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165A - 통신포트를 장착한 전원 콘센트 - Google Patents

통신포트를 장착한 전원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165A
KR20040067165A KR1020030004158A KR20030004158A KR20040067165A KR 20040067165 A KR20040067165 A KR 20040067165A KR 1020030004158 A KR1020030004158 A KR 1020030004158A KR 20030004158 A KR20030004158 A KR 20030004158A KR 20040067165 A KR20040067165 A KR 20040067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switch
rela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목
Original Assignee
이경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목 filed Critical 이경목
Priority to KR102003000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7165A/ko
Publication of KR2004006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1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나, 휴대폰, 또는 PDA 등의 통신 장비를 이용하여 중앙제어시스템에 연결된 장치들의 전원을 원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통신 포트를 장착한 전원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전원 콘센트와 제품의 플러그 사이의 아답터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특히, 중앙제어시스템의 전원 제어 신호에 의해 본 발명품의 릴레이 스위치의 상태를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전원 스위치를 ON/OFF 작동하여 제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제품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그리고, 중앙제어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전달함으로서 전원공급 상태 정보를 원격 제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며, 따라서, 원격지에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중앙제어시스템에 연결된 제품들의 전원 공급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포트를 장착한 전원콘센트를 구현한다.

Description

통신포트를 장착한 전원 콘센트{A Socket with Communication Port}
본 발명은 컴퓨터나, 휴대폰, 또는 PDA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중앙제어시스템에 연결된 장치들의 전원을 원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통신 포트를 장착한 전원 콘센트에 관한 기술로 기존의 콘센트와 제품의 플러그 사이의 아답터로서 사용된다.
기존의 가전 제품과 전원 콘센트를 접속하는 방법은 그냥 플러그를 콘센트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되어져 있다. 그러나,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품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원격지에서 전송한 제어정보에 따라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리고, 또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파악하여 원격지 제어 장치에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방식의 콘센트와 소켓 구성으로는 전원공급 상태 정보를 원격지로 알려줄 방법이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원격지 제어 정보를 중앙제어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유선 또는 무선 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수신된 제어정보에 따라 릴레이를 작동시켜 전원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 통신기능을 장착한 전원 콘센트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 조작을 함으로서 가전제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도 함께 구현한다.
아울러,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 정보를 원격지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추가로 구현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적 기능도 추가한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기능을 장착한 전원 콘센트를 구현한다.
도1은 통신포트를 장착한 유선 전원 콘센트의 전체구성도,
도2는 중앙제어시스템과 다수의 무선콘센트들로 구성된 시스템 전체구성도,
도3은 무선 통신포트를 장착한 무선 콘센트의 전체구성도,
도4는 무선송수신수단의 구성도이며,
도5는 전원공급감지수단의 구성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릴레이수단 20 : 스위치수단
30 : 전원공급상태감지수단 40 : 전원 입력부
50 : 전원공급단자부 60 : 선로
70 : 릴레이전원공급부 80 : 전원공급상태 출력부
90: 무선 송수신 수단 95: 중앙제어시스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통신포트를 장착한 유선 전원 콘센트의 전체구성도로서, 전원 입력부(40)에서 전원을 두 선로를 통하여 공급받고, 한쪽 선로는 전원공급단자부(50)에 연결되고, 다른 선로는 전원공급상태감지수단(30)으로 입력된다. 전류가 전원공급부(50)에 공급되면 상기 전원공급상태감지수단(30)에서 전원공급상태 출력부(80)로 전원공급상태 신호를 출력하게된다. 또한, 릴레이수단(10)은 보통상태에서는 위쪽으로 스위치가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위쪽 선로(60)를 통하여 스위치수단(20)에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ON/OFF함으로 전원공급부(50)에 전원 공급 상태를 ON/OFF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릴레이전원공급부(70)를 통하여 릴레이수단(10)의 전원 공급상태를 제어함으로 릴레이수단(10)의스위치 상태를 제어할 수가 있으므로 스위치수단(20)의 ON/OFF 상태에 상관없이 전원공급부(50)의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2는 중앙제어시스템(95)과 다수의 무선콘센트(400)들로 구성된 시스템 전체구성도로서, 인터넷이나 통신 장치에 연결되어 원격지 제어가 가능한 중앙제어시스템(95)에서 무선으로 각 무선콘센트(400)에 해당하는 채널에 전원공급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해당 무선콘센트(400)는 전원공급 신호를 처리하여 전원공급부(50)의 출력 전원을 On/OFF 제어하게된다. 또한, 각 무선콘센트(400)는 전원공급 상태신호를 중앙제어시스템(95)에 무선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전원공급 상태확인이 가능하도록한다.
도3은 무선 통신포트를 장착한 무선 콘센트(400)의 전체구성도로서, 전원 입력부(40)에서 전원을 두 선로를 통하여 공급받고, 한쪽 선로는 전원공급단자부(50)에 연결되고, 다른 선로는 전원공급상태감지수단(30)으로 입력된다. 전류가 전원공급부(50)에 공급되면 상기 전원공급상태감지수단(30)에서 무선 송수신 수단(90)로 전원공급상태 신호를 출력하게된다. 무선 송수신 수단(90)은 전원공급상태 신호를 중앙제어시스템(95)에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전원 공급 상태를 알 수 있게된다. 또한, 릴레이수단(10)은 보통상태에서는 위쪽으로 스위치가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위쪽 선로(60)를 통하여 스위치수단(20)에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ON/OFF함으로 전원공급부(50)에 전원 공급 상태를 ON/OFF 제어 할 수가 있게 된다. 중앙제어시스템(95)에서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무선 송수신수단(90)에 전송하면, 무선송수신수단(90)은 릴레이수단(10)의 전원 공급상태를 제어하여 릴레이수단(10)의 스위치 상태를 제어할 수가 있으므로 스위치수단(20)의 ON/OFF 상태에 상관없이 전원공급부(50)의 전원공급 상태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4는 무선송수신수단(90)의 구성도로서, 무선송수신수단(90)은 중앙제어시스템(95)에서 각 무선콘센트(400)로 무선 송신된 전원공급 제어 신호를 안테나(210)로 수신하고, 송수신 처리부(220)에서 수신된 신호를 신호처리부(23)에 전달하면, 신호처리부(230)에서는 자신이 호출 채널인지를 확인하고, 호출되었으면, 전원제어정보추출부(240)에서 전원제어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전원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릴레이전원공급부(250)로부터 릴레이제어수단(10)으로 전달하게된다. 또한, 전원공급상태신호처리부(260)은 전원공급상태감지수단(30)에서 전달된 전원공급상태신호를 입력받아 중앙제어시스템(95)에서 인식되는 정보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처리부(220)로 전달한다. 송수신처리부(220)는 안테나(210)을 통하여 무선으로 중앙제어시스템(95)에 전달하게된다.
도5는 전원공급상태감지수단(30)의 구성도로서, 광커플러가 예로서 사용되었다. 동작 원리는 전원공급 감지수단(30)을 통하여 전원공급부(50)에 전류가 공급되면 발광다이오드(110)가 빛을 발사하게되며, 포토트랜지스터(120)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여 전원공급상태출력부(80)에 전원공급상태 신호가 발생하게된다. 또한 발광 빛이 외부로 출력되도록하면 시각적으로 전원공급 상태 확인이 가능하게된다.
따라서, 본발명의 콘센트에 의하면 휴대폰, PDA, 컴퓨터와 같은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언제어디에서나 원격지에서 집이나 사무실의 제품들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게됨으로서, 미래형 생활 방식을 제공하게될 것이다. 즉, 기존의 콘센트에는 없는 기능을 추가하여, 기존의 콘센트와 가전제품 플러그 사이에 부착되는 아답터로 사용됨으로서 기존의 제품에 변경 없이도 원격지 관리가 가능하도록하였다.

