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741U -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 Google Patents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741U
KR20090005741U KR2020070019732U KR20070019732U KR20090005741U KR 20090005741 U KR20090005741 U KR 20090005741U KR 2020070019732 U KR2020070019732 U KR 2020070019732U KR 20070019732 U KR20070019732 U KR 20070019732U KR 20090005741 U KR20090005741 U KR 200900057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lease button
outlet
receiving groove
ben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홍
Original Assignee
김남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홍 filed Critical 김남홍
Priority to KR2020070019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741U/ko
Publication of KR200900057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7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의 몸체가 삽입되는 플러그 수용홈, 그리고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공이 상기 플러그 수용홈의 바닥면에 형성된 콘센트에 있어서,플러그 이탈버튼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상기 플러그 이탈버튼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 수용홈의 양측 부근에 형성된 절결부에 선회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상기 플러그 이탈버튼은 철판이나 플라스틱판이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판, 상기 절곡판의 절곡이 이루어진 절곡모서리 부위에 천공되어 형성된 홀, 그리고 상기 절결부를 구획형성하고 있는 양 내측벽에 형성된 홈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절결부의 홀에 관통되어 상기 절결부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러그, 콘센트, 삽입공, 버튼, 수용 홈

Description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PROVIDED WITH A PLUG SEPARATING BUTTON}
본 고안은 플러그 이탈 버튼이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결합시키면 양측에서 형성된 플러그 이탈 버튼이 돌출되고, 돌출된 플러그 이탈 버튼을 누르면 결합된 플러그가 밖으로 밀려나오게 되어 간편하게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 이탈 버튼이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결합된 플러그를 분리시키기가 용이하지 못해 적어도 한번 이상의 시도를 통해 플러그를 빼거나, 그래도 분리되지 않으면 전선을 잡아당겨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시켰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콘센트는 삽입된 플러그를 분리해 내기가 용이하지 않은 구조로서, 여성이나 노약자 어린이들이 플러그를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분리해 내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한번에 분리해내기가 쉽지않으며, 전선 등을 잡아당겨 분리시키는 경우 피복이 벗겨져 감전의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러그의 몸체가 삽입되는 플러그 수용홈, 그리고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공이 상기 플러그 수용홈의 바닥면에 형성된 콘센트에 있어서,플러그 이탈버튼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상기 플러그 이탈버튼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 수용홈의 양측 부근에 형성된 절결부에 선회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상기 플러그 이탈버튼은 철판이나 플라스틱판이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판, 상기 절곡판의 절곡이 이루어진 절곡모서리 부위에 천공되어 형성된 홀, 그리고 상기 절결부를 구획형성하고 있는 양 내측벽에 형성된 홈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절결부의 홀에 관통되어 상기 절결부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상기 절곡판은 수평의 제 1면과 수직의 제 2면을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절곡판의 제 2면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납부는 상기 절곡판의 제 2면과 두께만큼 깊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판의 제 1면의 배면과 해당 배면과 마주하는 콘센트 부분 사이에는 자석 또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는 콘센트의 양측으로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되어 해당 이탈버튼을 누름으로써 콘센트에 삽입되어 결합된 플러그를 힘이 약한 노약자 여성 및 어린아이들도 간편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람이 직접 플러그와 접촉하지 않고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콘센트가 부호 2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플러그(10)의 몸체(11)가 삽입되는 플러그 수용홈(21), 그리고 플러그 단자(12)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공(22)이 상기 플러그 수용홈(21)의 바닥면(21a)에 형성된 종래의 콘센트에 플러그 이탈버튼(30)이 구비된 콘센트(2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이탈버튼(30)은 플러그(10)가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 수용홈(21)의 양측 부근에 형성된 절결부(23)에 선회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도 3에는 상술한 플러그 이탈버튼(30)이 콘센트(20)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플러그 이탈버튼(30)은 철판이나 플라스틱판이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판(31), 상기 절곡판(31)의 절곡이 이루어진 절곡모서리 부위에 천공되어 형성된 홀(33), 그리고 상기 절결부(23)를 구획형성하고 있는 양 내측벽에 형성된 홈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절결부(23)의 홀(24)에 관통되어 상기 절결부(23)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핀(34)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절곡판(31)은 수평의 제 1면(31a)과 수직의 제 2면(31b)을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 이탈버튼(30)은, 상기와 같이 상기 콘센트(20)와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에 의해, 상기 절곡판(31)의 제 1면(31a)은 상기 수용홈(21)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절곡판(31)의 제 2면(31b)은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핀(34)으로 상기 콘센트(20)에 결합된 플러그 이탈버튼(30)은 상기 핀(34)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다.
한편, 상기 절곡판(31)의 제 1면(31a)에는 N극의 자석(32a)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면(31a)와 마주보는 콘센트 부분에는 S극이 자석(32b)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N극 자석(32a)과 S극 자석(32b) 중 어느 하나의 자석은 자석이 아닌 자석에 달라붙는 도체일 수 있다.
상술한 N극 자석(32a)과 S극 자석(32b)이 구비되는 것은 상기 콘센트(20)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에 상기 플러그 이탈버튼(30)이 회전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절곡판(31)의 제 1면(31a)과 제 2면(31b)이 각각 수평·수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절곡판(31)의 제 1면(31a)과 제 2면(31b)이 상기 콘센트(20)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 수평·수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자석(32) 대신 스프링(35)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콘센트(20)에 구비된 플러그 이탈버튼(30)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콘센트(20)에 플러그(10)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콘센트(20)에 플러그(10)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10)가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제 1면(31a)은 상기 수용홈(21)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제 2면(31b)은 상기 수용홈(21)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있다.
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10)가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1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핀(34)을 중심으로 상기 절곡판(31)의 제 2면(31a)은 회전하여서, 상기 플러그 수용홈(21)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절곡판(31)의 제 2면(31a)이 상기 플러그 수용홈(21)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절곡판(31)의 제 1면(31b)은, 핀(34)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되 어, 상기 플러그(10)가 삽입되기 전의 상기 제 2면(31a)의 각도 상의 자세와 동일한 각도 상의 자세를 취하게 된다.
상기 플러그 수용홈(21)의 바닥면(21a)에는 상기 플러그(10)가 삽입됨에 따라 접촉하게 되는 절곡판(31)의 제 2면(31b)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수납부(2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상기 플러그(10)의 단자(12)들이 콘센트(20)의 삽입공(22)에 종래와 같은 깊이로 삽입되어 안전하게 상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촉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절곡판(31)의 제 2면(31b)과 접촉하는 상기 플러그 수용홈(21)의 바닥면(21a)이 상기 절곡판(31)의 제 2면(31b)과 두께만큼 깊이를 가진 수납부(21b)는 상기 플러그(10)가 상기 플러그 수용홈(21)의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후, 사용자가 기립된 상기 절곡판(31)의 제 1면(31a)을 누름으로써, 상기 플러그 수용홈(21)에 삽입된 플러그(10)는 상기 콘센트(20)로부터 간편하게 빼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콘센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의 콘센트 단면도.

