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962A -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 - Google Patents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962A
KR20150086962A KR1020140007246A KR20140007246A KR20150086962A KR 20150086962 A KR20150086962 A KR 20150086962A KR 1020140007246 A KR1020140007246 A KR 1020140007246A KR 20140007246 A KR20140007246 A KR 20140007246A KR 20150086962 A KR20150086962 A KR 20150086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erminal
illumination
support bod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495B1 (ko
Inventor
정원영
Original Assignee
정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영 filed Critical 정원영
Priority to KR102014000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49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마련된 광원의 구동에 의해 조명광을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된 조명볼과, 상면 중앙에 조명볼의 장축방향이 수평방향이 되게 조명볼이 안착될 수 있게 호형 곡률을 갖는 제1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1안착홈 중앙에 조명볼의 장축방향이 수직방향이 되게 조명볼이 안착될 수 있게 제1안착홈 보다 하방으로 더 깊게 제2안착홈이 형성된 지지본체와, 지지본체로부터 상기 조명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고, 조명볼은 장축이 수직하게 되게 지지본체의 제2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본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램프 구조체에 의하면, 둥지 형상의 지지본체에 알형상의 조명볼을 직립상태로 세우거나 누운상태로 안착시키는 조작에 따라 조명볼로의 전력공급이 조정되게 함으로써 조작성이 좋으면서도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lamp unit having shape of nest and egg}
본 발명은 램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둥지에 새알이 있는 형상으로 된 램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사용되는 조명등은 고정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형 등기구와,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등기구로 분류할 수 있다.
이동형 등기구로서는 통상의 스탠드 조명등이 있고, 이러한 스탠드 조명등은 국내 공개 특허 제10-2012-0030739호 등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한편, 이러한 스탠드 조명등은 대부분 크기가 크고, 대부분 버튼 스위치 조작에 의해 온/오프 하도록 되어 있어, 침실용으로 이용하는 경우 암시야 환경에서 버튼 스위치를 찾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지지 본체와 분리상태로 안착되되 누인상태에서는 전력공급이 차단되고 세운상태에서는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면서 발광이 조정될 수 있는 램프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램프 구조체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마련된 광원의 구동에 의해 조명광을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된 조명볼과; 상면 중앙에 상기 조명볼의 장축방향이 수평방향이 되게 상기 조명볼이 안착될 수 있게 호형 곡률을 갖는 제1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안착홈 중앙에 상기 조명볼의 장축방향이 수직방향이 되게 상기 조명볼이 안착될 수 있게 상기 제1안착홈 보다 하방으로 더 깊게 제2안착홈이 형성된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상기 조명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볼은 장축이 수직하게 되게 상기 지지본체의 제2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본체의 상기 제2안착홈의 중앙에 마련된 제1공급단자와; 상기 제2안착홈에 상기 제1공급단자와 이격되는 위치에 마련된 제2공급단자와; 상기 조명볼의 장축방향을 따르는 종단에 상기 제1공급단자와 접촉될 수 있게 마련된 제1수용단자와; 상기 조명볼의 상기 제1수용단자가 상기 제1공급단자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공급단자와 접속될 수 있게 상기 제1수용단자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동심상으로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급단자와 접속되는 제2수용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공급단자와 상기 제2공급단자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명볼은 상기 제2안착홈에 장축방향이 수직하게 세워지게 안착되어 상기 제1공급단자에 상기 제1수용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2공급단자에 상기 제2수용단자가 접속되면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및 제2수용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되도록 구축된다.
