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340B1 -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340B1
KR101763340B1 KR1020160000651A KR20160000651A KR101763340B1 KR 101763340 B1 KR101763340 B1 KR 101763340B1 KR 1020160000651 A KR1020160000651 A KR 1020160000651A KR 20160000651 A KR20160000651 A KR 20160000651A KR 101763340 B1 KR101763340 B1 KR 101763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switch
plu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521A (ko
Inventor
한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남
Priority to KR102016000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3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콘센트를 연결하되, 각각의 콘센트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주전원스위치뭉치와 개별전원스위치뭉치가 구비되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개별전원스위치뭉치를 하우징과 스위치유닛 및 접속유닛으로 구성하되, 상기 접속유닛을 주단자부재의 제1 접속부와 플러그단자부재의 제2 접속부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접속핀과 접속핀과 스위치뭉치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접속핀이 진자운동하여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서로 밀착시킬 수 있어 전기가 세어나가거나 접속이 불안정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MULTI OUTLET ASSEMBLY}
본 발명은 복수개의 콘센트를 연결하되, 각각의 콘센트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주전원스위치뭉치와 개별전원스위치뭉치가 구비되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개별전원스위치뭉치를 하우징과 스위치유닛 및 접속유닛으로 구성하되, 상기 접속유닛을 주단자부재의 제1 접속부와 플러그단자부재의 제2 접속부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접속핀과 접속핀과 스위치뭉치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접속핀이 진자운동하여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서로 밀착시킬 수 있어 전기가 세어나가거나 접속이 불안정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다수의 콘센트가 필요하게 되며, 대기 전력 손실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ON/OFF 시킬 수 있는 멀티형 콘센트, 흔히 말하는 멀티탭이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탭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607718호 『다공 콘센트의 단자 접속 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콘센트 접속 단자의 단부에 지지편을 형성하는 한편, 입,출력 단자에 접촉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편과 접촉부를 절전 스위치의 외부 케이스 내부로 삽입 안착시켜, 스위치 몸체로 고정시킨 뒤, 텀블러 스위치 단자와 접속시킴으로써, 콘센트 접속단자와 입,출력 단자가 절전 스위치의 내부 접속 단자를 구성하게 하여, 콘센트 접속단자와 입,출력 단자가 별도의 접속 수단없이 절전 스위치 내에서 직접 접속되게 함으로써, 단자의 접속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절전 스위치의 외부 케이스의 단부에 돌출부와 요입부를 형성하여 외부 케이스를 목적하는 숫자 만큼 연속적으로 연결시킨 뒤, 그 내부에 1-3 개 단위의 스위치 몸체를 상기 외부 케이스 숫자 만큼 조합 결합시켜, 목적하는 숫자의 절전 스위치를 연속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면서도 낮은 생산 원가로 다공 콘센트의 단자를 연속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다공 콘센트의 단자 접속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접속단자를 구성함에 있어 시소운동을 통하여 접속단자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으로서, 잦은 사용으로 정확하게 스위치가 접속되는 부분의 반대방향을 부정확하게 누르게 됨으로서 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누르는 힘에 의하여 접속단자가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6-0058779호 『멀티탭용 스위치 조립체의 입, 출력 단자 결합 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개의 플러그 출력단자를 스위치 몸체의 벽면 내에 매입시켜 몸체 내부로 인입 장착시킴으로써, 절전 스위치에 플러그 출력단자를 보다 긴밀히 접속시켜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시소축이 입설된 2 개의 전원 입력단자를 소폭의 띠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여, 스위치 몸체의 저면에 장착시킴으로써, 전원 입력단자의 재료를 절감하는 한편, 상기 전원 입력단자가 삽입된 스위치 몸체의 저면에 수개의 절취선과 리브가 형성된 캡을 결합시켜, 상기 전원 입력단자와 플러그 출력단자의 저면 단부를 지지시킴으로써, 하나의 스위치 몸체와 하나의 절취 가능한 캡 만으로 각기 다른 숫자의 플러그핀 삽입공이 구비된 스위치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멀티탭용 스위치 조립체의 입, 출력 단자 결합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7-0101099호 『멀티탭용 스위치 조립체의 입, 출력 단자 결합 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2 개의 플러그 출력단자를 스위치 몸체의 벽면을 따라 단자 인입홈을 통하여 몸체 내부로 인입 장착시킴으로써, 절전 스위치에 플러그 출력단자를 보다 긴밀히 접속시켜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2 개의 전원 입력단자를 소폭의 띠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여, 스위치 몸체의 저면에 장착시킴으로써, 전원 입력단자의 재료를 절감하는 한편, 상기 전원 입력단자가 삽입된 스위치 몸체의 저면에 수개의 절취선과 리브가 형성된 캡을 결합시켜, 