Claims (7)

  1. 전원공급상태 감지 수단;
    중앙 제어장치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원공급상태출력부;
    전원공급제어에 의해 릴레이 스위치의 열림/닫힘을 제어하는 릴레이수단;
    그리고, ON/OFF 작동하는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수단에 스위치 수단이 병렬로 연결되어, 릴레이 전원 제어를 통하여 릴레이 스위치 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스위치 수단의 스위치 상태를 직접 제어함으로 전원공급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ON/OFF 제어하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상태 출력 수단을 내장한 통신포트 기능을 장착한 전원 콘센트
  2. 전원공급상태 감지 수단;
    중앙 제어장치에 정보를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수단;
    전원공급제어에 의해 릴레이 스위치의 열림/닫힘을 제어하는 릴레이수단;
    그리고, ON/OFF 작동하는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수단에 스위치 수단이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무선송수신 수단으로부터 릴레이 공급 전원을 제어함으로 릴레이 스위치 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스위치 수단의 스위치 상태를 직접 제어함으로 전원공급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ON/OFF 제어하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상태 신호를 상기의 무선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무선으로 출력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통신포트 기능을 장착한 전원 콘센트
  3. 제 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상태감지 수단은
    광커플러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공급상태감지 수단을 통하여 전원공급부에 전류가 공급되면 전원공급상태출력부에 전원공급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 통신포트 기능을 장착한 전원 콘센트
  4.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상태 감지 수단은
    전원공급부에 전류가 공급되면 램프가 빛을 발광하게하여 전원 공급 상태가 시각적으로 보이는 장치를 더 포함한 통신포트 기능을 장착한 전원 콘센트
  5. 전원공급제어에 의해 릴레이 스위치의 열림/닫힘을 제어하는 릴레이수단,
    전원공급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공급상태감지수단,
    그리고, ON/OFF작동하는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수단에 상기 스위치 수단이 병렬로 연결되어, 전원 제어를 통하여 릴레이 스위치 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스위치 수단의 스위치 상태를 직접 제어하여 전원공급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ON/OFF 제어할 수가 있는 기능을 내장한 통신포트 기능을 장착한 전원 콘센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상태감지수단은
    전원공급부에 전류가 공급되면 램프가 빛을 발광하도록하여 전원 공급 상태가 시각적으로 보이는 장치를 더 포함한 통신포트 기능을 장착한 전원 콘센트


