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010Y1 -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010Y1
KR200465010Y1 KR2020110007701U KR20110007701U KR200465010Y1 KR 200465010 Y1 KR200465010 Y1 KR 200465010Y1 KR 2020110007701 U KR2020110007701 U KR 2020110007701U KR 20110007701 U KR20110007701 U KR 20110007701U KR 200465010 Y1 KR200465010 Y1 KR 200465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fixed
floating
standb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국
Original Assignee
김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국 filed Critical 김용국
Priority to KR2020110007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콘센트(C)에 체결되도록 전원핀(12)이 구비되고, 상면에 전원핀(12)과 연결되는 고정단자(14)가 형성되는 고정동체(10); 상기 고정동체(10)상에서 지지축(21)을 축으로 선회 또는 직선운동 설치되면서 고정단자(14)와 접속/분리되는 유동단자(24)가 구비되고, 상면에 유동단자(24)와 연결되어 플러그(P)가 체결되는 전원홀(22)이 구비되는 유동동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고정동체와 유동동체에 의해 콘센트와 플러그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고정단자의 유동단자의 접속/분리에 의해 대기전력이 차단됨에 따라 신규 전기제품은 물론 기존에 사용중인 전기제품에도 간편하게 적용가능하고, 대기전력 차단상태 확인 및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자로부터 대기전력 차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Electric power on/off adaptor}
본 고안은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한 상태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대기젼력 차단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전기제품은 플러그를 통하여 콘센트와 접속되어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콘센트상에서 플러그를 분리하지 않고 전기제품의 전원만은 off할 경우 예비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에 전원이 인가되어 대기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너지관리공단등에서는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시 플러그를 뽑기를 권유하고 있지만, 일일이 플러그를 잡아당겨 분리하고 재 사용시 다시 꼽아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플러그 뽑기를 꺼리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대기전력를 차단하기 위한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등록번호 제10-0317006호에서 접속구를 향하여 메인단자를 형성하고, 메인단자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형성하는 접속부와; 접속부의 지지체와 연결되고 메인단자가 관통되는 가이드블럭을 형성하며, 가이드블럭 중심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핀을 형성하는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핀이 스크류로 연결되는 조작블럭을 형성하고 이 조작블럭의 양측으로 상기 메인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형성하는 조작부로 구성되어, 단자를 콘센트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이 접속된 단자로부터 케이블의 연결단자를 회전동작으로 이탈시켜 자유롭게 전원을 연결시키고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플러그를 접속시킨 상태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기술이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플러그가 전기제품에 일체로 연결되어 기존에 사용중인 전기제품에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따랐다.
즉, 조작부의 회전작동에 의해 메인단자와 접속단자가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전원플러그를 구성하고, 전원플러그가 전선과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전기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전원플러그를 적용해야만 사용이 가능한 제한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조작부의 회전작동에 따른 메인단자와 접속단자의 연결 및 분리상태의 구분이 어렵고, 이에 대기전력차단기능을 가진 전원플러그를 적용하더라도 사용자의 활용도가 떨어져 에너지절감 효과를 기대하지 못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신규 전기제품은 물론 기존에 사용중인 전기제품에도 적용이 용이하고, 대기전력 차단여부 확인 및 조작이 간편하도록 구조개선하여 사용자로부터 대기전력 차단율을 높이기 위한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은, 콘센트(C)에 체결되도록 전원핀(12)이 구비되고, 상면에 전원핀(12)과 연결되는 고정단자(14)가 형성되는 고정동체(10); 상기 고정동체(10)상에서 지지축(21)을 축으로 선회 또는 직선운동 설치되면서 고정단자(14)와 접속/분리되는 유동단자(24)가 구비되고, 상면에 유동단자(24)와 연결되어 플러그(P)가 체결되는 전원홀(22)이 구비되는 유동동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동동체(20)는 플러그(P) 측면을 감싸도록 측벽(26)이 돌출되고, 측벽(26)상에 설치되어 콘센트(C) 전원이 고정단자(14)를 통하여 유동단자로 인가시 점등되는 표시등(2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단자(14) 또는 유동단자(24)는 탄성스프링(S)에 의해 탄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고정동체와 유동동체에 의해 콘센트와 플러그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고정단자의 유동단자의 접속/분리에 의해 대기전력이 차단됨에 따라 신규 전기제품은 물론 기존에 사용중인 전기제품에도 간편하게 적용가능하고, 대기전력 차단상태 확인 및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자로부터 대기전력 차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a 내지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에 관련되며, 이때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는 신규 전기제품은 물론 기존에 사용중인 전기제품에도 적용이 용이하고, 대기전력 차단여부 확인 및 조작이 간편하도록 구조개선하여 사용자로부터 대기전력 차단율을 높이기 위해 고정동체(10), 유동동체(2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동체(10)는 콘센트(C)에 체결되도록 전원핀(12)이 구비되고, 상면에 전원핀(12)과 연결되는 고정단자(14)가 형성된다. 고정동체(10)는 콘센트(C)의 플러그 삽입홈(C1)상에 수용된 상태로 한 쌍의 전원핀(12)이 콘센트(C)와 접속되도록 기존에 플러그(P)의 선단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면에 전원핀(12)과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한 쌍의 고정단자(14)가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단자(14)는 후술하는 유동동체(20)의 유동단자(24)와 접속되어 콘센트(C)의 전원을 전원홀(22)상으로 공급하도록 유동단자(24)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동동체(20)는 고정동체(10)상에서 지지축(21)을 축으로 선회 또는 직선운동 설치되면서 고정단자(14)와 접속/분리되는 유동단자(24)가 구비되고, 상면에 유동단자(24)와 연결되어 플러그(P)가 체결되는 전원홀(22)이 구비된다. 유동동체(20)는 고정동체(10)상에서 선회 또는 직선운동에 의해 유동단자(24)가 고정단자(14)와 접속/분리되어 전원이 ON/OFF되는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4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유동동체(20)는 고정동체(10)상에서 지지축(21)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설치된다. 지지축(21)은 유동동체(20)와 고정동체(10)의 중심위치에 형성되고, 지지축(21)을 중심으로 동일한 등각위치에 한 쌍의 고정단자(14)와 한 쌍의 유동단자(24)가 각각 배치된다.