상기 전원입력단자와 플러그 출력단자의 저면 단부를 지지시킴으로써, 하나의 스위치 몸체와 하나의 절취 가능한 캡 만으로 각기 다른 숫자의 플러그핀 삽입공이 구비된 스위치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멀티탭용 스위치 조립체의 입, 출력 단자 결합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시소운동을 통하여 접속단자의 양측을 눌러 접속 또는 비접속 시키는 것으로서, 부정확하게 접속될 수 있고, 단자들이 서로 밀착되지 않아 새어나가는 전류가 발생하여 전력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아울러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00257호 『2극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콘센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하우징의 일측면 전부 상측에서 구성되는 전원인입단자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타측면 후부 하측에서 구성되고, 상기 전원인입단자와 설치 높이가 상이하면서 이격되는 전원인출단자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저면 타측에서 삽입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저면 일측에서 삽입되고, 상기 입력단자와 이격되면서 반대방향으로 구성되는 출력단자와, 상기 전원인입,인출단자와 입력/출력단자를 차단 또는 접속하는 입력/출력가동접속단자로 구성되는 2극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2극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콘센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탄성력이 구비되는 전원인출단자를 통하여 탄성력에 의해 단자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것으로서, 스위치를 동작하는데 힘이 들어가며, 잦은 사용으로 상기 전원인출단자가 부러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개별전원스위치뭉치를 하우징과 스위치유닛 및 접속유닛으로 구성하되, 상기 접속유닛을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연결하는 접속핀 및 상기 접속핀과 스위치유닛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하여 접속핀이 제1 접속부와 연결 또는 해제함에 따라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접속핀에는 회전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접속부에 결합되어 진자운동 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력을 부여받음으로서 접속핀과 제1 접속부의 접속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접속핀의 회전축부에는 뾰족부를 형성하여 제2 접속부 내에서 진자운동의 축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접속부가 주단자부재의 단자라인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접속핀과 제1 접속부의 밀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는
주전원스위치뭉치와, 복수개의 개별전원스위치뭉치 및 상기 개별전원스위치뭉치에 구비되는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개별전원스위치뭉치는
주전원의 공급을 받는 주단자부재와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단자부재가 내삽되는 하우징;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는 스위치유닛;
상기 스위치본체에 구비되어 스위치분체의 동작에 따라 주단자부재와 플러그단자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접속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유닛은
상기 주단자부재에 구비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플러그단자부재에 구비되는 제2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연결하는 접속핀 및 상기 접속핀과 스위치유닛의 하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스위치유닛에 동작에 의해 상기 접속핀이 제2 접속부와 연결 또는 분리 되되,
상기 플러그단자부재의 제2 접속부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핀의 하부에는 상기 제2 접속부에 삽입되는 회전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핀이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진자운동하여 스위치유닛에 동작에 의해 제2 접속부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는 각각의 콘센트에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개별전원스위치뭉치를 하우지오가 스위치유닛 및 접속유닛으로 구성하되,
상기 접속유닛을 주단자부재의 제1 접속부와 플러그단자부재의 제2 접속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접속핀, 상기 접속핀과 스위치유닛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하되,
상기 접속핀의 하부에 구성되는 회전축부를 통하여 접속핀이 제2 접속부에서 진자운동을 하여 접속핀의 상부가 제1 접속부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구성으로 보다 정확하게 접속핀과 제1 접속부가 접속될 수 있어 전원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고,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통하여 스위치유닛을 적은 힘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접속핀과 제1 접속부의 밀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접속부를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여 밀착력이 증가함에 따라 손실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핀의 하부에는 뾰족부를 더 구비하여 제2 접속부 내에서 진자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전원의 연결 및 분리 동작을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의 개별전원스위치뭉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의 실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A)는 