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933B1 - 전원플러그및그제조방법과전기장치 - Google Patents

전원플러그및그제조방법과전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933B1
KR100483933B1 KR1019970022758A KR19970022758A KR100483933B1 KR 100483933 B1 KR100483933 B1 KR 100483933B1 KR 1019970022758 A KR1019970022758 A KR 1019970022758A KR 19970022758 A KR19970022758 A KR 19970022758A KR 100483933 B1 KR100483933 B1 KR 100483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ower
plug body
electrical connection
gap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633A (ko
Inventor
히데까즈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029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19083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8000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는, 전기접속을 위해서 전원 콘센트의 삽입구 내로 삽입되며,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플러그 본체와, 각각의 일부분이 플러그 본체의 내측에 지지되며 플러그 본체로부터 돌출되어진 나머지 부분이 전원 콘센트의 삽입구 내로 삽입되어지는 다수의 전기접속단자와, 전기접속단자와 전원 콘센트의 삽입구를 형성하는 내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충진하기 위해서 전기접속단자의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본체와는 별개로 형성되는 간극충진부재와, 상기 간극충진부재를 상기 플러그 본체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원 플러그 및 그 제조방법과 전기장치
본 발명은 예를들어 전자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콘센트인 상용 전원의 파워(power)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이며, 특히, 트래킹(tracking) 화재 (먼지나 오물 등의 누적에 의한 단락 또는 쇼팅(shorting)으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 내부에 간극(間隙)충진재를 갖추어 구성된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전기제품이나 사무자동화 기기 등과 같은 전기장치 각각은 전기접속을 위해서 전원 콘센트 내에 끼워넣어지는 전원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 플러그의 접속단자부재는, 전원 콘센트의 전원 플러그 접속공 내로의 삽입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 전원 플러그 접속공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작은 외경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전원 플러그가 전원 콘센트 내로 삽입될 때, 전원 플러그의 접속단자부재와 전원 콘센트의 전원 플러그 접속공과 사이의 간극에 먼지 오물 등이 부착되므로, 단락이나 그 외의 불편이 자주 발생하였었다.
전원 플러그를 전원 콘센트 내로 삽입할 때, 접속단자부재와 전원 플러그 접속공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므로, 헐거워지기 쉽다. 따라서 전원 플러그는 전원 콘센트에 대해 쉽게 기울어지고, 쉽게 전원 플러그 접속공에서 빠진다. 따라서, 예를들어 잘못하여 다리가 전원 플러그의 전원코드에 걸리게 되면, 전원 플러그는 쉽게 빠지곤 하였다. 특별히 끊임없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사무자동화 기기 등의 경우에, 전원 플러그가 빠짐으로 해서 전력이 중단되면, 내부 데이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에 의해 앞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7-37388호에 발표된 "전원 플러그"라는 표제의 명세서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제 1 및 제 2의 선출원으로써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할 것이다.
제 1선행기술의 전원 플러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러그 본체(3)와, 전원 콘센트(2)의 전원 플러그 접속공(9A, 9B) 내로 삽입되어 끼워넣어지기에 적합한 한 쌍의 접속단자부재(4A, 4B)와, 전기장치에 접속되는 전원코드(5)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러그 본체(3)는 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외형을 가지며, 플라스틱이나 합성고무 등과 같이 절연특성을 갖는 절연재료로 만들어진다. 또한, 플러그 본체(3)는, 플러그 본체(3)의 돌출면(3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간극충진부재(6A, 6B)를 갖추어 구성됨으로써, 돌출면(3A)에는 접속단자부재(4A, 4B) 각각이 전원 콘센트(2)의 전원 플러그 삽입공(9A, 9B)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들 간극충진부재(6A, 6B)는, 전원 콘센트(2)의 전원 플러그 접속공(9A, 9B)의 내경치수와 거의 동일한 외경치수를 갖는 직사각형의 원주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간극충진부재(6A, 6B)는, 접속단자부재(4A, 4B) 각각의 외경 치수와 거의 동일한 내경 치수를 갖는 한쌍의 접속단자 삽입공(7A, 7B)을 포함한다. 또한, 간극충진부재(6A, 6B)는 그 말단부에 면취가공부(8A, 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접속단자부재(4A, 4B)는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플러그 본체(3)내에 지지되는 베이스 단부측(base end side)을 갖추어 구성되며, 전원 콘센트(2)의 전원 플러그 접속공(9A, 9B)내로 삽입되어지는 그 선단부는 플러그 본체(3) 상에 장착되어서, 플러그 본체(3)의 접속단자 삽입공(7A, 7B)으로부터 돌출된다. 그 결과, 플러그 본체(3)로부터 돌출되는 접속단자부재(4A, 4B)의 근원부의 외주벽은 각각 플러그 본체(3)의 간극충진부재(6A, 6B)의 내주벽에 의해 덮인다.
