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796B1 -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796B1
KR101803796B1 KR1020170096205A KR20170096205A KR101803796B1 KR 101803796 B1 KR101803796 B1 KR 101803796B1 KR 1020170096205 A KR1020170096205 A KR 1020170096205A KR 20170096205 A KR20170096205 A KR 20170096205A KR 101803796 B1 KR101803796 B1 KR 10180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ate
terminal
main body
connection terminal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즈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즈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즈토리
Priority to KR1020170096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796B1/ko
Priority to CN201810687058.6A priority patent/CN10930929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전선이 전기적 접속을 위한 단자플레이트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으로 전선이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양측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선과 단자플레이트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단자의 양단부에는 고정편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편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a cable connecter}
본 발명은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전선이 전기적 접속을 위한 단자플레이트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기 또는 통신기기는 전선에 의해 기기 상호간을 연결하거나 또는 기기와 전원입력단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전선에 의해 기기 상호간이나 기기와 전원입력단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전선 상호간을 접속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이 전선 상호간을 접속시키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접속하고자 하는 각 전선의 일측 선단부를 꼬아 일체화하고 그 일체화된 부분에 절연테이프를 접착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거나 또는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전선 상호간을 접속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선 상호간을 접속하였을 경우에는 감전이나 누전의 우려가 있음은 물론이고 일체화된 상태의 견고성을 신뢰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4328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선의 양끝에 각각 삽입단자와 수용단자를 결합하고, 수용단자에 삽입단자를 끼워 결합되도록 구성된 전선 연결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전선 연결구는 결합력이 약하여 약한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며, 이로 인해 전기적 연결이 단선 되어 전기 제품의 내구성을 감소시키고 누전이나 감전 사고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전선의 연결이 불안정하게 됨에 따라 합선에 의한 스파크 등이 발생되어 화재에도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716635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길이 방향 양단이 관통 형성된 연결관(100); 상기 연결관(100)의 일단에 삽입 장착되어, 제1전선(10)을 상기 연결관(100)의 내부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구(200); 상기 연결관(100)의 타단에 삽입 장착되어, 제2전선(20)을 상기 연결관(100)의 내부에 결합시키는 제2결합구(300); 상기 연결관(100) 내부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1전선(10)과 제2전선(20)의 심과 접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단자(400); 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단자(400)의 양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며, 탄성력을 갖는 물림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구(200)와 상기 제2결합구(300)는 상기 접속단자(400) 방향 일단이 상기 물림부(410)에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선 연결단자에 있어서, 상기 물림부(410)의 끝단이 배치된 상기 연결관(10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단자플레이트(500)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단자(400)의 가운데에는 상기 단자플레이트(5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물림부(410)의 끝단과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절곡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100)의 양단 내측에는 제1걸림돌기(1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구(200)의 외측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110)와 맞물리는 제2걸림돌기(220)가 형성되되, 상기 제2걸림돌기(220)는 상기 연결관(100) 방향 모서리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반대편 모서리는 각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716635호에 기재된 기술은 연결관(100)의 내부에 전선의 심과 밀착 고정되는 접속단자(400)가 삽입 배치됨으로서, 전선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접속단자(400)의 물림부(410)를 가압할 때, 제1,2결합구(200,300)의 상단부가 물림부(410)의 상부 전체와 접하게 되므로, 제1,2결합구(200,300)의 내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전선의 단부가 단자플레이트(500)와 물림부(410)의 사이로 삽입되기가 어려워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2결합구(200,300)의 단부를 통하여 전선이 삽입되는데, 제1,2결합구(200,300)를 단부에서 가압하여야 하므로 전선을 제1,2결합구(200,300)의 단부를 통하여 삽입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6635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637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내측에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자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플레이트에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되, 상기 접속단자의 단부에 형성되어 전선을 단자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편을 제어하는 레버를 본체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본체의 양단을 통하여 전선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레버의 하부에 형성되어 고정편을 제어하는 작동부는 고정편의 폭방향 중심부 또는 양측을 가압하며, 상기 작동부의 단부는 라운드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정편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하여 고정편을 용이하게 회동시켜 단자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하여 전선이 단자플레이트와 고정편 사이로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으로 전선이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양측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선과 단자플레이트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를 슬라이딩 가압하여 상기 단자플레이트와 접속단자를 이격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단자플레이트와 접속단자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의 양단부에는 고정편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편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고정편을 제어하기 위한 레버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레버는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을 가압하는 작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는 고정편과 접하는 부분이 라운드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양측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제1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가 삽입되고, 상기 작동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고정편에 의해 몸체의 양측 단부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제1장공에 대응되도록 제2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동부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1장공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삽입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의 상단 타측에는 상기 제1장공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일측 단부는 상기 단자플레이트 및 접속단자가 삽입되도록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전선이 삽입되도록 전선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접속단자의 하면에는 이동방지편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방지편이 삽입되는 걸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내측에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자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플레이트에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되, 상기 접속단자의 단부에 형성되어 전선을 단자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편을 제어하는 레버를 본체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본체의 양단을 통하여 전선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레버의 하부에 형성되어 고정편을 제어하는 작동부는 고정편의 중심부 또는 양측을 가압하며, 상기 작동부의 단부는 라운드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정편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하여 고정편을 용이하게 회동시켜 단자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하여 전선이 단자플레이트와 고정편 사이로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선 전선연결단자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개선된 전선 연결단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개선된 전선 연결단자의 전선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에서 전선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에서 전선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다.