주전원스위치뭉치(A1)와, 복수개의 개별전원스위치뭉치(A2)로 및 상기 개별전원스위치뭉치(A2)에 구비되는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A)에 관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내삽하는 외부케이스를 제거한 형상을 도시하였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A)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각각의 콘센트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들 콘센트 모두의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주전원스위치뭉치(A1)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콘센트를 포함하는 개별전원스위치뭉치(A2)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주전원스위치뭉치(A1)와 별도로 각각의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이들을 모두 내삽하는 외부케이스가 구비되는 어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종래의 다양한 멀티형 콘센트와 유사하다.
또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단자는 (+), (-) 단자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전원 공급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선택되는 구성이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A)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개별전원스위치뭉치(A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개별전원스위치뭉치(A2)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스위치유닛(20) 및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스위치유닛(20)에 동작에 따라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접속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10)은 하기의 구성요소가 내장되는 내장부(111)가 형성된 제1 본체(11)와, 상기 제1 본체(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본체(13)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제1 본체(11)는 내부에 내장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장부(111)에 후술하는 접속유닛(30)이 내삽되어 있으며, 제1 본체(11)의 외면에는 상기 제2 본체(13)와 결합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돌기(1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본체(11)에는 상기 내장부(111)와 연통되어 플러그단자부재(139)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는 복수개의 연통공(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본체(13)는 상기 제1 본체(11)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본체(13)에는 플러그단자부재(139)가 위치할 수 있는 안착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131) 양측에는 상기 제1 본체(11)의 양측을 감쌀 수 있는 외벽(133)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133)에는 상기 제1 본체(11)의 결합돌기(113)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1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3)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3) 사이에는 플러그단자부재(139)의 일부가 위치하게 되어 주단자부재(117)와 접속유닛(30)에 의해 연통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2 본체(13)의 하부에는 외부케이싱에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137)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하우징(10)에는 주단자부재(117)와 플러그단자부재(139)가 내삽되어 있는데, 먼저 플러그단자부재(139)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플러그삽입부(139A)와, 상기 플러그삽입부(139A)에 연장되어 후술하는 접속유닛(30)과 연결됨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플러그단자라인(138B)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단자부재(139)는 (+), (-)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제1 본체(11)의 연통공(115)에는 상기 플러그단자라인(138B)에 구비되는 제2 접속부(32)가 위치하여 제1 본체(11)의 내장부(111)에 위치하게 되는 접속핀(35)이 접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스위치유닛(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스위치유닛(20)은 제1 본체(11)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스위치본체(23)와, 상기 하부스위치본체(23)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스위치본체(21)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위치유닛(20)은 상기 제1 본체(11)에 힌지결합되어 버튼식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스위치유닛(20), 특히 상기 상부스위치본체(21)의 양측에는 힌지결합돌기(211)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제1 본체(11)에는 상기 힌지결합돌기(211)가 체결되는 힌지결합홀(11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유닛(20)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장부(111) 상부에 위치하여 힌지운동함으로서, 전원의 ON/OFF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제1 본체(11)의 내장부(111)에는 주단자부재(117)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주단자부재(117)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플러그단자부재(139)와 