상기 설명된 구성을 갖는 제 1선행기술의 전원 플러그(1)에 있어서, 그 접속단자부재(4A, 4B)는 전원 콘센트(2)의 전원 플러그 접속공(9A, 9B)내로 각각 삽입된다. 삽입시에, 간극충진부재(6A, 6B)는, 전원 플러그(1)의 접속단자부재(4A, 4B)의 외주벽과 전원 콘센트(2)의 전원 플러그 접속공(9A, 9B)의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0A, 10B)에 충진된다. 그 결과, 간극(10A, 10B)이 없어지며, 따라서 전원 플러그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먼지나 오물 등이 침입할 수 없게 된다.
반면, 제 2선행기술의 전원 플러그(도시 생략됨)에 있어서, 간극충진 캡(블레이드 캡)이 플러그 본체와는 별개로 구성되므로, 분리가능하다. 블레이드 캡을 삽입하게 되면, 간극은 먼지나 오물 등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제 1 선행기술의 전원 플러그(1)에서, 간극충진부재(6A, 6B)는 플러그 본체(3)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플러그 본체가 예를들어 염화비닐 등과 같은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질 경우에, 간극충진부재(6A, 6B)의 두께는 얇기 때문에, 그것이 전원 콘센트(2)의 접속공(9A, 9B)내로 삽입될 때 간극충진부재(6A, 6B)의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제 2 선행기술의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 블레이드 캡은 별개로 형성된 플러그 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블레이드 캡은 플러그 본체와의 접속을 위한 수단을 갖추어 구성되지 않으므로, 삽입된 블레이드 캡은 플러그 본체의 근원부로부터 빠져서 접속단자부재(4A, 4B)가 노출되므로, 힘이 가해져서 플러그 본체를 내리 누르거나 플러그 본체가 빠지기 쉬운 상태에 있을 경우, 그 간극 내로 먼지나 오물 등이 침입할 위험이 있었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플러그가 연질의 재질로 만들어지더라도 뛰어난 내구성을 갖는 간극충진부재를 형성할 수 있는 전원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수단을 갖추지 않은 블레이드 캡이 플러그 본체로부터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그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전원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전기접속용 전원 콘센트의 전원 플러그 접속공 내에 삽입되어질 전원 플러그는, 절연재료로 만들어진 플러그 본체와, 그 일부분이 플러그 본체의 내측에 지지되며 그 나머지 부분이 플러그 본체로부터 돌출되어서 전원 콘센트의 접속공 내로 삽입되어지는 다수의 전기접속단자와, 상기 전기접속단자와 전원 콘센트의 접속공을 형성하는 내면과의 사이의 간극을 충진하기 위해 전기접속단자 각각에 배치되며 플러그 본체와는 별개로 형성되는 간극충진부재와, 플러그 본체 상에 간극충진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은 전원 플러그(11)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원 플러그(11)와 전원 콘센트(2)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11)는, 플러그 본체(13)와, 전원 콘센트(2)내로 삽입되어질 한 쌍의 접속단자부재(4A, 4B)와, 플러그 본체(13)로부터 돌출되는 접속단자부재(4A, 4B)의 근원부 내로 끼워넣어지는 블레이드 캡(12A, 12B)과, 전기장치(100)와 접속되는 전원코드(5)와, 전원코드(5)와 접속단자부재(4A, 4B)와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코킹부(caulked portion)(14)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전원 콘센트를 본 발명의 전원 콘센트(2)로써 이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전원 콘센트를 전원 콘센트(2)로써 이용할 수 있다.
