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288A - 조명등기구 - Google Patents

조명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288A
KR20120035288A KR1020100096694A KR20100096694A KR20120035288A KR 20120035288 A KR20120035288 A KR 20120035288A KR 1020100096694 A KR1020100096694 A KR 1020100096694A KR 20100096694 A KR20100096694 A KR 20100096694A KR 20120035288 A KR20120035288 A KR 20120035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terminal
fixing
magnetic po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633B1 (ko
Inventor
노시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10009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633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탈착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고정 단자; 제 1 고정 자극부; 및 상기 제 1 고정 자극부와 반대 자성을 띠는 제 2 고정 자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이동 단자; 상기 제 1 고정 자극부와 반대자성을 띠는 제 1 이동 자극부; 및 상기 제 1 이동 자극부와 반대자성을 띠는 제 2 이동 자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자극부와 제 1 및 제 2 이동자극부의 자성의 작용에 의해 상기 조명부가 상기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등기구{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LED 등의 조명을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동 및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의 밝기 및 색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기구의 경우에는, 실내의 천장에 부착 설치되는 조명등 프레임에 접속소켓이 제공되고, 저면에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접속소켓에 다양한 색상의 조명등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명등기구는 사용자가 디밍(dimming)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각각의 조명등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독서모드, 취침모드, 식사모드 등과 같이 상황에 따라 조명빛의 밝기를 달리하거나 조명빛의 색상을 달리하여 옥내에 조사할 수 있다. 특히, 근래에는 LED 등의 조명 소자가 발달함에 따라 이러한 LED 등의 조명소자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다양한 조명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조명등기구는 사용하는 조명등의 위치가 어느 일정 위치에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조명등기구에서는 접속소켓이 설치된 조명등 프레임이 천장 등에 부착되어 있고 이 접속소켓에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 때 상기 발광소자와 접속소켓은 나사산 형태로 생긴 홈 부위를 이용하여 부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발광소자를 접속소켓에 부착하려면 발광소자를 나사산을 따라 회전시켜 부착하여야 했고, 탈거할 때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탈거를 해야 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발광소자를 자신이 원하는 때에 비교적 쉽고 자유롭게 탈거 또는 부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속소켓을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에 의해 구성된 조명등 프레임은 어느 한 지점에 부착되면 이를 이동하여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복잡한 구조의 조명등 프레임은 일정 구역의 설치 면적이 필요하고 비용면에서 불리하여 여러 장소에 설치하기에도 부적절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명을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고 편리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LED 등의 조명을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동 및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탈착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기구는 상기 고정부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고정 단자; 제 1 고정 자극부; 및 상기 제 1 고정 자극부와 반대 자성을 띠는 제 2 고정 자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이동 단자; 상기 제 1 고정 자극부와 반대자성을 띠는 제 1 이동 자극부; 및 상기 제 1 이동 자극부와 반대자성을 띠는 제 2 이동 자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자극부와 제 1 및 제 2 이동자극부의 자성의 작용에 의해 상기 조명부가 상기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고정 자극부는 상기 제 1 고정 단자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 자극부는 상기 제 2 고정 단자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이동 자극부는 상기 제 1 이동 단자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이동 자극부는 상기 제 2 이동 단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고정 단자와 제 1 고정 자극부는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 단자와 제 2 고정 자극부는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명부와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에 대해 상기 제 2 고정단자와 방사상으로 소정 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 3 고정 단자; 