이에 2b처럼 유동동체(20)의 전원홀(22)에 플러그(P)가 체결된 상태로 플러그(P) 및 유동단자(20)를 일측방향으로 선회시키면 고정단자(14)와 유동단자(24)가 접속되어 콘센트(C)의 전원이 플러그(P)상으로 인가되고, 이와 반대로 플러그(P) 및 유동동체(20)를 반대방향으로 선회시 고정단자(14)와 유동단자(24)가 분리되어 대기전력이 차단된다.
이처럼 플러그(P)의 선회조작에 의해 대기전력이 ON/OFF됨에 따라 콘센트(C)와 플러그(P)가 전기제품 뒷면등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더라도 플러그(P)와 연결된 전선을 아래위로 댕겨 대기전력이 간단하게 차단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유동동체(20)의 선회작동에 의해 유동단자(24)가 고정단자(14)상에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지지축(21)상에 스프링(S)을 설치하여 유동동체가 고정동체(10)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3 내 4에서 유동동체(20)는 고정동체(10)상에 형성되는 지지축(21)을 타고 슬라이드이송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지지축(21)은 각봉 또는 한 쌍이 1조로 구비되어 유동동체(20)가 직선이동하는 동안 좌우유동이 방지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유동동체(20)가 지지축(21)을 타고 고정동체(10)와 밀착시 고정단자(14)와 유동단자(24)가 접속되어 전기가 인가되고, 유동동체(20)가 지지축(21)을 타고 고정동체(10)상에서 이격시 고정단자(14)와 유동단자(24)가 분리되어 대기전력이 차단된다.
또한, 유동단자(24)는 지지축(21)상에 구비되는 스프링(S)에 의해 고정단자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반발력이 작용하고, 유동단자(24)가 고정단자(14)상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도 3처럼 후크버튼과 후크홈구성(H) 또는 도 4와 같이 통상의 원터치식 ON/OFF스위치(일예로서, 특허등록번호 10-989549의 도 6a에 도시된 스위치구성)(W)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플러그(P)를 가압시 고정단자(14)와 유동단자(24)가 접속되어 전기가 인가되고, 플러그(P)를 다시 가압하거나 후크버튼을 눌러 유동동체(20)를 고정동체(10)상에서 이격시킴으로 대기전력이 차단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유동동체(20)는 플러그(P) 측면을 감싸도록 측벽(26)이 돌출되고, 측벽(26)상에 설치되어 콘센트(C) 전원이 고정단자(14)를 통하여 유동단자(20)로 인가시 점등되는 표시등(28)이 구비된다. 표시등(28)은 도 5처럼 유동동체(20)의 유동단자(24)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유동단자(24)가 고정단자(14)와 접속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대기전력에 의해 표시등(28)이 점등되어 유동동체(20)상에 체결된 플러그(P)상으로 대기전력이 인가됨을 알리는 표식부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표시등(28)이 측벽(26)을 통하여 콘센트(C)와 이격된 위치(돌출된 위치)에서 점등됨에 따라 사용자가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상황이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므로 대기전력 차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단자(14) 또는 유동단자(24)는 탄성스프링(S)에 의해 탄지되도록 된다. 도 2 내지 4에서는 유동동체(20)상에 구비되는 유동단자(24)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바, 여기서 유동단자(24)는 판 또는 볼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스프링(S)에 의해 고정단자(14)상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마모로 인해 고정동체(10)와 유동동체(20)사이의 간격이 이격되더라도 유동단자(24)가 탄성스프링에 의해 돌출되어 고정단자(14)와 접속되므로 사용중 접속불량이 방지된다.