플러그 본체(13)는 예를들어 플라스틱이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재료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며, 그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의 외형을 갖는다. 또한 플러그 본체(13)는, 한 쌍의 접속단자부재(4A, 4B)가 그로부터 돌출되어 나오도록 구성된 끼워맞춤면(13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접속단자부재(4A, 4B) 각각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접속단자부재(4A, 4B)의 일부분(4C, 4D)은 플러그 본체(13)의 내부에서 단단하게 지지된다. 접속단자부재(4A, 4B) 각각의 일부분(4C, 4D)은 금속 코킹부(14, 14)에 의해 전원코드(5)의 배선(5a, 5b)에 접속된다.
반면, 접속단자부재(4A, 4B)의 나머지 부분(4E, 4F)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3)의 끼워맞춤면(13A)으로부터 돌출된다.
다음에는 블레이드 캡(12A, 12B)에 대해 설명한다. 블레이드 캡(12A, 12B)은 전원 콘센트(2)의 접속공(9A, 9B)과 접속단자부재(4A, 4B)의 나머지 부분(4E, 4F)과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간극을 채워서 막기 위해 이용되는 부재이다. 블레이드 캡(12A, 12B)은 플러그 본체(13)의 재료와는 다른 폴리스티렌(PS) 등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 블레이드 캡(12A, 12B)은 플러그 본체(13)를 형성하는 PVC와 비교할 때, 경질의 부재이다.
그러므로, 접속단자부재(4A, 4B)의 나머지 부분(4E, 4F)이 도 4에 도시된 전원 콘센트(2)의 삽입구(9A, 9B)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간극이 블레이드 캡(12A, 12B)에 의해 각각 충진되더라도, 블레이드 캡(12A, 12B)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블레이드 캡(12A, 12B)은, 직사각형 원주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접속단자부재(4A, 4B) 중앙부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갖는 접속단자 삽입공(15A, 15B)이 그를 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블레이드 캡(12A, 12B)의 말단부에는 면취가공부(8A, 8B)(도 4 참조)를 갖추어 구성된다. 면취가공부(8A, 8B)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블레이드 캡(12A, 12B) 각각이 전원 콘센트(2)의 삽입구(9A, 9B)내로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삽입시에 블레이드 캡(12A, 12B)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러그 본체(13)로부터 돌출되는 접속단자부재(4A, 4B)의 나머지 부분(4E, 4F)의 근원부의 외주벽은 접속단자부재(4A, 4B) 상에 끼워맞춰진 블레이드 캡(12A, 12B)의 내주벽에 의해 덮인다.
도 4에 도시된 전원 콘센트(2)는,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2개의 삽입구(9A, 9B)를 갖추어 구성되며, 삽입구(9A, 9B)는 전기배선(9C, 9D)을 거쳐서 상용 전원(9E)에 접속된다. 이 상용 전원(9E)은 예를들어 소정전압을 갖는 AC전원이다.
전원 플러그(11)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블레이드 캡(12A, 12B)은 접속단자부재(4A, 4B) 각각의 중앙부에 끼워맞춰진다. 접속단자부재(4A, 4B)의 베이스 단부측(4C, 4D) 각각은 코킹부(14)를 거쳐서 전원코드(5)의 배선(5a, 5b)에 접속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접속단자부재(4A, 4B)와 블레이드 캡(12A, 12B)은, 플러그 본체(13)를 구성하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재료와 같은 수지를 금형에 채움으로써 일체로 형성되며, 따라서, 접속단자부재(4A, 4B)와 블레이드 캡(12A, 12B)은 플러그 본체(13)와 확실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특별히, 금형을 이용하여 플러그 본체(13)를 성형할 경우, 플러그 본체(13)의 고정부(13E)는 접속단자부재(4A, 4B)와 블레이드 캡(12A, 12B)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블레이드 캡(12A, 12B)은 간극충진부재로써 접속단자부재(4A, 4B) 상에 형성되며, 그 결과, 먼지나 오염 등이 전원 콘센트(2)내로 침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되며, 따라서, 제 1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11)를 완성하게 된다.