상기 제 3 고정 단자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고정 자극부와 반대 자성을 띠는 제 3 고정 자극부; 및 상기 제 2 고정단자와 제 3 고정 단자 간에 설치되는 제 1 저항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이동 단자와 제 1 이동 자극부는 상기 조명부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이동 단자와 제 2 이동 자극부는 상기 조명부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차량의 천장에 설치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자극부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천장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 소자는 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탈착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도전층;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망사상조직으로 형성된 제 2 도전층; 및 상기 1 도전층과 제 2 도전층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도전층과 제 2 도전층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제 1 도전층과 접촉되는 제 1 접촉부재; 상기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제 2 도전층과 접촉되는 제 2 접촉부재; 및 상기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자성을 띠는 자극부를 포함하는 조명등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부재는 상기 조명부의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촉부재는 상기 제 2 도전층과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도전층과 접촉하고, 상기 제 2 접촉부재는 상기 제 2 도전층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제 2 도전층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층은 망사상 조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접촉부재의 외주연에는 절연물질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 소자는 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기구는 사용자로 하여금 LED 등의 조명을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동 및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디밍값을 조절하여 자신이 원하는 조도의 조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서로 대향하는 면(A)와 면(A')에서 바라 본 고정부 저면도와 조명부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고정부를 A면에서 바라 본 다른 형태의 저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고정부가 차량의 내부 천장에 매설되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조명등기구의 기본 구성을 변형한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그 조명등기구의 측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서로 대향하는 면(A)와 면(A')에서 바라 본 고정부의 저면도와 조명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부(110), 및 고정부(110)와 서로 대향하는 면(A-A')에서 탈착되는 조명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10)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고정단자(113) 및 제 2 고정 단자(114); 제 1 고정 단자(113)에 설치되는 제 1 고정 자극부(111); 및 제 2 고정 단자(114)에 설치되고 제 1 고정 자극부(111)와 반대 자성을 띠는 제 2 고정 자극부(112)를 포함한다. 조명부(120)는 발광소자인 LED(light emitting diode,129); LED(129)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이동단자(123) 및 제 2 이동 단자(124); 제 1 이동 단자(123)에 설치되고 제 1 고정 자극부(111)와 반대자성을 띠는 제 1 이동 자극부(121); 및 제 2 이동 단자(124)에 설치되고 제 1 이동 자극부(121)와 반대자성을 띠는 제 2 이동 자극부(122)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고정자극부(111, 112)와 제 1 및 제 2 이동자극부(121, 122)의 자성의 작용에 의해 조명부(120)가 상기 서로 대향하는 면(A-A')에서 고정부(110)에 부착되면, 제 1 및 제 2 이동단자(123, 124)는 제 1 및 제 2 고정 단자(113, 114)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는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고정부(110) 및 이동이 용이하고 이러한 고정부(110)에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10)는 실내의 천장뿐만 아니라 진열대, 옷장, 책상, 차량의 천장 등 조명이 필요한 어느 곳에서든 설치가 가능하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고정부(110)와 조명부(120)는 본 실시예의 기본 구성 및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부(110)와 조명부(12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형태뿐만 아니라 도 2a, 도 2b, 도 3을 비롯하여 다양한 모양이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고정부(110)의 구성을 살펴 보면, 전원(119)의 일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고정단자(113)가 이하에서 설명할 제 1 이동단자(123)와 접촉가능하도록 조명부(120)와 대향하는 면(A)에 설치되며, 제 1 고정단자(113)에 N극의 자성을 띠는 제 1 고정자극부(1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원(119)의 타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고정단자(114)가 이하에서 설명할 제 2 이동단자(124)와 접촉가능하도록 조명부(120)와 대향하는 면(A)에 설치되며, 제 2 고정단자(114)에 S극의 자성을 띠는 제 2 고정자극부(112)가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고정자극부(111, 112)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고정단자(113, 114)의 주위를 동심원으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제 1 및 제 2 고정단자(113, 114)와 인접한 일정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대향하는 면(A)에서 제 1 및 제 2 고정단자(113, 114)와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조명부(120)의 구성을 살펴 보면, 발광 소자인 LED(129)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이동단자(123)가 상기 제 1 고정단자(113)와 접촉가능하도록 고정부(110)와 대향하는 면(A')에 설치되며, 제 1 이동단자(123)에 S극의 자성을 띠는 제 1 이동자극부(121)가 설치된다. 