  7. 전원공급제어에 의해 릴레이 스위치의 열림/닫힘을 제어하는 릴레이수단,
    그리고, ON/OFF 작동하는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수단에 스위치 수단이 병렬로 연결되어, 전원 제어를 통하여 릴레이 스위치 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스위치 수단의 스위치 상태를 직접 제어함으로 전원공급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ON/OFF 제어할 수가 있는 전원 스위치
KR1020030004158A 2003-01-22 2003-01-22 통신포트를 장착한 전원 콘센트 KR20040067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158A KR20040067165A (ko) 2003-01-22 2003-01-22 통신포트를 장착한 전원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158A KR20040067165A (ko) 2003-01-22 2003-01-22 통신포트를 장착한 전원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165A true KR20040067165A (ko) 2004-07-30

Family

ID=3735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158A KR20040067165A (ko) 2003-01-22 2003-01-22 통신포트를 장착한 전원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71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2076A2 (en) * 2007-06-27 2008-12-31 Seong-Kyu Lim Plu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9277A (ja) * 1988-06-20 1989-12-25 Fujitsu General Ltd コンセント装置
KR200252574Y1 (ko) * 2001-06-20 2001-11-16 김재성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KR200275226Y1 (ko) * 2002-01-25 2002-05-17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무선제어 멀티 콘센트 및 무선 컨트롤러
KR200290868Y1 (ko) * 2002-05-27 2002-10-04 이성주 콘센트
KR20030076122A (ko) * 2002-03-22 2003-09-26 이근영 원격제어기와 잠금장치를 가진 타이머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9277A (ja) * 1988-06-20 1989-12-25 Fujitsu General Ltd コンセント装置
KR200252574Y1 (ko) * 2001-06-20 2001-11-16 김재성 원격 전원 제어용 멀티탭
KR200275226Y1 (ko) * 2002-01-25 2002-05-17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무선제어 멀티 콘센트 및 무선 컨트롤러
KR20030076122A (ko) * 2002-03-22 2003-09-26 이근영 원격제어기와 잠금장치를 가진 타이머 장치 및 그 방법
KR200290868Y1 (ko) * 2002-05-27 2002-10-04 이성주 콘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2076A2 (en) * 2007-06-27 2008-12-31 Seong-Kyu Lim Plug device
WO2009002076A3 (en) * 2007-06-27 2009-02-26 Seong-Kyu Lim Plug device
KR100935186B1 (ko) * 2007-06-27 2010-01-06 임성규 플러그장치
US8531061B2 (en) 2007-06-27 2013-09-10 Seong Kyu Lim Plug device for controlling connection with power sou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4182C (zh) 数据传输装置和用于该装置的便携式电子设备和现场设备
KR101835085B1 (ko)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TWI483580B (zh) 智慧插排及應用該智慧插排的智慧家居系統
KR100927337B1 (ko) Rfid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JP2010517135A (ja) エネルギ管理システム
KR20120087257A (ko)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소전력 원격 제어관리시스템
KR20130072450A (ko)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제어장치 및 전력관리시스템
KR20140062809A (ko) 지능형 플러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식
KR100440210B1 (ko) 온도 감지 및 감응형 전원접속구 및 스위치
KR20040067165A (ko) 통신포트를 장착한 전원 콘센트
TWM455163U (zh) 智慧插排及應用該智慧插排的智慧家居系統
KR101041410B1 (ko)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205247614U (zh) 一种基于红外转发的控制系统
CN211320508U (zh) 一种智能插座及无线通信系统
CN202111680U (zh) 一种无线控制开关
JP2005278267A (ja) 電流監視装置
CN106597958A (zh) 智能开关免布线多控系统及多控方法
KR101546731B1 (ko) 무선중계기가 구성된 화재감지시스템
KR101055995B1 (ko) 지능형 전원연결구
CN102969626A (zh) 一种转接插座和装置
CN209879724U (zh) 一种具有紧急呼叫功能的电力载波遥控器
KR20020004098A (ko) 가정 및 사무실 전기관리 시스템
CN215345179U (zh) 智能灯
KR101110960B1 (ko)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및 대기전력 차단장치.
US7986226B2 (en) Remote outpu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