제 1발명에 따른 상기 구성을 갖는 전원 플러그(11)에 있어서는, 접속단자부재(4A, 4B)가 상기 설명된 전원 콘센트(2)의 전원 플러그 접속공 또는 삽입구(9A, 9B)내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접속단자부재(4A, 4B)의 외주벽과 전원 플러그 접속공(9A, 9B)의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접속단자부재가 전원 플러그 삽입공에 삽입될 때 블레이드 캡(12A, 12B)의 외주벽에 의해 충진된다.
그 결과, 접속단자부재(4A, 4B)의 외주벽과 전원 플러그 접속공(9A, 9B)의 내주벽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먼지나 오염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되며, 한편 전원 콘센트(2)에 대해 전원 플러그(11)가 헐거워지는 현상이 감소된다. 따라서, 제 1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11)는 안정성 면에서 상당히 우수하며, 전원코드(5)의 단부와 접속되는 전기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5는 제 2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2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전원 플러그(21) 상에 끼워맞춰지는 블레이드 캡(22A, 22B) 각각의 배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블레이드 캡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블레이드 캡의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21)는, 절연성 플러그 본체(23)와, 한 쌍의 접속단자부재(4A, 4B)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특성으로써, 플러그 본체(23)의 돌출면(23A)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속단자부재(4A, 4B)의 근원부에 삽입됨으로써 플러그 본체(23)와 결합될 수 있는 블레이드 캡(22A, 22B)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블레이드 캡(22A, 22B) 각각은 수지 등의 절연재료로 형성되며, 접속단자부재(4A, 4B)가 각각 삽입되어지는 접속단자 삽입공(25)이 그것을 통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블레이드 캡 각각은 플러그 본체(23)의 돌출면(23A)(도 5참조) 측에서 접속수단을 구성하는 플랜지(24)를 갖추어 구성된다. 플랜지(24)는 블레이드 캡(22A, 22B) 각각을 플러그 본체(23)에 부착하기 위해서 접착페이퍼(26)와 분리페이퍼(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이, 블레이드 캡(22A, 22B)은, 도 4에 도시된 전원 콘센트(2)의 삽입구(9A, 9B)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선단부에 면취가공부(8A, 8B)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21) 제조방법은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블레이드 캡(22A, 22B)의 플랜지(24) 각각은 미리 분리페이퍼(27)가 부착되어 있는 접착페이퍼(26)를 갖추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캡(22A, 22B)의 실제 사용에서는, 분리페이퍼(27)를 벗기고, 접속단자 삽입공(25)과 합치된 상태에서 접속단자부재(4A, 4B)의 근원부에 블레이드 캡(22A, 22B)을 삽입한다. 따라서, 블레이드 캡(22A, 22B)은 접착페이퍼(26)에 의해 플러그 본체(23)의 돌출면(23A)에 부착된다.
상기 설명된 구성을 갖는 제 2발명에 따른 제 2전원 플러그(21)를 이용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캡(22A, 22B)의 외주부는 도 4에 도시된 상대편 전원 콘센트(2)의 전원 플러그 접속공(9A, 9B)내로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캡(22A, 22B)은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21)가 전원 콘센트(2)의 접속공(9A, 9B)에서 빠지기 쉽더라도, 접속단자부재(4A, 4B)는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접속단자부재(4A, 4B)의 외주벽과 전원 플러그 접속공(9A, 9B)의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먼지나 오물 등의 침입에서 보호되는 동시에, 전원 콘센트(2)에 대해 전원 플러그(21)가 헐거워지는 것도 방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21)는 전력을 전기장치(100)에 확실하고도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본체(23)에 블레이드 캡(22A, 22B)을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일 예로써 접착페이퍼(26)에 관하여 이미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접착제 등과 같은 다른 접속수단이 접착페이퍼 대신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먼지나 오물 등이 접속단자부재에 부착됨으로써 발생되는 트래킹 화재나 단락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플러그 본체는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지지만, 블레이드 캡은 다른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개선된 서비스 수명을 갖는 간극충진부재를 갖춘 전원 플러그가 실현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에 따르면, 블레이드 캡은 플러그 본체와는 별개의 부재로써 구성되며, 따라서 블레이드 캡은 후에 통상의 전원 플러그에 끼워넣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전원 플러그의 안전성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캡이 접착페이퍼나 접착제에 의해 플러그 본체에 접속되도록 부착되기 때문에, 아이들이나 조작자가 실수로 전원 플러그의 근원부를 건드릴 경우에도. 접속단자부재의 전도성 부분이 노출되지 않는 구성을 가지므로, 감전 등의 사고가 사전에 예방될 수 있다.