Claims (5)

  1. 플러그(10)의 몸체(11)가 삽입되는 플러그 수용홈(21), 그리고 플러그 단자(12)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공(22)이 상기 플러그 수용홈(21)의 바닥면(21a)에 형성된 콘센트(20)에 있어서,
    플러그 이탈버튼(30)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플러그 이탈버튼(30)은 플러그(10)가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 수용홈(21)의 양측 부근에 형성된 절결부(23)에 선회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이탈버튼(30)은 철판이나 플라스틱판이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판(31), 상기 절곡판(31)의 절곡이 이루어진 절곡모서리 부위에 천공되어 형성된 홀(33), 그리고 상기 절결부(23)를 구획형성하고 있는 양 내측벽에 형성된 홈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절결부(23)의 홀(24)에 관통되어 상기 절결부(23)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핀(3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판(31)은 수평의 제 1면(31a)과 수직의 제 2면(31b)을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수용홈(21)의 바닥면(21a)에는 절곡판(31)의 제 2면(31b)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수납부(2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21b)는 상기 절곡판(31)의 제 2면(31b)과 두께만큼 깊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5.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판(31)의 제 1면(31a)의 배면과, 해당 배면과 마주하는 콘센트(20) 부분 사이에는 자석(32) 또는 스프링(3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KR2020070019732U 2007-12-07 2007-12-07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KR200900057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732U KR20090005741U (ko) 2007-12-07 2007-12-07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732U KR20090005741U (ko) 2007-12-07 2007-12-07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741U true KR20090005741U (ko) 2009-06-11

Family

ID=4128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732U KR20090005741U (ko) 2007-12-07 2007-12-07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74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7908A1 (ko) * 2009-07-16 2011-01-20 Ji Young Ju 콘센트
CN111509510A (zh) * 2020-04-16 2020-08-07 郭德琼 一种高温自动弹出式插头及插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7908A1 (ko) * 2009-07-16 2011-01-20 Ji Young Ju 콘센트
CN111509510A (zh) * 2020-04-16 2020-08-07 郭德琼 一种高温自动弹出式插头及插座
CN111509510B (zh) * 2020-04-16 2021-12-28 深圳市中优图科技有限公司 一种高温自动弹出式插头及插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2735B2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1315688B1 (ko) 비삽입형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포터블 전자기기용 케이스
US8690596B2 (en) Jack connector
CN106463888B (zh) 凹型电连接器、相对应的凸型电连接器和包括凸型电连接器和凹型连接器的连接组件
US7967629B1 (en) Interlocking connector
JP3167543U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15004489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dditional exterior shell
KR20090005741U (ko) 플러그 이탈버튼이 구비된 콘센트
CN202084687U (zh) 卡连接器
US786703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s retained on external faces of the housing
KR101132892B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
CN105811183B (zh) 插线板及其使用方法
TWM500376U (zh) 電子卡連接器
TWM485524U (zh) 電子卡連接器
CN201041861Y (zh) 插座连接器后盖结构
CN206864703U (zh) 结构改良的电插座
KR20050106726A (ko) 콘센트
CN202159783U (zh) 电池连接器
CN107394547A (zh) 一种分离式安全排插
KR200316940Y1 (ko) 콘센트
TWI555286B (zh) 插座連接器
TWM332990U (en) Electric connecter suitable for various specifications
TWM458680U (zh) 電連接器
US902827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resilient contact so as to realize better retaining effect
CN201029156Y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