원격키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2는 해당 원격키제어장치(SK)의 전면에 설치된 전원제어버튼(PW)과, 제 1∼제 6 전원버튼(SW1∼SW6) 및, 제 1 및 제 2프로그램제어버튼(PGB1,PGB2)이 포함된 키패드를 나타내고, 4는 상기 키패드(2)의 키입력조작에 따른 키입력신호를 후술하는 CPU(10)에서 데이터처리가능한 신호의 형태로 인터페이싱처리하는 키입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6은 상기 키패드(2)의 키입력에 의한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순차적인 전원공급/차단제어와 개별적인 플러그수납포트에 대한 단독적인 전원공급/차단제어 및 전원공급의 차단시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에 대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창을 자동저장시키기 위한 제어동작에 관련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메모리를 나타내고, 8은 해당 원격키제어장치(SK)의 전원제어와 프로그램창의 자동저장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메모리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10은 상기 프로그램메모리(6)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동작되어 상기 키입력 인터페이스(4)를 통해 키패드(2)의 전원제어버튼(PW)이 버튼조작되는데 따른 버튼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에 대해 전원공급을 개시하기 위한 전원온제어신호 또는 공급전원의 차단을 위한 전원오프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과 더불어, 제 1∼제 6전원버튼(SW1∼SW6)의 키조작에 따라 각각 대응하는 플러그수납 포트(C1∼C6)를 개별적으로 전원공급 또는 전원차단시키기 위한 제어처리를 수행하는 CPU(Centural Processing Unit)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CPU(10)는 상기 키패드(2)의 제 1프로그램제어버튼(PGB1)이 키조작되면,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에서 소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수행에 관련된 엔터기능이나 새로운 프로그램창의 형성을 명령하는 프로그램제어명령을 전송하고, 그 제 2프로그램제어버튼(PGB2)이 키조작되면 그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소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수행처리 결과로 생성되는 프로그램창의 자동저장과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오프" 및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에 대한 순차적인 전원차단을 명령하는 제어명령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12는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측과 연결된 제 1송수신컨넥터(DL1)와 연결되어, 상기 CPU(10)와 메인 컴퓨터장치(COM)와의 데이터신호 송수신에 따른 인터페이스동작을 수행하는 제 1송수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14는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측과 연결된 제 2송수신 컨넥터(DL2)와 연결되고서,상기 CPU(10)와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와의 데이터신호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동작을 수행하는 제 2송수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메인 컴퓨터장치의 내부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동 도면에 나타낸 메인 컴퓨터장치(COM)에서 키보드 입력포트(34)와, 위치좌표 입력포트(38), 입출력포트(40), 메모리모듈(44), 마이크로 프로세서(52), 데이터 입출력포트(54,58,64)는 소정의 데이터송수신방식을 갖는 단일의 메인보드(Main Board)상에 실장되고, 해당 마이크로 프로세서(52)는 데이터처리상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의 데이터처리방식을 갖는 칩셋(Chipset)이 함께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34는 키보드(32)와 컨넥터를 통해 유선연결되고서 해당 키보드(32)의 키입력에 의한 키보드입력신호를 공급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52)측으로 전송하는 키보드 입력포트로서, 상기 키보드 입력포트(34)를 통해 입력되는 키보드(32)의 키보드입력신호는 통상적인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작동영역에 해당되는 문자나 숫자 또는 기능키의 입력신호와 더불어,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에 의해서도 제어처리가능한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 대한 전원의 우선순위를 통한 순차적인 제어입력과, 전원"오프"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프로그램창 자동저장 및,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 "오프"제어에 관련된 입력신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참조부호 38은 소위 "마우스입력장치"라고 칭해지는 위치좌표 입력장치(36)의 조작에 의한 위치좌표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52)측으로 전송하는 위치좌표 입력포트로서, 상기 위치좌표 입력포트(38)를 통해 입력받는 위치좌표 입력신호는 도스(DOS)나 윈도우즈(Windows) 또는 유닉스(Unix) 등과 같은 소정 운영체제의 기반하에서 메인 모니터장치(M)를 통해 표시가능한 기능메뉴의 선택 및 확인절차에 대한 위치좌표입력은 물론,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 대한 전원제어와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 "오프"제어 및 그 전원 "오프"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자동저장처리를 위한 위치좌표 입력에 의한 입력신호에 해당된다.