그리고, LED(129)의 타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이동단자(124)가 상기 제 2 고정단자(114)와 접촉가능하도록 고정부(110)와 대향하는 면(A')에 설치되며, 제 2 이동단자(124)에 N극의 자성을 띠는 제 2 이동자극부(12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110)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이동자극부(121, 122)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이동단자(123, 124)의 주위를 동심원으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제 1 및 제 2 이동단자(123, 124)와 인접한 일정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대향하는 면(A')에서 제 1 및 제 2 이동단자(123, 124)와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어느 경우에서든 제 1 및 제 2 이동자극부(121, 122)가 제 1 및 제 2 고정 자극부(111, 112)와 자력에 의한 인력에 의해 부착이 되면, 서로 대향하는 면(A-A')에서 제 1 및 제 2 이동단자(123, 124)는 제 1 및 제 2 고정 단자(113, 114)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LED(129)는 전원(119)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자극부의 자성 작용에 의해 조명부(120)는 고정부(110)에 매우 편리하고 쉽게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는 고정부(110)를 필요로 하는 여러 장소에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조명부(120)을 이동 및 부착하여 여러 장소에서 편리하게 조명등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b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고정부(110)가 차량의 내부 천장에 매설되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고정부(110)는 차량(500)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어 차량(500)의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되, 제 1 고정자극부(111) 및 제 2 고정 자극부(112)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천장에 매설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명부(120)는 제 1 및 제 2 이동 자극부(121, 122)가 자성에 의해 인접하는 2개의 고정 자극부에 부착됨으로써 각 접속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조명등기구의 기본 구성을 변형한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와 조명부(120)는 방사상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고정부(110)에서, 전원(119)의 일측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고정 단자(113) 및 제 1 고정 자극부(111)는 고정부(11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전원(119)의 타측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고정 단자(114a) 및 제 2 고정 자극부(112a)는 고정부(110)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조명부(120)에서, LED(129)의 일측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이동 단자(123) 및 제 1 이동 자극부(121)는 조명부(12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LED(129)의 타측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이동 단자(124) 및 제 2 이동 자극부(122)는 조명부(120)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이동 자극부(121, 122)와 제 1 및 제 2 고정 자극부(111, 112a)의 자성에 의해 조명부(120)가 고정부(110)에 부착되면, 제 1 및 제 2 이동 단자(123, 124)가 제 1 및 제 2 고정단자(113, 114a)에 각각 접촉되어 LED(129)가 턴온된다.
본 변형예의 고정부(110)는, 조명부(120)와 대향하는 면에서, 고정부(110)의 중앙부에 대해 제 2 고정단자(114a)와 방사상으로 소정 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 3 고정 단자(114b); 제 3 고정 단자(114b)에 설치되고 제 1 고정 자극부(111)와 반대 자성(S)을 띠는 제 3 고정 자극부(112b); 및 제 2 고정단자(114a)와 제 3 고정 단자(114b) 간에 설치되는 제 1 저항(R1)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제 1 및 제 2 이동 자극부(121, 122)가 제 1 및 제 3 고정 자극부(111, 112b)에 각각 부착되게 되면, 제 1 및 제 2 이동 단자(123, 124)가 제 1 및 제 3 고정단자(113, 114b)에 각각 접촉되어 LED(129)가 턴온되며 이 경우에는 제 1 저항(R1)의 작용에 의해 LED(129)가 상기의 경우보다는 더 낮은 조도로 턴온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이동 단자(124)가 접촉되는 고정 단자에 따라 다른 밝기의 조명을 얻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LED(129) 조명의 디밍값을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디밍값 