동일하게 (+), (-) 극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주단자부재(117)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주단자부재(117)는 주단자라인(117A)과, 상기 주단자라인(117A)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접속부(31)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상기 플러그단자부재(139), 접속핀(35), 주단자부재(117)에는 (+)단자와 (-)단자로 각각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접속핀(35), 즉 (+)단자와 (-)단자의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접속핀이 함께 움직여 전원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자와 (-)단자는 전극의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성으로, 이하 단일의 단자((+)단자 또는 (-)단자)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단자와 (-)단자가 함께 움직임에 따라 손실전류를 방지하고, 과전, 방전, 누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단자부재(117)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주단자라인(117A)이 형성되고, 상기 주단자라인(117A)의 하부에는 주단자라인(117A)과 수직을 이루어 형성되는 연결판(117B)과 상기 연결판(117B)에 구비되어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1 접속부(31)로 이루어지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접속단자라인과 플러그단자라인(138B)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에는 접속핀(35)을 포함하는 접속유닛(30)이 더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31)에는 접속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공(311)에 제1 단자헤드(313)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주단자부재(117)의 제1 접속부(31)와 플러그단자부재(139)의 제2 접속부(32)를 연결하기 위하여 접속핀(3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핀(35)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접속핀(35)은 상기 주단자부재(117)와 플러그단자부재(139)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접속핀(35)은 하부에 회전축부(357)가 형성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접속핀(35)의 상부에는 대응접속공(351)이 형성되며, 상기 대응접속공(351)에 상기 제1 단자헤드(313)와 밀착될 수 있는 제2 단자헤드(353)가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핀(35)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37)와의 결합을 위하여 돌출돌기(35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접속핀(35)의 회전축부(357)에는 상기 제2 접속부(32)에 접촉되어 진자운동의 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뾰족부(357A)를 더 구비하여 접속핀(35)의 진자운동을 원활하게 진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A)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35)이 회전축부(357)를 축으로 하여 진자운동을 하는 경우에, 접속핀(35)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단자헤드(353)는 측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비스듬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와 함게 상기 주단자부재(117)의 제1 접속부(31)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단자헤드(313)와 제2 단자헤드(353)가 완벽하게 밀착될 수 있어 손실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접속유닛(30)의 접속핀(35)이 원할한 진자운동을 하기 위하여, 특히, 진자운동 시 접속핀(35)이 제1 접속부(31)에 닿는 경우와, 떨어지는 경우를 유지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핀(35)과 스위치유닛(20)은 탄성부재(37)를 통하여 연결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위치유닛(20), 특히 상기 하부스위치본체(23)의 하단에는 탄성부재(37)의 일측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돌기(231)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핀(35)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부재(37)의 타측이 결합될 수 있는 돌출돌기(355)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유닛(20)이 제1 방향(도3[A] 참고)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37)의 길이가 최소화되어 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2 방향(도3[B] 참고)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37)가 늘어나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접속핀(35)의 상부가 스위치유닛(20)의 체결돌기(231)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이 완료되면 다시 탄성부재(37)의 길이가 최소화 됨에 따라 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스위치유닛(20)을 움직일 수 있으며, 이에 더불어 제1 방향 상태 및 제2 방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231)에는 상기 탄성부재(37)를 보다 손쉽게 체결하기 위하여 직선형의 체결홈(231A)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 때 제1 방향을 임의로 전원이 차단(접속핀(35)과 제1 접속부(31)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제2 방향을 전원이 연결(접속핀(35)과 제1 접속부(31)가 접촉되는 상태)되는 상태를 나타내기로 한다.