또, 참조부호 40은 상기 제 1송수신 컨넥터(DL1)를 매개하여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와 연결되고서, 그 원격키제어장치(SK)와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데이터신호의 입출력처리를 행하는 입출력포트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42는 소정의 데이터저장용량을 갖추고서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에 필요한 소정 운영체제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그 운영체제에 기반하여 작동가능한 다양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및 그에 대한 처리데이터를 자기기록방식으로 기록하거나 소거하는 것이 가능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메모리모듈(44)에 대한 데이터저장처리를 보조하여 가상메모리로서의 기능도 수행가능한 하드디스크장치로서, 그 하드디스크장치(42)는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에 의한 전원제어에 따라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상에 표시되는 소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작업중에 생성되는 프로그램창의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참조부호 44는 각종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실행 및 데이터처리상에서 발생되는 상태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소정 저장용량을 갖는 단위 메모리소자를 모듈화한 메모리모듈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46은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플러그(P6)를 통해 인가받은 AC전원을 정류 및 평활화하여 DC전원으로 변환하고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나 각종의 클럭구동소자(도시되지 않음) 등에 스텐바이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각각의 구동소자측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을 나타내고, 50은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본체 소정부에 설치된 전원키버튼(48)의 버튼조작이나 마이크로 프로세서(52)로부터의 전원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모듈(46)로부터 발생되는 DC전원에 대한 전원공급 또는 전원차단을 위한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전원스위칭부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52는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에 의해 수행가능한 각종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실행과 그에 관련된 데이터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는 상기 입출력포트(40)를 통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와의 데이터통신을 통해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 대한 전원제어와,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 "온/오프"제어 및, 전원오프시 소정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프로그램창의 자동저장처리에 관련된 데이터연산 및 출력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에서는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로부터의 제어명령이나 상기 키보드(32)로부터의 키보드입력신호 또는 위치좌표입력장치(36)로부터의 위치좌표 입력신호에 의해 프로그램창의 자동저장처리에 대한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메모리모듈(44)이나 하드디스크장치(42)에 확보된 메모리공간에 임시 저장된 프로그램창의 데이터를 해당 하드디스크장치(42)에 저장시킨 이후에, 상기 전원스위치부(50)를 스위칭제어하여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에서는 상기 키보드(32)나 위치좌표 입력장치(36)에 의한 기능설정상태에서는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를 순차적으로 전원"오프"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신호를 상기 제 1송수신 컨넥터(DL1)를 경유하여 원격키제어장치(SK)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54,58,64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가 실장된 메인보드상에 설치되고서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52)와 외부기기 또는 부가적으로 결합되는 기기와의 데이터입출력 경로를 제공하는 제 1∼제 3데이터 입출력포트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 1데이터 입출력포트(54)는 VGA카드 등과 같은 화면표시용 그래픽데이터 처리카드로 이루어진 화면표시모듈(56)을 매개로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와 컨넥터를 통해 연결되고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로부터의 전원온/오프제어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등록 및 실행에 관련된 데이터처리에 따른 문자데이터나 그래픽데이터를 그 메인 모니터장치(M)상에 화면표시할 수 있도록 출력함과 더불어 그 화면표시모듈(56)로부터의 응답데이터나 결과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데이터 입출력포트(58)는 예컨대 사운드블라스터(Sound Blaster) 등과 같은 음성처리용 데이터카드로 이루어진 음성처리모듈(60)을 매개로 스피커(62)와 연결되고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로부터의 미리 등록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의 결과로 발생되는 음성데이터신호를 스피커(62)를 통해 출력가능하도록 해당 음성처리모듈(60)에 전송시키거나 그 음성처리모듈(60)로부터의 응답데이터나 결과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한다.