조절 단계를 더욱 세분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고정 단자(114c)와 제 5 고정 단자(114d), 및 제 4 고정 자극부(112c)와 제 5 고정 자극부(112d)를 더 설치하고, 각 단자 사이에 제 2 저항(R2)과 제 3 저항(R3)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사용자는 조명의 디밍값을 4단계에 걸쳐서 더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 1 내지 도 3과 관련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고정 단자와 이에 설치된 고정 자극부, 및 각각의 이동 단자와 이에 설치된 이동 자극부가 서로 다른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 각각의 고정 단자 및 각각의 이동 단자는 전기가 통하는 도전성 자석을 이용할 경우 그 자체로서 각각 고정 자극부 및 이동 자극부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상기 각각의 고정 자극부를 생략함과 동시에 그 생략된 각각의 고정 자극부와 동일한 자성을 띠는 도전성 자석으로 구성된 각각의 고정 단자가 고정 자극부로서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각각의 이동 자극부를 생략함과 동시에 그 생략된 각각의 이동 자극부와 동일한 자성을 띠는 도전성 자석으로 구성된 각각의 이동 단자가 이동 자극부로서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그 조명등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는 전원(미도시)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부(210), 및 고정부(210)와 서로 대향하는 면(B')에서 탈착되는 조명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210)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도전층(213);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망사상조직으로 형성된 제 2 도전층(214); 및 제 1 도전층(213)과 제 2 도전층(214) 사이에 제공되어 제 1 도전층(213)과 제 2 도전층(214)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층(2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조명부(220)는 발광소자인 LED(229); LED(22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대향하는 면(B')에서 제 1 도전층(213)과 접촉되는 제 1 접촉부재(223); LED(22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대향하는 면(B')에서 제 2 도전층(214)과 접촉되는 제 2 접촉부재(224); 및 상기 대향하는 면(B')에 설치되어 자성을 띠는 자극부(2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는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고정부(210) 및 이동이 용이하고 고정부(210)에 탈부착이 가능한 조명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210)는 실내의 천장뿐만 아니라 진열대, 옷장, 책상, 차량의 천장 등 조명이 필요한 어느 곳에서든 설치가 가능하다.
먼저, 고정부(210)의 구성을 살펴 보면, 전원(미도시)의 일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도전층(213)이 진열대나 차량 등의 천장부분에 설치된다. 전원(미도시)의 타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망사상조직으로 형성된 제 2 도전층(214)이 조명부(220)와 대향하는 면(B)에 제공되며, 제 1 도전층(213)과 제 2 도전층(214) 사이에는 제 1 도전층(213)과 제 2 도전층(214)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절연층(250)이 제공된다. 여기서 절연층(250)은 소정의 메시 크기를 갖는 망사상조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조명부(220)의 구성을 살펴 보면, 발광 소자인 LED(229)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도전층(213)과 접촉되기 위한 제 1 접촉부재(223)가 고정부(210)와 대향하는 면(B')에 형성된다. 그리고, LED(229)의 타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도전층(214)과 접촉되기 위한 제 2 접촉부재(224)가 상기 대향하는 면(B')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대향하는 면(B')에는 가장자리의 원주 상에 자성을 띠는 자극부(260)가 설치된다. 제 2 도전층(214)을 철 등의 자성물질로 형성할 경우, 조명부(220)는 자극부(260)와 제 2 도전층(214) 간의 자성에 의한 인력 작용에 의해 고정부(210)에 부착될 수 있다.
조명부(220)가 고정부(210)에 부착이 되면, 제 1 접촉부재(223)는 제 2 도전층(214)과 절연층(250)의 망사상조직을 관통하여 제 1 도전층(213)과 접촉하게 되고, 제 2 접촉부재(224)는 제 2 도전층(214)과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LED는 전원(미도시)을 공급받아 턴온된다. 이 때, 제 1 접촉부재(223)는 제 2 도전층(214)과 절연층(250)의 망사상조직을 관통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지름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 2 접촉부재(224)는 제 2 도전층(214)의 망사상조직을 관통할 수 없도록 충분히 큰 지름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및 제 2 접촉부재(223, 224)는 평소에는 상기 면(B') 상에 매립된 형태로 있다가, 이후 고정부(210)에 부착되면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접촉부재(223, 224)에 자극을 띠는 물질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에서 제 1 접촉부재(223)는 제 2 도전층(214)과 전기적으로 도통되면 안 되기 때문에, 제 1 접촉부재(223)의 측면부 또는 외주연에는 절연물질이 도포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극부(260)의 자성 작용에 의해 조명부(220)는 고정부(210)에 매우 편리하고 쉽게 부착 또는 탈거가 가능하며, 특히 고정부(210)가 설치된 일정 구역의 영역 내에서는 어느 위치에서든 조명부(220)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 적용된 N극, S극의 자극은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와는 달리 적용될 수도 있다.
