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348B1 -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 Google Patents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348B1
KR102209348B1 KR1020190143945A KR20190143945A KR102209348B1 KR 102209348 B1 KR102209348 B1 KR 102209348B1 KR 1020190143945 A KR1020190143945 A KR 1020190143945A KR 20190143945 A KR20190143945 A KR 20190143945A KR 102209348 B1 KR102209348 B1 KR 10220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ug
inserts
holes
rot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재 filed Critical 김민재
Priority to KR102019014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는 수직면(113)과 수직면(113)의 일측에 배치되는 바닥면(115)을 포함하는 수용부(110), 바닥면(115)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삽입구(117), 및 한 쌍의 삽입구(117)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전력이 제공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접속단자(120)를 포함하는 본체(100), 수용부(110)에 대해서 소정축(X)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소정축(X)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함몰된 다수의 함몰부(210)가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함몰부(210) 중 한 쌍에는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가 삽입되는 회전수단(200), 및 회전수단(200)과 바닥면(115) 사이에 구비되고, 한 쌍의 삽입구(117)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관통홀(310)이 형성되며, 플러그(400)에 의해서 바닥면(115) 방향으로 가압되면, 회전수단(200)을 회전시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 한 쌍의 관통홀(310), 한 쌍의 삽입구(117)를 정렬시키는 작동수단(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Socket enable to guide plug}
본 발명에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각종 전기전자 제품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서, 옥내 배선의 말단이나 멀티탭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콘센트에는 플러그가 삽입되어 전기전자 제품이 작동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콘센트는 플러그 단자와 삽입구가 정확히 정렬해야만 플러그 단자가 삽입구에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러그 단자와 삽입구를 정확히 정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어두운 환경에서는 플러그 단자와 삽입구를 한번에 정렬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2018-0059058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작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플러그의 인서트와 삽입구를 자동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일측에 배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수용부, 상기 바닥면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삽입구, 및 한 쌍의 상기 삽입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전력이 제공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소정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소정축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함몰된 다수의 함몰부가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함몰부 중 한 쌍에는 플러그의 한 쌍의 인서트가 삽입되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과 상기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삽입구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에 의해서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회전수단을 회전시켜 상기 플러그의 한 쌍의 상기 인서트, 한 쌍의 상기 관통홀, 한 쌍의 상기 삽입구를 정렬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직면을 둘러싸는 노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 또는 상기 노출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야광의 제1 표시물이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에는 야광의 제2 표시물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표시물과 상기 제2 표시물을 기준으로 한 쌍의 상기 인서트와 한 쌍의 상기 삽입구의 정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에는 상기 인서트와 접촉하는 상기 작동수단의 일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제1 유도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회전수단을 둘러싸도록 원형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소정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수단에는 상기 인서트와 접촉하는 상기 작동수단의 일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제2 유도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유도부는 한 쌍의 상기 관통홀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와 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작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플러그의 인서트와 삽입구를 자동으로 정렬시켜 사용자는 플러그의 인서트와 삽입구를 정렬시켜야야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야광의 제1 표시물이 구비되고, 플러그에 야광의 제2 표시물이 구비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도 제1 표시물과 제2 표시물을 기준으로 인서트와 삽입구의 정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의 평면도, 및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는 수직면(113)과 수직면(113)의 일측에 배치되는 바닥면(115)을 포함하는 수용부(110), 바닥면(115)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삽입구(117), 및 한 쌍의 삽입구(117)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전력이 