또, 상기 제 3데이터 입출력포트(64)는 통신라인 컨넥터(68)를 매개로 일반 전화회선이나 ISDN회선 등과 같은 통신회선과 연결된 통신용 모뎀(66)과 결합되고서, 미리 등록된 통신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의 결과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2)와의 데이터송수신이 가능한 입출력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데이터입출력포트(54,58,64)는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와, 스피커(62) 및, 통신회선을 위한 데이터 입출력용으로서만 제공되고 있지만, 상기 부하기기로서의 비디오테이프레코더(S1)와 프린터 장치(S2), 오디오장치(S3), 대형 모니터장치(S4)와 연결하여 데이터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데이터 입출력포트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에 의한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우선순위에 따른 순차적인 전원제어를 위한 데이터처리 및,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등록 및 실행에 관련된 데이터처리에 따라 상기 화면표시모듈(56)의 그래픽처리를 거쳐서 메인 모니터장치(M)상에 화면재현되는 메뉴화면은 도 9a∼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전원제어버튼(PW)이 버튼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은 메인 컴퓨터장치(COM)와 메인 모니터장치(M)가 온되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에 의한 데이터처리에 의해 윈도우즈와 같은 운영체제에 기반한 초기화면상에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이 화면표시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에 의해 화면표시되는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은 그 원격키제어장치(SK)의 키입력용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메인 전원제어버튼용 아이콘(DPW)과, 잠금버튼용 아이콘(DSPW), 제 1∼제 6전원버튼용 아이콘(DSW1∼DSW6) 및, 제 1과 제 2프로그램제어버튼용 아이콘(PGB1,PGB2)이 표시되어 있고, 이러한 다수의 버튼용 아이콘에 대한 조작은 상기 키보드(32)나 위치좌표 입력장치(36)의 사용자 조작에 의한 커서(80)의 이동을 통해서 선택적으로 실행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도 9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 대해 우선순위에 기반한 순차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의 메인 전원제어버튼용 아이콘(DPW)상에 커서(80)를 접근시킬때마다 예컨대 "Power On"과 같이 전원"온"상태를 나타내는 문자표시가 수행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상기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전원이 공급되면서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이 화면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키보드(32)나 위치좌표 입력장치(36)을 사용자 조작하여 제 1∼제 6전원버튼용 아이콘(DSW1∼DSW6)중에 예컨대 제 1전원버튼용 아이콘(DSW1)에 상기 커서(80)를 접근시키는 경우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제 1전원버튼용 아이콘(DSW1)의 부근에 예컨대 "1번 On"과 같은 문자표시가 대응되는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1플러그수납용 포트(C1)의 전원공급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표시되고, 그 제 1∼제 6전원버튼용 아이콘(DSW1∼DSW6)중에 예컨대 제 4전원버튼용 아이콘(DSW4)을 조작하게 되면 해당 아이콘(DSW4)의 색채가 반전되면서 대응되는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4플러그수납 포트(C4)에 대한 전원공급 차단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원격키제어용 메뉴창(80)의 경우에는 윈도우환경이나 리눅스환경에서 각각의 메뉴창을 임의로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되고 있는 바, 해당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의 이동과 최소화 및, 메뉴창의 닫기기능이 실행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 대해 전원"온"조작이 행해져서 메인 컴퓨터장치(COM)를 포함한 여타의 부하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보드(32)나 위치좌표 입력장치(36)를 사용자 조작하여 소정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다음에,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제 1프로그램제어버튼(PGB1)을 키조작하거나 메인 모니터장치(M)상에 화면표시된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의 제 1프로그램제어버튼용 아이콘(DPGB1)을 지정하여 해당 실행중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엔터기능이나 새로운 프로그램창의 생성이 진행되도록 하게 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복수의 프로그램창(82A∼82C)이 화면표시된다.