나아가 접속핀(35)의 진자운동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플러그단자부재(139)의 제2 접속부(32)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상기 접속핀(35)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부(357)가 끼워지게 된다. 이 때 제2 접속부(32)의 홈 형상은 곡선형으로 형성하여 진자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전축부(357)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부로 갈수록 접촉면적이 감소하도록 뾰족부(357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접속핀(35)의 진자운동 시 마찰력을 최소화 하고 원활하게 진자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A)의 작동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위치유닛(20)을 동작하면, 스위치유닛(20) 하부의 체결돌기(231)가 위치이동을 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37)로 연결되어 있는 접속핀(35)이 상기 체결돌기(231)의 위치이동을 ??아 회전하여 접속핀(35)과 제1 접속부(31), 특히 접속핀(35)의 제2 단자헤드(353)와 제1 접속부(31)의 제1 단자헤드(313)가 접하여 전원이 연결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상기 접속핀(35)의 하부가 제2 접속부(32)에 위치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진자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접속핀(35)이 플러그접속단자의 제2 접속부(32)와 연결됨에 따라 인가된 전원이 플러그접속단자로 연결되어 플러그가 꽂히는 경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A)에 있어서, 상기 주단자부재(117), 접속핀(35), 플러그단자부재(139)는 모두 (+), (-) 극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리 등과 같은 도전물질로 이루어져 공급되는 전기가 연통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A1 : 주전원스위치뭉치
A2 : 개별전원스위치뭉치
10 : 하우징 11 : 제1 본체
111 : 내장부 113 : 결합돌기
115 : 연통공 117 : 주단자부재
117A : 주단자라인 117B : 연결판
119 : 힌지결합홀 13 : 제2 본체
131 : 안착부 133 : 외벽
135 : 결합홀 137 : 고정돌기
139 : 플러그단자부재 139A : 플러그삽입부
139B : 플러그단자라인 20 : 스위치유닛
21 : 상부스위치본체 211 : 힌지결합돌기
23 : 하부스위치본체 231 : 체결돌기
231A : 체결홈 30 : 접속유닛
31 : 제1 접속부 311 : 접속공
313 : 제1 단자헤드 32 : 제2 접속부
35 : 접속핀 351 : 대응접속공
353 : 제2 단자헤드 355 : 돌출돌기
357 : 회전축부 357A : 뾰족부
37 : 탄성부재

Claims (4)

  1. 주전원스위치뭉치(A1)와, 복수개의 개별전원스위치뭉치(A2) 및 상기 개별전원스위치뭉치(A2)에 구비되는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개별전원스위치뭉치(A2)는
    주전원의 연결되는 주단자부재(117)와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단자부재(139)가 각각 (+)단자와 (-)단자의 한 쌍으로 내삽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상부에 구비되는 스위치유닛(20);
    상기 스위치유닛(20)에 구비되어 스위치유닛(20)의 동작에 따라 주단자부재(117)와 플러그단자부재(139)를 서로 연결하는 접속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10)은
    내장부(111)가 형성되고 외부에 복수개의 결합돌기(113)가 구비된 제1 본체(11)와, 상기 결합돌기(113)가 삽입되는 결합홀(135)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11)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단자부재(139)가 위치하는 안착부(131)와 상기 안착부(131) 양측에 상기 제1 본체(11)를 감싸는 외벽(133)이 형성된 제2 본체(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본체(11)에는 상기 내장부(111)와 연통되어, 상기 플러그단자부재(139)의 일부가 위치하는 복수개의 연통공(115)이 형성되어 주단자부재(117)와 접속유닛(30)에 의해 연통되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본체(13)의 하부에는 고정돌기(137)가 더 구비되어 외부케이싱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단자부재(139)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원형의 플러그삽입부(139A)와, 상기 플러그삽입부(139A)에 연장되어 상기 접속유닛(30)과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플러그단자라인(139B)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유닛(20)은
    제1 본체(11)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스위치본체(23)와, 상기 하부스위치본체(23)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스위치본체(21)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스위치본체(21)의 양측에는 힌지결합돌기(211)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제1 본체(11)에는 상기 힌지결합돌기(211)가 체결되는 힌지결합홀(119)이 형성되어 힌지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주단자부재(117)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주단자라인(117A)과, 상기 주단자라인(117A)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열결판(117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유닛(30)은