전원 플러그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전원 플러그를 이용하는 전기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AC/DC변환 어댑터나 테이블 탭(table tap) 등과 같이 접속단자부재를 갖추어 구성된 전원 플러그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원 플러그가 두 개의 접속단자부재를 갖추어 구성되지만, 전원 플러그는 하나나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접속단자부재를 갖추어 구성될 수도 있다.
플러그 본체는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지지만,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간극충진부재가 그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간극충진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 내라면 본 발명의 진의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이 행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전원 플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플러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의 부분적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와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 내에 삽입되는 블레이드 캡(blade cap)을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 내에 삽입되는 블레이드 캡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블레이드 캡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전원 플러그 2. 전원 콘센트
3,13,23. 플러그 본체 4A,4B. 접속단자부재
5. 전원코드 6A,6B. 간극충진부재
7A,7B. 접속단자 삽입공 8A,8B. 면취가공부
9A,9B. 전원 플러그 접속공 10A,10B. 간극
11. 전원 플러그 12A,12B,22A,22B. 블레이드 캡(blade cap)
14. 코킹부((caulked portion) 15A,15B,25. 접속단자 삽입공
21. 전원 플러그 24. 플랜지
26. 접착 페이퍼(paper) 27. 분리 페이퍼(paper)

Claims (7)

  1. 전기접속을 위해서 전원 콘센트의 삽입구 내로 삽입되어지는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
    선택된 경도를 갖는 플라스틱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진 플러그 본체와,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측의 제 1부에서 지지되므로, 상기 전원 콘센트의 삽입구 내로 삽입하기 위해 제 2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전기 접속단자와,
    상기 2개의 전기접속단자와 상기 전원 콘센트의 삽입구의 입구의 내면 사이의 간극(間隙)을 충진하기 위하여 상기 2개의 전기접속단자의 각각의 상기 제 1부에 인접하여 상기 2개의 전기접속단자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와는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경도보다도 큰 경도를 갖는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 2개의 별개의 간극충진부재와, 그리고
    상기 2개의 간극충진부재를 상기 플러그 본체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간극충진부재를 상기 플러그 본체 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간극충진부재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접착성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6. 전원 플러그를 전원 콘센트의 삽입구 내로 삽입함으로써, 전력이 전기적으로 공급되어지는 전기장치에 있어서,
    선택된 경도를 갖는 플라스틱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진 플러그 본체와,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측의 제 1부에서 지지되고, 상기 전원 콘센트의 삽입구 내로 삽입하기 위해 제 2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전기 접속단자와,
    상기 각각의 2개의 전기접속단자와 상기 전원 콘센트의 삽입구의 입구의 내면 사이의 간극(間隙)을 충진하기 위하여 상기 2개의 전기접속단자에 각각 배치된 2개의 별개의 간극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별개의 간극충극부재는 상기 플러그 본체와는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경도보다도 큰 경도를 갖는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2개의 각각의 간극충진부재는 상기 전기접속단자의 상기 제 1부 및 상기 제 2부에 걸쳐서 연장하므로, 각각의 간극충진부재의 일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에 매립되어 있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
  7. 전기접속을 얻기 위해 전원 콘센트의 삽입구에 삽입시키는 전원 플러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기접속단자와 상기 전원 콘센트의 삽입구의 입구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충진하기 위해 2개의 개별 간극충진부재를 상기 2개의 전기접속단자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소정의 경도를 갖는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된 플러그 본체의 경도보다도 큰 경도를 갖는 플라스틱 물질의 상기 간극충진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전시접속단자의 일부와 상기 2개의 간극충진부재의 일부가 플러그 본체에 매립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플러그 제조방법.