이 때, 동 도면과 같이 복수의 프로그램창(82A∼82C)이 화면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제 2프로그램제어버튼(PGB2)이나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의 제 2프로그램제어버튼용 아이콘(DPGB2)이 조작되거나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에 설정된 스크린세이브기능이 실행되면,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해 수행되는 복수의 프로그램창(82A∼82C)의 데이터가 하드디스크장치(42)의 소정기록영역에 저장되고 나서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이 "오프"되는 한편,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에 대한 전원공급상태가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순차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복수의 프로그램창(82A∼82C)이 하드디스크장치(42)에 저장되고서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이 "오프"됨과 더불어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가 전반적으로 전원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메인 전원제어버튼(PW)이 키조작되면서 그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가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순차적으로 전원공급이 수행되는 경우에,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이 "온"되면서 그 하드디스크장치(42)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그램창(82A∼82C)에 따른 데이터가 로딩되어 메인 모니터장치(M)상에 표시됨과 더불어,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이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창(82A∼82C)상으로 화면표시된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전원분배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회로구성도로서, 동 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서, 참조부호 70은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와 제 2송수신 컨넥터(DL2)를 통해 유선연결되고서, 그 원격키제어장치(SK)의 CPU(10)와 해당 전원분배제어장치(200)내의 전원제어프로세서(76)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동작을 수행하는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72는 해당 전원분배제어장치(200) 외부의 소정측에 설치되고서 상기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의 전원공급 또는 전원차단상태를 절환하기 위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절환스위치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76은 클럭발생기(74)로부터 발생되는 동작클럭신호를 인가받아 그 동작이 활성화되고서, 상기 절환스위치(72)의 수동조작이나 상기 송수신 인터페이스(70)를 통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와의 데이터통신에 의해, 미리 결정된 제어논리에 따른 전원 온기능시의 전원공급 또는 전원오프기능에 의한 차단동작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에 대한 전원공급 또는 전원차단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처리하는 전원제어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 프로세서(76)는 상기 절환스위치(72)에 의해 전원 "온"조작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로부터 전원 "온"조작을 위한 데이터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상기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중에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플러그(P6)와 연결된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를 제외한 제 1∼제 5플러그수납 포트(C1∼C5)에 대한 전원공급이 우선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와 제 1∼제 4부하장치(S1∼S4)에 대한 전원공급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에,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와 연결된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에 대한 전원공급이 최종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처리하게 된다.
그 반면에, 상기 절환스위치(72)에 의해 전원 "오프"조작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로부터 전원 "오프"조작을 위한 데이터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플러그(P6)와 연결된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의 전원공급차단이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에, 그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를 제외한 제 1∼제 5플러그수납 포트(C1∼C5)에 대한 전원공급을 최종적으로 순차 차단시키게 된다.
또, 참조부호 78은 상기 전원제어 프로세서(76)로부터의 미리 결정된 전원제어논리에 따른 전원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에 대해 우선순위에 기반한 전원공급 또는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릴레이부로서, 상기 스위칭릴레이부(78)는 상기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의 설치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이루어지고서 소정 시간의 지연처리를 거쳐서 각각 대응하는 제 1∼제 6릴레이접점(SS1∼SS6)을 스위칭조작시키는 제 1∼제 6타이머릴레이(TR1∼TR6)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제 6릴레이접점(SS1∼SS6)은 상기 메인플러그(P0)로부터 상기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와 접속되는 2개의 전원경로중에 특정한 1개의 전원경로단간에 개재되어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1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단계 90에서 그 메인 플러그(P0)가 메인 콘센트에 연결된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서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중 제 5플러그수납 포트(C5)에 메인 모니터장치(M)의 전원플러그(P5)가 접속되고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에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플러그(P6)가 접속됨과 동시에 제 1∼제 4부하장치(S1∼S4)가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C1∼C4)중 소정 포트에 각각 그 전원플러그(P1∼P4)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측으로의 전원공급이 전체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경우에, 원격키제어장치(SK)의 CPU(10)에서는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몸체에 설치된 절환스위치(72)나 해당 원격키제어장치(SK)의 메인 전원제어버튼(PW)이 전원공급의 개시를 위해 수동조작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91).