제공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접속단자(120)를 포함하는 본체(100), 수용부(110)에 대해서 소정축(X)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소정축(X)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함몰된 다수의 함몰부(210)가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함몰부(210) 중 한 쌍에는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가 삽입되는 회전수단(200), 및 회전수단(200)과 바닥면(115) 사이에 구비되고, 한 쌍의 삽입구(117)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관통홀(310)이 형성되며, 플러그(400)에 의해서 바닥면(115) 방향으로 가압되면, 회전수단(200)을 회전시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 한 쌍의 관통홀(310), 한 쌍의 삽입구(117)를 정렬시키는 작동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플러그(400)가 삽입되는 수용부(110)와 전력을 제공하는 접속단자(120)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도 3 내지 도 4 참조), 전체적으로 하우징 형태의 콘센트나 멀티탭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110)는 본체(100)의 노출면(130)으로부터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면(113)과 수직면(113)의 일측(하측)에 배치되는 바닥면(115)을 포함한다. 이때, 바닥면(115)에는 한 쌍의 삽입구(117)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삽입구(117)에는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가 삽입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본체(100)의 내부에는 한 쌍의 삽입구(117)에 대응하는 위치(한 쌍의 삽입구(117) 하측)에 한 쌍의 접속단자(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접속단자(120)에는 한 쌍의 삽입구(117)를 관통한 한 쌍의 인서트(450)가 삽입되어, 한 쌍의 접속단자(120)로부터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200)은 플러그(4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회전수단(200)은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수용부(110)의 작동수단(3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수단(200)은 수용부(110)에 대해서 소정축(X)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도 1 참조). 구체적으로, 회전수단(200)은 소정축(X) 상에서 연결된 모터 등의 구동수단(250)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도 2 참조). 작동수단(300)이 플러그(400)의 인서트(450)로 가압될 때, 구동수단(250)이 회전수단(200)을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회전수단(2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수단(20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함몰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함몰부(210)는 회전수단(20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가 연속적으로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함몰부(210) 중 한 쌍에는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가 삽입될 수 있다. 즉, 회전수단(200)의 외주면에 다수의 함몰부(21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는 임의의 각도로 회전수단(200)에 삽입하더라도, 한 쌍의 인서트(450)가 한 쌍의 함몰부(210)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동수단(300)은 회전수단(200)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작동수단(300)은 전체적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수단(200)과 바닥면(115)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작동수단(300)은 바닥면(115)과 탄성수단(320)에 의해서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도 3 참조). 탄성수단(320)은 작동수단(300)과 바닥면(115) 사이에 배치되어, 작동수단(300)에 회전수단(200) 방향(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수단(300)이 바닥면(115)과 탄성수단(320)에 의해서 이격되므로, 회전수단(200)의 함몰부(210)에 삽입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에 의해서 작동수단(300)이 바닥면(115) 방향(하측 방향) 가압되면, 탄성수단(320)이 압축되면서 작동수단(300)과 바닥면(115)이 가까워진다. 이때, 작동수단(300)과 바닥면(115) 사이에는 배치된 스위치(330)가 작동수단(300)에 의해서 가압되어 온(On)되면, 전력이 구동수단(250)에 전달되어, 구동수단(250)이 회전수단(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수단(250)에 전달되는 전력은 접속단자(120)에 전단되는 주전력을 일부 이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전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작동수단(300)에는 한 쌍의 삽입구(117)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관통홀(310)이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에 의해서 작동수단(300)이 바닥면(115) 방향(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면, 회전수단(200)의 함몰부(210)에 삽입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가 회전수단(200)과 함께 회전되다가, 한 쌍의 인서트(450), 한 쌍의 관통홀(310), 및 한 쌍의 삽입구(117)가 정렬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400)는 바닥면(115) 방향(하측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이므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는 한 쌍의 관통홀(310)과 한 쌍의 삽입구(117)를 관통하여, 한 쌍의 접속단자(120)에 삽입될 수 있다(도 4 참조). 