본 발명은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양측으로 전선(500)이 삽입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단자플레이트(200)와 상기 단자플레이트(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접속단자(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내측에는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플레이트(200)와 접속단자(300)가 삽입되는데, 상기 단자플레이트(200)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형상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전선(5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며, 상기 접속단자(300)는 전선(500)과 단자플레이트(200)의 연결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단자(300)에 의해 전선(500)의 단부가 단자플레이트(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양측의 전선(500)이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300)는 탄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금속재질을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접속단자(300)의 양측 단부에는 고정편(32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32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320)의 상단은 상기 단자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 양측 하면과 접하게 되고, 본체(100)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전선이 상기 단자플레이트(200)와 접속단자(300)의 고정편(320)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편(320)의 탄성력에 의해 단자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110)에는 상기 단자플레이트(200)와 접속단자(300)가 삽입되는데, 상기 본체(10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접속단자(300)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편(320)을 제어하기 위한 레버(400)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4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하면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작동부(4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몸체(410)는 본체(100)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420)는 본체(110)를 관통하여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110)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 양측 상부에는 제1장공(14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420)가 상기 제1장공(140)을 통하여 수용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되는데, 상기 작동부(420)의 일측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부의 형상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접속단자(300)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편(320)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320)은 탄성력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3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420)를 본체(100)의 양측 단부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작동부(420)가 고정편(320)과 접하는 부분이 라운드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작동부(420)가 고정편(320)을 가압하여 고정편(320)이 회전하더라도 작동부(420)의 라운드지도록 경사진 부분에 의해 고정편(320)의 상부를 지속적으로 가압하게 되어 보다 적은 힘으로 고정편(320)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단자플레이트(2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부(1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단자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제1장공(140)에 대응되도록 제2장공(210)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레버(400)를 구성하는 몸체(4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작동부(420)가 상기 제1장공(140)과 제2장공(210)을 관통하여 수용부(110)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1장공(140)의 일단에는 걸림턱(142)이 형성되는데, 상기 레버(400)를 형성하는 작동부(42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142)이 삽입되는 제1걸림홈(4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420)에는 제1걸림홈(4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걸림홈(424)의 단부가 제1장공(140)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작동부(420)는 재질이 어느 정도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1장공(14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400)는 제1장공(1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레버(400)의 하부를 형성하는 작동부(420)가 접속단자(300)의 고정편(320)을 가압하게 되면 고정편(320)과 단자플레이트(200)가 서로 이격되게 되어 전선의 단부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320)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부(420)는 본체(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로 각각 탄성지지되어, 레버(400)를 작동시키는 힘이 제거될 경우 상기 걸림턱(142)이 제1걸림홈(422)에 삽입되기 때문에 레버(400)가 제1장공(140)을 통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320)의 중심부에는 절곡부(325)가 형성되어 고정편(320)의 탄성력이 작동부(4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작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부(420)를 본체(100)의 단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단자플레이트(200) 및 접속단자(300)가 삽입될 수 있게 완전히 개방되도록 개방구(120)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전선(500)이 삽입되도록 전선(500)의 직경에 대응되는 전선 삽입공(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단자(300)의 일측 단부 하면에는 이동방지편(310)이 본체(100)의 개방구(120)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선 삽입공(130)이 위치하는 상기 수용부(110)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방지편(310)이 삽입되는 걸림공(1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단자(300)는 하부로 돌출 형성된 이동방지편(310)이 상기 걸림공(112)에 삽입되어 접속단자(300)가 개방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전선 삽입공(130)이 형성된 부분의 벽면에 의해 접속단자(300)가 전선 삽입공(13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레버(400)에 의해 고정편(320)을 가압하여 고정편(320)과 단자플레이트(200)를 안정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부(420)는 레버(400)를 형성하는 몸체(4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32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면 작동부(420)와 단자플레이트(200)를 이격시키게 되어 고정편(320)과 단자플레이트(200) 사이에 전선을 용이하게 위치시키게 된다.