상기 단계 91의 판단 결과, 상기 절환스위치(72)가 전원공급의 개시를 위해 조작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전원제어 프로세서(76)에서 미리 결정된 전원공급상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스위칭릴레이(78)를 제어함에 의해 그 제 1∼제 6타이머릴레이(TR1∼TR6)중에 제 1∼제 5타이머릴레이(TR1∼TR5)가 우선적으로 동작되어 각각의 릴레이접점을 스위칭시키면서 제 1∼제 5플러그수납 포트(C1∼C5)측으로 메인 플러그(P0)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다음에(단계 92), 제 6타이머릴레이(TR6)를 최종적으로 동작시켜서 제 6릴레이접점(SS6)을 스위칭시킴에 의해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에 최종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단계 93).
이 때, 상기 전원제어 프로세서(76)에서는 상기 스위칭릴레이(78)의 제어와 동시에 송수신 인터페이스(70)를 매개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측에 전원공급의 개시상태를 인식시키는 전원공급개시정보를 전송하게 되고, 그 원격키제어장치(SK)의 CPU(10)는 그 전원공급개시정보를 수신받은 결과로 제 1송수신 인터페이스(12)를 매개로 메인 컴퓨터장치(COM)측에 전원"온"제어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2)에서는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 의한 전원공급의 개시에 따라 전원공급모듈(46)로부터 스텐바이전원을 인가받아 스텐바이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로부터의 전원"온"제어명령에 따라 전원스위치부(50)를 스위칭제어하게 되면서 동작전원을 "온"시켜서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각 부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단계 94).
그 반면에, 상기 단계 91의 수행시에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전원제어버튼(PW)이 버튼조작되는 경우에, 해당 원격키제어장치(SK)의 CPU(10)에서는 전원공급개시를 위한 제어데이터를 제 2송수신 인터페이스(14)를 매개로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 전송시킴에 따라 그 전원분배제어장치(200)에서 스위칭릴레이(78)에 대한 스위치조작을 미리 결정된 제어논리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전원공급제어가 수행되도록 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CPU(10)는 상기 제 1송수신 인터페이스(12)를 매개로 메인 컴퓨터장치(COM)측으로 전원"온"제어명령을 전송하게 되면서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가 전원"온"동작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단계 95에서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2)에서는 윈도우즈나 리눅스기반의 운영체제에 따른 OS데이터를 로딩하여 그에 따른 표시데이터를 데이터입출력포트(54)를 매개로 화면표시모듈(56)로 전송하게 되면서, 그 화면표시모듈(56)의 표시데이터 처리에 따라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상에 윈도우즈나 리눅스시스템에 기반한 운영체제에 따른 초기화면이 화면표시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하드디스크장치(42)를 억세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제어관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데이터를 로딩함에 따라,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이 화면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단계 96에서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2)에서는 키보드(32)나 위치좌표 입력장치(36)에 의해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상에 표시되는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의 제 1∼제 6전원버튼용 아이콘(DSW1∼DSW6)중에 소정 전원버튼용 아이콘을 조작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원분배제어장치(200)상의 플러그수납 포트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려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상의 제 1∼제 6전원버튼용 아이콘(DSW1∼DSW6)중에 예컨대 제 4전원버튼용 아이콘(DSW4)이 그에 대응하는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4플러그수납 포트(C4)를 전원차단시키기 위해 조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에서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상에 해당 제 4전원버튼용 아이콘(DSW4)의 색채를 반전시켜서 표시시킴과 더불어, 제 1송수신 컨넥터(DL1)를 매개하여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측으로 해당 제 4플러그수납 포트(C4)의 전원차단을 명령하는 전원"오프"제어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CPU(10)는 그 메인 컴퓨터장치(COM)로부터의 전원"오프"제어명령을 입력받은 결과로, 제 2송수신 컨넥터(DL2)를 매개하여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측으로 제 4플러그수납 포트(C4)만의 제한적인 전원"오프"조작을 명령하는 명령정보를 송신하게 되면서 그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전원제어 프로세서(76)에서는 제 4타이머릴레이(TR4)를 동작시켜서 제 4릴레이접점(S4)을 스위칭시킴에 의해 제 4플러그수납 포트(C4)만이 한정적으로 전원공급차단되도록 한다(단계 97).