또 다르게는 상기 조명볼은 상기 제2안착홈에 장축방향이 수직하게 세워지게 안착되어 상기 제1공급단자에 상기 제1수용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2공급단자에 상기 제2수용단자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볼에 마련된 터치센서의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및 제2수용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온 또는 발광 오프되게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본체의 상기 제2안착홈 내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볼이 상기 제2안착홈내에 수직하게 안착됐는 지를 검출하는 안착감지 센서와; 상기 지지본체에 마련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전력을 송출하는 무선전력 공급부와; 상기 지지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안착감지센서에서 상기 조명볼이 수직하게 안착된 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전력공급 패턴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공급부로부터 무선전력이 송출되게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조명볼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에 충전처리하여 상기 광원의 구동전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무선전력 수신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조명볼에 사용자의 터치 유무를 검출하는 터치센서와; 상기 조명볼에 마련되며 상기 무선 전력수신부로부터 무선전력이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센서의 터치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광원으로 전력이 공급 또는 차단되게 처리하는 조명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램프 구조체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마련된 광원의 구동에 의해 조명광을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된 조명볼과; 상면 중앙에 상기 조명볼의 장축방향이 수직방향이 되게 상기 조명볼이 안착될 수 있게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이 마련된 지지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볼에는 상기 장축방향이 수평하게 상기 지지본체에 안착되면 스위치 오프되고, 상기 지지본체에 장축방향이 수직하게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면 상기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감응하여 스위치온 신호를 발생하는 자력감응 스위치와, 상기 자력감응 스위치가 스위치 온 되면 상기 광원으로 전력이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구조체에 의하면, 둥지 형상의 지지본체에 알형상의 조명볼을 직립상태로 세우거나 누운상태로 안착시키는 조작에 따라 조명볼로의 전력공급이 조정되게 함으로써 조작성이 좋으면서도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램프 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램프 구조체의 전기적 접속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램프 구조체의 전력공급계통에 대한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램프 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분리도이고,
도 5는 4의 램프 구조체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램프 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분리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명볼에 탑재된 요소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구조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램프 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램프 구조체의 전기적 접속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램프 구조체의 전력공급계통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램프 구조체(100)는 지지본체(110)와 조명볼(150)을 구비한다.
지지본체(110)는 후술되는 조명볼(150)을 세운상태 또는 ?인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둥지(nest)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본체(110)의 상면 중앙에 조명볼(150)의 장축방향(X)이 수평방향이 되게 조명볼(150)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제1호형 곡률을 갖는 제1안착홈(112)이 형성되어 있고, 제1안착홈(112) 중앙에 조명볼(150)의 장축방향(X)이 수직방향이 되게 조명볼(150)이 안착될 수 있게 제1안착홈(112) 보다 하방으로 더 깊게 제2안착홈(114)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본체(110)의 제1안착홈(112)은 조명볼(150)의 장축방향(X)이 수평방향이 되게 하였을 때 횡방향을 따라는 곡률에 대응되게 중앙을 향할수록 깊이가 깊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본체(110)의 제2안착홈(114)은 조명볼(150)의 장축방향이 지지본체(110)에 대해 수직한 상태가 되게 지지본체(110)에 세웠을 때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제2안착홈(112)의 중앙에서 조명볼(150)의 장축방향을 따르는 종단영역의 외주면 곡률과 대응되게 하방으로 깊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본체(110)의 제2안착홈(114)의 중앙에는 제1공급단자(121)가 형성되어 있고, 제2안착홈 내에 제1공급단자와 이격되는 위치에 제2공급단자(12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공급단자(121)(122)는 지지본체(110)에 마련된 전원공급부(120)의 전력출력단자이다.
전원공급부(120)는 지지본체(110)에 마련되어 조명볼(15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상용교류전원을 인입받는 전원 케이블(125)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조명볼(150)의 구동에 요구되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전원을 제1 및 제2공급단자(121)(12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명볼(150)은 알(egg)의 형상과 같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마련된 광원의 구동에 의해 조명광을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광원은 발광다이오드(165)가 적용된다.
조명볼(150)의 외형을 이루는 외피부분(150a)은 광이 투과될 수 있는 반투명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발광다이오드(165)가 실장되는 실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조명볼(150)은 장축(X)이 지지본체(110)수직하게 되게 지지본체(110)의 제2안착홈(114)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본체(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명볼(150)은 장축방향(X)을 따르는 종단 외주면에 제1공급단자(121)와 접촉될 수 있게 제1수용단자(161)와, 제1수용단자(161)가 제1공급단자(121)와 접촉된 상태에서 제2공급단자(122)와 접속될 수 있게 제1수용단자(161)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동심상으로 링형태로 형성되어 제2공급단자(122)와 접속되는 제2수용단자(16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명볼(150)과 지지본체(110)와의 전기적 접속구조에 의하면, 조명볼(150)을 세운 상태에서는 장축(X)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위치와 관계없이 조명볼(150)과 지지본체(110)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조명볼(150)은 제2안착홈(114)에 장축방향이 수직하게 세워지게 안착되어 제1공급단자(121)에 제1수용단자(161)가 접속되고, 제2공급단자(122)에 제2수용단자(162)가 접속되면 발광다이오드(165)에 곧바로 전력이 공급되어 발광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가 구축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조명볼(150)은 제1공급단자(121)에 제1수용단자(161)가 접속되고, 제2공급단자(122)에 제2수용단자(162)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조명볼(150)에 내부에 마련된 배터리(미도시)로 충전이 이루어지고, 배터리(미도시)로부터 발광다이오드(165)로 이어지는 전력공급경로를 접속 및 차단하도록 된 전자 스위치(미도시)를 조명볼(150)에 마련된 터치센서의 터치 조작에 따라 접속 또는 차단되게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후술되는 예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제1수용단자(161)와 제2수용단자(162)는 조명볼(150) 내측으로 인입되게 마련되고, 제1공급단자(121)와 제2공급단자(122)는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무접점에 의해 전력을 조명볼로 공급하도록 구축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램프 구조체(200)는 지지본체(210)와 조명볼(250)을 구비한다.