    상기 한 쌍의 주단자부재(117)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접속부(31)와,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부재(139)에 각각 구비되는 제2 접속부(32)와 상기 제1 접속부(31)와 제2 접속부(32)를 연결하되 (+)단자와 (-)단자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같은 단자끼리 연결시키는 접속핀(35) 및 상기 접속핀(35)들과 스위치유닛(20)의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37)로 이루어지져
    상기 스위치유닛(20)에 동작에 의해 (+)단자와 (-)단자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접속핀(35)이 함께 제1 접속부(31)에 연결 또는 분리되되,

    상기 제1 접속부(31)에는 접속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공(311)에 제1 단자헤드(313)가 결합되며, 상기 접속핀(35)은 하부에 회전축부(357)가 형성된 판 형상을 이루되, 상부에는 상기 제1 단자헤드(313)와 밀착되는 제2 단자헤드(353)가 체결된 대응접속공(3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핀(35)의 회전축부에는 뾰족부(357A)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접속핀의 진자운동을 원할하게 진행할 수 있고,
    상기 제1 접속부(31)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자헤드(313)와 제2 단자헤드(353)가 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위치본체(23)의 하단에는 탄성부재(37)의 일측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돌기(231)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핀(35)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부재(37)의 타측이 결합되는 돌출돌기(355)가 구비되되,
    상기 체결돌기(231)에는 직선형의 체결홈(231A)이 더 구비되어 탄성부재(37)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KR1020160000651A 2016-01-04 2016-01-04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KR101763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651A KR101763340B1 (ko) 2016-01-04 2016-01-04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651A KR101763340B1 (ko) 2016-01-04 2016-01-04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521A KR20170081521A (ko) 2017-07-12
KR101763340B1 true KR101763340B1 (ko) 2017-08-01

Family

ID=5935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651A KR101763340B1 (ko) 2016-01-04 2016-01-04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747B1 (ko) * 2019-11-18 2021-01-15 (주)두남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110Y1 (ko) * 2006-05-26 2006-08-02 하재훈 멀티탭 단락스위치
KR200427169Y1 (ko) * 2006-07-04 2006-09-20 주식회사 일신전기산업 매입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단자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110Y1 (ko) * 2006-05-26 2006-08-02 하재훈 멀티탭 단락스위치
KR200427169Y1 (ko) * 2006-07-04 2006-09-20 주식회사 일신전기산업 매입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단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521A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62295U (zh) 电子烟用电池组件及电子烟
US7287994B1 (en) Modular plug device
US8079877B1 (en) Power adapter connecting in a surface to surface contact
WO2002099933A3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eparate arcing zones
JP2004531046A (ja) 電源プラグ
US20130316553A1 (en) Electric connector with plug module
KR101763340B1 (ko)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US20240049854A1 (en) Rotating curling iron
US8408947B2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US5854456A (en) Line switch having a parallel arrangement between conducting plates with piercing tips and the electrical cord
JP2011171191A (ja) コネクタ装置、及び電源側コネクタ
KR200302445Y1 (ko) 회전형 플러그 아답터
CN113141781A (zh) 包含可配置端子座的电池组
US20120184119A1 (en) Assembly receptacle capable of separating
WO2017041707A1 (zh) 电涌保护器底座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KR101813600B1 (ko) 소켓별 전원 공급을 개별적으로 온오프 시키는 개별 스위치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KR20160109123A (ko) 고정밴드가 구비되는 전기콘센트
US8383968B2 (en) Lever switch for safe breaking of a circuit of an exercise apparatus
US9105424B2 (en) Rocker switch unit
KR100404925B1 (ko) 회전 스위치 플러그
KR200271212Y1 (ko) 전원 차단이 가능한 플러그
CN110943346B (zh) 插座结构、电源接头及该电源接头的插拔连接方法
KR101152591B1 (ko) 타이머를 이용한 타이머 콘센트
EP2423931B1 (en) Lever switch for safe breaking of a circuit of an exercis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