하지만, 상기 단계 96의 판단 결과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제 1∼제 6전원버튼(SW1∼SW6)이나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상에 표시되는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의 제 1∼제 6전원버튼용 아이콘(DSW1∼DSW6)이 개별적인 부하장치의 전원공급 차단을 위해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가 단계 98로 진행하여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하드디스크장치(42)에 저장된 다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중에서 소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는 키보드(32)나 위치좌표 입력장치(36)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상에 표시된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을 자동적으로 최소화시키는 처리를 수행하고(단계 99), 해당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장치(42)로부터 로딩하여 실행시킨 상태에서 윈도우즈나 리눅스시스템의 운영체제 기반하에서 가능한 해당 프로그램의 고유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그러한 윈도우즈나 리눅스시스템의 운영체제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복수개의 메뉴창을 열어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단계 100).
그 다음에, 단계 101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에서는 키보드(32)나 위치좌표 입력장치(36)를 통한 사용자 설정에 의한 스크린세이브(Screen Save)기능이나 해당 운영체제의 기반하에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스크린세이브기능이 그 설정시간의 경과에 따라 실행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그 스크린세이브기능이 실행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메인 모니터장치(M)상에 표시되는 소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작업상에서 열려진 복수의 메뉴창과 그에 관련된 작업데이터를 상기 하드디스크장치(42)의 미리 할당된 기억공간에 저장시킨 다음에, 전원스위치부(50)를 스위칭제어하여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단계 102).
이어,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전원제어 프로세서(76)에서는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로부터의 전원차단제어에 따라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제 6타이머릴레이(TR6)를 조작제어함에 의해 그 릴레이접점의 접속을 해제하여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플러그(P6)가 접속되는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측의 전원차단이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103).
그 다음에, 상기 단계 103과 같이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에 대한 전원차단이 이루어진 이후에 그 제 1∼제 5타이머릴레이(TR1∼TR5)를 순차적으로 조작제어하여 각각의 릴레이접점이 접속해제되도록 함에 의해 제 1∼제 5플러그수납 포트(C1∼C5)의 전원공급이 순차적으로 차단되도록 한다(단계 104).
그러한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에 대한 순차적인 전원차단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또 다른 전원공급의 재개를 위한 대기상태로 돌입하게 된다(단계 105).
한편, 상기 단계 101의 판단 결과 그 스크린세이브기능이 실행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전원차단시키기 위해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메인 전원제어버튼(PW)이 키조작되거나, 해당 키보드(32)나 위치좌표 입력장치(36)의 조작에 따라 메인 모니터장치(M)상의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에 설치된 메인 전원제어버튼용 아이콘(DPW)을 지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06).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를 전원차단시키기 위한 조작이 수행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102로 진행하여 그 단계 102에서 단계 105까지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 단계 107에서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CPU(10)에서는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에 대한 전원공급을 재개시키기 위해 그 키패드(2)의 메인 전원제어버튼(PW)이 조작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 그 메인 전원제어버튼(PW)이 조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 2송수신 컨넥터(DL2)를 매개로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의 전원제어 프로세서(76)에 전원공급의 개시를 위한 제어데이터를 전송하게 되고, 그 전원제어 프로세서(76)는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그 스위칭릴레이부(78)의 제 1∼제 5타이머릴레이(TR1∼TR5)를 우선적으로 순차 조작하게 됨에 따라 그 릴레이접점이 접속되면서 제 1∼제 5플러그수납 포트(C1∼C5)측으로의 전원공급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다음에, 최종적으로 제 6타이머릴레이(TR6)를 조작하게 되면서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에 대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단계 108).