KR1019970022758A 1996-06-03 1997-06-02 전원플러그및그제조방법과전기장치 KR100483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402919 1996-06-03
JP96-140219 1996-06-03
JP14029196A JPH09119083A (ja) 1995-06-07 1996-06-03 再生紙からの染色された粒状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633A KR980006633A (ko) 1998-03-30
KR100483933B1 true KR100483933B1 (ko) 2006-03-09

Family

ID=4173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758A KR100483933B1 (ko) 1996-06-03 1997-06-02 전원플러그및그제조방법과전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817B1 (ko) * 2021-06-07 2021-12-03 황대현 기능성 전기 플러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083U (ja) * 1982-07-22 1984-01-31 森 準一郎 安全プラグ
JPH0568083U (ja) * 1992-02-17 1993-09-10 明彦 井上 感電防止差し込みプラグ
JPH0636238U (ja) * 1992-10-19 1994-05-13 浩徳 山下 ショート防止プラグ
JPH0670172U (ja) * 1993-03-09 1994-09-30 ツン−シエン・リー 安全プラグ
JPH08124622A (ja) * 1994-10-24 1996-05-17 Natl House Ind Co Ltd 差込みプラグ
JPH08236189A (ja) * 1995-02-24 1996-09-13 Sony Corp 電源プラグ
JPH09274959A (ja) * 1996-04-05 1997-10-21 Sony Corp 電源プラ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083U (ja) * 1982-07-22 1984-01-31 森 準一郎 安全プラグ
JPH0568083U (ja) * 1992-02-17 1993-09-10 明彦 井上 感電防止差し込みプラグ
JPH0636238U (ja) * 1992-10-19 1994-05-13 浩徳 山下 ショート防止プラグ
JPH0670172U (ja) * 1993-03-09 1994-09-30 ツン−シエン・リー 安全プラグ
JPH08124622A (ja) * 1994-10-24 1996-05-17 Natl House Ind Co Ltd 差込みプラグ
JPH08236189A (ja) * 1995-02-24 1996-09-13 Sony Corp 電源プラグ
JPH09274959A (ja) * 1996-04-05 1997-10-21 Sony Corp 電源プラ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633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6177B1 (en) Power cord connecting set
US6575793B1 (en) Audio jack connector
EP0630080B1 (en) Circuit board mountable modular phone jack
US200301761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connector cable retention
JPH06140106A (ja) プラグ・ジャック式光電共用伝送装置
US5897398A (en) Power source plug
KR100483933B1 (ko) 전원플러그및그제조방법과전기장치
JPH0741108Y2 (ja) ピンプラグ
EP0724782B1 (en) Gang modular jack
JP4906570B2 (ja) 電源プラグ、電源プラグを有する電気機器及び電源プラグの製造方法
JP3327093B2 (ja) 電源プラグ
KR200248044Y1 (ko) 어댑터용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어댑터
CN219591765U (zh) 一种电源连接器
JP4351743B2 (ja) 電源プラグ、電源プラグを有する電気機器及び電源プラグの製造方法
JP3357873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およびオーディオ機器または情報機器
KR200158830Y1 (ko) 콘센트의 코드 접속장치
JP3321571B2 (ja) 光電共用伝送装置、保持体、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および機器
JPS6015269Y2 (ja) ソケツト
JPH097704A (ja)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JPH08236189A (ja) 電源プラグ
KR100509531B1 (ko) 차량용 커넥터의 터미널 가이드
JPH0327338Y2 (ko)
KR20000000700U (ko) 전기 자동차용 교류 전원 커넥터
JP2876951B2 (ja) 電子部品の取付け足
JPH04126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