한편, 유동동체(20)를 선회타입으로 형성시에는 상기 고정단자(14)가 유동단자(20)상에 맞물려 위치고정되도록 음양각 구조로 형성하고, 또 유동동체(20)를 선회하여 대기전력이 차단되는 위치에서 유동단자(24)와 대응하는 고정동체(10)상에 도 2b처럼 스톱홈(20a)을 형성하여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된다.
10: 고정동체 20: 유동동체

Claims (3)

  1. 콘센트(C)에 체결되도록 전원핀(12)이 구비되고, 상면에 전원핀(12)과 연결되는 고정단자(14)가 형성되는 고정동체(10); 및
    상기 고정동체(10)상에서 지지축(21)을 축으로 선회 또는 직선운동되도록 설치되는 유동동체(20);
    상기 유동동체(20)는 선회 또는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고정단자(14)와 접속/분리되는 유동단자(24)와, 상면에 유동단자(24)와 연결되어 플러그(P)가 체결되는 전원홀(2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단자(14) 또는 유동단자(24)는 탄성스프링(S)에 의해 탄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동체(20)는 플러그(P) 측면을 감싸도록 측벽(26)이 돌출되고, 측벽(26)상에 설치되어 콘센트(C) 전원이 고정단자(14)를 통하여 유동단자로 인가시 점등되는 표시등(2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
  3. 삭제
KR2020110007701U 2011-08-24 2011-08-24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 KR200465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701U KR200465010Y1 (ko) 2011-08-24 2011-08-24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701U KR200465010Y1 (ko) 2011-08-24 2011-08-24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010Y1 true KR200465010Y1 (ko) 2013-01-29

Family

ID=5136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701U KR200465010Y1 (ko) 2011-08-24 2011-08-24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0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789B1 (ko) 2013-10-14 2014-09-15 최무성 플러그 아답터
KR101477910B1 (ko) 2013-06-12 2015-01-08 최무성 대기전력 차단 플러그 아답터
CN108418267A (zh) * 2018-03-14 2018-08-17 东阳市阳涛电子科技有限公司 移动设备充电用的电源充电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329Y1 (ko) 2000-01-07 2000-07-15 박재경 전원 단속형 절전형 플러그
KR20000073091A (ko) * 1999-05-06 2000-12-05 심병섭 원터치 전기플러그
KR200231567Y1 (ko) 2001-02-14 2001-07-19 김재형 회전식 스위치 플러그
KR200263895Y1 (ko) * 2001-06-28 2002-02-19 이성두 회전 스위치 플러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091A (ko) * 1999-05-06 2000-12-05 심병섭 원터치 전기플러그
KR200188329Y1 (ko) 2000-01-07 2000-07-15 박재경 전원 단속형 절전형 플러그
KR200231567Y1 (ko) 2001-02-14 2001-07-19 김재형 회전식 스위치 플러그
KR200263895Y1 (ko) * 2001-06-28 2002-02-19 이성두 회전 스위치 플러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910B1 (ko) 2013-06-12 2015-01-08 최무성 대기전력 차단 플러그 아답터
KR101437789B1 (ko) 2013-10-14 2014-09-15 최무성 플러그 아답터
CN108418267A (zh) * 2018-03-14 2018-08-17 东阳市阳涛电子科技有限公司 移动设备充电用的电源充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7525B1 (en) Leakage protector
KR200465010Y1 (ko) 대기전력 차단 어댑터
JP2004531046A (ja) 電源プラグ
CN203983204U (zh) 一种具有反接线结构的漏电断路器
KR20110074832A (ko) 방수용 플러그와 콘센트 구조체
CN104183434A (zh) 一种具有反接线结构的漏电断路器
CN202564113U (zh) 超薄电源锁
US8105100B1 (en) Power converter with rotatable plug
KR20160046422A (ko)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CN204991545U (zh) Pc级双电源自动转换开关触头系统
CN204189695U (zh) 隔离开关熔断器组
KR200459512Y1 (ko)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
CN204204727U (zh) 一种隔离开关熔断器组
CN204088640U (zh) 电连接器及其组合
KR101763340B1 (ko)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CN203192963U (zh) 绝缘型同轴连接器
CN215008830U (zh) 一种导电能力强的轨道插座
KR20120090259A (ko) 대기전력 차단 플러그
KR101152591B1 (ko) 타이머를 이용한 타이머 콘센트
CN212968325U (zh) 一种自动转换开关电器用插头座结构
CN203339011U (zh) 直流调速开关中二极管的安装结构
CN204577378U (zh) 一种新型过载保护器
CN202307556U (zh) 一种低压开关故障旁路开关用母线排接线装置
CN202230911U (zh) 电器开关锁
CN203895335U (zh) 一种点火开关用电源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