여기서, 전선 삽입공(130)이 형성된 방향에 구비되는 레버(400)의 상기 작동부(420)는 몸체(410)의 중심부에 하나만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개방구(120)가 형성된 방향에 구비되는 레버(400)는 몸체(4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 삽입공(130)을 통하여 각각 하나의 전선(500)만이 삽입되므로 몸체(410)의 중심부에 하나의 작동부(420)를 형성하여 작동부의 양측으로 전선을 삽입하고, 상기 개방구(120)를 통해서는 다수개의 전선(500)이 삽입되게 되므로 몸체(410)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작동부(420) 사이로 다수개의 전선(50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420)는 상기 고정편(320)과 접하는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그 경사부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상이 아니라 라운드지게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420)의 라운드진 부분으로 고정편(320)을 가압하게 되면 고정편(320)이 접속단자의 양단부를 중심으로회전할 때, 작동부(420)가 고정편(320)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고정편(320)을 가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면 양측에는 가이드돌부(150)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레버(400)의 몸체(410)는 상기 가이드돌부(15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이드돌부(15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됨으로써, 작동부(420)가 측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편(320)이 직선 이동을 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400)를 형성하는 몸체(410)의 상면에는 돌출부(41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돌출부(412)를 통하여 레버(400)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는 양측에 각각 전선(500)을 삽입하여 하나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전선(500)을 양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본체(100)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전선이 전기적 접속을 위한 단자플레이트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100 : 본체 110 : 수용부
120 : 개방구 130 : 전선 삽입공
140 : 제1장공 150 : 가이드돌부
200 : 단자플레이트 210 : 제2장공
300 : 접속단자 310 : 이동방지편
320 : 고정편 400 : 레버
410 : 몸체 420 : 작동부
500 : 전선

Claims (6)

  1. 양측으로 전선이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양측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선과 단자플레이트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를 슬라이딩 가압하여 상기 단자플레이트와 접속단자를 이격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단자플레이트와 접속단자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의 양단부에는 고정편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편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고정편을 제어하기 위한 레버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레버는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을 가압하는 작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는 고정편과 접하는 부분이 라운드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양측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제1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가 삽입되고,
    상기 단자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제1장공에 대응되도록 제2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몸체의 하면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거나, 몸체의 하면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1장공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삽입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의 상단 타측에는 상기 제1장공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20170096205A 2017-07-28 2017-07-28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1803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205A KR101803796B1 (ko) 2017-07-28 2017-07-28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CN201810687058.6A CN109309295A (zh) 2017-07-28 2018-06-28 用于连接电源电线的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205A KR101803796B1 (ko) 2017-07-28 2017-07-28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796B1 true KR101803796B1 (ko) 2017-12-04

Family

ID=6092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205A KR101803796B1 (ko) 2017-07-28 2017-07-28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3796B1 (ko)
CN (1) CN1093092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100089U1 (de) * 2020-01-09 2021-04-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372Y1 (ko) 2004-11-24 2005-03-11 민광기 등기구용 전선연결단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2125B2 (ja) * 2000-08-04 2008-12-24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線接続器具
DE10103187B4 (de) * 2001-01-24 2010-11-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Klemme
JP3565806B2 (ja) * 2001-08-30 2004-09-15 サトーパーツ株式会社 端子台
TWI511394B (zh) * 2014-06-10 2015-12-01 Tarn Yu Entpr Co Ltd Activation of electrical connectors
DE102015101893B4 (de) * 2015-02-10 2022-01-2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Leiteranschlussklemme
KR101716635B1 (ko) * 2016-04-19 2017-03-15 최종하 전선 연결단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372Y1 (ko) 2004-11-24 2005-03-11 민광기 등기구용 전선연결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09295A (zh)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86791B (zh) 用于在凸片触头和高电流导体之间建立电连接的装置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EP3159972B1 (en)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EP3425740B1 (en) Conductive component structure for wire connection terminal
US10622730B2 (en)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N104508910A (zh) 带有用于操作弹簧件的按压件的连接端子或接线端子
KR20050061581A (ko) 편평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KR101803796B1 (ko)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US10910752B2 (en) Large current terminal and connector
US20210005988A1 (en) Terminal block structure
JP2009211903A (ja) 丸型端子用スクリューレス端子台
US20180034217A1 (en) Connector
JP2014515547A (ja) 基準状態における接触バネの位置決めするための保持手段を備えた電気接続デバイス
US8475202B1 (en) Detection terminal with a concave surface and a convex surface both facing a side wall of a tongue of a housing
US3001168A (en) Wiring device
TWM539173U (zh) 按壓開關接線裝置
WO2019008055A1 (en) CONNECTOR
KR20170117693A (ko) 커넥터
CN108615983B (zh) 按压开关接线装置
KR20160053370A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TW201715544A (zh) 開關接線裝置
TWM573909U (zh) High power power connector
TWI607467B (zh) 按壓開關接線裝置
KR20100002986A (ko) 커넥터
CN210723417U (zh) 高强度连接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