따라서, 상기 제 1∼제 5플러그수납 포트(C1∼C5)측에 각각의 전원플러그(P1∼P5)가 접속된 제 1∼제 4부하장치(S1∼S4)와 메인 모니터장치(M)가 전원공급을 받아 각각 할당받은 고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에서도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를 통해 그의 전원공급모듈(46)에서 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스텐바이전원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 다음에, 상기 원격키제어장치(SK)의 CPU(10)에서는 제 1송수신 컨넥터(DL1)를 매개로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2)측으로 전원"온"제어명령을 전송하게 되고,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52)는 전원공급모듈(46)로부터 스텐바이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스위치부(50)를 스위칭제어하여 해당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이 "온"되도록 하게 된다(단계 109).
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에서는 상기 단계 102의 과정 수행에 따라 하드디스크장치(42)에 저장된 소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작업에 따른 복수의 메뉴창(82A∼82C)과 그에 관련된 작업데이터를 로딩하여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를 통해 재현적으로 화면표시하게 된다(단계 110).
이어, 단계 111로 진행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제어 관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로딩시켜서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의 초기화면을 상기 소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복수의 메뉴창(82A∼82C)이 표시된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도 7d 참조).
그에 따라,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에서는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상에 초기화면으로서 화면표시되는 소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복수의 메뉴창(82A∼82C)을 이용하여 작업을 재개할 수 있게 되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 1∼제 4부하장치(S1∼S4)와 연계하여 멀티미디어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그 실시양태에 구애받지 않고 그 요지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예컨대 상기 전원분배제어장치(200)는 그 제 1∼제 6플러그수납 포트(C1∼C6)중에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COM)의 전원플러그가 결합되는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에 대해서 전원공급시 여타의 플러그수납 포트에 비해 최종적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전원차단시 최우선적으로 전원공급상태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그 우선순위를 해당 제 6플러그수납 포트(C6)를 제외한 제 1∼제 5플러그수납 포트(C1∼C5)중에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모니터장치(M)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원격키제어용 메뉴창(DSK)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예시된 도면에 나타난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프로그램의 설계변경에 의해 여러 가지 형상으로 변형시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고부하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를 일예로 하고 저부하기기로서 그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출력 및 입력에 필요한 모니터와 프린터기기 및 스캐너기기 등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여타의 고부하기기와 그 고부하기기의 기능실현에 필요한 다수의 주변기기 즉, 저부하기기에 대해 하나의 플러그수납 포트가 고부하기기로의 전원공급전용으로 할애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각각 독립적인 기능동작이 가능한 고부하기기(예컨대 냉장고나 세탁기 등)와 저부하기기(예컨대 전기 스탠드나 다리미 등)에 대해서도 특정한 하나의 플러그수납 포트에 대해 고부하기기로의 상용전원 공급전용으로 할애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용 메인 컴퓨터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멀티미디어기기로서의 부하기기의 전원플러그를 동시에 수용하여 동시적으로 전원공급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에 대해, 개인용 컴퓨터장치의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원격키제어장치에 의해 전원공급 및 전원차단의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메인 컴퓨터장치와 여타의 부하장치에 대한 전원공급 또는 전원차단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장치와 같은 고부하기기와 그에 종속되는 다수의 저부하기기에 대한 초기 기동시와 기능 종료시의 전원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됨과 더불어, 서지전류나 노이즈의 혼입이 미연에 방지되면서 보다 안정된 동작의 수행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게 되고, 원격제어를 통한 전원제어가 가능하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1)

  1. 상용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고/저의 전기적 부하에 상기 상용전원을 급전하기 위한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를 구비한 멀티콘센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이루어져서 상용전원을 각 플러그수납 포트에 순차적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스위칭을 행하는 다수의 스위칭수단과,
    해당 멀티콘센트장치에 대해 별도로 설치되어 별도의 매트릭스스위치에 의한 전원공급명령의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중에 특정한 단일의 플러그수납 포트가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에 비해 상용전원의 최종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공급전원의 차단명령에 따라 상기 특정의 플러그수납 포트가 최우선적으로 전원차단이 이루어지는 것으로부터 나머지의 플러그수납 포트가 후속적으로 전원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다수의 스위칭수단을 제어하는 외부 순차전원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플러그수납 포트중에 특정의 플러그수납 포트는 상기 고부하기기로부터 인출된 전원플러그가 접속가능하게 할애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콘센트의 순차전원제어장치.