안착감지센서(141)는 지지본체(210)의 제2안착홈(114) 내에 장착되어 조명볼(250)이 제2안착홈(114)내에 수직하게 안착됐는 지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메인 제어부(147)에 출력한다.
안착감지센서(141)는 조명볼(250)의 하중에 의해 내부 접점스위치가 스위치 온되는 접촉센서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무선전력공급부(145)는 지지본체(110)에 마련되어 있고, 메인 제어부(147)에 제어되어 무선전력을 송출한다.
무전전력 공급부(145)는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한는 방식, 라디오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식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축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47)는 지지본체(210)에 마련되어 안착감지센서(141)에서 조명볼(210)이 수직하게 안착된 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전력공급 패턴에 따라 무선전력공급부(145)로부터 무선전력이 송출되게 제어한다.
무선전력수신부(171)는 조명볼(250)에 마련되어 무선전력공급부(145)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173)에 충전처리하여 발광다이오드가 적용된 광원부(265)로 구동전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171)는 무선전력 공급부(145)의 전력송신 방식에 대응되게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면 된다.
무선전력 수신부(171)는 무선전력공급부(145)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이를 조명제어부(175)에 알려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터치센서(181)는 조명볼(250)에 장착되어 조명볼(250)에 사용자의 터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조명 제어부(175)에 출력한다.
여기서 터치센서(181)는 사용자가 조명볼(250)의 외피부분을 접촉하였을 때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면 된다.
조명 제어부(175)는 조명볼(250)에 마련되며 무선 전력수신부(171)로부터 무선전력이 수신되는 상태에서는 조명볼(250)이 수직하게 지지본체(210)에 세워졌다고 판단하고, 이후 터치센서(181)의 터치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배터리(173)로부터 발광부(265)로 이어지는 전력공급경로 상에 마련된 전자 스위치(178)를 온 또는 오프 시켜 광원부(265)로 전력이 공급 또는 차단되게 처리한다.
즉, 조명볼(250)이 수직하게 지지본체(210)에 세워진 상태에서 조명 제어부(175)는 터치센서(181)가 터치되면 발광부(265)로 전원이 공급되게 전자 스위치(178)를 제어하여 조명광이 출사되게 하고, 다시 터치센서(181)가 조작되면 발광부(265)로 전원이 차단되게 전자 스위치(178)를 제어하여 조명광이 출사되지 않게 하는 방식으로 터치센서(181)가 조작될 때마다 전자 스위치(178)를 교번으로 온/오프 되게 하는 방식으로 구축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터치센서(181)는 생략되고, 무선전력 수신부(171)에서 수신된 전력이 전자스위치(178)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발광부(265)에 전력이 공급되게 구축하여, 조명볼(250)을 지지본체(210)의 제2안착홈(114)에 안착되게 세워놓으면 항상 발광되게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램프 구조체는 둥지 형상의 지지본체(110)(210)에 새알 형상의 조명볼(150)(250)을 누인상태로 두면 조명볼(150)(250)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고, 세운상태로 두면 조명볼(150)(250)(350)로의 전력공급이 이루어지고, 조명볼(150)(250)로 전력이 공급된 상태에서 터치센서(181)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이후의 터치센서(181)의 조작에 따라 조명볼(150)(250)이 발광 또는 오프 되고, 터치센서(181)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바로 발광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는 조명볼(150)(250)을 높히거나 세우는 조작과정에 의해 조명의 온/오프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램프 구조체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램프 구조체(300)는 지지본체(310)에 수직 또는 수평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조명볼(350)을 구비한다.
지지본체(11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면 중앙에 조명볼(350)을 장축방향이 수직방향이 되게 조명볼(350)을 안착할 수 있게 안착홈(312)이 형성되어 있고,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320)이 마련되어 있다.
조명볼(350)은 타원형상인 세알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마련된 광원인 발광다이오드(365)의 구동에 의해 조명광을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명볼(350)에는 리드 스위치(370), 조명제어부(380), 배터리(390), 전자스위치(395) 및 발광다이오드(365)가 내장되어 있다.