110 : 고정부 120 ; 조명부
111, 112 : 제 1, 제 2 고정 자극부
113, 114 : 제 1, 제 2 고정 단자
121, 122 : 제 1, 제 2 이동 자극부
123, 124 : 제 1, 제 2 이동 단자
119 : 전원 129 : LED
500 : 차량
112a, 112b, 112c, 112d : 제 2, 3, 4, 5 고정 자극부
114a, 114b, 114c, 114d : 제 2, 3, 4, 5 고정 단자
210 : 고정부 220 : 조명부
213, 214 : 제 1, 제 2 도전층
223, 224 : 제 1, 제 2 접촉부재
250 : 절연층 260 : 자극부
229 : LED

Claims (19)

  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탈착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고정 단자;
    제 1 고정 자극부; 및
    상기 제 1 고정 자극부와 반대 자성을 띠는 제 2 고정 자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이동 단자;
    상기 제 1 고정 자극부와 반대자성을 띠는 제 1 이동 자극부; 및
    상기 제 1 이동 자극부와 반대자성을 띠는 제 2 이동 자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자극부와 제 1 및 제 2 이동자극부의 자성의 작용에 의해 상기 조명부가 상기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명등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자극부는 상기 제 1 고정 단자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 자극부는 상기 제 2 고정 단자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이동 자극부는 상기 제 1 이동 단자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이동 자극부는 상기 제 2 이동 단자에 설치되는, 조명등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단자와 제 1 고정 자극부는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 단자와 제 2 고정 자극부는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의 위치에 설치되는, 조명등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명부와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에 대해 상기 제 2 고정단자와 방사상으로 소정 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 3 고정 단자;
    상기 제 3 고정 단자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고정 자극부와 반대 자성을 띠는 제 3 고정 자극부; 및
    상기 제 2 고정단자와 제 3 고정 단자 간에 설치되는 제 1 저항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조명등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명부와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에 대해 상기 제 3 고정단자와 방사상으로 소정 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 4 고정 단자;
    상기 제 4 고정 단자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고정 자극부와 반대 자성을 띠는 제 4 고정 자극부; 및
    상기 제 3 고정단자와 제 4 고정 단자 간에 설치되는 제 2 저항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조명등기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단자와 제 1 이동 자극부는 상기 조명부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이동 단자와 제 2 이동 자극부는 상기 조명부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의 위치에 설치되는, 조명등기구.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차량의 천장에 설치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자극부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천장에 매설되는, 조명등기구.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LED인 조명등기구.
  9.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탈착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전원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도전성 자석으로 구성된 제 1 고정 단자; 및
    전원의 타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고정 단자와는 반대 자성의 도전성 자석으로 구성된 제 2 고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고정 단자와는 반대 자성의 도전성 자석으로 구성된 제 1 이동 단자; 및
    상기 발광소자의 타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이동 단자와는 반대 자성의 도전성 자석으로 구성된 제 2 이동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단자와 제 1 및 제 2 이동 단자의 자성의 작용에 의해 상기 조명부가 상기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명등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단자는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 단자는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이동 단자는 상기 조명부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이동 단자는 상기 조명부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의 위치에 설치되는, 조명등기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명부와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에 대해 상기 제 2 고정 단자와 방사상으로 소정 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고정 단자와는 반대 자성의 도전성 자석으로 구성된 제 3 고정 단자; 및
    상기 제 2 고정단자와 제 3 고정 단자 간에 설치되는 제 1 저항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조명등기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명부와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에 대해 상기 제 3 고정단자와 방사상으로 소정 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고정 단자와는 반대 자성의 도전성 자석으로 구성된 제 4 고정 단자; 및
    상기 제 3 고정단자와 제 4 고정 단자 간에 설치되는 제 2 저항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조명등기구.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차량의 천장에 설치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단자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천장에 매설되는, 조명등기구.