KR1019990030948A 1998-07-24 1999-07-24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 KR20000012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948A KR20000012048A (ko) 1998-07-24 1999-07-24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832 1998-07-24
KR1019980029832A KR19980072121A (ko) 1998-07-24 1998-07-24 멀티콘센트의 순차전원제어장치
KR1019990030948A KR20000012048A (ko) 1998-07-24 1999-07-24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048A true KR20000012048A (ko) 2000-02-25

Family

ID=2663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948A KR20000012048A (ko) 1998-07-24 1999-07-24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04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016A (ko) * 2000-07-22 2002-02-01 구자홍 외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KR100440999B1 (ko) * 2001-11-08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기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60279B1 (ko) * 2006-03-17 2007-09-20 임성규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KR100932637B1 (ko) * 2009-08-31 2009-12-21 (주) 와이엘헤세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이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
US8332671B2 (en) 2009-07-23 2012-12-11 Fujitsu Component Limited Power supply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016A (ko) * 2000-07-22 2002-02-01 구자홍 외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KR100440999B1 (ko) * 2001-11-08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기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60279B1 (ko) * 2006-03-17 2007-09-20 임성규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US8332671B2 (en) 2009-07-23 2012-12-11 Fujitsu Component Limited Power supply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of
KR100932637B1 (ko) * 2009-08-31 2009-12-21 (주) 와이엘헤세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이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8675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system for switching control of two position indication marks
US6599194B1 (en) Home video game system with hard disk drive and internet access capability
CN100479506C (zh) 具有包括计算机的多信号源的视频显示设备
JP5260229B2 (ja) 情報処理装置、省電力管理プログラム及び省電力管理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US6098174A (en) Power control circuitry for use in a computer system and systems using the same
JP5017785B2 (ja) 情報処理装置、高速起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2007525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0853402A2 (en) Audiovisual device and system and their control method
JP335848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6118001A1 (ja) 画像処理装置
US7136910B2 (en) Information device, information device system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device system
JP2000196648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制御装置
JP2004264588A (ja) 情報処理装置
KR20000012048A (ko) 멀티미디어기기의 원격전원제어에 의한 순차전원제어시스템
JP4615702B2 (ja) 出力データ制御装置
JP3309408B2 (ja) 入出力状態表示装置
JP2007329598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携帯電話機、入出力装置、入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731546B2 (ja) 映像表示装置
KR20000011962A (ko) 교육용 멀티미디어시스템
KR100602206B1 (ko) Scart 커넥터를 구비한 복합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284166B2 (ja) 情報処理装置
JP4892778B2 (ja) 映像表示装置用ネットワークボードと制御端末とを接続したシステム
JP2000010680A (ja) 表示装置、周辺機器共有方法及び記憶媒体
KR0121257Y1 (ko) 컴퓨터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오에스디 제어회로
JPH05176225A (ja) ビデオ編集スタジオを自動化するための仮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