따라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에는 한 쌍의 접속단자(120)로부터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가 한 쌍의 관통홀(310)을 관통하면, 더 이상 한 쌍의 인서트(450)에 의해서 작동수단(300)이 가압되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수단(3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작동수단(300)이 바닥면(115)으로부터 멀어지고, 이때 스위치(330)가 오프(Off)되어 구동수단(250)에 전력 공급이 중단됨으로써, 구동수단(250)은 회전수단(200)을 회전시키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가 한 쌍의 관통홀(310)과 한 쌍의 삽입구(117)를 관통하면, 더 이상 회전수단(200)이 회전되지 않아,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는 한 쌍의 접속단자(12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수단(300)에는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 말단을 유도하는 제1 유도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도부(340)는 한 쌍의 인서트(450)와 접촉하는 작동수단(300)의 일면(상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회전수단(200)을 둘러싸도록 원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수단(200)의 함몰부(210)에 삽입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가 회전수단(200)과 함께 회전될 때,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 말단은 제1 유도부(34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결국, 플러그(400)가 회전될 때, 한 쌍의 인서트(450) 말단이 제1 유도부(340)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작동수단(300)에는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 말단을 유도하는 제2 유도부(350)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유도부(350)는 한 쌍의 인서트(450)와 접촉하는 작동수단(300)의 일면(상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200)은 소정축(X)을 기준으로 일방향(A,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유도부(350)는 한 쌍의 관통홀(310)로부터 타방향(B,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유도부(350)는 일방향(A, 시계방향)으로 갈수록(한 쌍의 관통홀(310)과 가까워질수록) 깊이가 깊어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수단(200)의 함몰부(210)에 삽입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가 회전수단(200)과 함께 회전될 때,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 말단은 제1 유도부(34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다가, 제2 유도부(35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최종적으로 한 쌍의 관통홀(310)과 한 쌍의 삽입구(117)를 관통할 수 있다. 결국,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는 깊이가 점점 깊어지는 제2 유도부(35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면서 부드럽게 한 쌍의 관통홀(310)과 한 쌍의 삽입구(117)를 관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수직면(113)을 둘러싸는 노출면(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닥면(115) 또는 노출면(1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야광의 제1 표시물(5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400)의 일측(상면)에는 야광의 제2 표시물(60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시물(500)과 제2 표실물을 기준으로 한 쌍의 인서트(450)와 한 쌍의 삽입구(117)의 정렬 여부를 확인 후 있다. 즉, 본체(100)에 야광의 제1 표시물(500)이 구비되고, 플러그(400)에 야광의 제2 표시물(600)이 구비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도 제1 표시물(500)과 제2 표시물(600)을 기준으로 인서트(450)와 삽입구(117)의 정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물(500)과 제2 표시물(600)은 야광 스티커일 수 있고, 야광 스티커의 형상을 기초로 인서트(450)와 삽입구(117)가 정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야광 스티커를 기준으로 최대한 인서트(450)와 삽입구(117)를 최대한 정렬시킨 후 한 쌍의 인서트(450)가 회전수단(200)의 함몰부(210)에 삽입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로, 이를 참조하여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를 회전수단(200)의 한 쌍의 함몰부(210)에 삽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회전수단(20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함몰부(21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는 임의의 각도로 회전수단(200)에 삽입하더라도, 한 쌍의 함몰부(210)에 삽입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400)의 한 쌍의 인서트(450) 말단으로 작동수단(300)을 가압하는 단계이다. 작동수단(300)을 바닥면(115) 방향(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수단(320)이 압축되면서 작동수단(300)이 바닥면(115)과 가까워지고 이때 스위치(330)가 온(On)되면서 구동수단(25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250)에 전력이 공급되어, 구동수단(250)이 회전수단(200)를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한 쌍의 인서트(450)는 회전수단(200)의 함몰부(210)에 삽입되어, 회전수단(200)과 함께 회전한다. 동시에, 한 쌍의 인서트(450) 말단은 작동수단(300)의 일면(상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된 제1 유도부(340)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회전하다가, 한 쌍의 관통홀(310)과 가까워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제2 유도부(350)에 삽입되어 점점 깊게 삽입될 수 있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인선트(450)가 한 쌍의 관통홀(310)과 한 쌍의 삽입구(117)를 관통하는 단계이다. 이때, 한 쌍의 인서트(450)는 한 쌍의 관통홀(310)과 한 쌍의 삽입구(117)를 통과하여 한 쌍의 접속단자(120)에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접속단자(12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동시에, 한 쌍의 인서트(450)가 관통홀(310)을 관통하면, 더 이상 한 쌍의 인서트(450)는 작동수단(300)을 가압하지 않으면서, 탄성수단(320)의 탄성력에 작동수단(300)과 바닥면(115)이 멀어진다. 이때, 스위치(330)가 오프(Off)되어 구동수단(250)에 전격 공급이 중단되어, 구동수단(250)은 회전수단(200)을 회전시키는 것을 중단하면서, 한 쌍의 인서트(450)는 한 쌍의 접속단자(12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본체 110: 수용부
113: 수직면 115: 바닥면
117: 삽입구 120: 접속단자
130: 노출면 200: 회전수단
210: 함몰부 250: 구동수단
300: 작동수단 310: 관통홀
320: 탄성수단 330: 스위치
340: 제1 유도부 350: 제2 유도부
400: 플러그 450: 인서트
500: 제1 표시물 600: 제2 표시물