리드스위치(370)는 자력감응 스위치로서 적용된 것으로서, 조명볼(350)의 상대적으로 곡률반경이 큰 저면 내에 설치되어 장축방향이 수평하게 지지본체(310)에 안착되면 자석(320)과의 이격거리가 멀어져 스위치 오프되고, 지지본체(310)에 장축방향이 수직하게 안착홈(312)에 안착되면 자석(320)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감응하여 스위치온 신호를 조명 제어부(380)에 출력한다.
조명 제어부(380)는 리드 스위치(370)가 스위치 온 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광원인 발광다이오드(365)로 전력이 공급되게 내장된 배터리(390)로부터 발광다이오드로 이어지는 전력공급계통상에 마련되어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자 스위치(395)를 스위치 온되게 제어하여 발광다이오드(365)가 발광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스위치(395)는 조명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레벨에 따라 발광다이오드(365)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휘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적용되고, 조명제어부(380)는 리드 스위치(370)가 스위치 오프상태에서 스위치 온되면 발광다이오드(265)로 제1밝기에 대응되게 설정된 제1공급전류가 공급되게 전자 스위치(395)를 제어하고, 이후 조명볼(350)을 설정된 밝기 조정 허용시간 예를 들면 3초 이내에 리드 스위치(370)가 스위치 오프 및 온되는 신호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램프 밝기 조정신호로 인식하고 제1공급전류보다 높게 설정된 제2밝기에 해당하는 제2공급전류가 공급되게 전자스위치(395)를 제어하도록 구축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명볼(350)을 발광시키고자 할 때 조명볼(350)을 지지본체(310)에 수직하게 세우면 되고, 제2밝기로 발광시키고자 할 때 3초 이내에 조명볼(350)을 리드스위치(370)가 오프되게 지지본체(31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다시 조명볼(350)을 수직하게 지지본체(310)에 안착시키면 된다.
또한, 조명제어부(380)는 제2밝기로 발광다이오드(365)가 발광되는 상태에서 앞서 설명된 밝기 조정 허용시간 이내에 리드 스위치(370)가 스위치 오프 및 온되는 신호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다시 제1밝기로 조정되게 발광다이오드(365)의 공급전류를 조절하도록 구축된다.
이러한 램프 구조체(300) 역시 조명볼(350)을 ?히거나 세우는 조작에 의해 발광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다.
110, 210, 310: 지지본체 150, 250, 350: 조명볼

Claims (6)

  1.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마련된 광원의 구동에 의해 조명광을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된 조명볼과;
    상면 중앙에 상기 조명볼의 장축방향이 수평방향이 되게 상기 조명볼이 안착될 수 있게 호형 곡률을 갖는 제1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안착홈 중앙에 상기 조명볼의 장축방향이 수직방향이 되게 상기 조명볼이 안착될 수 있게 상기 제1안착홈 보다 하방으로 더 깊게 제2안착홈이 형성된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상기 조명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볼은 장축이 수직하게 되게 상기 지지본체의 제2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의 상기 제2안착홈의 중앙에 마련된 제1공급단자와;
    상기 제2안착홈에 상기 제1공급단자와 이격되는 위치에 마련된 제2공급단자와;
    상기 조명볼의 장축방향을 따르는 종단에 상기 제1공급단자와 접촉될 수 있게 마련된 제1수용단자와;
    상기 조명볼의 상기 제1수용단자가 상기 제1공급단자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공급단자와 접속될 수 있게 상기 제1수용단자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동심상으로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급단자와 접속되는 제2수용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공급단자와 상기 제2공급단자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명볼은 상기 제2안착홈에 장축방향이 수직하게 세워지게 안착되어 상기 제1공급단자에 상기 제1수용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2공급단자에 상기 제2수용단자가 접속되면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및 제2수용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의 상기 제2안착홈의 중앙에 마련된 제1공급단자와;
    상기 제2안착홈에 상기 제1공급단자와 이격되는 위치에 마련된 제2공급단자와;
    상기 조명볼의 장축방향을 따르는 종단에 상기 제1공급단자와 접촉될 수 있게 마련된 제1수용단자와;
    상기 조명볼의 상기 제1수용단자가 상기 제1공급단자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공급단자와 접속될 수 있게 상기 제1수용단자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동심상으로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급단자와 접속되는 제2수용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공급단자와 상기 제2공급단자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명볼은 상기 제2안착홈에 장축방향이 수직하게 세워지게 안착되어 상기 제1공급단자에 상기 제1수용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2공급단자에 상기 제2수용단자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볼에 마련된 터치센서의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및 제2수용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온 또는 발광 오프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의 상기 제2안착홈 내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볼이 상기 제2안착홈내에 수직하게 안착됐는 지를 검출하는 안착감지 센서와;
    상기 지지본체에 마련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전력을 송출하는 무선전력 공급부와;
    상기 지지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안착감지센서에서 상기 조명볼이 수직하게 안착된 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전력공급 패턴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공급부로부터 무선전력이 송출되게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조명볼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에 충전처리하여 상기 광원의 구동전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무선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볼에 사용자의 터치 유무를 검출하는 터치센서와;
    상기 조명볼에 마련되며 상기 무선 전력수신부로부터 무선전력이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센서의 터치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광원으로 전력이 공급 또는 차단되게 처리하는 조명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구조체.