  14.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LED인 조명등기구.
  15.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탈착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도전층;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망사상조직으로 형성된 제 2 도전층; 및
    상기 1 도전층과 제 2 도전층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도전층과 제 2 도전층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제 1 도전층과 접촉되는 제 1 접촉부재;
    상기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제 2 도전층과 접촉되는 제 2 접촉부재; 및
    상기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자성을 띠는 자극부를 포함하는, 조명등기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부재는 상기 조명부의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촉부재는 상기 제 2 도전층과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도전층과 접촉하고, 상기 제 2 접촉부재는 상기 제 2 도전층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제 2 도전층과 접촉하는, 조명등기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망사상 조직으로 형성된, 조명등기구.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재의 외주연에는 절연물질이 도포되는, 조명등기구.
  19. 제 15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LED인 조명등기구.
KR1020100096694A 2010-10-05 2010-10-05 조명등기구 KR101157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694A KR101157633B1 (ko) 2010-10-05 2010-10-05 조명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694A KR101157633B1 (ko) 2010-10-05 2010-10-05 조명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288A true KR20120035288A (ko) 2012-04-16
KR101157633B1 KR101157633B1 (ko) 2012-06-18

Family

ID=4613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694A KR101157633B1 (ko) 2010-10-05 2010-10-05 조명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6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962A (ko) * 2014-01-21 2015-07-29 정원영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
WO2017034366A1 (ko) * 2015-08-27 2017-03-02 주식회사 필룩스 전구형 벌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218B1 (ko) 2016-12-12 2018-01-08 김래훈 조명기구의 자성 전극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조명기구
KR101852353B1 (ko) 2017-08-25 2018-04-30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Led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37A (ko) * 2002-04-24 2003-10-10 길혜용 채널문자 및 채널문자의 착탈이 가능한 전극 패널
JP4234094B2 (ja) 2004-12-09 2009-03-04 株式会社七彩 照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962A (ko) * 2014-01-21 2015-07-29 정원영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
WO2017034366A1 (ko) * 2015-08-27 2017-03-02 주식회사 필룩스 전구형 벌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633B1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0924C (en) Magnetically attached luminaire
US9033569B2 (en) Lamp holder has built-in night light
CA2531323C (en) Lamp and bulb for illumination and ambiance lighting
US20080106893A1 (en) Lamp and bulb for illumination and ambiance lighting
JP6847110B2 (ja) モジュール式照明装置
JP2010212162A (ja) 発光素子を使用した照明器具
KR101157633B1 (ko) 조명등기구
JP2013134853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照明装置取付構造
JP2010129211A (ja) 照明装置
JP2003272411A (ja) 照明器具
JP2010212163A (ja) 発光素子を使用した照明器具
KR101486227B1 (ko) 조명장치 및 그 조립체
JP6277482B2 (ja) Led照明器具
KR101225367B1 (ko) 바 타입의 엘이디조명등 각도조절용 소켓
JP2012185986A (ja) センサ付き照明器具
JP6074292B2 (ja) 照明装置
JP2015050122A (ja) 照明装置
JP2012185987A (ja) センサ付き照明器具
KR101654688B1 (ko) 온보드 플랫형 제어 회로부를 갖는 엣지형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KR101606632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기 접속장치
JP2012199238A (ja) 照明装置
KR101380691B1 (ko) 자유설치형 천막 조명등
JP6913934B2 (ja) Ledランプセット
JP3173544U (ja) 照明器具
KR101606633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기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