X: 소정축 A: 일방향
B: 타방향

Claims (4)

  1.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일측에 배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수용부, 상기 바닥면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삽입구, 및 한 쌍의 상기 삽입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전력이 제공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소정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소정축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함몰된 다수의 함몰부가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함몰부 중 한 쌍에는 플러그의 한 쌍의 인서트가 삽입되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과 상기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삽입구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에 의해서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회전수단을 회전시켜 상기 플러그의 한 쌍의 상기 인서트, 한 쌍의 상기 관통홀, 한 쌍의 상기 삽입구를 정렬시키는 작동수단;
    을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직면을 둘러싸는 노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 또는 상기 노출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야광의 제1 표시물이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에는 야광의 제2 표시물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표시물과 상기 제2 표시물을 기준으로 한 쌍의 상기 인서트와 한 쌍의 상기 삽입구의 정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에는 상기 인서트와 접촉하는 상기 작동수단의 일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제1 유도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회전수단을 둘러싸도록 원형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소정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수단에는 상기 인서트와 접촉하는 상기 작동수단의 일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제2 유도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유도부는 한 쌍의 상기 관통홀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KR1020190143945A 2019-11-12 2019-11-12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KR10220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45A KR102209348B1 (ko) 2019-11-12 2019-11-12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45A KR102209348B1 (ko) 2019-11-12 2019-11-12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348B1 true KR102209348B1 (ko) 2021-01-29

Family

ID=7423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945A KR102209348B1 (ko) 2019-11-12 2019-11-12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34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537Y1 (ko) * 1999-12-08 2000-06-01 박길홍 감전방지구가 구비된 안전콘센트
KR101407104B1 (ko) * 2014-01-10 2014-06-13 이병석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KR20150018296A (ko) * 2013-08-09 2015-02-23 이가람 돌기가 부착된 콘센트 커버
KR101650503B1 (ko) * 2016-01-06 2016-09-05 김현무 회전 접속타입 콘센트
KR20170084799A (ko) * 2016-01-13 2017-07-21 노현우 다방향 접속이 가능한 콘센트 모듈
KR20170140125A (ko) * 2017-11-24 2017-12-20 양재석 플러그 삽입이 쉬운 콘센트
KR20180059058A (ko) 2016-11-25 2018-06-0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전원콘센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537Y1 (ko) * 1999-12-08 2000-06-01 박길홍 감전방지구가 구비된 안전콘센트
KR20150018296A (ko) * 2013-08-09 2015-02-23 이가람 돌기가 부착된 콘센트 커버
KR101407104B1 (ko) * 2014-01-10 2014-06-13 이병석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KR101650503B1 (ko) * 2016-01-06 2016-09-05 김현무 회전 접속타입 콘센트
KR20170084799A (ko) * 2016-01-13 2017-07-21 노현우 다방향 접속이 가능한 콘센트 모듈
KR20180059058A (ko) 2016-11-25 2018-06-0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전원콘센트
KR20170140125A (ko) * 2017-11-24 2017-12-20 양재석 플러그 삽입이 쉬운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1638B2 (en) Connectors
JP2007311196A (ja) 設置方向を変える電源プラグ
US10063051B2 (en) Electrical sockets
KR102209348B1 (ko) 플러그 유도가 가능한 콘센트
KR101633291B1 (ko) 램프 홀더와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EP2600472B1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US20090047808A1 (en) Electrical connector
EP3203593B1 (en) Adapter
JP2012043791A (ja) ランプホルダー
JP2012079452A (ja) 電子機器保持用ソケットおよび火炎センサ
EP0735547A1 (en) Grommet and inspecting apparatus for the same
US20050189905A1 (en) Portable battery charging device
CN112640595B (zh) 具有连接件和与连接件连接的盖件的电气设备
KR200483856Y1 (ko) 콘센트장치
KR101437036B1 (ko) 전원연결장치
CN211320406U (zh) 旋转型无插脚插拔结构
CN108511940B (zh) 连接器及采用该连接器的充电装置
US11378268B2 (en) Luminaire having a plug contact, the use of a luminaire of this kind, and a connector for a luminaire of this kind
CN108448355A (zh) 电子信息产品的电源机构部分及可替换的转换连接器
CN109390825B (zh) 配接器及其使用方法
CN209948754U (zh) 一种带转盘的通用充电装置
CN214624827U (zh) 一种组合式插座及包含该插座的键盘
KR101478044B1 (ko) 전원연결장치
CN201774076U (zh) 电连接器
CN215723096U (zh) 一种恒流驱动器及led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