  6.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마련된 광원의 구동에 의해 조명광을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된 조명볼과;
    상면 중앙에 상기 조명볼의 장축방향이 수직방향이 되게 상기 조명볼이 안착될 수 있게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이 마련된 지지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볼에는 상기 장축방향이 수평하게 상기 지지본체에 안착되면 스위치 오프되고, 상기 지지본체에 장축방향이 수직하게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면 상기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감응하여 스위치온 신호를 발생하는 자력감응 스위치와, 상기 자력감응 스위치가 스위치 온 되면 상기 광원으로 전력이 공급되게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구조체.
KR1020140007246A 2014-01-21 2014-01-21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 KR101591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246A KR101591495B1 (ko) 2014-01-21 2014-01-21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246A KR101591495B1 (ko) 2014-01-21 2014-01-21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962A true KR20150086962A (ko) 2015-07-29
KR101591495B1 KR101591495B1 (ko) 2016-02-03

Family

ID=5387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246A KR101591495B1 (ko) 2014-01-21 2014-01-21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4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146A (ko) * 2018-04-06 2019-10-16 박종옥 낙하방지 및 설치가 쉬운 led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13Y1 (ko) * 2018-11-15 2019-07-25 이주빈 이동 설치가 용이한 포터블 조명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5823A (ja) * 2009-09-16 2011-03-31 Motoko Ishii Lighting Design Inc Led照明装置およびled照明システム
KR20120035288A (ko)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등기구
KR20130068715A (ko) * 2011-12-16 2013-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러기지 램프
KR20130106497A (ko) * 2012-03-20 2013-09-30 주식회사 필룩스 탁상용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5823A (ja) * 2009-09-16 2011-03-31 Motoko Ishii Lighting Design Inc Led照明装置およびled照明システム
KR20120035288A (ko)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등기구
KR20130068715A (ko) * 2011-12-16 2013-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러기지 램프
KR20130106497A (ko) * 2012-03-20 2013-09-30 주식회사 필룩스 탁상용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146A (ko) * 2018-04-06 2019-10-16 박종옥 낙하방지 및 설치가 쉬운 led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495B1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876B2 (en) Faceplate remote control device for use in a load control system
US7436132B1 (en) Multi-way sensor switch
US20220165515A1 (en) Keypad Having Illuminated Buttons
US20100020550A1 (en)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a detachable sensor
US20070195544A1 (en) Remote controlled LED light bulb
EP2506686A2 (en) Illumination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JP5156521B2 (ja) センサ脱着式照明器具
JP2014238959A (ja) 電灯制御装置
US20170311402A1 (en) Portable Illumination Device
KR101601946B1 (ko) 조명 시스템
KR101591495B1 (ko)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
JP2020504901A (ja) 独立電源を有する無線照明駆動装置及びその照明システム
KR20150116945A (ko) 조도 설정 가변 제어형 led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0047B1 (ko) 실내 조도변화에 따라 디밍되는 조명장치 및 방법
KR20130010778A (ko) 무선 통신부와 led 발광부가 일체화된 led 조명 모듈
KR20130015103A (ko) 무접점 전환스위치가 장착된 욕실등 및 그 제어방법
JP2013084386A (ja) 照明装置
JP2012185986A (ja) センサ付き照明器具
JP6811424B2 (ja) 照明制御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101673801B1 (ko)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7200722A (ja) 人体検出型自動スイッチ
JP2011175782A (ja) 照明器具
KR20190018191A (ko) 모션 감지 센서가 구비된 led 조명장치
KR102556080B1 (ko) 취급 간편 엘이디 전등기구 조명장치
KR101456372B1 (ko) 엘이디 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